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5550B1 - 분무용 윤활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분무용 윤활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5550B1
KR940005550B1 KR1019860004938A KR860004938A KR940005550B1 KR 940005550 B1 KR940005550 B1 KR 940005550B1 KR 1019860004938 A KR1019860004938 A KR 1019860004938A KR 860004938 A KR860004938 A KR 860004938A KR 940005550 B1 KR940005550 B1 KR 9400055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ay
acid
ester
molecular weight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4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0414A (ko
Inventor
알. 제흘러 오이진
제이. 플레이크 클라크
제이. 바이메쉬 부루스
Original Assignee
내셔날 디스틸러스 앤드 케미칼 코포레이션
로버트 티. 베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711475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940005550(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Priority claimed from US06/747,462 external-priority patent/US4601840A/en
Priority claimed from US06/747,463 external-priority patent/US4589990A/en
Application filed by 내셔날 디스틸러스 앤드 케미칼 코포레이션, 로버트 티. 베츠 filed Critical 내셔날 디스틸러스 앤드 케미칼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8700004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04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55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55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69/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containing as components a mixture of at least two types of ingredient selected from base-materials, thickeners or additives,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each of these compounds being essential
    • C10M169/04Mixtures of base-materials and additives
    • C10M169/041Mixtures of base-materials and additives the additives being macromolecular compounds only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07/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base-material being a macromolecular compound
    • C10M107/02Hydrocarbon polymers; Hydrocarbon polymers modified by oxid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5/00Organic macromolecular hydrocarbon compounds or fractions, whether or not modified by oxidatio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5/02Organic macromolecular hydrocarbon compounds or fractions, whether or not modified by oxidatio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containing acyclic monomers
    • C10M2205/026Buten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5/00Organic macromolecular hydrocarbon compounds or fractions, whether or not modified by oxidatio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5/02Organic macromolecular hydrocarbon compounds or fractions, whether or not modified by oxidatio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containing acyclic monomers
    • C10M2205/026Butene
    • C10M2205/0265Butene used as base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7/00Organic non-macromolecular hydrocarbon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carbon and oxy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7/28Esters
    • C10M2207/281Esters of (cyclo)aliphatic mono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7/00Organic non-macromolecular hydrocarbon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carbon and oxy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7/28Esters
    • C10M2207/282Esters of (cyclo)aliphatic ooly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7/00Organic non-macromolecular hydrocarbon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carbon and oxy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7/28Esters
    • C10M2207/282Esters of (cyclo)aliphatic oolycarboxylic acids
    • C10M2207/2825Esters of (cyclo)aliphatic oolycarboxylic acids used as base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7/00Organic non-macromolecular hydrocarbon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carbon and oxy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7/28Esters
    • C10M2207/283Esters of poly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7/00Organic non-macromolecular hydrocarbon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carbon and oxy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7/28Esters
    • C10M2207/283Esters of polyhydroxy compounds
    • C10M2207/2835Esters of polyhydroxy compounds used as base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7/00Organic non-macromolecular hydrocarbon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carbon and oxy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7/28Esters
    • C10M2207/284Esters of aromatic mono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7/00Organic non-macromolecular hydrocarbon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carbon and oxy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7/28Esters
    • C10M2207/285Esters of aromatic poly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7/00Organic non-macromolecular hydrocarbon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carbon and oxy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7/28Esters
    • C10M2207/285Esters of aromatic polycarboxylic acids
    • C10M2207/2855Esters of aromatic polycarboxylic acids used as base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7/00Organic non-macromolecular hydrocarbon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carbon and oxy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7/28Esters
    • C10M2207/286Esters of polymerised unsaturated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7/00Organic non-macromolecular hydrocarbon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carbon and oxy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7/28Esters
    • C10M2207/34Esters having a hydrocarbon substituent of thirty or more carbon atoms, e.g. substituted succinic acid deriva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20/00Specified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r characteristics, i.e. function, of component of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20/01Physico-chemical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40/00Specified use or application for which the lubricating composition is intended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40/00Specified use or application for which the lubricating composition is intended
    • C10N2040/30Refrigerators lubricants or compressors lubric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40/00Specified use or application for which the lubricating composition is intended
    • C10N2040/32Wires, ropes or cables lubric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40/00Specified use or application for which the lubricating composition is intended
    • C10N2040/34Lubricating-seal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40/00Specified use or application for which the lubricating composition is intended
    • C10N2040/36Release agents or mold release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40/00Specified use or application for which the lubricating composition is intended
    • C10N2040/38Conveyors or chain belt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40/00Specified use or application for which the lubricating composition is intended
    • C10N2040/40Generators or electric motors in oil or gas winning field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40/00Specified use or application for which the lubricating composition is intended
    • C10N2040/42Flashing oils or marking oil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40/00Specified use or application for which the lubricating composition is intended
    • C10N2040/44Super vacuum or supercritical us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40/00Specified use or application for which the lubricating composition is intended
    • C10N2040/50Medical us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50/00Form in which the lubricant is applied to the material being lubricated
    • C10N2050/015Dispersions of solid lubricants
    • C10N2050/02Dispersions of solid lubricants dissolved or suspended in a carrier which subsequently evaporates to leave a lubricant 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50/00Form in which the lubricant is applied to the material being lubricated
    • C10N2050/04Aeroso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ubrica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분무용 윤활제 조성물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개선된 분무 윤활방법 및 분자량이 상이한 폴리이소부틸렌 중합체들의 혼합물과 함께 특정한 합성 에스테르를 사용하여 현저한 윤활 특성 및 분무 특성을 나타내는 개선된 분무용 윤활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조성물용으로 사용되는 합성 에스테르로는 폴리올 에스테르, 트리멜리테이트 에스테르 및 고분자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분무용 오일을 사용하는 자동 윤활법은 잘 알려져 있으며, 어떤 적용분야에서는 제어량의 윤활제를 윤활점에 공급하는, 가장 효과적이며 경제적인 수단으로서 인식된다. 분무용 오일 윤활제는 매끄럽게 될 지점 또는 부위에 용이하게 또는 안전하게 접근할 수 없을 경우 특히 유용하다.
오일 연무(oil mists)는 강철 가공 조작에서 사용되는 장치의 윤활용으로 광범위하게 이용된다. 오일 연무는 가열 회전 분쇄기(hot roll mills)의 베어링용으로 특히 효과적인 형태의 윤활제이며, 윤활제가 더욱 능률적으로 이용되도록 하며 내구기간을 연장시켜 준다. 내구기간이 연장된 것은 일반적으로 (1) 더욱 균일한 윤활제 분포, (2) 더욱 낮은 베어링 온도 및 (3) 오염 물질의 제거 결과인 것으로 생각된다. 이들 후자의 두 가지 이점은 베어링에 연무를 적용시키는 것과 관련된 양성 공기 유동의 직접적인 결과이다.
분무 윤활용으로 적절한, 허용되는 윤활 특성을 갖는 것외에도, 오일은 허용되는 분무 특성도 지녀야 한다. 폴리부텐, 폴리이소부틸렌, 폴리아크릴레이트 및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와 같은 고분자량의 중합체를 기재 오일에 가하여 적절한 분무 특성을 발달시킨다. 분무 특성에 대한 고분자 첨가제의 영향에 관한 일반적인 내용은 문헌[T.D. Newingham의 Lubrication Engineering, 33(3), 128-132(1977)]에 기술되어 있다.
미합중국 특허 제3,510,425호에는 0.05 내지 3.5중량%의 폴리에스테르를 함유하는, 분무 오일로서 유용한 광유 조성물을 이용하는 분무 윤활방법이 기술되어 있다. 분무 오일의 제제용으로 유용한 폴리에스테르는 80,000 내지 150,000의 수평균 분자량을 나타내며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과 C12-12알킬 1가 알코올과의 에스테르로부터 유도된다.
