KR940005949Y1 - 전동 소제기 - Google Patents

전동 소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5949Y1
KR940005949Y1 KR92007116U KR920007116U KR940005949Y1 KR 940005949 Y1 KR940005949 Y1 KR 940005949Y1 KR 92007116 U KR92007116 U KR 92007116U KR 920007116 U KR920007116 U KR 920007116U KR 940005949 Y1 KR940005949 Y1 KR 9400059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brush
roller
type cleaning
cleaning t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071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23000U (ko
Inventor
이현직
Original Assignee
이현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현직 filed Critical 이현직
Priority to KR920071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5949Y1/ko
Publication of KR93002300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2300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59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594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동 소제기
제1a도, 제1b도는 종래 전동 소제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와 동력전달 상태를 발췌하여 나타낸 평면도.
제2a도, 제2b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전동 소제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와 동력전달상태를 발췌하여 나타낸 평면도.
제3a도, 제3b도는 제2도에 나타낸 쓰레받기와 오물제거구를 발췌하여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본체 22 : 전동기
23 : 원반형 소제구 24 : 로울러형 소제구
36 : 쓰레받기 37 : (쓰레받기)의 입구
38 : 안내판 39 : 나팔형 안내벽
40 : 소제구 먼지털이 42 : 먼지털이 솔
본 고안은 전동 소제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소제 효율을 향상시키고 과부하로 인한 전동기의 수명 단축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전동 소제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동 소제기는 청소 대상의 바닥면에 대해 수직방향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원반형 소제구와, 이를 구동시키는 전동기를 가지고 바닥면을 청소하는 것으로서, 상기 원반형 소제구가 하나인 것 또는 그 이상인 것 또는 두개의 원반형 소제구와 하나의 로울러형 소제구를 가지는 것 등 여러 종류가 있으나, 이들은 쓰레기 흡입수단이 없기 때문에 소제후에도 바닥면에 쓰레기가 잔존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상기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제1도에는 그 결과로 제공된 바 있는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한국 실용신안등록출원번호 제90-14671호에 개시된 전동 소제기를 나타내 보였다.
제1도에 도시된 선출원된 전동 소제기는, 한쪽에 손잡이(5)가 설치되는 본체(1)의 상면에 전동기(2) 고정설치되고, 하부에는 청소 대상의 바닥면에 대해 수직방향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하면에 소정길이의 먼지털이 솔(3a)를 가지는 두개의 원반형 소제구(3)와 이들의 배열방향과 나란하게 둘레에 소정길이의 먼지털이 솔(4a)를 가지는 하나의 로울러형 소제구(4)가 설치된다. 상기 각 원반형 소제구(3)와 로울러형 소제구(4)는 상기 전동기(2)에 의해 동시에 회전되도록 기어군에 의해 연결된다. 즉, 상기 전동기(2)의 회전축 선단에 원동 기어(6)가 설치되고, 상기 어느 한쪽의 원반형 소제구(3) 회전축에는 상기 원동 기어(6)와 이 맞물림되는 제1종동 기어(7)가 설치되며, 다른쪽 원반형 소제구(3) 회전축에는 상기 원동 기어(6)와 이 맞물림되는 중간 기어(9)와 이맞물림되는 제2종동 기어(8)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중간 기어(9)의 회전축 선단에는 제1베벨기어(10)가 설치되고, 상기 로울러형 소제구(4)의 회전축에 설치된 종동 풀리(13)와 벨트(14)로써 연결된 원동 풀리(12)의 회전축에는 상기 제1베벨기어(10)와 이 맞물림되는 제2베벨기어(11)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로울러형 소제구(4)의 상부에는 흡입도관(15)가 설치되는데, 이는 진공 흡입수단인 진공발생 날개(17)를 가지는 진공 흡입실(16)의 흡입구와 연이어 통한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5)의 중간에는 쓰레기 수거통(18)이 붙이고 뗄 수 있도록 설치되며, 상기 진공 흡입실(16)의 배출구와 연이어 통한다. 