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5521B1 - 내선 및 국선 공유회로 - Google Patents

내선 및 국선 공유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5521B1
KR940005521B1 KR1019910019745A KR910019745A KR940005521B1 KR 940005521 B1 KR940005521 B1 KR 940005521B1 KR 1019910019745 A KR1019910019745 A KR 1019910019745A KR 910019745 A KR910019745 A KR 910019745A KR 940005521 B1 KR940005521 B1 KR 9400055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nsion
trunk line
unit
dtmf
key 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9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1536A (ko
Inventor
이재철
Original Assignee
금성통신 주식회사
백중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성통신 주식회사, 백중영 filed Critical 금성통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100197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5521B1/ko
Publication of KR9300115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15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55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55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ub-Exchange Stations And Push- Button Telepho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내선 및 국선 공유회로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내선 및 국선 공유회로.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내선 및 국선 공유회로의 적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내선 및 국선 공유회로의 동작 순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중앙처리장치 2, 3 : 데이터 통신회로
4 : DTMF 검출부 6, 7 : 절환기
8, 9 : 비반전 증폭기 10 : 전원회로
11 : DTMF 수신부 12 : 내선톤 송신부
13 : 증폭부 14 : 전원공급부
15, 16 : 연결부
본 발명은 키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각 키폰 주장치에 수용된 내선 및 국선을 다른 키폰 주장치의 가입자가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키폰 시스템의 확장성 및 사용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내선 및 국선 공유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키폰 주장치에는 복수의 내선 및 국선이 수용된다. 종래 키폰 시스템의 경우 복수의 키폰 주장치를 설비하고 있을 때, 임의의 키폰 주장치의 가입자가 다른 키폰 주장치에 수용된 내선 및 국선을 사용할 수 없었기 때문에 키폰 시스템의 확장성 및 사용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키폰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도록 각 키폰 주장치에 수용된 내선 및 국선을 다른 키폰 주장치의 가입자가 사용할 수 있게 할 수 있는 내선 및 국선 공유회로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내선 및 국선 공유회로를 제공함으로써 키폰 시스템의 확장성 및 사용 효율성을 극대화시키는데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내선 및 국선 공유회로의 구성도이다.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같이, 내선 및 국선 공유회로(20)는 중앙처리장치(1), 데이터 통신회로(2,3), DTMF 수신부(11), 내선톤 송신부(12), 증폭부(13), 전원 공급부 (14) 및 연결부(15,16)로 구성된다. 중앙처리장치(1)는 데이터 통신회로(2),(3)로부터 입력된 호출신호를 감지했을 때 내선톤 송신부(12)의 전환기(7)를 제어하여 내선톤 발생기(5)가 출력한 내선톤을 호출신호를 보낸 가입자에게 출력하고, DTMF 수신부 (11)의 절환기(6)를 제어하여 DTMF 검출기(4)를 통해 호출자가 보낸 내선번호 혹은 국선선택 다이알을 감지하여 상대편 키폰 주장치 측으로 출력한다. 연결부(15)는 트랜스(T1,T3)로 이루어지고, 연결부(16)는 트랜스(T2,T4)로 이루어진다. 연결부(15),(16)에는 키폰 주장치가 연결되는데, 도면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연결부(15)에는 키폰 주장치(A)가 연결되고, 연결부(16)에는 키폰 주장치(B)가 연결된 것으로 나타냈다.