광유계 분무용 윤활제 및 당해 윤활제를 사용하는 방법은 또한 미합중국 특허 제3,855,135호에 기술되어 있다. 미합중국 특허 제3,855,135호의 방법에 사용되는 고분자 첨가제는 10,000 내지 2,000,000의 점도 평균 분자량을 가지며, 폴리스티렌, 및 폴리아크릴레이트 또는 폴리부텐과 혼합된 폴리스티렌 중에서 선택된다. 0.01 내지 2중량%의 고분자 첨가제를 광유에 가하면 허용되는 분무 특성이 수득된다.
수평균 분자량이 10,000 이상인 고분자 첨가제의 소수 비율을 함유하는 광물 윤활유를 이용하는 미세 연무 윤활방법은 영국 특허 명세서 제1,099,450호에도 기술되어 있다. 고분자 첨가제는 정상적으로 모터 오일의 (Ⅵ)개량제로서 사용되는 생성물 및 특히 저전단 안정도를 갖는 생성물이다. 수평균 분자량이 100,000이상인 비닐 아세테이트, 알킬 푸마레이트 에스테르 및 N-비닐 피롤리돈의 공중합체는 이 방법에 특히 유용한 첨가제임을 나타낸다.
미합중국 특허 제3,805,918호에는 분무 오일 윤활시의 바람직스럽지 않은 표유 연무(stray mist)를 0.001 내지 2중량%의 유용성 폴리올레핀 분무 억제물질을 함유하는 분무용 오일을 사용하여 저농도로 감소시키는 방법이 기술되어 있다. 평균 분자량이 5,000이상인, 에틸렌과 C3-12모노-올레핀과의 유동성 공중합체는 특히 유용한 첨가제이다. 석유-유도되는 기재 오일을 사용하는 것 외에, 알킬, 아릴 및 알크아릴 포스페이트 에스테르, 알킬벤젠, 폴리옥시알킬렌 에스테르 또는 글리콜, 오르토 실리케이트 및 실옥산과 같은 탄화수소 기재 오일이 또한 이 방법에 사용되는 분무용 오일 조성물의 제제용으로 유용함을 나타낸다.
부텐 중합체는 또한 기타 윤활제 조성물을 수득하기 위해 이용한다. 예를 들면, 미합중국 특허 제3,098,042호에는 분자량의 범위가 10,000 내지 20,000인 부텐-1의 중합체를 함유하며 광유 또는 합성 오일로부터 유도된 윤활제 액체 및 윤활유(greases)가 기재되어 있다. 1- 및/또는 2 염기산 및 1 또는 다작용성 알코올로부터 유도된 여러 가지 합성 에스테르가 이들 윤활제를 제조하는데 유용한 것으로 기술되어 있다. 폴리부텐-1은 약 0.5 내지 12중량%의 양으로 사용할 수 있다. 지방산의 염 및 비누와 같은 통상적인 윤활유 농후화제도 조성물중에 함유될 수 있다. 우수한 전단 안정도 및 저온 유동성을 나타내며, 10% 내지 95%의 디에스테르 및 90% 내지 5%의 부텐 중합체를 함유하는 합성 윤활제가 미합중국 특허 제3,860,522호에 기술되어 있다. 디에스테르는 탄소수 16 내지 22의 측쇄 디카복실산 및 탄소수 6이하의 지방족 알코올로부터 수득된다. 부텐 움직이어느 중합체는 약 1,200 내지 4,500의 분자량을 갖는다. 그러나, 상기 조성물의 어느 것도 오일 분무용으로는 전혀 이용되지 않는다.
우수한 윤활특성 및 분무특성이 수득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면 매우 유리할 것이다. 또한 용이하게 구입할 수 있는 합성 에스테르 기재물질로부터 유도되어, 개선된 윤활특성 및 분무특성을 나타내는 오일 분무 윤활제를 이용할 수 있다면 이 방법 또한 유용할 것이다.
우리는 아주 놀랍게도 특정한 비교적 고점도의 합성 에스테르 및 상이한 분자량의 폴리이소부틸렌 중합체들의 배합물로 이루어진 개선된 분무용 윤활제 조성물을 사용하는 개선된 방법을 발견하였다. 사용되는 합성 에스테르는 15 내지 300센티스토우크(centistokes) 범위의 40℃ 점도을 갖는, 폴리올 에스테르, 트리멜리테이트 에스테르, 및 고분자 지방산 에스테르이다. 2개의 상이한 폴리이소부틸렌 중합체를 필수적으로 사용하며, 이때 하나의 중합체는 평균 뷴자량이 4,000 내지 10,000이고 다른 하나의 중합체는 평균 분자량이 25,000 내지 300,000이다.
본 발명의 개선된 방법 및 개선된 분무용 윤활제 조성물에 의하면 한층 넓은 범위의 조작온도에서 허용되는 연무를 능률적으로 생성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점이 생산량을 현저히 증가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 및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석유계 분무 오일에 비하여 내구기간의 현저한 증가(15 내지 20%)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개선된 윤활제 조성물이 생성된다. 이 조성물은
(1) (a) 2내지 8개의 하이드록실 그룹 및 3 내지 12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지방족 폴리올, 및 지방족 모노카복실산 또는 5 내지 20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지방족 모노 카복실산들의 혼합물로부터 유도된 폴리올 에스테르.
(b) 트리멜리트산 또는 트리멜리트산 무수물 및 8 내지 16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지방족 알코올로부터 유도된 트리멜리테이트 에스테르 및
(c) 75% 이상의 C36이량체산을 함유하는 고분자 지방산 및 C1-13일작용성 알코올로부터 유도된 고분자 지방산 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45 내지 95중량부의 합성 에스테르;
(2) 100%의 중합체를 기준으로 하여, 평균 분자량이 4,000 내지 10,000인 8 내지 40중량부의 폴리이소부틸렌; 및
(3) 100%의 중합체를 기준으로 하여, 평균 분자량이 25,000 내지 300,000인 0.1 내지 1중량부의 폴리이소부틸렌으로 이루어지며, 이 조성물은 점도가 49℃에서 125 내지 750센티스토우크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윤활방법이 제공된다. 윤활제의 연무를 약 10 내지 100psig 의 압력하에 공기중에 생성시키고,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매끄럽게 할 금속 표면으로 운반하고, 보다 큰 소적으로 합체시키고 이어서 금속 표면에 침적시켜 금속 표면 위에 윤활성 필름을 생성시키는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개선점은 전술한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이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특히 유리한 분무용 오일 조성물은 40℃에서 점도가 175 내지 550센티스토우크이며, 55 내지 85중량부의 합성 에스테르, 12 내지 30중량부의 평균 분자량이 4,500 내지 8,500인 폴리이소부틸렌, 및 0.25 내지 0.85중량부의, 평균 분자량이 50,000 내지 200,000인 폴리이소부틸렌을 함유한다. 소수량의 석유 희석제 및 유효량의 통상적인 윤활제 첨가제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선된 분무용 윤활제 조성물은 비교적 고점도의 특정한 합성 에스테르를 비교적 저분자량의 첫번째 폴리이소부틸렌 중합체 및 첫번째 폴리이소부틸렌보다 현저히 높은 평균 분자량을 갖는 두번째 폴리이소부틸렌 중합체와 결합시킴으로써 수득한다. 에스테르 및 폴리이소부틸렌 중합체는 목적하는 수준의 분무 특성 및 윤활 특성을 얻기 위하여 특정한 비율로 사용한다. 본 발명의 윤활제 조성물은 본 분야에 공지된 통상적인 분무 윤활계에 사용할 수 있지만 가열 스트립 분쇄기(hot strip mills)내의 회전 베어링 윤활시 특히 유리하다.
