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0875Y1 - 아파트 외벽의 리브 성형용 갱폼 - Google Patents

아파트 외벽의 리브 성형용 갱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0875Y1
KR200430875Y1 KR2020060021168U KR20060021168U KR200430875Y1 KR 200430875 Y1 KR200430875 Y1 KR 200430875Y1 KR 2020060021168 U KR2020060021168 U KR 2020060021168U KR 20060021168 U KR20060021168 U KR 20060021168U KR 200430875 Y1 KR200430875 Y1 KR 2004308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artment
wall
gangform
rib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11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옥순
Original Assignee
정옥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옥순 filed Critical 정옥순
Priority to KR20200600211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087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08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087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0064Moulds characterised by special surfaces for producing a desired surface of a moulded article, e.g. profiled or polished moulding surfaces
    • B28B7/0076Moulds characterised by special surfaces for producing a desired surface of a moulded article, e.g. profiled or polished moulding surfaces with surfaces for moulding letters or mar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02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 E04G9/05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the form surface being of plastic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02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 E04G9/06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the form surface being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1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with additional peculiarities such as surface shaping, insulating or heating, permeability to water or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 Panels For Use In Building Constr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아파트의 외벽에 돌출되는 리브를 성형하기 위해서 평면상으로 오목부와 돌출부가 반복적으로 절곡된 공지의 아파트 외벽의 리브 성형용 갱폼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도록 마감부재를 제작하되, 상기 마감부재의 내부에는 다수개의 자석을 형성하여 아파트의 층높이에 따라서 작업자가 상기 오목부에서 쉽게 분리 및 결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아파트 외벽의 리브 성형용 갱폼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아파트의 층높이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리브를 성형할 수 있으므로 아파트의 미려한 외관을 확보하여 차별화된 아파트를 시공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본 고안은 갱폼에 형성된 오목부와 대응되도록 마감부재를 형성하되 마감부재의 내부에는 자석을 삽입하여 금속재질의 갱폼과 분리 및 결합함으로써 작업효율 및 시공기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본 고안은 종래와 같이 볼트결합 및 용접방식이 탈피하여 콘크리트 타설시 외부유출을 사전에 방지하여 부실시공의 원인을 최소화함은 물론 미려한 외관을 갖는 아파트를 시공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본 고안은 아파트의 외벽에 다양한 도형(로고) 또는 문자의 형태를 갖는 리브를 성형할 수 있으므로 아파트 외관의 미려함을 확보함과 동시에 소비자들에게 아파트 브랜드의 이미지 부각 및 선호도를 상승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아파트, 외벽, 요철, 리브, 성형, 갱폼, 자석, 분리, 결합, 마감부재

Description

아파트 외벽의 리브 성형용 갱폼{Gang form for rib molding of outer wall apartment}
도 1 - 종래 아파트 외벽의 리브 성형용 갱폼을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
도 2 - 종래 아파트 외벽의 리브 성형용 갱폼을 저층에 적용하기 위한 사용상태 단면도.
도 3 - 종래 아파트 외벽의 리브 성형용 갱폼을 저층에 적용하기 위한 사용상태 평면도.
도 4 - 종래 아파트 외벽의 리브 성형용 갱폼을 고층에 적용하기 위한 사용상태 단면도.
도 5 - 종래 아파트 외벽의 리브 성형용 갱폼을 고층에 적용하기 위한 사용상태 평면도.
도 6 - 본 고안 아파트 외벽의 리브 성형용 갱폼을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
도 7 - 본 고안 아파트 외벽의 리브 성형용 갱폼을 저층에 적용하기 위한 사용상태 단면도.
도 8 - 본 고안 아파트 외벽의 리브 성형용 갱폼을 저층에 적용하기 위한 사용상태 평면도.
도 9 - 본 고안 아파트 외벽의 리브 성형용 갱폼을 고층에 적용하기 위한 사용상태 단면도.
