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5360B1 - 바지 허리단 부착용 재봉장치 및 허리단 봉재방법 - Google Patents

바지 허리단 부착용 재봉장치 및 허리단 봉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5360B1
KR940005360B1 KR1019920013053A KR920013053A KR940005360B1 KR 940005360 B1 KR940005360 B1 KR 940005360B1 KR 1019920013053 A KR1019920013053 A KR 1019920013053A KR 920013053 A KR920013053 A KR 920013053A KR 940005360 B1 KR940005360 B1 KR 9400053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
sewing
workpiece
waist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3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2395A (ko
Inventor
임길용
Original Assignee
임길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길용 filed Critical 임길용
Priority to KR10199200130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5360B1/ko
Publication of KR9400023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23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53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53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3/00Sewing apparatus or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바지 허리단 부착용 재봉장치 및 허리단 봉재방법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봉합부의 개략적인 평면 예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재봉장치의 계략적인 형태를 도시한 전체사시도.
제3도는 봉재 위치 표시 수단의 평면 예시도.
제4도는 작업을 고정수단의 세부 사시도.
제5도는 작업을 고정수단의 작동상태에서도로서
a도는 동작전의 상태도.
b도는 동작에 의한 작업물이 지지된 상태도.
제6도는 작업을 이송수단의 사용상태를 보인 정면 예시도.
제7도는 잔사이탈방지장치가 구비되고 있는 재봉기의 사시도.
제8도는 잔사이탈방지의 사용상태 평면예시도.
제9도는 재봉선 외곽의 잔여 직물을 절단하는 컷티장치의 사시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봉재방법을 설명하는 플로우 챠아트.
본 발명은 바지 허리단과 좌우 몸판의 봉합부위를 봉접하는데 사용하는 허리단 부착용 재봉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센서로서 봉합부위를 정확히 감지한 후 그 신호에 따라 균일한 폭으로 허리단이 연속 봉접될 수 있도록 하는 바지 허리단 부착용 재봉장치 및 그 봉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사복이나 숙녀복 또는 각종의 스포츠용 바지를 제조하는 과정 중 가장 고도의 숙련 작업을 필요로 하는 과정을 든다면, 이는 허리단을 바지몸판에 정확한 간격으로 봉접하는 과정이라 아니할 수 없을 것이다.
허리단을 바지몸판에 부착함에 있어서는, 제1도에 도시되고 있는 바와 같이 봉접하고자 하는 연결부 즉 재봉선(11a)이 뒷주머니(13)의 상단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야 함은 물론, 경사주머니(14)의 끝부분도 재봉선(11a)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야만 좌우 몸판(10)(10a)을 연결하여 봉접한후 전체적으로 볼때 좌우 몸판이 대칭을 이루는 양질의 바지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더욱이 이같은 허리단의 부착방법은, 체크무늬로 이루어지는 바지의 경우에 더욱 까다로워 조그마한 봉재선의 흐트러짐이라 할지라도 이는 곧 미관을 크게 해치는 제품 불량의 원인으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비점에도 불구하고 허리단 부착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는 별도의 재봉장치가 제공된 바 없어 부득이 기존의 일반 재봉기를 사용할 수 밖에 없었으며 따라서 상당한 정도의 숙련 기술을 가지고 있는 기능공들에 의해서 만이 상기 봉접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어서 생산성이 크게 떨어짐은 물론 품질을 고급화 하는데도 중대한 장애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는 것이다.
즉, 종래의 방법에 의하면, 뒷주머니(13)의 옆주머니(14)를 각기 형성시킨 바지의 몸판(10)(10a) 상단에 허리단(12)을 소정의 간격으로 봉접하기 위하여, 먼저 작업대 위에 몸판(10)(10a)을 펼쳐놓은 상태에서 재봉하고자 하는 재봉선(11a)의 위치를 몸판(10)(10a) 위에 쵸크(CHOK)로서 마킹(Making)한 다음, 그 위에 다시 허리단(12)을 중첩되게 펼쳐서 올려 놓은 후 작업물의 양방향 중 어느 한쪽으로부터 재봉을 시작하게 되는 것이었다.
따라서 좌우몸판(10)(10a) 위에 마킹된 재봉선의 위치는 허리단(12)에 의해 가리워지게 되고, 이같은 이유로 인해 정확한 재봉위치 확인 어려워짐은 물론, 이를 재봉함에 있어서도 작업물을 종방향으로 이동시키며 봉재를 행하게 되는 통상의 재봉기에 의존할 수 밖에 없어 전체 재봉구간을 몇번의 작업구간으로 나누어 봉재부위의 이상유무를 수시로 확인해 가면서 봉접하여야 하는 불편이 따르게 되므로 결국 허리단(12) 전체를 균일한 폭으로 유지하는 것과 허리단(12)을 봉착하고 있는 좌우몸판(10)(10a)이 대칭을 이루도록 하는 데에는 많은 시간과 함께 고도의 숙련기술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었다.