분무 윤활제 및 그에 대한 조작조건을 포함하는 분무 윤활방법은 잘 알려져 있다. 많은 분무 윤활계가 문헌에 기술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분무 윤활법은 때때로 미세 연무 또는 에어졸로서 언급되기도 하는 오일 연무를 생성시키며, 상기 연무를 공기 중 또는 기타 불활성 기체 중에서 윤활성을 필요로 하는 점에 압축공기에 의해 운반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연무를 매끄럽게 할 물체에 가하기 전에 매우 작은 오일 소적이 보다 큰 소적으로 합체되거나 응축되도록 하는 재분류 장치, 오리피스에 통과시킨다.
연무 발생장치를 사용하여 오일 연무를 생성시킨다. 일반적으로 이들 발생장치는 양유관(Siphon)에 의해 벤튜리(Venturi)에 연결된 윤활제용 저유조를 포함한다. 압축 기체, 통상적으로 공기를 벤튜리로 통과하도록 하면 윤활제가 저유조로부터 양유되며, 윤활제를 공기와 밀접 혼합시키면 소적이 생성된다. 그후 공기/소적 혼합물은 조절 장치를 갖는 발생장치내에서 접촉시키면 보다 큰 소적이 응축되어 응축물을 저유조로 되돌아가게 한다. 일반적으로 3미크론 이하의 직경을 갖는 보다 작은 소유적을 공기 중에 분산시키고 윤활점까지 압축공기에 의해 연결관 분배 라인을 통과시킨다.
생성되는 연무의 양 및 성질은 기온 및 기압(속도)을 변화시킴으로써 변화시킬 수 있다. 10 내지 100psig의 압력을 사용한다. 기온은 일반적으로 100。F 내지 225。F 의 범위일 수 있다. 기온은 125°내지 200。F 로 유지할 경우 특히 유리하다.
분배계는 최소로 응축시켜 윤활점까지 오일/공기 분산물이 운반되도록 설계한다. 따라서, 라인의 길이가 너무 길어서는 안되며 그의 설계의 주의해야만 한다. 예를 들면, 라인의 굴곡부의 수는 최소로 유지되어야 하며 날카로운 굴곡부는 피해야 한다. 또한 응축물이 회수될 수 있고 저해 작용을 할 수 있는, 라인 중의 낮은 점이 있어서는 안된다. 분배 라인은 일반적으로 발생장치 또는 윤활점에 대하여 경사를 이루도록 하여 응축물의 회수를 피한다. 배수 렉(Drain legs)은 필요시 제공된다. 보조 라인은 일반적으로 주요 분배 라인의 정상부에서 제거된다. 일반적으로 보조 라인에 대한 설계 조건은 주 연결관 또는 헤더(header)의 경우와 같다.
오일/공기 분산질을 재분류장치(오리피스)에 통과시켜 작은 오일 소적들을 보다 큰 소적으로 전환(연합)시키고 오일/공기 분산 속도를 증가시키며, 오일 및 공기는 매끄럽게 될 표면을 최대로 습윤시킨다. 재분류 장치의 크기 및 형태는 특정 적용 조건 및 오일/공기 분산 특성에 따라 변동될 수 있다.
처리되는, 즉 분무되는 윤활제의 양은 "분무량(throughput)"으로 언급된다. 분무량은 단위시간당 중량 또는 용량의 단위(예:g/시간)로서 표시되며, 3가지 성분, 즉 (a) 드롭아우트(dropout), (b) 재분류 오일, 및 (c) 표유 연무로 추가 붕괴된다. 드롭아우트는 라인 중에서 응축되고 재분류장치에 결코 도달되지 않는 연무의 양이다. 분배 라인에서 응축되는 연무는 연무 발생장치에 되돌아가 재분무될 수 있다. 재분류 오일은 매끄럽게 되는 표면에 적용되는 실제량의 윤활제이다. 매끄럽게 될 표면에 적용되지 않고 대기 중에서 방출되는 연무는 표유 연무 또는 표유 포그로서 언급한다. 분뮤량은 (a)+(b)+(c)이므로, 표유 연무는 분무량과 (a)와 (b)의 합과의 차이를 측정함으로써 수득한다. 드롭아우트, 재분류 오일 및 표유 연무는 종종 분무량에 대한 백분율로서 나타내거나 어떤 비율로서 나타낼 수 있다.
전술한 바에 의하면, 많은 양이 분무될 수 있을지라도, 연무 성분의 분배로 인하여 특별한 연무 오일계가 무용하게 되거나 비경제적으로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과량의 라인 응축물(드롭아우트) 또는 과량의 표유 연무로 인하여 윤활점에서 윤활제가 불충분하게 전달될 수 있다. 표유 연무는 소실된 윤활제이기 때문에 특히 다루기 어렵다. 표유 연무는 경제적인 관점에서 곤란을 유발시킬 뿐 아니라 잠재적인 건강 및 안전에 대한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그러므로, 허용되는 분무용 윤활계를 개발하며 이러한 계용 분무용 오일을 선택할 경우, 연무 성분(a),(b) 및 (c)의 분배는 분무량에 따라 고려해야만 한다.
또한, 허용되는 오일 분무계를 얻기 위하여는 허용되는 윤활제를 수득해야만 한다. 이는 분무용 오일이 우수한 분무 특성을 갖는 것 외에도 우수한 윤활성, 산화안정성, 내마모성 및 극압특성, 방녹/내부식성, 및 특정한 용도에 따르는 기타 가능한 특성을 또한 나타낼 것을 필요로 한다. 윤활제는 또한 필수적으로 바람직스럽지 않은 왁스를 함유해서는 안된다. 왁스는 재분류장치 정상부에 쌓일 수 있으며 재분류장치를 제한 시키거나 완전히 차단할 수 있다. 어느 경우에는, 불충분한 윤활제가 윤활점에 전달될 수 있으며, 베어링의 경우에는 베어링의 수명을 단축시킬 수 있다.
윤활제는 또한 윤활제가 적용되는 표면에 우수한 습윤성 또는 분산성(Spreadability)을 나타내지 않으면 안된다. 스트립 분쇄기에서 이용되는 베어링과 같이 대형 베어링의 분무 윤활시 가장 자주 직면하는 문제중의 하나는 모든 베어링 및 회전부 표면에 윤활제가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지 못하다는 점이다. 이와 같이 적절한 윤활제 필름이 제공되지 못함으로 인하여 과도한 국한된 마모 및 너무 이른 베어링 고장이 일어난다. 회전부(roll neck)상의 "건조한 부분" 또는 윤활성이 불충분한 부분은 분무용 오일로 매끄럽게 된 회전식 분쇄기 베어링을 자주 해체시킴으로써 관찰한다. 완전한 베어링 및 회전부 표면을 각각 균일하게 피복시키거나 균일한 피복물을 생성시키는 분무용 오일 윤활제 및 윤활방법은 베어링 수명을 현저히 연장시키며 작동 비용을 현저히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분무용 오일 조성물 및 윤활방법에 의해, 우수한 오일 분무 분배, 즉 저표유 연무 및 저라인 응축물을 생성시키면서 유효량의 오일 연무를 용이하게 생성한다. 또한, 광범한 조작온도 및 압력하에서도 많은 양을 분무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지 않는 왁스 침적이 극소화되며 대부분의 경우 완전히 제거된다. 또한, 아주 뜻밖에도, 본 발명의 분무용 오일 조성물은 개선된 습윤성 및 분산성을 나타내므로, 분무하여 회전식 분쇄기 베어링을 매끄럽게 하기 위해 사용할 경우 윤활제의 균일한 연속 막이 베어링 및 회전부에 침적된다.
전술한 개선은 합성 에스테르 및 평균 분자량이 상이한 2개의 폴리이소부틸렌 중합체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본 발명의 분무용 윤활제 조성물 및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을 위해 사용되는 합성 에스테르는 비교적 고점도의 폴리올 에스테르, 트리멜리테이트 에스테르, 또는 고분자 지방산 에스테르이다. 이들 에스테르는 25 내지 300센티스토우크 범위의 40℃ 점도를 나타낸다. 특히 유리한 분무용 오일 조성물은 합성 에스테르의 점도(40℃)가 50 내지 250센티스토우크일 경우 스득된다.