도 10 - 본 고안 아파트 외벽의 리브 성형용 갱폼을 고층에 적용하기 위한 사용상태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종래 아파트 외벽의 리브 성형용 갱폼
11: 오목부 12: 돌출부
20: 마감판
100: 본 고안 아파트 외벽의 리브 성형용 갱폼
110: 오목부 111: 돌출부
120: 마감부재 121: 자석
A: 아파트 외벽 B: 리브(요철)
본 고안은 아파트 외벽의 리브 성형용 갱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아파트의 층높이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외벽에 돌출되는 리브를 성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효율 및 시공능률을 향상시킴은 물론 시공품질을 극대화하기 위한 아 파트 외벽의 리브 성형용 갱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의 외벽에는 수직방향으로 돌출되는 다수개의 리브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리브는 아파트의 시공과정에서 발생하는 콘크리트의 하중을 효율적으로 분산시켜 건축물의 내구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아파트의 미려한 외관을 확보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상으로 오목부(11)와 돌출부(12)가 반복적으로 절곡된 공지의 아파트 외벽의 리브 성형용 갱폼(10)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한 아파트 외벽의 리브 성형용 갱폼(10)은 유로폼(Euro form)과는 달리 고층아파트와 같은 건축물을 시공함에 있어서 건축자재의 조립과 분해를 반복하지 않고 일체화하여 시공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특히 자재비 절감, 안전사고 방지, 콘크리트 품질향상, 시공기간 단축, 안전사고 방지 등과 같은 많은 장점과 효율성으로 인해서 아파트 건축현장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상기 아파트 외벽의 리브 성형용 갱폼(10)을 설치한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키게 되는데, 이때 상기 오목부(11)의 내부로 콘크리트가 공급되어 상기 오목부(11)와 대응되는 형상의 리브(B)가 형성된다.
그러나 최근에는 다양한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키고 차별화된 아파트의 브랜드를 부각하기 위해서 상기 리브(B)를 아파트의 외벽에 일률적으로 시공하지 않고, 1층~3층의 외벽에는 별도의 마감재 및 외장재를 시공하고 4층~최상층에만 리브(B)를 성형하는 복합공법이 널리 적용되고 있다.
즉, 1층~3층의 외벽에는 리브(B)의 성형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오목부와 돌출부가 형성되지 않는 갱폼을 사용하고, 반대로 4층~최상층의 외벽에는 리브(B)의 성형이 필요하므로 오목부와 돌출부가 형성된 갱폼을 사용해야 하므로, 결과적으로 아파트의 층높이에 따라서 각각의 갱폼을 제작하여 사용하게 되므로 제작비용의 부담은 물론 갱폼의 설치 및 해체과정에서 발생하는 번거로움과 불편함으로 인해 작업능률이 극히 저하되는 폐단을 갖게 되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폐단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부(11)와 돌출부(12)를 전체적으로 감싸도록 별도의 마감판(20)을 부착하여 콘크리트가 상기 오목부(11)의 내부로 유입됨을 차단하여 리브(B)를 성형하지 않으며, 4층~최상층을 시공할 경우에는 도 4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감판(20)을 분리시킨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되므로 리브(B)를 성형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 또한 작업자가 상기 마감판(20)을 부착하거나 분리하는 과정이 복잡하고 번거로워 작업능률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특히 상기 마감판(20)을 분리 및 결합하는 과정에서 용접 또는 볼트결합 방식을 사용하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상기 마감판(20)이 쉽게 파손 및 변형되어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외부로 흘러내리게 되어 부실시공의 원인을 제공하게 되는 심각한 문제점을 갖게 되었다.