뿐만 아니라, 좌우몸판(10)(10a)과 허리단(12)을 봉접한 후 봉재선(11a) 바깥쪽으로 남게되는 불필요한 직물부분(15)에 대해서는, 봉재선(11a)을 중심로 일정한 폭이 유지될 수 있도록 절단하여 주는 별도의 후속공정을 거쳐야만 하였던 것이다.
본 발명자는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여 봉재의 전과정을 자동화함으로서 품질의 고급화와 생산성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형태의 허리단 부착전용의 재봉장치를 제공하고자 노력한 결과, 봉접코자 하는 작업물을 고정시킨 상태로서 수평이동시켜 주게되면 횡방향으로 정확한 간격의 재봉선이 유지될 수 있다는 점에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본 발명은 숙련된 기술자가 아니라 하더라도 누구나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는 허리단 부착전용이 자동화된 재봉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주된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허리단 부착전용의 재봉장치를 이용한 최선의 허리단 봉재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허리단을 봉접함과 동시에 봉재선에 근접한 불필요한 직물부분이 깨끗이 제거될 수 있도록 작업공정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는 허리단 재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작업대가 갖추어진 기대와, 상기 작업대 일측에 설치되어 작업물의 횡방향 봉재가 가능토록 배치되는 재봉기와, 작업대상에 놓여지는 작업물을 흡착하여 작업물의 위치를 고정 또는 임의 수정할 수 있도록 작업대 위에 제공되는 음판흡착수단과, 작업물의 표면에 광선을 주사하여 봉재위치를 정확히 설정, 식별할 수 있도록 작업대상부에 설치되는 횡방향 및 종방향 표시수단과, 작업물이 표시된 위치로부터 흐트러짐을 방지하는 동시에 몸판과 허리단을 각기 지지할 수 있도록 좌우 분할하여 차례로 구동하는 누름판을 이용한 한쌍의 작업물 고정수단과, 한쌍의 가이드레일을 따라 안내되는 길이방향의 누름바아와 작업대 표면에 연설된 누름벨트로 이루어지고, 누름바아와 누름벨트 사이에 작업물을 견고히 삽입한체 작업물을 재봉위치로 신속히 이동시켜 주기 위한 작업물 이송수단과, 상기 각 수단들을 연쇄적으로 제어하는데 이용되는 동력전달수단 및 제어수단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대상의 흡착장치들 가동시켜 몸판 작업물을 작업대위에 셋팅시키는 과정과, 셋팅된 작업물위에 횡방향 및 종방향의 광선을 주사하여 작업위치를 설정하는 과정과, 작업위치가 설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누름판으로 몸판을 지지하는 몸판고정과정과, 주사되고 있는 광선의 표시구역내에 허리단을 일치시키고 누름판으로 다시 고정시키는 허리단 고정과정과, 몸판과 허리단을 일치시킨 후 그 위에 수평 이동하는 누름바아를 눌러 줌과 동시에 작업물들을 지지하고 있던 누름판 및 흡착장치들을 제거하는 과정과, 누름바아를 고속으로 이동시켜 주는 동시에 재봉기에 동력을 전해주어 누름바아의 이송방향으로 이송되는 작업물 위에 봉재를 행하는 과정과, 봉재가 완료된 후 그 위치를 감지한 센서에 의해 재봉기가 정지하고 사절이 이루어지며 누름바아가 최초의 상태로 복귀하는 일련의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도면의 실시예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중 제2도는 본 발명 재봉장치의 전체사시도이고, 제3도는 본 발명의 구성요부인 봉재위치 표시수단의 평면예시도로서, 본 발명의 허리단 부착전용 재봉장치는, 작업물(W)을 작업대(20) 위에 셋팅시키는 초기과정에서부터 봉재를 모두 마치고 원래의 상태로 다시 복귀시켜 다음 작업을 준비하는 대기과정에 이르기까지 일련의 과정들을 발판스위치(21)의 단발작동으로서 순차적으로 제어하게 된다.