사용가능한 폴리올 에스테르는 3 내지 12개의 탄소원자 및 2 내지 8개의 하이드록실 그룹을 함유하는 지방족 폴리올로부터 유도된다. 더욱 일반적으로는 폴리올은 5 내지 8개의 탄소원자 및 2 내지 4개의 하이드록실 그룹을 함유할 것이다. 상기 형태의 지방족 폴리올의 예로는 네오펜틸 글리콜, 2,2-디메틸-3-하이드록시프로필-2,2-디메틸-3-하이드록시-프로피오네이트, 2,2,4-트리메틸-1,5-펜탄디올, 트리메틸올에탄, 트리메틸올프로판, 글리세롤, 펜타에리트리톨, 디펜타에리트리톨, 트리펜타에리트리톨 등이 있다. 모노-, 디-, 트리- 및 그 이상의 펜타에리트리톨을 여러 비율로 함유하는 공업용 펜타에리트리톨을 사용할 수 있다. 네오펜틸 글리콜, 트리메틸올프로판 및 트리메틸올에탄이 특히 유용하다. 폴리올은 지방족 모노카복실산 또는 5 내지 20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지방족 모노카복실산들의 혼합물과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반응한다. C5-20지방족 모노카복실산은 측쇄 또는 직쇄일 수 있으며, 포화 또는 불포화 상태일 수 있다. 이들 카복실산은 천연지방 또는 오일로부터 수득할 수 있거나, 옥소, 코흐(Koch) 또는 기타 공지된 반응에 의해 합성시켜 제조할 수 있다. 지방족 모노카복실산의 예로는 발레르산, 이소발레르산, 카프릴산, 카프르산,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이소팔미트산, 스테아르산, 이소스테아르산, 리시놀레산, 올레산, 리놀레산, 및 이들의 혼합물이 있다. 혼합산은 코코넛유, 레놀레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유도된다. 코코넛유, 라드유, 토올(tall)유, 잇꽃유, 옥수수유, 수지, 콩유, 야자유, 피마자유, 유채유 등으로부터 유도된 혼합산을 사용할 수도 있다.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올레이트 및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와 같이, 트리메틸올프로판을 C12-18지방족 모노카복실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에스테르화시켜 수득한 폴리올 에스테르는 본 발명의 분무용 오일 조성물을 제조할 경우 특히 유용하다. 폴리올 에스테르는 통상 15미만의 산가 및 100미만의 하이드록실가를 갖는다. 더욱 통상적으로 폴리올 에스테르의 산가 및 하이드록실가는 각각 8미만 및 25미만일 수 있다.
유용한 트레멜리테이트 에스테르는 트리멜리트산 또는 트리멜리트산 무수물 및 8 내지 16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지방족 일작용성 알코올로부터 수득된다. 트리멜리트산 및 트리멜리트산 무수물은 물론 이들의 제조방법과 같이 잘 알려져 있는 화학 생성물이다. 지방족 알코올은 직쇄 또는 측쇄의 1급, 2급 또는 3급 알코올일 수 있다. 알코올의 예로는 n-옥틸 알코올, 카프릴 알코올, 이소옥탄올, 2-에틸헥산올, 데실 알코올, 이소트리데실 및 이소데실 알코올, 라우릴 알코올, 미리스틸 알코올, 세틸 알코올 등이 있다. 특히 유리한 트리멜리테이트 에스테르는 C10-13 지방족 알코올 또는 알코올 혼합물로부터 유도된다. 이소데실 트리멜리테이트, 이소트리데실 트리멜리테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 즉 이소데실/이소트리데실 트리멜리테이트가 특히 유용한 이러한 형태의 에스테르이다. 이들 에스테르의 산가는 일반적으로 15미만, 및 더욱 바람직하게는 5미만이다. 하이드록실가는 통상 10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3미만이다.
고분자 지방산 에스테르는 75% 또는 그 이상의 C36이량체산을 함유하는 고분자 지방산 및 C1-13일작용성 알코올로부터 유도된다. 고분자 지방산은 이들의 제조방법과 같이 공지되어 있다. 이들 고분자 지방산은 올레산, 리놀레산 등과 같이 약 16 내지 20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올레핀계 불포화 모노카복실산을 중합시켜 제조한다. 이들의 제조방법에는 통상 다음과 같은 방법이 포함된다 : 불포화 지방산을 산 촉매(예 : HF,BR3등)로 처리하는 방법; 불포화 지방산의 열 중합 반응을 처리 또는 미처리된 점도 촉매의 존재 또는 부재하에 수행시키는 방법; 및 불포화 지방산을 과산화물로 처리하는 방법. 고분자 지방산의 제조방법을 예시하면 미합중국 특허 제2,793,219호 및 제2,955,121호를 들 수 있다. 불포화 지방산의 중합 반응으로부터 얻은 고분자 지방산은 주로 이량체 및 삼량체 산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혼합물 중에는 약간의 고급산 및 미반응 단량체도 또한 존재할 수 있다.
C36고분자 지방산은 올레산 및 리놀레산과 같은 C18불포화 모노카복실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예 : 토올유 지방산)을 다시 중합반응시켜 제조한다. 이들 고분자 지방산 생성물은 주성분으로서 C36이량체 및 C54삼량체 산을 함유한다. 75중량% 또는 그 이상의 C36이량체산을 함유하며 생성물 중 나머지는 C54삼량체로 이루어진 이러한 형태의 산에 놀라운 결과가 수득된다. 실질적으로 감소된 양의 고급 중합체산 및 미반응 불포화 모노카복실산을 함유하는 많은 양의 이량체를 함유하는 고분자 지방산은 분자 증류법 또는 기타의 고성능 증류법을 사용하여 수득할 수 있다. 고분자 지방산은 또한 사용하기 전에 수소화 반응시킬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고분자 지방산 생성물은 상표 "Empol Dimer Acids"로 시판되는 상업적으로 구입 가능한 조성물이다.
고분자 지방산 에스테르를 제조하기 위한 유용한 알코올에는 지방족 측쇄 또는 직쇄의, 탄소수 1 내지 13의 일작용성 알코올이 있다. 대표적인 모노알코올로는 이소부틸알코올, 이소아밀알코올, 네오펜틸알코올, n-헥실알코올, n-옥틸알코올, 2-에틸헥산올, 데실알코올, 이소데실알코올, 이소트리데실알코올, 라우릴 알코올 등이 있다. 에틸렌 글리콜, 1,2-또는1,3-프로판디올, 1,3-, 1,4- 또는 2,3-부탄디올, 2,2,4-트리메틸-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네오핀틸 글리콜, 글리세롤,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틸올에탄, 펜타에리트리톨, 디펜타에리트리톨, 트리펜타에리트리톨 등과 같은 소량의 다작용성 알코올을 일작용성 알코올(들)과 함께 사용할 수도 있다. 특히 유리한 고분자 지방산 에스테르는 85% 또는 그 이상의 C36이량체산을 함유하는 고분자 지방산 및 C8-10지방족 모노알코올로부터 수득할 수 있다. 디이소데실 다이머레이트 및 디-2-에틸헥실 다이머레이트가 특히 유리하다. 고분자 지방산 에스테르는 일반적으로 산가가 100 미만, 더욱 일반적으로는 산가가 10미만이다. 하이드록실가는 일반적으로 10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3미만이다.
상이한 평균 분자량이 이소부틸렌 중합체들의 혼합물을 필수적으로 전술한 합성 에스테르와 함께 사용하면 본 발명의 개선된 분무용 오일 조성물이 수득된다. 통상 2개의 폴리이소부틸렌을 사용한다. 하나는 저분자량의 폴리이소부틸렌으로서 본 명세서에 언급되는 것으로서 평균 분자량이 4,000 내지 10,000이며 두번째 것은 고분자량의 폴리이소부틸렌으로서 본 명세서에 언급되는 것으로서 평균 분자량이 25,000 내지 300,000이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분자량은 중량평균 분자량(Mw)이다. 전술한 분자량 범위에 속하지 않은 기타 부틸렌 중합체를 소량 함유할 수도 있다. 특히 유용한 본 발명의 분무용 오일 조성물은 저분자량 폴리이소부틸렌의 평균 분자량이 4,500 내지 8,500 이며 고분자량 폴리이소부틸렌의 평균 분자량이 50,000 내지 200,000일 경우에 수득된다.