상기 진공발생 날개(17)의 회전축에는 상기 원동 기어(6)와 이 맞물림되는 제3종동 기어(19)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전동 소제기는, 상기 전동기(2)의 구동에 의해 그 회전축에 설치된 원동 기어(6)가 회전되고, 이와 연결된 제1종동기어(7), 중간 기어(9) 및 제2종동기어(8)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각 원반형 소제구(3)가 회전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1, 제2베벨기어(10)(11)가 회전됨에 의해 로울러형 소제구(4)가 회전되어 바닥면을 소제한다. 그리고, 상기 원동 기어(6)와 이 맞물림된 제3종동 기어(19)가 회전됨에 의해 상기 진공발생 날개(17)가 회전됨으로써 바닥면의 쓰레기가 상기 흡입 도관(15)를 통해 흡입되어 쓰레기 수거통(18)으로 수거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전동 소제기는, 진공흡입수단에 의해 바닥면을 말끔히 소제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는 반면에, 많은 구성부품을 가지는 다소 복잡한 구조로 인해 제작이 어려움은 물론 원가상승을 야기시킨다. 더우기 하나의 전동기에 의해 구동되기 때문에 전력소모가 클 뿐 아니라 과부하로 인한 전동기의 수명이 단축되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간단한 구조로 용이한 제작성에 의해 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바닥면을 말끔히 소제할 수 있음은 물론 소비전력을 낮춤으로써 과부하로 인한 전동기의 수명단축을 방지할 수 있는 전동 소제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본체와, 이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는 로울러형 소제구 및 원반형 소제구와, 상기 소제구들을 구동시키는 전동기를 구비하여 된 전동 소제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상기 로울러형 소제구에 대응하는 쓰레받기가 소제대상의 바닥면 가까이에 설치되어, 상기 로울러형 소제구에 의해 얻어진 쓰레기기 상기 쓰레받기에 의해 수거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은 상기 로울러형 소제구에 의해 제거된 쓰레기가 상기 쓰레받기에 의해 수거되어 바닥면이 말끔히 소제되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에 비해 지극히 간단한 구조이므로 제작이 용이함은 물론 전력소모가 적어 과부하로 인한 전동기의 수명단축이 방지되는 장점을 가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2a도, 제2b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전동 소제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와 동력전달 구조를 발췌하여 나타낸 평면도이고, 제3a, 제3b도는 제2도에 나타낸 쓰레받기와 소제구 먼지털이를 발췌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들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전동 소제기는, 한쪽에 손잡이(25)가 설치되는 본체(21)의 상면에 전동기(22)가 설치되고, 하부 뒷쪽에는 바닥면에 대해 수직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두개의 원반형 소제구(23)가 설치되며, 하부 앞쪽에는 상기 원반형 소제구(23)의 배열 방향과 나란하게 하나의 로울러형 소제구(24)가 설치되는데, 상기 각 원반형 소제구(23)는 하면에 로울러형 소제구(24)는 둘레에 각각 소정 길이의 먼지털이 솔(23a)(24a)에서 가진다. 여기에서, 상기 로울러형 소제구(24)의 먼지털이 솔(24a)는 소정각도 간격으로 먼지털이 솔(24b)와 먼지털이 솔(24c)가 번갈아 설치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먼지털이 솔(24c)의 길이는 먼지털이 솔(24b)의 길이보다 길게 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 소제구(23)(24)들은 상기 전동기(22)에 의해 동시에 회전되도록 기어군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기어군은, 상기 전동기(22)의 회전축 선단에 원동 기어(26)가 설치되고, 상기 어느 한쪽의 원반형 소제구(23) 회전축에는 상기 원동 기어(26)와 이 맞물림되는 제1종동 기어(27)가 설치된다. 