횡방향의 작업대(20)가 갖추어진 기대(22)상에는 횡방향 봉재가 가능토록 배치된 재봉기(23)와 더불어, 공기흡입모우터(24)에 닥트(25)로 연결되며 작업물(W)의 유동이 방지될 수 있도록 작업물이 펼쳐지는 부위에 다수개의 흡착공(26)을 천공한 흡착판(27)이 구비되고 있고, 그 상방에는 작업물(W)의 봉재위치를 정확히 표시할 수 있도록 작업대(20) 위에 배치한 복수개의 레이저마커(31)(32)(33)와, 레일(34)을 따라 설치폭의 조절이 가능하게 연설된 라이트마커(35)(36)(37)가 소정의 위치에 각기 구비되는 것이다.
이같은 레이저마커(31)(32)(33)와 라이트마커(35)(36)(37)는 작업물(W) 위에 횡방향과 종방향의 위치를 나타내는 봉재위치 표시수단으로 이용되는 것에 불과할 뿐 부수적인 기능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므로 이를 소망의 광선을 주사할 수 있는 또 다른 형태의 조명수단으로 대체하여도 무방할 것임은 물론이다.
또한, 흡착판(27)과 근접한 작업대(20) 일면에는 구동모우터(40)와 폴리(41)로 연결되어 횡방향으로 작업물(W)을 이송시켜 주게되는 누름벨트(42)가 설치되는 것이며, 누름벨트(42) 상부에는 상하이동과 더불어 좌우이동이 또한 가능한 길이방향의 누름바아(43)가 설치되는데, 저면에 협착돌기(44)를 돌설하고 있는 상기 누름바아(43)는 한쌍의 가이드레일(45)을 유설되고 선단모우터(46)에 연결되는 이송벨트(47)와 연설되어 좌우평행이 가능토록 설치되는 이송장치 헤드부(48)에 공압실린더(49)로서 연결 설치되는 것이다.
이송장치헤드부(48)에 상하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기 누름바아(43)는, 이송장치헤드부(48)와 동시구동이 이루어지고, 다만 설정된 시간 또는 발판스위치(21)의 선택적인 동작에 의해 공압실린더(49)가 구동을 하여 안내측(48a)을 따라 연설되는 누름바아(43)의 상하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인데, 누름바아(43)가 작업대(20) 상의 누름벨트(42)와 충분히 밀착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이들 사이에 끼워져 고정되는 작업물(W)이 이송도중 분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누름바아(43)를 하부로 눌러주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협착수단(50)을 누름바아(43) 위에 갖추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협착수단(50)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로는 누름바아(43)에 접촉되도록 한쌍의 공회전로울러(51)를 구비하는 누름판(52)이 고정구(53)에 유설된 공압실린더(54)에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도록 구성하며, 누름바아(43)의 횡방향이동에는 전혀 장애를 주지 아니하면서도 하부로 눌리는 하중이 누름바아(43) 전면에 걸쳐 고르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흡착판(27)이 구비되는 상기 작업대(20)의 일측에는 다시, 작업물(W)의 펼침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는 한편, 좌우몸판(10)(10a)과 분리시켜 지지하게 되는 상하한쌍의 누름판(55)(56)이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르면, 먼저 작업물(W)을 작업대(20)에 올려 놓기 전에 발판스위치(21)를 가볍게 눌러줌으로서 공기흡입모우터(24)를 구동시켜 주게 되는데, 이같은 모우터의 흡인력은 작업대(20) 위에 천공되고 있는 흡착공(26)을 통해 외부공기를 강하게 빨아들이게 되고, 이로 인해 작업대(20) 위에 펼쳐놓은 작업물 (W), 다시말해 몸판(10)(10a)이 흡착판(27)에 달라붙어 소망의 주름 또는 접힘형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몸판(10)(10a)이 작업대(20) 위에 펼쳐진 상태에서 그 재봉위치를 표시하기 위해 레이저마커(31)(32)(33) 및 라이트마커(35)(36)(37)의 위치를 조정하게 된다.