이소부틸렌 중합체는 필수적으로 다음 일반식에 따른다.
Figure kpo00001
상기식에서 x는 반복 단위의 수를 나타내는 정수이다. 상기 형태의 중합체는 전 산업 분야에서 널리 이용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 중합체는 통상적으로 소량의 부텐-1 및/또는 부텐-2을 함유하는 이소부틸렌 공급물을 중합반응시켜 수득한다. 본 명세서에서 폴리이소부틸렌 또는 이소부틸렌 중합체라는 용어가 사용될 경우에는 전술한 형태의 중합체를 포함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이소부틸렌 중합체는 공지된 통상적인 중합화 기술을 사용하여 수득한다. 중합 반응은 불활성 탄화수소 중에서 수행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약 30 내지 80%의 폴리이소부틸렌은 함유하는 중합체 용액이 수득될 것이다. 필요한 경우, 중합 반응이 완결될 때 중합체에 희석제를 가할 수도 있다. 이소부틸렌 중합체 용액은 본 발명의 개선된 분무용 오일 제제에 사용할 수 있다. 이것은 폴리이소부틸렌을 합성 에스테르로 처리하고 혼합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폴리이소부틸렌에 대하여 본 명세서에서 언급하는 모든 부 및 백분율은 100% 중합체 기준으로 계산한 것이다. 이소부틸렌 중합체 용액을 사용한 결과 분무용 오일 조성물 중에 존재하는 불활성 탄화수소는 생성물의 전반적인 분무 특성 및 윤활 특성을 감소시키지 않는다.
본 발명의 조성물 및 방법을 얻기 위하여, 45 내지 95 중량부의 합성 에스테르를 100%의 중합체를 기준하여 8 내지 40중량부의 저분자량 폴리이소부틸렌 및 0.1 내지 1중량부의 고분자량 폴리이소부틸렌과 혼합시킨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분무용 오일 조성물은 55 내지 85 중량부의 합성 에스테르, 12 내지 30중량부의 저분자량 폴리이소부틸렌 및 0.25 내지 0.85 중량부의 고분자량 폴리이소부틸렌을 함유한다.
가열 스트립 분쇄기 베어링 윤활용으로 산업에서 대부분 널리 사용되는 220,320 및 460의 ISO 등급을 가지며 우수한 분무 특성 및 윤활 특성을 나타내는 특히 유용한 분무용 오일 윤활제는 63 내지 78부의 디-2-에틸헥실다이머레이트(40°점도 91센티스토우크; 점도지수 155; 유동점 -50。F; 산가 <3; 및 하이드록실가 ≤2), 14 내지 28부의 폴리이소부틸렌(수평균 분자량 약 7,500 내지 7,600) 및 0.33 내지 0.66부의 폴리이소부틸렌(수평균 분자량 약 89,000 내지 90,000)을 혼합시켜 수득한다. 적절한 농도의 첨가제를 사용하여 제형화된 220,320 및 460 ISO 등급 생성물의 조성 및 대표적인 특성은 다음과 같다.
Figure kpo00002
Figure kpo00003
하나 이상의 첨가제가 통상적으로 완성된 분무용 오일 제제에 포함된다. 통상적인 첨가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통상 산화방지제, 내마모/극압(EP)제 마모 및 부식 억제제, 금속 불활성화제, 기포 억제제, 유화 파괴제 등이 포함된다. 이들 첨가제의 대부분은 중복 작용, 즉, 다작용성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어떤 첨가제는 내마모 및 극압 특성을 부여하거나 금속 불활성화제 및 부식 억제제로서 작용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첨가제는 통상 총 제제의 8%, 더욱 통상적으로는 5%를 초과하지 않는다.
사용될 수 있는 산화 억제제에는 4,4'-메틸렌비스(2,6-디-t-부틸페놀), 2,6-디-t-부틸-N,N-디메틸아미노-p-크레졸 및 티오디에틸렌비스(3,5-디-t-부틸-4-하이드록시)하이드로신나메이트 등과 같은 t-부틸페놀; N,N-디페닐 페닐렌디아민을 포함하는 아릴아민; p-옥틸디페닐아민, p,p'-디옥틸디페닐아민 등과 같은 디페닐아민; N-페닐-1-나프틸아민, N-페닐-2-나프틸아민; N-(p-도데실페닐)-2-나프틸아민 등과 같은 N-페닐나프틸 아민; N-알킬페노티아진과 같은 디나프틸아민; 디티오카바메이트 유도체 등으로부터 유도된 페놀성 산화방지제가 있다. 0.5 내지 약 1.5부의 산화방지제를 일반적으로 사용한다.
분무용 오일 중에는 일반적으로 약 0.3 내지 2부의 내마모제 및 1 내지 2부의 극압(EP)제가 함유된다. 이러한 형태의 물질의 예로는 황화이소옥틸 탈레이트와 같은 황화지방산 에스테르; 황화테르펜; 황화올레핀; 오가노폴리설파이드; 아민 포스페이트, 알킬산 포스페이트, 디알킬 포스페이트, 아민디티오 포스페이트, 트리알킬 또는 트리아릴 포스포로 티오네이트, 트리알킬 및 트리아릴 포스핀, 디알킬 포스파이트와 같은 유기인 유도체(예 : 트리페닐 포스페이트, 트리나프틸 포스페이트, 트리크레실 포스페이트, 디페닐 크레실 또는 디크레실페닐 포스페이트, 나프틸디메틸 포스페이트, 트리페닐 포스포로티오네이트); 안티몬디알킬 디티오카바메이트와 같은 디티오카바메이트; 크산테이트 등이 있다.
금속 불활성화제(부동태화제) 및 마모/부식 억제제에는 아젤라산과 같은 이염기산; 프로필 갈레이트; 퀴놀린; 퀴논 및 안트라퀴논; 톨릴트리아졸과 같은 벤조트리아졸 유도체; 벤조쿠안아민; 아미노인다졸; 바륨디노닐 나프탈렌 설포네이트와 같은 금속 알킬 설포네이트; 알케닐 석신산 무수물(또는 산)의 에스테르 및 아미드 유도체 등이 있다. 이러한 형태의 첨가제 0.02 내지 0.2부를 일반적으로 사용한다.
실리콘오일, 아클리레이트 및 발포를 억제시키는 것으로 알려진 기타의 통상적인 생성물을 포함하는, 소량, 가장 일반적으로 0.005 내지 0.05부의 소포제를 함유할 수도 있다. 또한, 소량, 보통 0.001 내지 0.005부의 유화 파괴제를 함유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금속 알킬 설포네이트, 알킬화 페놀, 알콕실화 알킬페놀, 1가 알코올, 알킬렌 글리콜 등과 같은 공지된 유화 파괴제가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첨가제 제조업체로부터 구입할 수 있는 소위 "다목적" 또는 "다방면의" 첨가제 패키지(packages)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종종 유리하다. 이들은 "Elco 345", "Hitec 323", "Lubrizol 5034"등과 같은 여러 상표로 판매된다. 이들 첨가제 패키지는 통상 우수한 산화 안정성, 내마모성 및 극압 특성을 제형화된 유체에 부여한다. 그러나, 첨가제 패키지가 저농도로 사용될 때에는 추가의 부식 억제제 및 소포제를 가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윤활제 조성물은 그의 우수한 분무 특성으로 인하여 분무 오일계용으로 특히 적합하지만, 이들 조성물은 또한 나선형 기어, 변형 또는 하이포이드 기어, 나선형 경사 및 피니언 기어 및 경사 베어링 등의 통상적인 윤활용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들 조성물은 전동 케이스, 토크 콘버터(torque converters)를 포함하는 개폐용 기어 박스 및 통상적인 저널(journal) 설계에 이용할 수 있다. 이들은 또한 체인, 도르래 및 와이어 로우프의 윤활용으로 유용하다.
