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5746Y1 - 콘크리트 전주의 말구 마감 구조 및 이를 위한 마감 캡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전주의 말구 마감 구조 및 이를 위한 마감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5746Y1
KR200495746Y1 KR2020220001194U KR20220001194U KR200495746Y1 KR 200495746 Y1 KR200495746 Y1 KR 200495746Y1 KR 2020220001194 U KR2020220001194 U KR 2020220001194U KR 20220001194 U KR20220001194 U KR 20220001194U KR 200495746 Y1 KR200495746 Y1 KR 2004957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pole
concrete pole
concrete
peripher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200011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상훈
Original Assignee
동진파일(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진파일(주) filed Critical 동진파일(주)
Priority to KR20202200011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574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57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574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하면, 콘크리트 전주에 결합되어서 콘크리트 전주의 말구가 노출되는 것을 막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말구를 덮는 덮개부; 상기 덮개부로부터 연장되어서 상기 콘크리트 전주의 끝단부 외주면을 감싸는 측벽부; 및 상기 측벽부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서 형성되는 캡 걸림부를 포함하며, 상기 캡 걸림부는 상기 측벽부의 둘레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서 형성하며, 상기 캡 걸림부의 반경방향 안쪽 끝단은 상기 콘크리트 전주의 외주면과 밀착하는, 콘크리트 전주의 말구용 마감 캡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콘크리트 전주의 말구 마감 구조 및 이를 위한 마감 캡 {STRUCTURE FOR FINISHING UPPER END OF CONCRETE ELECTRIC POLE AND FINISHING CAP FOR THE SAME}
본 고안은 콘크리트 전주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전주의 말구 마감 구조 및 이를 위한 마감 캡에 관한 것이다.
전주는 발전소에서 발전된 전기를 사용지까지 전달하는 배전선로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전주에는 배전선로를 구성하기 위한 변압기, 차단기, 배전금구 및 전선 등이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전주는 몰드에 시멘트와 자갈, 모래 등이 혼합된 콘크리트를 부은 후, 몰드를 회전시켜 중공부가 형성된 몸체를 성형하고 양생하여 경화시켜서 제조하는 프리텐션 방식으로 제조된다. 이와 같은 프리텐션 방식으로 제조된 전주에는 지면에 삽입되는 하단인 원구와, 외부로 노출되는 상단인 말구를 구비하는데, 말구가 그대로 노출될 경우 우수 등이 침투하여 내구성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전주의 말구가 노출되지 않도록 마감 처리된다.
전주의 말구 마감하는 방식의 하나로 몰탈을 이용하여 마감하는 방식이 있는데, 이러한 몰탈 마감 방식은 노동 집약적이며, 마감 부분이 쉽게 탈락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몰탈 마감 방식의 대안으로 캡을 이용한 마감 방식이 있으나, 우수 침투 및 결합력 유지 성능에 있어서 기대에 미치치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실용신안 공고번호 제20-1993-0002703호 (1993.05.19)
본 고안의 목적은 우수 등의 침투 차단 성능 및 마감 캡과 전주의 결합 성능이 향상된 콘크리트 전주의 말구 마감 구조 및 이를 위한 마감 캡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콘크리트 전주에 결합되어서 콘크리트 전주의 말구가 노출되는 것을 막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말구를 덮는 덮개부; 상기 덮개부로부터 연장되어서 상기 콘크리트 전주의 끝단부 외주면을 감싸는 측벽부; 및 상기 측벽부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서 형성되는 캡 걸림부를 포함하며, 상기 캡 걸림부는 상기 측벽부의 둘레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서 형성하며, 상기 캡 걸림부의 반경방향 안쪽 끝단은 상기 콘크리트 전주의 외주면과 밀착하는, 콘크리트 전주의 말구용 마감 캡이 제공된다.