그리고 다른쪽 원반형 소제구(23)의 회전축에는 제2종동 기어(28)가 설치되고, 이 제2종동 기어(28)와 상기 제1종동 기어(27) 사이에는 이들과 동시에 이맞물림되는 중간 기어(29)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중간 기어(29)의 회전축 선단에는 제1베벨 기어(30)가 설치되고, 상기 로울러형 소제구(24)의 회전축에 설치되는 종동 풀리(33)와 벨트(34)로써 연결되는 원동 풀리(32)의 회전축에는 상기 제1베벨 기어(30)와 이맞물림되는 제2베벨 기어(31)가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로울러형 소제구(24) 원반형 소제구(23) 사이의 상기 본체(21)에는 아래쪽으로 열린 곳을 가지는 쓰레받기 케이스(35)가 설치되고 이 쓰레받기 케이스(35)에는 상기 로울러형 소제구(2)와 대응하는 쓰레받기(36)가 설치된다. 여기에서 상기 쓰레받기(36)는 상기 본체(21) 즉, 이의 쓰레받기 케이스(35)에 대해 분리 결합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쓰레받기(36)는 몸체의 한쪽면 즉, 상기 로울러형 소제구(24)를 향하는 면의 하부에 입구(37)가 형성되고, 이 입구(37)의 아랫쪽으로부터 쓰레기의 수거를 안내하는 안내판(38)이 소정길이를 연장 형성되며, 이 안내판(38)의 양 가장자리에는 소정높이를 가지는 나팔형(bell mouth type)안내벽(39)이 상방향으로 돌출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본체(21)에 대한 쓰레받기(36)의 설치위치, 분리결합방향 및 고정수단은 자유로이 변경될 수 있다. 예컨데, 설치위치는 상기 로울러형 소제구(24)에 인접하여 이에 의해 얻어진 쓰레기를 수거할 수 있는 위치내에서 설치가능하고, 분리결합 방향은 상기 본체(21)의 하부로부터 또는 어느 한 측면으로부터 분리 결합가능하게 될 수 있으며, 고정수단은 쓰레받기(36)를 본체(21)에 대해 고정할 수 있는 통상의 고정수단 모두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쓰레받기(36) 입구(37) 가까이의 상기 쓰레받기 케이스(35) 외측에는 상기 로울러형 소제구(24)의 먼지털이 솔(24a)와 접하는 소제구 먼지털이(40)가 설치된다. 상기 소제구 먼지털이(40)는 상기 쓰레받기 케이스(35)에 설치되는 지지체(41)와 이몬체(41) 한쪽면에 설치되어 상기 로울러형 소제구(24)의 먼지털이 솔(24a)에 접하는 먼지털이 솔(42)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소제구 먼지터리(40)의 먼지털이 솔(24a)는 로울러형 소제구(24)의 먼지털이 솔(24c) 보다 상대적으로 강함은 물론 상기 먼지털이 솔(24c)와 소정길이 중첩될 수 있는 길이를 가짐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전동 소제기는, 상기 전동기(22)가 구동되면, 이의 회전축에 설치된 상기 원동 기어(26)가 회전되고, 이와 이맞물림된 제1종동 기어(27), 중간 기어(29) 및 제2종동기어(28)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각 원반형 소제구(23)가 회전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중간 기어(29)에 설치된 제1베벨 기어(30) 및 이와 이 맞물림된 제2베벨기어(31)가 회전됨에 의해 상기 로울러형 소제구(24)가 회전되어 바닥면을 소제한다. 이때 상기 로울러형 소제구(24) 즉, 이의 먼지털이 솔(24a)에 의해 제거된 쓰레기는 상기 쓰레받기(36)내부로 수거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로울러형 소제구(24)의 먼지털이 솔(24a) 중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를 가지는 먼지털이 솔(24b)가 바닥면의 오물을 1차로 제거하고, 연이어 설치된 길 길이의 먼지털이 솔(24c)가 1차로 제거된 쓰레기를 상기 쓰레받기(36)에 쓸어 넣게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쓰레기는 상기 쓰레받기(36)의 입구(37)쪽에 마련된 안내판(38) 및 나팔형 안내벽(39)에 의해 외부로 이탈됨이 없이 효과적으로 쓰레받기(36)의 내부로 수거된다.
더우기 상기 쓰레받기 케이스(35)에 설치된 소제구 먼지털이(40)에 의해 쓰레기 특히, 상기 로울러형 소제구(24)에 잔존하는 먼지까지 말끔히 제거된다. 즉, 상기 소제구 먼지털이(40)의 먼지털이 솔(24a)가 로울러형 소제구(24)의 먼지털이 솔(24c)와 소정길이 중첩되게 접할 뿐 아니라 먼지털이 솔(24c) 보다 상대적으로 강하기 때문에 먼지털이 솔(24c)에 잔존하는 쓰레기가 소제구 먼지털이(40)의 먼지털이 솔(24a)에 의해 효과적으로 제거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청소 대상의 바닥면을 소제함과 아울러 바닥면의 쓰레기뿐 아니라 먼지까지도 쓰레받기 내부로 수거되므로 소제효율이 크게 향상된다. 특히 복잡한 진공흡입수단을 가지는 종래에 비해 지극히 간단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용이한 제작성에 의한 원가절감은 물론 소비전력이 낮아 과부하로 인한 전동기의 수명단축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상술한 본 고안의 실시예는 본 고안은 실시하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구성임을 밝혀두는 바이며, 이는 여러가지 형태로의 구조적 설계 변경이 가능한 바, 쓰레받기를 이용한 쓰레기 수거수단을 가지는 어떠한 형태의 전동 소제기도 본 고안의 범주내에 있음을 당연할 것이다.

