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5464Y1 - 피혁 폐기물의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피혁 폐기물의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5464Y1
KR940005464Y1 KR2019910011257U KR910011257U KR940005464Y1 KR 940005464 Y1 KR940005464 Y1 KR 940005464Y1 KR 2019910011257 U KR2019910011257 U KR 2019910011257U KR 910011257 U KR910011257 U KR 910011257U KR 940005464 Y1 KR940005464 Y1 KR 9400054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bucket
leather
was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112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2703U (ko
Inventor
박종식
Original Assignee
박종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식 filed Critical 박종식
Priority to KR20199100112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5464Y1/ko
Publication of KR93000270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270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54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546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B09B3/45Steam treatment, e.g. supercritical water gasification or oxid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피혁 폐기물의 처리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장치 개략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증기보일러 2, 2', 2" : 용융 탱크
3, 3', 3" : 뚜껑 4 : 보온층
5 : 증기관 5' : 가열관
5" : 분사노즐 6 : 밸브
7 : 배출관 7' : 단부
8 : 폐기물 9 : 물통
9' : 배수구 9" : 가리개판
9"' : 물 10 : 급수관
11 : 급수탱크 12 : 투시공
13 : 정화조 13' : 개구부
13" : 배출구 14 : 망판
15 : 배출구 16 : 유지
[산업상 이용분야]
본 고안은 피혁 폐기물의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피혁가공 공장이나 도살장에서 발생되는 산업쓰레기의 일종인 피혁 폐기물을 처리하는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종래에는 피혁 폐기물을 소각 또는 매립방식으로 처리하고 있기 때문에 이는 매우 심각한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다. 즉 피혁은 이의 주성분이 게라찐으로 구성되어 있어 이를 매립하면 수질을 오염 시키고 이를 소각처리하면 악취가 발생하여 환경을 오염시키는 폐단이 있어 매우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대두 되어 있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가축 도살장에서 발생하는 각종 가축의 피질은 산폐율이 높기 때문에 이를 제때에 처리하지 않으면 악취가 발생하여 환경을 오염시키므로 이를 소각 또는 매립처리 하는 경우도 있으나 이또한 공기와 수질을 오염시키기 때문에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고안의 요지]
본 고안은 이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이의 고안 요지는 피혁 폐기물을 소각 또는 매립하는 종래의 방법에 의존하지 않고 이를 폐차원 재활용의 측면에서 피혁속에 함유되고 있는 유지(油脂)를 최대한 추출하여 공업원료로 이용할 수 있게 함에 있어서 피혁 폐기물을 용융탱크내에 장입하여 증기열로서 용해시켜 용해된 액을 몰통내로 유입시킴으로서 이의 비중차에 의해 용액속에 함유된 유지성분을 물위로 부상시켜 부상된 유지성분만을 수거할 수 있게 한데 특징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해결수단]
이를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증기보일러(1)와 연결된 증기관(5)은 물통(9)위에 설치된 3개의 용융탱크(2)(2')(2")와 연결되고 용융탱크(2)(2')(2")의 상부에는 뚜껑(3)(3')(3")이 복감되고 주벽에는 보온층(4) 및 투시공(12)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증기관(5)과 연결된 다수의 노즐(5")을 가진 가열관(5')이 곡선상으로 배치되어지며 용융탱크(2)(2')(2")의 저면에는 유출관(7)이 관착되어 밸브(6)로서 개폐되게하고 이의 부(7')는 물통(9)내에 관출되어 몰(9'")속에 잠겨지게 하였으며 물통(9)의 일측에는 급수탱크(11)와 연결된 급수관(10)이 연결되고 물통(9)의 타측에는 가리개판(9")을 개재시킨 배수구(9')가 돌출되어지고 그 하방에는 정화조(13)의 개구부(13')에 설치된 망판(14)과 위치되게한 구조이다.
이상과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피혁 폐기물의 처리장치인바 이를 실시하는 먼저 3개의 용융탱크(2)(2')(2")내에 피혁폐기물(8)을 장입한 후 증기보일러(1)에선 생성된 고열증기를 증기관(5)과 연결된 가열관(5')으로 보내진 송급된 열증기는 분사노즐(5")을 통해 분사되면서 폐기물(8)을 가열 용융시킨다. 이때 폐기물(8)의 용융상태를 투시공(12)을 통해 확인한후 용융되었을때는 배출관(7)의 밸브(6)를 열어 배출시키면 배출된 용융액은 물통(9)내로 유출된다. 이때 배출관(7)의 단부(7')는 물속에 잠겨져 있는 상태이므로 배출된 용액은 물통(9)내의 물(9'")속에 분산되면서 배출 용액속에 함유된 물은 물속에 확산되고 물보다 비중이 가벼운 유지(16)는 물위로 부상하게 된다.