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콘크리트 전주의 말구를 덮는 덮개부와, 상기 덮개부로부터 연장되어서 상기 콘크리트 전주의 끝단부 외주면을 감싸는 측벽부와, 상기 측벽부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서 형성되는 캡 걸림부를 구비하는 마감 캡; 및 상기 콘크리트 전주의 외주면에 상기 캡 걸림부가 걸리도록 형성되는 전주 걸림 홈을 포함하며, 상기 캡 걸림부는 상기 측벽부의 둘레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서 형성하며, 상기 전주 걸림 홈은 상기 콘크리트 전주의 외주면에 둘레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서 형성되는, 콘크리트 전주의 말구 마감 구조가 제공된다.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콘크리트 전주의 말구를 덮는 덮개부와, 상기 덮개부로부터 연장되어서 상기 콘크리트 전주의 끝단부 외주면을 감싸는 측벽부와, 상기 측벽부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서 형성되는 캡 걸림부를 구비하는 마감 캡; 및 상기 콘크리트 전주에 상기 캡 걸림부가 걸리도록 상기 콘크리트 전주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서 형성되는 전주 걸림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캡 걸림부는 상기 측벽부의 둘레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서 형성하며, 상기 전주 걸림 돌기는 상기 콘크리트 전주의 외주면에 둘레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서 형성되는, 콘크리트 전주의 말구 마감 구조가 제공된다.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콘크리트 전주의 말구를 덮는 덮개부와, 상기 덮개부로부터 연장되어서 상기 콘크리트 전주의 끝단부 외주면을 감싸는 측벽부를 구비하는 마감 캡; 및 상기 콘크리트 전주에 상기 측벽부의 내주면과 밀착하도록 상기 콘크리트 전주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서 형성되는 전주 걸림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전주 걸림 돌기는 상기 콘크리트 전주의 외주면에 둘레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서 형성되는, 콘크리트 전주의 말구 마감 구조가 제공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앞서서 기재한 본 고안의 목적을 모두 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콘크리트 전주 말구용 마감 캡의 내부에 띠 형태로 돌출되어서 콘크리트 전주의 외주면을 둘레방향을 따라 감싸면서 밀착하는 걸림부가 형성되므로, 우수 등의 침투 차단 성능 및 마감 캡과 전주의 결합 성능이 종래의 마감 방식에 비해 현저하게 향상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전주의 말구 마감 구조를 구비하는 콘크리트 전주 구조물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콘크리트 전주 구조물에서 말구 마감 구조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콘크리트 전주 구조물에서 말구 마감 구조의 측면도로서, 마감 캡은 단면 구조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마감 캡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전주의 말구 마감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로서, 마감 캡은 단면 구조로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전주의 말구 마감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로서, 마감 캡은 단면 구조로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감 캡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전주의 말구 마감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로서, 마감 캡은 단면 구조로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전주의 말단 마감 구조를 구비하는 콘크리트 전주 구조물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콘크리트 전주 구조물(100)은, 콘크리트 전주(110)와, 콘크리트 전주(110)의 말구에 결합되는 마감 캡(15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콘크리트 전주(110)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의 구성으로서, 콘크리트 전주(110)의 말구 부분이 도시된 도 2를 참조하면, 콘크리트 전주(110)의 말구(120) 중심부에는 콘크리트 전주(11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형성되는 중공과 연통되는 개구(125)가 형성된다. 또한, 콘크리트 전주(110)의 말구(120)에는 보강 철근(130)의 끝단이 노출된다. 콘크리트 전주(110)의 말구(120)는 마감 캡(150)에 의해 마감된다.