다음 실시예들은 본 발명 및 본 발명의 여러 양태를 더욱 충분히 설명한다. 모든 부 및 백분율은 다른 언급이 없는 한 중량 기준이다. 분자량이 표시된 분무량은 차동 굴절율 측정 장치(Model R401)가 설치된 장치(Waters Associates HPLC 204)를 사용하여 겔 투과 크로마토그라피로 측정한다. 측정 장치의 감쇠는 16에 고정한다. 연속적으로 연결되며 35°±0.1℃에서 유지되는 104,103,500 및 1000의 울트라스티라겔 칼럼(Ultrastyragel Columms)을 사용한다. 분당 1.0㎖ 유속의 테트라하이드로푸란을 용출 용매로서 사용한다. 시료를 테트라하이드로푸란(50mg/ml THF)중에 용해시키고 각각 측정하기 위하여 50㎕의 용액을 주입한다. 공지된 분자량(240,000 내지 240,601)의 10종류의 폴리스티렌 수지를 측정 표준으로서 사용한다. 분무 특성은 ASTM D 3705-78의 일반적인 방법에 따라 측정한다. 시험시 오일의 온도는 120。F로 유지한다.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기온은 150。F,175。F 또는 200。F이다.
[실시예 Ⅰ]
분무용 윤활제는 63.1부의 디-2-에틸헥실 다이머레이트(40℃ 점도 91센티스토우크; 점도지수 155; 유동점 -50。F ; 산가 <3; 하이드록실가 ≤2)를 27.5부의 이소부틸렌 중합체(
Figure kpo00004
7573) 및 0.33부의 이소부틸렌 중합체(
Figure kpo00005
89,793)와 혼합시켜 제조한다. 혼합은 90℃에서 수행하고 폴리이소부틸렌을 에스테르와 혼합시키기 전에 불활성 탄화수소 중에 용해시킨다. 생성되는 혼합물을 약 60℃로 냉각시키고 3.5부의 재없는 시판용 다목적 기어 오일 첨가제(ELCO
Figure kpo00006
345)를 교반시키면서 가한다. 분무용 윤활제(ISO 등급 460)는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갖는다.
345)를 교반시키면서 가한다. 분무용 윤활제(ISO 등급 460)는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갖는다.
점도(ASTM-D-445)
40℃, cSt 466
100℃, cSt 44
점도지수(ASTM-D-2270) 148
총 산가(ASTM-D-974)(mg KOH/gm) 2.5
비중, 60/60。F(ASTM-D-1298) 0.900
인화점,。F(ASTM-D-92) 415
유동점,。F(ASTM-D-97) -20
분무특성은 175。F 및 200。F에서 측정하며 다음과 같다.
Figure kpo00007
Figure kpo00008
극소의 드롭아우트 연무 및 매우 낮은 표유 연무는 고분무량을 유지하면서 수득된다는 것을 데이터로부터 알 수 있다. 이러한 분무량를 생성시키는데 필요한 조작 조건하에서 상업적으로 구입가능한 광유계 분무 윤활제에 의해 필적할 분무량을 수득할 수 있는 반면, 장시간 조작할 경우에는 분무용 윤활제의 전달을 제한하며 어떤 경우에는 재분류 장치 상부를 완전히 차단시키는 현저한 왁스 침전물이 수득된다. 상기 제형화된 합성 에스테르 분무용 윤활제를 사용하면 왁스가 전혀 형성되지 않으며, 분무 분포를 변화시키거나 조작조건을 현저히 조절하지 않고서도 연속적으로 계를 조작할 수 있다.
분무용 오일을 회전식 단조장치의 회전 장치상의 베어링(내경 19인치, 2중 회전기형)을 매끄럽게 하기 위하여 가열스트립 분쇄기내에 사용한다. 총 2 내지 3갤론의 시판용 분무 발생 장치를 사용하여 연무를 생성시킨다. 오일 전체를 약 100。F로 가열한다. 연무를 발생 장치로부터 2½인치 라인에 의해 끌어내어 연결관을 통해 재분류 장치까지 운반한다. 9 또는 15개의 0.067 구멍을 포함하는 통상적인 재분류 장치 덮개를 사용한다. 합성 에스테르 윤활제는 우수한 분무 특성을 나타내며 재분류 장치 덮개의 제한 또는 막힘은 전혀 나타나지 않는다. 또한 우수한 윤활제가 수득된다.
30개의 베어링을 사용하는 실험에서, 이전에 분쇄기에 사용된 상업용 광유계 분무용 윤활제에 비하여 상기 제형화된 합성 에스테르 윤활제를 사용함으로써 베어링당 15 내지 20%의 톤수의 증가가 나타난다. 또한, 일상적인 유지 관리 및 정비(150,000톤을 처리한 후 규칙적으로 수행함)시 본 발명의 분무용 오일 조성물에 의해 매끄럽게 된 회전 부분에서는 "건조한 부분" 또는 불충분한 윤활 부분이 거의 제거된다. "건조한 부분"은 석유계 분무용 윤활제로 베어링을 처리할 경우 회전 부분의 외부에서 거의 모든 경우에 나타난다.
10주일간의 공장 가동 기간 중에 수행되는 또 하나의 실험에서, 많은 베어링을 상기 제형화된 합성 에스테르 ISO 460 분무용 윤활제로 매끄럽게 하고 동일한 수의 베어링을 시판용 ISO 460 석유계 분무용 윤활제를 사용하여 매끄럽게 한다. 두 그룹의 베어링을 모우 상응하는 조작 조건하에서 평가한다. 시험 기간 중에 에스테르계 분무 오일로 매끄럽게 된 하나의 베어링만을 "연소(burned-up)"시킨다. 즉, 베어링이 회전 부분상에 동결된다. 한편, 석유계 분무 오일로 매끄럽게 된 베어링중 12개를 연소시킨다. 규칙적인 유지관리 간격으로 규칙적인 심사를 할 경우 후자 그룹중 8개의 추가 베어링이 손상되며 마모된 것으로 나타났다. 합성 에스테르 윤활제로 매끄럽게 된 베어링중 어떤 것도 규칙적인 유지관리 검사에서 손상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Ⅱ]
저분자량 및 고분자량의 이소부틸렌 중합체의 혼합물을 비교하며 이용할 필요를 입증하기 위하여, ISO 460 등급의 분무용 오일 조성물 3가지를 실시예 Ⅰ의 방법에 따라 제조한다. 조성은 다음과 같다 :
Figure kpo00009
분무특성은 상기 ISO 460 제형 각각에 대하여 150℃에서 측정하면 다음과 같다 :
Figure kpo00010
제형 ⅡB및 ⅡC는 허용될 수 없게 높은 수준의 포유 연무를 생성시킨다는 것이 상기 데이터에서 명백하다. 표유 연무는 일반적으로 15% 이하인 경우에는 허용되리라 생각된다. 어떤 경우에도 20% 이상의 표유연무는 허용될 수 없다. 또한, 생성물 ⅡB에 의해 수득되는 분무량은 허용될 수 없다. 또한 생성물 ⅡA(여기에서 에스테르는 고분자량 및 저분자량의 폴리이소부틸렌과 혼합된 것임)만이 회전 베어링의 윤활용으로 적절한 허용되는 분무량 및 허용되는 분무 특성을 제공한다.