이처럼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 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아파트의 층높이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리브를 성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아파트 외벽의 리브 성형용 갱폼을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갱폼에 형성된 오목부와 대응되도록 마감부재를 형성하되 마감부재의 내부에는 자석을 삽입하여 금속재질의 갱폼과 쉽게 분리 및 결합할 수 있도록 하여 종래와 같이 작업이 번거롭고 불편한 볼트 및 용접 결합방식을 탈피하여 작업자가 쉽게 설치 및 분해할 수 있으므로 작업효율 및 시공능률을 향상시키기 위한 아파트 외벽의 리브 성형용 갱폼을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아파트의 외벽에 다양한 도형(로고) 또는 문자의 형태를 갖는 리브를 성형할 수 있도록 하여 소비자들에게 아파트의 브랜드를 부각시키기 위한 아파트 외벽의 리브 성형용 갱폼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고안 아파트 외벽의 리브 성형용 갱폼을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 아파트 외벽의 리브 성형용 갱폼을 저층에 적용하기 위한 사용상태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고안 아파트 외벽의 리브 성형용 갱폼을 저층에 적용하기 위한 사용상태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고안 아파트 외벽의 리브 성형용 갱폼(100)은 아파트의 외벽에 돌출되는 리브(B)를 성형하기 위해서 평면상으로 오목부(110)와 돌출부(111)가 반복적으로 절곡된 공지의 아파트 외벽의 리브 성형용 갱폼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110)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도록 마감부재(120)를 제작하되, 상기 마감부재(120)의 내부에는 다수개의 자석(121)을 형성하여 아파트의 층높이에 따라서 작업자가 상기 오목부(110)에서 쉽게 분리 및 결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서 상기 마감부재(120)는 상기 오목부(110)와 대응되도록 제작하여 아파트의 층높이에 따라서 작업자가 선택적으로 상기 오목부(110)에서 분리 및 결합할 수 있도록 하여 리브(B)의 성형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구성이다.
즉, 아파트의 외벽(A)에 리브(B)를 성형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마감부재(120)를 오목부(110)의 내부에 설치하여 콘크리트의 유입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되며, 반대로 아파트 외벽(A)에 리브(B)를 성형할 경우에는 상기 마감부재(120)를 오목부(110)에서 분리시키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콘크리트가 오목부(110)로 유입되어 리브(B)를 성형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마감부재(120)의 형상은 상기 오목부(110)와 대응되도록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마감부재(120)는 합성수지 또는 금속 중에서 어느 하나의 재질로 제작될 수 있는데 이는 시공공법 및 작업환경에 따라서 다양한 재질을 선택하여 제작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자석(121)은 본 고안에서 매우 중요한 구성으로, 즉 금속재질로 제작된 상기 오목부(110)의 내부에 상기 보강부재(120)가 자석(121)의 자력을 통해서 쉽게 분리 및 결합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자석(121)의 형성 개수 및 자력은 시공현장 및 갱폼의 규격에 따라서 다양하게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 아파트 외벽의 리브 성형용 갱폼(100)은 아파트의 층높이에 따라서 작업자가 상기 마감부재(120)를 분리 및 결합하여 선택적으로 리브(B)를 성형할 수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오목부(110)와 돌출부(111)가 형성된 갱폼 또는 오목부(110)와 돌출부(111)가 형성되지 않는 갱폼을 각각 제작할 필요가 없게 된다.
또한, 갱폼의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신속하게 아파트 외벽의 리브 성형용 갱폼을 설치 및 분해할 수 있으므로 작업효율 및 시공기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고안은 아파트 브랜드의 차별화를 위해서, 상기 오목부(110)와 마감부재(120)의 형상을 문자 또는 도형 중에서 어느 하나의 형태를 갖도록 제작할 수 있다.
즉, 아파트 외벽(A)에 단순히 수직방향으로 성형되는 리브(B)의 시공방식을 탈피하여 다양한 문자 및 도형을 갖도록 성형하여 아파트 외관의 미려함을 확보함과 동시에 아파트 브랜드의 이미지를 부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에서 상기 오목부(110)와 마감부재(120)는 아파트 브랜드에 따라서 다양한 문자 또는 도형을 갖도록 제작하여 적용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이처럼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 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구성까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됨은 당연할 것이다.