데이터 통신회로(2)는 트랜스(T1)로부터 입력된 호출신호를 중앙처리장치(1)측으로 출력하거나 중앙처리장치(1)로부터의 신호를 트랜스(T1)측으로 출력하고, 데이터 통신회로(3)는 트랜스(T2)로부터 입력된 호출신호를 중앙처리장치(1)측으로 출력하거나 중앙처리장치(1)로부터의 신호를 트랜스(T2)측으로 출력한다. DTMF 수신부(11)는 절환부(6)로부터 콘덴서(C5)와 저항(R1)을 통해 입력된 DTMF 신호를 검출하여 중앙처리장치(1)측으로 출력하는 DTMF 검출기(4)와, 중앙처리장치(1)의 제어에 의해 절환되어 증폭부(13)로부터의 DTMF 신호를 DTMF 검출기(4)측으로 출력하는 절환기(6)로 이루어진다. 내선톤 송신부(12)는 톤을 발생하기 위한 내선톤 발생기(5)와, 내선톤 발생기(5)로부터 콘덴서(C6)와 저항(R8)을 통해 입력된 톤을 중앙처리장치(1)의 제어에 따라 절환하여 증폭부(13)측으로 출력하는 절환기(7)로 이루어진다. 증폭부(13)는 비반전 증폭기(8,9), 저항(R2∼R7) 및 콘덴서(C1∼C4)로 이루어지고, 트랜스(T3),(T4)로부터 입력된 음성신호 및 DTMF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고, 내선톤 송신부(12)로부터의 톤을 증폭하여 트랜스(T3),(T4)측으로 출력한다. 전원 공급부(14)는 다이오드(D1,D2)와 전원회로(10)로 이루어지고 트랜스(T1,T2)에 접속되어 내선 및 국선 공유회로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내선 및 국선 공유회로의 적용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같이, 내선 및 국선 공유회로(20)는 키폰 주장치 A(21)와 키폰 주장치 B(22)의 각 내선에 연결되고, 내선 및 국선 공유회로(20)의 설치대수는 사용자가 사용하기 편리한 만큼 연결할 수 있다. 도면에서 키폰 주장치를 2대만 나타냈으나 2대 이상의 키폰 주장치에도 본 발명의 내선 및 국선 공유회로(20)를 적용할 수 있다.
제3도는 제1도는 내선 및 국선 공유회로(20)의 동작 순서도로서, 키폰 주장치 A(21)의 가입자가 키폰 주장치 B(22)의 내선을 호출하여 통화하거나 키폰 주장치 B(22)의 국선을 사용할때의 동작 순서도이다. 도면에서, "→"로 표시한 것은 음성라인을 통해 데이터를 보내거나 톤을 보내는 것을 나타내고, ""로 표시한 것은 데이터 라인을 통해 데이터를 보내는 것을 나타낸다. 키폰 주장치 A(21)의 가입자가 키폰 주장치 B의 내선이나 국선을 호출하여 통화하고자 할 경우, 키폰 주장치 A(21)의 가입자가 전화를 오프 후크(OFF-HOOK)하고 내선 및 국선 공유회로(20)를 호출하기 위해 내선키를 누르거나 내선번호를 다이얼하면, 내선 및 국선 공유회로(20)의 중앙처리장치(1)는 트랜스(T1)와 데이터 통신회로(2)를 통해 내선키 또는 내선번호를 인식한다. 이에따라, 중앙처리장치(1)가 내선톤 송신부(12)의 절환기(7)를 직접 c와 a가 접속되도록 제어하면, 내선톤 발생기(5)로부터의 톤이 비반전 증폭기(8)와 트랜스(T3)를 통해 내선 및 국선 공유회로(20)를 호출한 키폰 주장치 A(21)의 가입자에게 보내 지크로, 가입자는 내선 및 국선 공유회로(20)가 호출되었음을 인지할 수 있다. 이때 중앙처리장치(1)는 키폰 주장치 B(22)측으로 오프 후크 신호를 보내서 사용중임을 알리고, DTMF 수신부(11)의 절환기(6)를 접점 c와 a가 접속되도록 제어한다. 내선 및 국선 공유회로(20)로부터의 톤을 인지한 키폰 주장치 A(21)의 가입자가 호출하고자 하는 키폰 주장치 B(22)의 내선번호 또는 국선선택 다이얼링을 행하면, 내선번호 또는 국선선택 다이얼링에 따른 DTMF 신호가 트랜스(T3)와 비반전 증폭기(9)를 통해 DTMF 수신부(11)의 절환기(6)측으로 입력된다.