Claims (10)

  1. 본체와, 이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는 로울러형 소제구 및 원반형 소제구와, 상기 소제구들을 구동시키는 전동기를 구비하여 된 전동 소제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21)에 상기 로울러형 소제구(24)에 대응하는 스레받기(36)가 소제대상의 바닥면 가까이에 설치되어, 상기 로울러형 소제구(24)에 의해 얻어진 쓰레기가 상기 쓰레받기(36)에 의해 수거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소제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쓰레받기(36) 입구(37)쪽의 본체(21)에 설치되며, 상기 로울러형 소제구(24)의 먼지털이 솔(24a)에 접하는 소제구 먼지털이(40)를 더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소제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쓰레받기(36)가, 상기 원반형 소제구(23)와 로울러형 소제구(24)와의 사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소제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쓰레받기(36)가, 상기 본체(21)에 대해 분리, 결합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소제기.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쓰레받기(36)의 입구(37)쪽에 쓰레기의 수거를 안내하는 안내판(38)이 연장형성되고, 이 안내판(38)의 양 가장자리에 소정높이를 가지는 나팔형 안내벽(39)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소제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울러형 소제구(24)의 먼지털이 솔(24a)가, 소정각도 간격으로 번갈아 설치되는 먼지털이 솔(24b)와 먼지털이 솔(24c)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소제기.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재구 먼지털이(40)가, 상기 본체(21)에 설치되는 지지체(41)와 이 지지체(41)에 설치되어 상기 로울러형 소제구(24)의 먼지털이 솔(24a)에 접하는 먼지털이 솔(24a)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소제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로울러형 소제구(24)의 약 먼지털이 솔(24c)의 길이가 먼지털이 솔(24b)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소제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소재구 먼지털이(40)의 먼지털이 솔(42)의 강도가 상기 로울러형 소제구(24)의 먼지털이 솔(24c)의 강도 보다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소제기.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소제구 먼지털이(40)의 먼지털이 솔(42)의 길이가 상기 로울러형 소제구(24)의 먼지털이 솔과 소정길이 중첩될 수 있는 정도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소제기.
KR92007116U 1992-04-28 1992-04-28 전동 소제기 KR9400059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7116U KR940005949Y1 (ko) 1992-04-28 1992-04-28 전동 소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7116U KR940005949Y1 (ko) 1992-04-28 1992-04-28 전동 소제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3000U KR930023000U (ko) 1993-11-25
KR940005949Y1 true KR940005949Y1 (ko) 1994-08-31

Family

ID=19332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07116U KR940005949Y1 (ko) 1992-04-28 1992-04-28 전동 소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594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7410B1 (ko) * 2002-02-19 2004-09-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로봇의 흡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3000U (ko) 1993-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000291A1 (en) Autonomous floor cleaner
US4426751A (en) Vacuum cleaner nozzle with double brush
KR100492582B1 (ko) 청소기용 브러시 구조
RU2253347C2 (ru) Пылеулавлив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циклонного типа для пылесоса
RU2279245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поверхности
RU2277841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поверхности
CN202458214U (zh) 一种自转式多边形自动清洁器
WO1996022725A1 (en) Electric broom
CN107510415A (zh) 一种表面清洁机
CN210643909U (zh) 一种物联网控制的扫地机器人
CN201658332U (zh) 蒸汽扫地拖地装置
CN209189329U (zh) 一种冬虫夏草清洗机
JPH0686743A (ja) 掃除機
KR940005949Y1 (ko) 전동 소제기
CN202568094U (zh) 一种自转式多边形自动清洁器
CN211511648U (zh) 一种盘刷扫地机
JPH03228721A (ja) 電気掃除機
CN213883073U (zh) 一种多功能扫地机器人
CN211704447U (zh) 吸尘器的地刷组件和吸尘器
KR100612208B1 (ko) 소형청소기 및, 소형청소기가 착탈가능한 진공청소기
KR20010092962A (ko) 비질과 물걸레 청소가 동시에 가능한 청소기
CN219048248U (zh) 地刷组件及地面清洁装置
CN212661751U (zh) 家用除尘器
CN220588185U (zh) 一种清洁效果好的扫地机器人用滚刷
CN220588187U (zh) 一种用于扫地机器人的边刷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