마감 캡(150)은 콘크리트 전주(110)의 말구(120)를 마감하도록 콘크리트 전주(110)의 콘크리트 전주(110)에 결합된다. 마감 캡(150)과 함께 콘크리트 전주(110)에서 마감 캡(150)이 결합되는 부분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말구 마감 구조(140)를 형성한다. 도 2,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마감 캡(150)은 덮개부(160)와, 덮개부(160)로부터 연장되어서 형성되는 측벽부(170)와, 측벽부(170)로부터 돌출되어서 형성되는 복수개의 캡 걸림부(180)들을 구비한다. 마감 캡(150)은 전체가 일체의 플라스틱재로 형성되어서 콘크리트 전주(110)에 결합될 때 또는 콘크리트 전주(110)로부터 분리될 때 탄성 변형된다.
덮개부(160)는 판상으로서, 마감 캡(150)이 콘크리트 전주(110)에 결합되었을 때, 덮개부(160)는 콘크리트 전주(110)의 말구(120)와 대향하며 콘크리트 전주(110)의 말구(120)를 덮는다. 덮개부(160)는 콘크리트 전주(110)의 말구(120)를 덮을 수 있는 넓이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덮개부(160)는 마감 캡(150)이 콘크리트 전주(110)에 결합되었을 때 바깥으로(도면에서 위로) 볼록한 곡면 형상인 것으로 설명하는데, 본 고안은 덮개부(160)를 이러한 형상으로 제한하지 않는다. 덮개부(160)의 테두리는 콘크리트 전주(110)의 외주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콘크리트 전주(110)의 외주가 원형이므로 덮개부(160)의 테두리는 원형의 형상을 갖는다. 덮개부(160)의 테두리에 측벽부(170)가 이어진다.
측벽부(170)는 덮개부(160)의 테두리로부터 연장되어서 형성된다. 마감 캡(150)이 콘크리트 전주(110)에 결합되었을 때, 측벽부(170)는 콘크리트 전주(110)에서 말구(120)와 이어지는 끝단부의 외주면(127)을 빙 둘러서 에워싼다. 측벽부(170)는 대체로 원형의 고리 형상이다. 덮개부(160)와 측벽부(170)에 의해 형성되는 마감 캡(150)의 내부 공간에 콘크리트 전주(110)의 말구(120)를 포함하는 끝단부가 수용된다. 측벽부(170)의 내주면(172)에는 복수개의 캡 걸림부(180)들이 위치한다.
복수개의 캡 걸림부(180)들은 측벽부(170)의 내주면(172)에 덮개부(16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서 차례대로 이격되어서 배치된다. 복수개의 캡 걸림부(180)들 각각은 측벽부(170)의 내주면(172)으로부터 돌출되어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캡 걸림부(180)가 3개인 것으로 예를 들어서 설명하지만, 본 고안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캡 걸림부(180)는 1개, 2개 또는 4개 이상일 수 있으며,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캡 걸림부(180)는 측벽부(170)의 내주면(172)으로부터 돌출되어서 형성된다. 캡 걸림부(180)는 측벽부(170)의 둘레방향을 따라서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단일 폐곡선의 원형 띠를 형성한다. 마감 캡(150)이 콘크리트 전주(1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캡 걸림부(180)를 포함하는 가상의 평면은 전주(110)의 연장방향과 대체로 직각을 이룬다. 마감 캡(150)이 콘크리트 전주(1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콘크리트 전주(110)의 외주면(127)을 원주방향을 따라서 감싸는 띠 형상의 캡 걸림부(180)의 반경방향 안 쪽 끝단(182) 전체가 콘크리트 전주(110)의 외주면(127)과 밀착한다. 그에 따라, 마감 캡(150)과 콘크리트 전주(110) 사이에 강한 결합력이 유지되며, 우수 등이 내부로 침투하는 것이 방지된다. 캡 걸림부(180)는 반경방향 안쪽 끝단(182)으로 갈수록 두께가 줄어들어서 끝단(182)이 뾰족해지는 쐐기 형태의 횡단면 형상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캡 걸림부(180)에서 덮개부(160) 쪽을 향하는 면인 내향 면(184)(도면에서 위 쪽을 향하는 면)과 측벽(170)의 내주면(172)이 이루는 각도인 내면 각(A)이 대체로 직각을 이루며, 캡 걸림부(180)에서 덮개부(160)의 반대 쪽을 향하는 면인 외향 면(186)(도면에서 아래 쪽을 향하는 면)과 측벽(170)의 내주면(172)이 이루는 외면 각(B)이 둔각을 이루는 것으로 설명한다. 이러한 캡 걸림부(180)의 형상에 의해 마감 캡(150)이 콘크리트 전주(110)에 결합될 때에는 마감 캡(150)이 콘크리트 전주(110)에 비교적 용이하게 끼워지고, 마감 캡(150)이 콘크리트 전주(110)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마감 캡(150)이 콘크리트 전주(110)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내면 각(A)이 직각인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와는 달리 직각보다 작은 예각일 수 있으며,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5에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전주의 말구 마감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전주의 말구 마감 구조(240)는 마감 캡(150)과, 콘크리트 전주(210)에 형성된 복수개의 전주 걸림 홈(222)들을 구비한다.