한편 급수탱크(11)에서 공급되는 물은 급수관(10)을 통해 물통(9)내로 유입되고 유입된 물(9'")은 물통(9)의 타측에 형성된 배수구(9')를 통해 정화조(13)내로 유입되어지고 이와같이 유입되면 정화조(13)의 개구부(13')에 설치된 망판(14)에 의해 물이 여과되는데 이때 물속에 함유된 찌꺼기등은 망판(14)에 의해 여과되고 순수한 물(9'")만 정화조(13)내로 유입되어 정화조(13)내에 장치된 정화 장치에 의해 종말처리되는 것이며, 한편, 물통(9)내에 침전된 고형물등의 찌꺼기는 배출구(15)를 통해 수거하면 된다. 이상은 1차공정을 설명한 것으로 이와같은 작업 공정을 연속되풀이하면 많은량을 처리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효과]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사회적 심각한 공해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피혁 폐기물 및 도살장에서 생성된 피질폐기물 매립 또는 소각 처리하는 종래의 방법과는 달리 이를 증기열로 용융처리하여 용융된 액체를 물통(9)으로 보내어 이의 비중차에 의해 유지(16)와 물(9'")로 분리시키고 분리된 물(9'")은 정화조(13)로 보내어 종말처리하고 유지(16)는 별도 수거하여 공업원료로 이용할수 있게 하였기 때문에 공해방지는 물론 폐자원 재활용면에 있어 크게 기여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급수탱크(11)와 연결된 물통(9)의 상부에 다수의 용융 탱크(2)(2')(2")를 입설하여 증기보일러(1)에 관접된 증기관(5)을 연결하되 증기관(5)과 연결된 다수의 분사노즐(5")을 가진 가열관(5')은 용융탱크(2)(2')(2")의 내저면에서 곡선상으로 배치되고 용융탱크(2)(2')(2")의 저면에는 밸브(6)를 개재시킨 배출관(7)을 관접하여 이의 선단부(7')가 물통(9)내의 물속에 잠겨지게 하며 물통(9)의 타측에는 가리개판(9")을 개재시킨 배수구(9')를 연설하되 이 배수구(9')는 정화조(13)의 개구부(13')에 설치된 망판(14)에 대접할 수 있게한 피혁 폐기물의 처리장치.
KR2019910011257U 1991-07-15 1991-07-15 피혁 폐기물의 처리장치 KR9400054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1257U KR940005464Y1 (ko) 1991-07-15 1991-07-15 피혁 폐기물의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1257U KR940005464Y1 (ko) 1991-07-15 1991-07-15 피혁 폐기물의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2703U KR930002703U (ko) 1993-02-25
KR940005464Y1 true KR940005464Y1 (ko) 1994-08-13

Family

ID=19316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11257U KR940005464Y1 (ko) 1991-07-15 1991-07-15 피혁 폐기물의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546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5746Y1 (ko) 2022-05-16 2022-08-10 동진파일(주) 콘크리트 전주의 말구 마감 구조 및 이를 위한 마감 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2703U (ko) 1993-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021402B2 (ja) 廃液処理装置
DE2928693A1 (de) Abfallverarbeitungsanlage
NO820664L (no) Fremgangsmaate og innretning for rensing av bassenger.
KR940005464Y1 (ko) 피혁 폐기물의 처리장치
KR100915004B1 (ko) 슬러지 감량 이송 컨베이어
Lainé et al. Treatment of stormwater to bathing water quality by dissolved air flotation, filtration and ultraviolet disinfection
KR101112007B1 (ko) 배수 정화 장치 및 그의 세정 방법.
CN209276298U (zh) 一种熔融玻璃液水淬协同处置高浓度废水的装置
CN207298962U (zh) 一种工业节能装置
JP3549135B2 (ja) スラグ洗浄装置を備えた廃棄物溶融処理設備及び水砕スラグの製造方法
CN205760699U (zh) 工业固态、半固态、液态危险废料综合利用前处理系统
DE3344526A1 (de) Aufbereitung von oelschlamm fuer die verbrennung und hierfuer vorgesehene einrichtung
CN219031835U (zh) 一种油水分离装置
JP3863274B2 (ja) 廃棄物の埋立処理方法
DE3417594C2 (ko)
CN212594215U (zh) 一种污水处理用污泥清理设备
KR100954150B1 (ko) 사이클론식 수처리장치
DE3633652A1 (de) Verfahren zum entsorgen von lauge aus reinigungsmaschinen
US4085689A (en) Fibrous filter incinerator
JPS6012113B2 (ja) 廃液処理装置
KR100314752B1 (ko) 고액분리장치
JP3038428U (ja) 焼却炉における排ガスの浄化装置
DE2314940C3 (de) Vorrichtung zum Vakuumkonzentrieren und Rückgewinnen von Abwasser
Dalal Liquid bio-medical waste management strategy
JPS5839833Y2 (ja) 水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