[실시예 Ⅲ]
폴리이소부틸렌 분자량의 임계치를 입증하기 위하여 다음 비교 실시예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 디-2-에틸헥실 다이머레이트 및 기술된 분자량 범위의 이소부틸렌 중합체를 기본으로 하는 분무용 오일 제제를 제조하고 특정한 분자량 범위 외의 폴리이소부틸렌을 사용하여 제조된 제제와 비교한다. 혼합된 폴리이소부틸렌, 즉 중합체 혼합물의 평균 분자량은 각 제제에 있어서 동일하다(
Figure kpo00011
8550). 각각의 오일은 또한 동일한 점도, 즉 ISO 등급 460으로 제형화시킨다. 분무용 오일 제제는 다음과 같다 :
Figure kpo00012
각 제제의 분무특성은 175。F에서 측정하여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
Figure kpo00013
특정한 분자량 범위 밖의 이소부틸렌 중합체를 사용하여 제형화된 생성물 ⅢB및 ⅢC는 생성물 ⅢA보다 현저히 낮은 분무량을 나타냄을 상기 데이터로부터 알 수 있다. 생성물 ⅢB및 ⅢC는 저분무량 및 윤활용으로 전달되지 않는, 즉 라인내에서 응축되거나 표유 연무로서 영구희 소실되는 오일의 높은 비율로 인하여, 분무용 오일로서는 전반적으로 불만족스럽다. 본 발명에 따라 제형화된 생성물 ⅢA만이 만족스러운 분무량 및 허용되는 수준의 특성을 나타낸다.
[실시예 Ⅳ]
본 발명의 다용성 및 저점도 합성 분무용 오일을 제조할 능력을 입증하기 위하여 윤활제 조성물은 다음 조성에 따라 제형화한다 :
:
Figure kpo00014
분무용 오일 조성물은 특성이 다음과 같다 :
Figure kpo00015
윤활제는 베어링 윤활용으로 적절한 효과적인 분무용 오일이다. 상응하는 특성을 갖는 유효한 분무 오일은 시판용 첨가제 패키지 대신에 2부의 황화 이소옥틸탈레이트, 1부의 페닐 α-나프틸아민, 1부의 트리크레실포스페이트, 0.05부의 벤조트리아졸, 0.05부의 에틸렌 글리콜의 도데세닐 석센네이트 반에스테르, 0.005부의 DOW DC-200 폴리디메틸실옥산, 및 0.1부의 프로필렌 글리콜을 대체하여 제제를 제조할 때 수득 된다.
[실시예 Ⅴ]
ISO 320 분무용 오일 조성물은 다음 성분을 혼합시킴으로써 수득한다 :
Figure kpo00016
생성되는 분무용 오일 조성물의 물리적 특성 및 분무 특성은 다음과 같다 :
Figure kpo00017
[실시예 Ⅵ]
기타 합성 에스테르를 사용하는 능력을 입증하기 위하여, ISO 460 분무용 윤활제는 이소트리데실 및 이소데실 트리멜리테이트의 혼합물을 사용하여 제조한다. 분무용 오일 조성물은 다음과 같이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형화한다(40℃ 점도 250 센티스토우크; 산가 0.02; 하이드록실가 1.8; 유동점 -20。F).
Figure kpo00018
분무 특성(175。F)은 다음과 같다 :
Figure kpo00019
생성물은 우수한 윤활 특성을 나타내며 효과적인 베어링용 윤활제이다.
[실시예 Ⅶ]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를 기본으로 하는 분무용 조성물(40℃점도 90센티스토우크; 산가 5; 하이드록실가 10; 유동점 -15。F)은 다음과 같이 체형화한다. ;
Figure kpo00020
상기 제조된 윤활제 조성물은 459센티스토우크의 40℃ 점도을 나타내며 175。F에서의 분무 특성은 다음과 같다 :
Figure kpo00021
상응하는 분무 특성 및 윤활 특성은 시판용 첨가제를 4부의 안티몬 디알킬디티오카바네이트, 1부의 트리크레실 포스페이트 및 1부의 바륨 디노닐나프탈렌 설포네이트로 대체시킬 경우 수득된다.
[실시예 Ⅷ]
ISO 460 분무용 오일은 56.5부의 트리메틸올 프로판 트리올리에이트(40℃ 점도 228 센티스토우크; 산가 4; 하이드록실가 4; 유동점 -50。F)를 33.0부의 폴리이소부틸렌(
Figure kpo00022
w 7573) 및 0.40부의 폴리이소부틸렌(
Figure kpo00023
w 89,793)과 함께 혼합시킴으로써 제조한다. 3.5부의 시판용 "다용성" 첨가제 패키지가 또한 제제내에 함유된다. 생성되는 혼합물은 454센티스토우크의 40℃ 점도를 가지며 우수한 윤활 특성 및 분무 특성을 나타낸다. 분무 특성(175。F)은 다음과 같다.
Figure kpo00024
생성물은 가열 스트립 분쇄기내의 회전 베어링 윤활용으로 효과적이다. 장기간 조작후 왁스가 형성될 징후는 전혀 없으며 회전 부분 및 베어링 표면을 눈으로 관찰하면 윤활제의 우수한 분산성이 나타난다.
[실시예 Ⅸ]
일련의 ISO 460 분무용 오일 조성물은 다양한 농도의 고분자량 및 저분자량의 폴리이소부틸렌을 사용하여 제조한다. 조성은 다음과 같다 :
Figure kpo00025
분무 특성은 175。F(ⅨA제외) 및 200。F에서 측정하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
Figure kpo00026
Figure kpo00027
Figure kpo00028
[실시예 Ⅹ]
분무용 윤활제는 평균 분자량이 77,284인 고분자량의 폴리이소부틸렌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일반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한다. 조성물을 얻기 위하여, 63.1부의 디-2-에틸헥실 다이머레이트를 27.5부의 폴리이소부틸렌(
Figure kpo00029
7573) 및 0.39부의 고분자량의 이소부틸렌 중합체와 혼합한다. 시중 구입가능한 "다용성" 첨가제 패키지가 또한 혼합물중에 3.5부의 농도로 함유된다. 생성되는 분무용 윤활제는 점도(40℃)가 464센티스토우크이다. 175。F에서 측정된 분무 특성은 다음과 같다 :
오일 분무량(g/시간) 32.0
재분류 오일, % 72.7
라인 응축물, % 14.8
표유 연무, % 12.4
생성물은 실시예 1의 생성물에 상응하는 분무 특성을 가지며 가열 회전 분쇄기 및 기타 베어링의 분무 윤활용으로 효과적이다.