마감 캡(150)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된 마감 캡(150)과 동일한 구성으로서, 덮개부(160), 측벽부(170), 복수개의 걸림부(180)들을 구비한다.
복수개의 전주 걸림 홈(222)들은 콘크리트 전주(210)의 외주면(227)에 콘크리트 전주(21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차례대로 이격되어서 위치한다. 복수개의 전주 걸림 홈(222)들은 콘크리트 전주(210)에서 말구(220)에 인접한 끝단부에 위치한다. 복수개의 걸림 홈(222)들 각각은 콘크리트 전주(210)의 외주면(227)에 원주방향을 따라서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띠를 형성한다. 복수개의 걸림 홈(222)들 각각에 마감 캡(150)의 걸림부(180)가 하나 씩 끼워진다. 걸림 홈(222)에는 콘크리트 전주(210)의 외주면(227)과 대체로 직각을 이루는 상단면(224)이 형성되며, 걸림 홈(222)의 상단면(224)에 걸림부(180)의 내향면(184)이 면 접촉하고, 걸림 홈(222)의 내측면(225)이 걸림부(180)의 안쪽 끝단(182)과 밀착함으로써, 콘크리트 전주(210)와 마감 캡(150) 사이의 결합력 및 우수 등의 침투 방지 효과가 더욱 향상된다. 콘크리트 전주(210)는 외주면(227)에 복수개의 걸림 홈(222)들이 형성되는 것을 제외하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의 콘크리트 전주(110)의 구성과 동일하다.
도 6에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전주의 말구 마감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전주의 말구 마감 구조(340)는 마감 캡(150)과, 콘크리트 전주(310)에 형성된 복수개의 전주 걸림 돌기(320)들을 구비한다.
마감 캡(150)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된 마감 캡(150)과 동일한 구성으로서, 덮개부(160), 측벽부(170), 복수개의 걸림부(180)들을 구비한다.
복수개의 전주 걸림 돌기(322)들은 콘크리트 전주(310)의 외주면(327)에 콘크리트 전주(31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차례대로 이격되어서 위치한다. 복수개의 전주 걸림 돌기(322)들은 콘크리트 전주(310)에서 말구(320)에 인접한 끝단부에 위치한다. 복수개의 전주 걸림 돌기(322)들 각각은 콘크리트 전주(310)의 외주면(327)으로부터 돌출되어서 형성된다. 복수개의 걸림 돌기(322)들 각각은 콘크리트 전주(310)의 외주면(327)에 원주방향을 따라서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띠를 형성한다. 복수개의 걸림 돌기(322)들 각각에 마감 캡(150)의 걸림부(180)가 하나 씩 걸린다. 걸림 돌기(322)에는 콘크리트 전주(310)의 외주면(327)과 대체로 직각을 이루는 하단면(326)이 형성되며, 걸림 돌기(322)의 하단면(326)이 걸림부(180)의 내향면(184)과 면 접촉하고, 콘크리트 전주(310)의 외주면(327)이 걸림부(180)의 안쪽 끝단(182)과 밀착함으로써, 콘크리트 전주(310)와 마감 캡(150) 사이의 결합력 및 우수 등의 침투 방지 효과가 더욱 향상된다. 콘크리트 전주(310)는 외주면(327)에 복수개의 걸림 돌기(322)들이 형성되는 것을 제외하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의 콘크리트 전주(110)의 구성과 동일하다.