본 고안은 아파트의 층높이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리브를 성형할 수 있으므로 작업범위 및 시공능률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본 고안은 갱폼에 형성된 오목부와 대응되도록 마감부재를 형성하되 마감부재의 내부에는 자석을 삽입하여 작업자가 쉽게 금속재질의 갱폼과 분리 및 결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효율 향상 및 시공기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본 고안은 종래와 같이 볼트결합 및 용접방식이 탈피하여 콘크리트 타설시 외부로 흘러내리는 문제를 사전에 방지함으로써 부실시공의 원인을 최소화함은 물론 아파트의 미려한 외관을 확보하여 차별화된 아파트를 시공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본 고안은 아파트의 외벽에 다양한 도형(로고) 또는 문자의 형태를 갖는 리브를 성형하여 아파트 브랜드를 부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3)

  1. 아파트의 외벽에 돌출되는 리브를 성형하기 위해서 평면상으로 오목부와 돌출부가 반복적으로 절곡된 공지의 아파트 외벽의 리브 성형용 갱폼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도록 마감부재를 제작하되, 상기 마감부재의 내부에는 다수개의 자석을 형성하여 아파트의 층높이에 따라서 작업자가 상기 오목부에서 쉽게 분리 및 결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아파트 외벽의 리브 성형용 갱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와 마감부재는 아파트의 브랜드에 따라서 문자 또는 도형 중에서 어느 하나의 형태를 갖도록 제작됨을 특징으로 하는 아파트 외벽의 리브 성형용 갱폼.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부재는 합성수지 또는 금속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제작됨을 특징으로 하는 아파트 외벽의 리브 성형용 갱폼.
KR2020060021168U 2006-08-08 2006-08-08 아파트 외벽의 리브 성형용 갱폼 KR2004308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1168U KR200430875Y1 (ko) 2006-08-08 2006-08-08 아파트 외벽의 리브 성형용 갱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1168U KR200430875Y1 (ko) 2006-08-08 2006-08-08 아파트 외벽의 리브 성형용 갱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0875Y1 true KR200430875Y1 (ko) 2006-11-13

Family

ID=41779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1168U KR200430875Y1 (ko) 2006-08-08 2006-08-08 아파트 외벽의 리브 성형용 갱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087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5000B1 (ko) 2010-10-25 2011-06-29 문영훈 탈부착형 합벽지지대
CN117386031A (zh) * 2023-12-11 2024-01-12 山西省安装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冷库保温层施工装置及施工工艺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5000B1 (ko) 2010-10-25 2011-06-29 문영훈 탈부착형 합벽지지대
CN117386031A (zh) * 2023-12-11 2024-01-12 山西省安装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冷库保温层施工装置及施工工艺
CN117386031B (zh) * 2023-12-11 2024-02-20 山西省安装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冷库保温层施工装置及施工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90001B2 (en) Formwork panel for concrete-work shutterings
KR101432260B1 (ko) 강재노출형 철골철근콘크리트 기둥구조
KR101177916B1 (ko) 돔형 구조물
KR101731382B1 (ko) 철근 삽입이 용이한 콘크리트 블록 및 이의 성형장치
KR100694587B1 (ko) 멀티리브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을 이용한 슬래브구조체
KR20190019192A (ko) 맨홀, 하수구 입구 또는 배수로용 맨홀 커버
KR200430875Y1 (ko) 아파트 외벽의 리브 성형용 갱폼
KR101431749B1 (ko) 미분리형 블록 거푸집 조립체
KR102461799B1 (ko) 외장용 비정형 콘크리트 패널의 제조 방법
KR200465477Y1 (ko) 건축용 영구 거푸집
CN101408046B (zh) 环保扣压穿合式抗震墙体结构
KR20210012172A (ko) 아파트 외벽의 리브 성형용 갱폼
KR20170003227U (ko) 갱폼용 줄눈 형성 부재
KR100986285B1 (ko) 슬래브 매립형 박스 및 그 설치 방법
KR101273640B1 (ko) 거푸집용 인코너부재를 위한 보강구
KR20110101746A (ko) 건축용 벽돌
KR20160035834A (ko) 건축물의 층조인트 누수방지 방법 및 구조
KR20160043501A (ko) 집수정 또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구조물
KR100867890B1 (ko) 방수성이 우수한 자재 인양 오픈 박스
CN214784892U (zh) 保温板、模具和保温墙体
KR20150002706U (ko) 구체연결부 보강식 조립식 맨홀
KR200405414Y1 (ko) 각형 구조체 타설용 내부거푸집
KR102381592B1 (ko) 콘크리트 내설용 철근스페이서 일체형 다용도 복합 인서트장치
KR200426149Y1 (ko) 거푸집용 라인 빔
KR100953989B1 (ko) 슬래브의 개구부용 거푸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0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