이때, 절환기(6)는 접점 c와 b가 접속되어 있으므로, DTMF 신호는 콘덴서 (C5)와 저항(R1)을 통해 DTMF 검출기(4)측에 입력된다. DTMF 검출기(4)는 절환기(6)측으로부터의 DTMF 신호중에서 해당 내선번호 또는 국선선택에 관한 데이터를 검출하여 중앙처리장치(1)측으로 출력한다. 중앙처리장치(1)는 DTMF 검출기(4)로부터의 데이터를 데이터 통신회로(3)와 트랜스(T2)를 통해 키폰 주장치 B(22)측으로 보낸다. 그러면, 키폰 주장치 B(22)는 내선 및 국선 공유회로(20)로부터의 내선번호 또는 국선선택 데이터에 따라 해당 내선 또는 국선을 호출한다. 해당 내선 및 국선측의 가입자가 응답을 하면 통화로가 구성되어 키폰 주장치 A(21)의 가입자는 키폰 주장치 B(22)의 내선 및 국선 가입자와 통화를 할 수 있다. 통화를 종료할 경우, 키폰 주장치 B(22)의 내선 및 국선 가입자가 온 후크 (ON-HOOK)신호를 보내면 온 후크 신호가 트랜스(T2)와 데이터 통신회로(3)를 통해 중앙처리장치(1)는 온 후크를 인식하고 온 후크 신호를데이터 통신회로(2)와 트랜스(T1)를 통해 키폰 주장치 B(22)의 가입자에게 보내고 초기상태로 되돌아간다.
키폰 주장치 B(22)의 가입자가 키폰 주장치 A(21)의 내선 또는 국선을 호출하여 통화하고자 할 경우, 키폰 주장치 B(22)의 가입자가 전화기를 오프 후크하고, 내선 및 국선 공유회로(20)를 호출하기 위해 내선키를 누르거나 내선번호를 다이얼하면, 내선 및 구선 공유회로(20)의 중앙처리장치(1)는 트랜스(T2)와 데이타 통신회로(3)를 통해 내선키 또는 내선번호를 인식한다. 이에 따라, 중앙처리장치(1)가 내선톤 송신부(12)의 절환기(7)를 접점 c와 b가 접속되도록 제어하면, 내선톤 발생기(5)로부터의 톤이 비반전 증폭기(9)와 트랜스(T4)를 통해 내선 및 국선 공유회로(20)를 호출한 키폰 주장치 B(22)의 가입자에게 보내지므로, 가입자는 내선 및 국선 공유회로(20)가 호출되었음을 인지할 수 있다. 이때, 중앙처리장치(1)는 키폰 주장치 B(22)의 가입자가 호출하고자 하는 키폰 주장치 A(21)의 내선번호 또는 국선선택 다이얼링을 행하면, 내선번호 또는 국선선택 다이얼링에 따른 DTMF 신호가 트랜스(T4)와 비반전 증폭기(8)를 통해 DTMF 수신부(11)이 절환기(6)측으로 입력된다.
이때, 절환기(6)는 접점 c와 b가 접속되어 있으므로, DTMF 신호는 콘덴서 (C5)와 저항(R1)을 통해 DTMF 검출기(4)측에 입력된다. DTMF 검출기(4)는 절환기(6)측으로부터의 DTMF 신호중에서 해당 내선번호 또는 국선선택에 관한 데이터를 검출하여 중앙처리장치(1)측으로 출력한다. 중앙처리장치(1)는 DTMF 검출기(4)로부터의 데이터를 데이터 통신회로(2)와 트랜스(T1)를 통해 키폰 주장치 A(21)측으로 보낸다. 그러면, 키폰 주장치 A(21)는 내선 및 국선 공유회로(20)로부터의 내선번호 또는 국선선택 데이터에 따라 해당 내선 또는 국선을 호출한다. 해당 내선 및 국선측의 가입자가 응답을 하면 통화로가 구성되어 키폰 주장치 B(22)의 가입자는 키폰 주장치 A(21)의 내선 및 국선 가입자와 통화를 할 수 있다. 통화를 종료할 경우, 키폰 주장치 A(21)의 내선 및 국선 가입자가 온 후크 신호를 보내면, 온 후크 신호가 트랜스(T1)와 데이터 통신회로(2)를 통해 중앙처리장치(1)는 온 후크를 인식하고 온 후크 신호를데이터 통신회로(3)와 트랜스(T2)를 통해 키폰 주장치 B(22)의 가입자에게 보내고 초기상태로 되돌아간다.