도 7에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감 캡의 내부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감 캡은 덮개부(160), 측벽부(170), 복수개의 캡 걸림부(480)들을 구비한다. 덮개부(160) 및 측벽부(170)는 도 3 및 도 4를 통해 설명된 실시예의 덮개부(160) 및 측벽부(170)와 각각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복수개의 캡 걸림부(480)들은 측벽부(170)의 내주면에 덮개부(16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서 차례대로 이격되어서 배치된다. 복수개의 캡 걸림부(180)들 각각은 측벽부(170)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캡 걸림부(480)가 3개인 것으로 예를 들어서 설명하지만, 본 고안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캡 걸림부(480)는 1개, 2개 또는 4개 이상일 수 있으며,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복수개의 캡 걸림부(480)들 각각은 측벽부(170)의 둘레방향을 따라서 길게 연장되어서 형성한다. 복수개의 캡 걸림부(480)들 각각의 둘레방향 양단(481, 483)은 이격되어서, 양단(481, 483)에는 틈(485)이 형성된다. 틈(485)에 의해 콘크리트 전주(110, 210, 310)에 대한 마감 캡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해질 수 있다. 틈(485)의 둘레방향 길이는 캡 걸림부(480)의 둘레방향 길이의 5% ~ 20%인 것이 바람직하다. 틈(485)의 둘레방향 길이가 캡 걸림부(480)의 둘레방향 길이의 5%보다 작으면, 결합 및 분리를 용이하게 하는 작용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며, 틈(485)의 둘레방향 길이가 캡 걸림부(480)의 둘레방향 길이의 20%보다 크면, 결합력이 저하된다. 하나의 캡 걸림부(480)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틈(485)은 이웃하여 위치하는 다른 캡 걸림부(480)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틈(485)과는 원주방향 상에서 서로 겹치는 부분이 없도록 위치한다. 그에 따라, 우수 등의 침투가 효과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
도 8에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전주의 말구 마감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말구 마감 구조(540)는 마감 캡(550)과, 콘크리트 전주(510)에 형성된 복수개의 전주 걸림 돌기(522)들을 구비한다.
마감 캡(550)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된 마감 캡(150)에서 걸림부(180)가 구비되지 않는 구성으로서, 덮개부(160)와 측벽부(170)를 구비한다.