Claims (9)

  1. (1) (a) 2 내지 8개의 하이드록실 그룹 및 3 내지 12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지방족 폴리올과 5 내지 20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지방족 모노카복실산 또는 지방족 모노카복실산들의 혼합물로부터 유도된 폴리올 에스테르, (b) 트리멜리트산 또는 트리멜리트산 무수물과 5 내지 16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지방족 알코올로부터 유도된 트리멜리테이트 에스테르 및 (c) 75% 이상의 C36이량체산을 함유하는 고분자 지방산 및 C2-13일 작용성 알코올로부터 유도된 고분자 지방산 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40℃에서 점도가 15 내지 300센티스토우크인 합성 에스테르 45 내지 95중량부, (2) 100%의 중합체를 기준으로 하여, 평균 분자량이 4,000 내지 10,000인 폴리이소부틸렌 8 내지 40중량부 및 (3) 100%의 중합체를 기준으로하며, 평균 분자량이 25,000 내지 300,000인 폴리이소부틸렌 0.1 내지 1중량부로 이루어지며, 40℃에서의 점도가 125 내지 750센티스토우크인 개선된 분무용 윤활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폴리올 에스테르 (a)가 5 내지 8개의 탄소원자 및 2 내지 4개의 하이드록실 그룹을 포함하며 산가가 15 미만이고 하이드록실가가 100미만인 지방족 폴리올로부터 유도되며, 트리멜리테이트 에스테르 (b)가 산가가 15 미만이고 하이드록실가가 10 미만이며, 고분자 지방산 에스테르 (c)가 산가가 100 미만이고 하이드록실가가 10 미만인 윤활제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폴리이소부틸렌 (2)는 평균 분자량이 4,500 내지 8,500이며, 폴리이소부틸렌 (3)은 평균 분자량이 50,000 내지 200,000인 윤활제 조성물.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점도가 175 내지 550센티스토우크이며, 55 내지 85부의 합성 에스테르(1), 12 내지 30부의 포리이소부틸렌, (2) 및 0.25 내지 0.85부의 폴리이소부틸렌 (3)을 함유하는 윤활제 조성물.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폴리올 에스테르 (a)가 네오펜틸 글리콜, 2,2-디메틸-3-하이드록시프로필-2,2-디메틸-3-하이드록시프로피오네이드, 2,2,4-트리메틸-1,5-펜탄디올, 트리메틸올에탄, 트리메틸올프로판, 글리세롤, 펜타에리트리톨, 디펜타에리트리톨 및 트리펜타에리트리톨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폴리올과 C12-18지방족 모노카복실산 또는 산 혼합물로부터 유도되며; 트리멜리테이트 에스테르(b)가 트리멜리트산 또는 트리멜리트산 무수물과 C10-13지방족 알코올 또는 알코올 혼합물로부터 유도되고; 고분자 지방산 에스테르 (c)가 85% 이상의 C36이량체산을 함유하는 고분자 지방산과 C8-10지방족 모노알코올 또는 모노알코올의 혼합물로부터 유도되는 윤활제 조성물.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폴리올 에스테르 (a)가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올리에이트 또는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이며; 트리멜리테이트 에스테르 (b)가 이소데실 트리멜리테이트, 이소트리데실 트리멜리테이트 또는 이소데실/이소트리데실 트리멜리테이트이고; 고분자 지방산 에스테르(c)가 디이소데실/다이머레이트 또는 디-2-에틸헥실 다이머레이트인 윤활제 조성물.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8중량% 이하의 첨가제를 추가로 함유하는 윤활제 조성물.
  8. 제1항의 조성물의 연무를 약 10 내지 100psig 의 압력하에 공기속에서 생성시키고, 압출 공기를 이용하여, 매끄럽게 할 금속 표면으로 운반하고, 보다 큰 소적으로 합체시키고, 이어서 금속 표면에 침적시켜 금속 표면 위에 윤활용 필름을 형성시키는 윤활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공기 온도가 125°내지 200°F이며 기압이 20 내지 80psig인 방법.
KR1019860004938A 1985-06-21 1986-06-20 분무용 윤활제 조성물 KR9400055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47462 1985-06-21
US06/747,462 US4601840A (en) 1985-06-21 1985-06-21 Mist lubrication process
US06/747,463 US4589990A (en) 1985-06-21 1985-06-21 Mist lubricant compositions
US747,462 1985-06-21
US747,463 1985-06-21
US747643 2000-12-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0414A KR870000414A (ko) 1987-02-18
KR940005550B1 true KR940005550B1 (ko) 1994-06-20

Family

ID=27114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4938A KR940005550B1 (ko) 1985-06-21 1986-06-20 분무용 윤활제 조성물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0206280B1 (ko)
JP (1) JPH0768536B2 (ko)
KR (1) KR940005550B1 (ko)
AU (1) AU5874786A (ko)
BR (1) BR8602881A (ko)
DE (1) DE3673701D1 (ko)
ES (1) ES8802247A1 (ko)
MX (1) MX16597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49916B2 (ja) 1998-12-25 2008-02-20 出光興産株式会社 高温用潤滑油組成物
JP4937545B2 (ja) * 2005-08-08 2012-05-23 協同油脂株式会社 金属加工用油剤組成物、金属加工方法及び金属加工品
US8580719B2 (en) * 2006-03-31 2013-11-12 Idemitsu Kosan Co., Ltd. Lubricating oil composition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4933165B2 (ja) * 2006-06-23 2012-05-16 住友軽金属工業株式会社 アルミニウムろう付け用フラックス入りワイヤー用の伸線加工潤滑油、及びそれを用いたアルミニウムろう付け用フラックス入りワイヤーの伸線加工方法
DE102014018719A1 (de) * 2014-12-17 2016-06-23 Klüber Lubrication München Se & Co. Kg Hochtemperaturschmierstoff für die Lebensmittelindustrie
DE102014018718A1 (de) * 2014-12-17 2016-06-23 Klüber Lubrication München Se & Co. Kg Hochtemperaturschmierstoffe
KR102016430B1 (ko) * 2019-02-28 2019-08-30 그린루브 주식회사 그리스 첨가제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38049A (en) * 1966-02-01 1974-09-24 G Souillard Lubricating compositions
GB1099450A (en) * 1966-06-30 1968-01-17 Exxon Research Engineering Co A process of lubrication
US3855135A (en) * 1971-05-05 1974-12-17 Sun Oil Co Pennsylvania Mist lubricant
FR2187892A2 (en) * 1972-06-02 1974-01-18 Inst Francais Du Petrole Lubrication of 2-stroke engines - with a base lubricant contg polyester and anti-siezing components
FR2187894A1 (en) * 1972-06-12 1974-01-18 Inst Francais Du Petrole Lubricants for 2-stroke and rotary engines - contg high-viscosity simple, complex or ether esters as base lubricant
US3805918A (en) * 1972-07-19 1974-04-23 Chevron Res Mist oil lubrication process
JPS52119607A (en) * 1976-04-01 1977-10-07 Mobil Oil Lubricating agent for metal working containing mist inhibitor
US4260502A (en) * 1979-06-07 1981-04-07 Nalco Chemical Company Synthetic drawing and ironing lubricant
US4589990A (en) * 1985-06-21 1986-05-20 National Distillers And Chemical Corporation Mist lubricant composi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0414A (ko) 1987-02-18
ES8802247A1 (es) 1988-05-01
DE3673701D1 (de) 1990-10-04
JPH0768536B2 (ja) 1995-07-26
EP0206280A3 (en) 1987-10-14
EP0206280B1 (en) 1990-08-29
BR8602881A (pt) 1987-02-17
MX165970B (es) 1992-12-15
EP0206280A2 (en) 1986-12-30
ES556225A0 (es) 1988-05-01
JPS61296091A (ja) 1986-12-26
AU5874786A (en) 1986-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89990A (en) Mist lubricant compositions
US4601840A (en) Mist lubrication process
US5616544A (en) Water soluble metal working fluids
US4292187A (en) Lubricating oils for the working of metals
US8413475B2 (en) Rolling fluids
US6087308A (en) Non-sludging, high temperature resistant food compatible lubricant for food processing machinery
US3855135A (en) Mist lubricant
CN102803450A (zh) 润滑油组合物
US6090761A (en) Non-sludging, high temperature resistant food compatible lubricant for food processing machinery
KR940005550B1 (ko) 분무용 윤활제 조성물
EP0719311B1 (en) Base fluids
CN101331216B (zh) 用于高温合成润滑剂的添加剂包
JP3422544B2 (ja) 潤滑油組成物
US20030104956A1 (en) Synthetic lubricant base stock formed from high content branched chain acid mixtures
US5236606A (en) Process for obtaining and manufacturing lubricant greases from fumed silica and precipitated silicic acid
EP0518567B1 (en) Synthetic lubricant base stock formed from high content branched chain acid mixtures
EP0612831B1 (en) Flame retardant hydraulic oil
US3634245A (en) Water soluble lubricant
US9707605B2 (en) Small particle size oil in water lubricant fluid
US5756430A (en) Mist oil lubricant
US4956109A (en) Lubricating oil
RO116413B1 (ro) Metoda de lubrifiere a sistemelor de contactare metal-metal, in operatiile de prelucrare a metalelor
US6103675A (en) Phosphoric esters as extreme pressure additives
JPH0221437B2 (ko)
CA2074308C (en) Railroad grea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61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