제3도에는 2개의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1개는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호출을 원하는 내선번호 또는 국선선택 다이얼 데이터를 음성라인과 DTMF 검출기(4)를 통해 수신하여 다른 키폰 주장치 측으로 보낼때의 순서도이고, 다른 1개는 호출을 원하는 내선번호 또는 국선선택 다이얼 데이터를 DTMF 검출기(4)를 거치지 않고 데이터 라인과 데이터 통신회로(2),(3)를 통하여 수신하여 다른 키폰 주장치 측으로 보낼때의 순서도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한 내선 및 국선 공유회로(20)는 각 키폰 주장치에 수용된 내선 및 국선을 다른 키폰 주장치의 가입자가 사용할 수 있게 하므로, 키폰 시스템의 확장성 및 사용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내선 및 국선 공유회로를 키폰 시스템에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다.

Claims (1)

  1. 키폰 시스템에 있어서, 호출자로부터 연결부(15,16)와 데이터 통신회로(2,3)를 통해 호출 신호가 입력되었을 때 중앙처리장치(1)는 내선톤 송신부(12)를 제어하여 톤을 증폭부(13)와 상기 연결부(15,16)를 통해 호출자측으로 보냄과 동시에 DTMF 수신부(11)를 제어하고, DTMF 수신부(11)는 상기 연결부(15,16)와 증폭부(13)를 통해 DTMF 신호가 입력되었을 때 DTMF 신호중에서 피호출 키폰 주장치의 내선번호 및 국선에 관한 데이터를 검출하여 상기 중앙처리장치(1)측으로 출력하고, 상기 중앙처리장치(1)는 상기 DTMF 수신부(11)로부터의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통신회로(2,3)와 연결부(15,16)를 통해 상기 키폰 주장치 측으로 출력함으로써 통화로를 형성하여 통화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선 및 국선 공유회로.
KR1019910019745A 1991-11-07 1991-11-07 내선 및 국선 공유회로 KR9400055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9745A KR940005521B1 (ko) 1991-11-07 1991-11-07 내선 및 국선 공유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9745A KR940005521B1 (ko) 1991-11-07 1991-11-07 내선 및 국선 공유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1536A KR930011536A (ko) 1993-06-24
KR940005521B1 true KR940005521B1 (ko) 1994-06-20

Family

ID=19322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9745A KR940005521B1 (ko) 1991-11-07 1991-11-07 내선 및 국선 공유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552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1536A (ko) 1993-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04834A (en) Handsfree loudspeaking key telephone set and a switching circuit for use in a microphone and loudspeaker equipped key telephone
GB2287610A (en) Telecommunication systems
KR940005521B1 (ko) 내선 및 국선 공유회로
GB2251359A (en) Telephone system with subscriber paging
KR0124191Y1 (ko) 톤 임피던스 정합회로
KR940001695B1 (ko) 다기능 전화기의 통화로 제어장치
JP2814514B2 (ja) リングバックトーン送出回路
JP2917028B2 (ja) 構内自動交換機
JPS61212194A (ja) ボタン電話装置
KR950007979B1 (ko) 전화기의 장거리전화 제어 시스템
KR940006095Y1 (ko) Ohva회로
JP3295459B2 (ja) 電話機
KR100464362B1 (ko) 키폰시스템에서 호 픽업 방법
KR890003189B1 (ko) 간이 교환장치의 호출신호와 피호출신호의 공급방법
JP2928614B2 (ja) ボタン電話装置
KR930002581B1 (ko) 무선 전화기의 인터컴 통화회로
KR0181077B1 (ko) 전화기의 신호 절환 장치
JPS63252090A (ja) 電話装置
JPH0227880B2 (ja) Botandenwasochi
JPH03135148A (ja) 同時通信発信接続制御方式
KR20030038093A (ko) 키폰시스템의 다채널 발신자 정보 표시 전송장치 및 그 방법
JPS62298298A (ja) 電話装置
JPH0297191A (ja) 通話転送装置
JPH0479555A (ja) 秘密通話機能を有する電話装置
GB2204761A (en) Telephone system and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12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