복수개의 전주 걸림 돌기(522)들은 콘크리트 전주(510)의 외주면(527)에 콘크리트 전주(51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차례대로 이격되어서 위치한다. 복수개의 전주 걸림 돌기(522)들은 콘크리트 전주(510)에서 말구(520)에 인접한 끝단부에 위치한다. 복수개의 전주 걸림 돌기(522)들 각각은 콘크리트 전주(510)의 외주면(527)으로부터 돌출되어서 형성된다. 복수개의 걸림 돌기(522)들 각각은 콘크리트 전주(510)의 외주면(527)에 원주방향을 따라서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띠를 형성한다. 복수개의 전주 걸림 돌기(522)들 각각의 반경방향 바깥 끝단(523)에 마감 캡(550)의 측벽부(170)의 내주면(172)이 밀착한다. 전주 걸림 돌기(522)는 반경방향 바깥 끝단(523)으로 갈수록 두께가 줄어들어서 끝단(523)이 뾰족해지는 쐐기 형태의 횡단면 형상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주 걸림 돌기(522)에서 말구(520) 쪽을 향하는 면인 상향 면(524)과 마감 캡(550)의 측벽부(170)의 내주면(172)이 이루는 각도인 상면 각(C)이 대체로 둔각을 이루며, 전주 걸림 돌기(522)에서 말구(520)의 반대 쪽을 향하는 면인 하향 면(526)과 마감 캡(550)의 측벽부(170)의 내주면(172)이 이루는 하면 각(D)이 직각을 이루는 것으로 설명한다. 이러한 전주 걸림 돌기(522)의 형상에 의해 마감 캡(550)이 콘크리트 전주(510)에 결합될 때에는 마감 캡(550)이 콘크리트 전주(510)에 비교적 용이하게 끼워지고, 마감 캡(550)이 콘크리트 전주(510)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마감 캡(550)이 콘크리트 전주(510)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면 각(D)이 직각인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와는 달리 직각보다 작은 예각일 수 있으며,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복수개의 전주 걸림 돌기(522)들 각각에는 도 7에 도시된 틈(485)과 같은 구성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이상 실시예를 통해 본 고안을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시예는 본 고안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수정되거나 변경될 수 있으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이러한 수정과 변경도 본 고안에 속하는 것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 콘크리트 전주 구조물 110 : 콘크리트 전주
140 : 말구 마감 구조 150 : 마감 캡
160 : 덮개부 170 : 측벽부
180 : 캡 걸림부 222 : 전주 걸림 홈
322 : 전주 걸림 돌기 485 : 틈

Claims (12)

  1. 콘크리트 전주에 결합되어서 콘크리트 전주의 말구가 노출되는 것을 막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말구를 덮는 덮개부;
    상기 덮개부로부터 연장되어서 상기 콘크리트 전주의 끝단부 외주면을 감싸는 측벽부; 및
    상기 측벽부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서 형성되는 캡 걸림부를 포함하며,
    상기 캡 걸림부는 상기 측벽부의 둘레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서 형성하며,
    상기 캡 걸림부의 반경방향 안쪽 끝단은 상기 콘크리트 전주의 외주면과 밀착하며,
    상기 캡 걸림부는 복수개이며,
    상기 복수개의 캡 걸림부들은 상기 덮개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서 차례대로 이격되어서 배치되며,
    상기 복수개의 캡 걸림부들 각각의 둘레방향 양단부가 이격되어서 상기 양단부 사이에 틈이 형성되며,
    상기 복수개의 캡 걸림부들 중 하나의 캡 걸림부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틈은 이웃하여 위치하는 다른 캡 걸림부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틈과 둘레방향 상에서 서로 겹치는 부분이 없도록 위치하는,
    콘크리트 전주의 말구용 마감 캡.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캡 걸림부는 상기 반경방향 안쪽 끝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감소하여 쐐기 형태의 횡단면 형상을 갖는,
    콘크리트 전주의 말구용 마감 캡.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캡 걸림부는 상기 덮개부 쪽을 향하는 면인 내향면과 상기 덮개부의 반대 쪽을 향하는 면인 외향면을 구비하며,
    상기 외향면과 상기 측벽부의 내주면은 둔각을 이루는,
    콘크리트 전주의 말구용 마감 캡.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내향면과 상기 측벽부의 내주면은 직각 또는 예각을 이루는,
    콘크리트 전주의 말구용 마감 캡.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콘크리트 전주의 말구를 덮는 덮개부와, 상기 덮개부로부터 연장되어서 상기 콘크리트 전주의 끝단부 외주면을 감싸는 측벽부를 구비하는 마감 캡; 및
    상기 콘크리트 전주에 상기 측벽부의 내주면과 밀착하도록 상기 콘크리트 전주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서 형성되는 전주 걸림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전주 걸림 돌기는 상기 콘크리트 전주의 외주면에 둘레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서 형성되며,
    상기 전주 걸림 돌기는 상기 말구 쪽을 향하는 면인 상향면과 상기 말구의 반대 쪽을 향하는 면인 하향면을 구비하며,
    상기 상향면과 상기 측벽부의 내주면은 둔각을 이루며,
    상기 하향면과 상기 측벽부의 내주면은 직각 또는 예각을 이루는,
    콘크리트 전주의 말구 마감 구조.
  12. 삭제
KR2020220001194U 2022-05-16 2022-05-16 콘크리트 전주의 말구 마감 구조 및 이를 위한 마감 캡 KR2004957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1194U KR200495746Y1 (ko) 2022-05-16 2022-05-16 콘크리트 전주의 말구 마감 구조 및 이를 위한 마감 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1194U KR200495746Y1 (ko) 2022-05-16 2022-05-16 콘크리트 전주의 말구 마감 구조 및 이를 위한 마감 캡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5746Y1 true KR200495746Y1 (ko) 2022-08-10

Family

ID=82803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0001194U KR200495746Y1 (ko) 2022-05-16 2022-05-16 콘크리트 전주의 말구 마감 구조 및 이를 위한 마감 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5746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2703U (ko) 1991-07-15 1993-02-25 박종식 피혁 폐기물의 처리장치
KR20160003607A (ko) * 2015-12-21 2016-01-11 금병엽 철근용 안전캡
KR20190032961A (ko) * 2017-09-20 2019-03-28 티앤에이치 주식회사 프리스트레스드 콘크리트 전주용 말구 마감캡
KR102394506B1 (ko) * 2020-12-02 2022-05-04 티앤에이치 주식회사 전주용 말구 마감캡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2703U (ko) 1991-07-15 1993-02-25 박종식 피혁 폐기물의 처리장치
KR20160003607A (ko) * 2015-12-21 2016-01-11 금병엽 철근용 안전캡
KR20190032961A (ko) * 2017-09-20 2019-03-28 티앤에이치 주식회사 프리스트레스드 콘크리트 전주용 말구 마감캡
KR102394506B1 (ko) * 2020-12-02 2022-05-04 티앤에이치 주식회사 전주용 말구 마감캡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062130A1 (en) Pulling iron pocket, lid and shield
US10947693B2 (en) Reinforced lid for subgrade enclosures
KR200495746Y1 (ko) 콘크리트 전주의 말구 마감 구조 및 이를 위한 마감 캡
US8727659B1 (en) Manhole cover with insert
KR200374652Y1 (ko) 파일에 걸림턱 연결부를 가진 팽이형 파일
KR102041112B1 (ko) 통발의 원터치 그물망 보호장치
KR20090069443A (ko) 거푸집 코너용 면귀
KR102394506B1 (ko) 전주용 말구 마감캡
KR200430875Y1 (ko) 아파트 외벽의 리브 성형용 갱폼
KR20020061421A (ko) 성형틀이 동반매설되는 수목보호 홀덮개
KR200229326Y1 (ko) 성형틀이 동반매설되는 수목보호 홀덮개
KR20150002706U (ko) 구체연결부 보강식 조립식 맨홀
KR20090115646A (ko) 보도블록
KR200402935Y1 (ko) 맨홀뚜껑
KR20210012172A (ko) 아파트 외벽의 리브 성형용 갱폼
US11993908B2 (en) Utility cover
KR200296550Y1 (ko) 박스와 캡 일체형 철근고리
JP3161400U (ja) 金属製連結材の保護キャップ
KR200334645Y1 (ko) 전기배선박스용 보강구조물
KR200226634Y1 (ko) 콘크리트 돌출구조물의 물끊기성형부재
KR200155751Y1 (ko) 보강판이 매설된 합성수지관
KR200198994Y1 (ko) 건물 외벽의 돌출무늬 성형용 철제 거푸집의 마개
KR200179232Y1 (ko) 수로 커버
KR200210706Y1 (ko) 하중에 잘견디는 정화조의 뚜껑
KR200171777Y1 (ko) 보도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