몸판(10)(10a) 상에 재봉위치를 표시하게 되는 이들 표시수단중 횡방향 표시수단인 레이저마커(31)(32)(33)는,제3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몸판(10)과 허리단 (12)의 봉재선(11a)위치, 봉재선(11a)과 몸판(10) 뒷주머니(13) 사이의 이격된 거리, 그리고 몸판(10) 경사주머니(14)의 봉재선 끝부분까지의 거리를 각기 나타냄으로서 작업대(20) 위에 펼쳐지는 작업물(W)이 항상 정확한 위치에 놓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이와 함께 종방향의 위치를 나타내게 되는 라이트마커(35)(36)(37)는 작업물(W)의 좌우양단과 더불어 중앙봉재선(11)의 위치를 정하여 줌으로서 몸판(10) 위에 허리단(12)을 포개어 놓을때 허리단(12)의 밸트길이(12a)가 균일한 가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좌우몸판(10)(10a)을 결합시킨 최종의 상태에서 이들이 대칭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작업물(W)의 종방향과 횡방향의 위치가 모두 정해지고 나면, 다시 발판스위치(21)를 가볍게 밟아주어 작업물(W)의 상단이 좌우로 분활되고 있는 하부누름판(55)에 의해 눌리어지도록 하게 되는데, 이때에는 제4도 및 제5도에서와 같이 고정구(57) 상에 고정 설치되고 있는 제1실린더(58)가 작동을 시작하여 앞으로 전진함에 따라, 제1실린더(58)의 선단에 고정된 취부판(59) 및 그 양측의 축(59A)과 연결되고 있는 이송판(60)을 전체적으로 전진시켜 누름판(55)의 끝이 작업물 재봉선(11a)에 일치되는 상태에 이르도록 하는 것이며, 이어서 이송판(60)위에 고정되는 제2실린더(61)의 연속적인 동작을 행하여 제2실린더(61) 선단에 구성되는 누름봉 (62)에 의한 고정판(63)의 경첩(64)을 중심으로 하는 펼쳐지는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누름판(55)에 의한 작업물(W)의 견고한 고정이 가능토록 하는 것이다.
좌우몸판(10)(10a)이 고정되고 나면, 그 위에 다시 허리판(12)의 고정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으로서 허리단(12) 역시 상기한 바와 같이 동작하는 동일한 작동과정을 통해 하부누름판(56)의 전진과 눌림작업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렇게 좌우몸판(10)(10a)위에 허리단(12)이 조립되고 난후에는 이송장치 헤드부(48)를 구동시키기 위한 선단모우터(46)를 우측으로 이동시켜 주어 이송장치헤드부(48)와 연결되는 누름바아(43)가 작업물(W)의 상면을 충분히 눌러줄 수 있도록 조절한 상태에서, 작업대(20)상에 설치되는 누르벨트(42) 구동용 모우터(40) 및 상기 선단모우터(46)를 동시에 구동시켜 주어 누름바아(43)와 누름벨트(42) 사이에 고정된 작업물(W)이 이송장치헤드부(48)의 이송속도와 동일한 속도로서 횡방향 이동을 하도록 한다.
누름바아(43)와 누름벨트(42) 사이에 고정된체 이동하는 작업물(W)의 이동시에는 재봉기(23)가 동작하고 있음이 물론이며, 재봉기(23) 일측에 부설되는 광전센서(65)에 의해 작업물(W)의 원단시작부분이 감지되면 재봉기(23)는 봉재시작부분으로부터 5mm까지에 걸쳐 땀수를 조밀하게 구성하는 고밀도, 저속의 봉재를 하고 난다음 그 이후부터는 정상속도로서 신속한 봉재를 행하게 되고, 광전센서(65)가 다시 원단의 끝부분을 감지하게 되면 그 신호에 의해 봉재 끝부분으로부터 5mm를 남겨두고 고밀도 저속봉재를 행한후 재봉기(23)의 정지와 사절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하면, 봉재위치의 선정에서부터 봉재완료에 이르기까지 발판스위치(21) 동작에 의해 일련의 공정들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고 난 다음 재봉기의 정지와 함께 사절이 되어 모든 작업을 마치게 되는 것인데 재봉기에 공급되고 있는 실이 절단되게 되면 그 장력에 의해 윗실이 빠지게 되는 것이므로 이를 방지하고자 재봉기(23) 일측, 보다 구체적으로는 바늘대(23a) 뒷쪽에 집게(66)를 구비하는 잔사이탈방지용구(70)를 부설한다.
이같은 잔사이탈방지용구(70)는, 제7도 및 제8도에 구체적으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고정금구(67)에 탄설되며 공압실린더(68)에 의해 전방이동이 이루어지는 집게(66)와, 고정금구(67)에 연설되는 전방스톱퍼(69)와, 집게(66)에 나란히 부설되고 집게선단에 연결되어 집게의 벌어짐을 규제하는 전개편 닫침판(71)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서 사절이 이루어지면 공압실린더(68)에 의해 집게(66)가 앞으로 전진하면서 집게전개편(68a)이 전방스톱퍼(69)에 걸리는 위치에 이르러서는 집게(66)가 벌어져 그 사이에 실을 끼우게 되며 곧이어 집게(66)의 후진과 함께 닫침판(71)이 앞으로 나와 집게전개편(66a)을 밀어주게 되므로 집게(66)는 결국 잔사가 이탈되지 못하도록 규제하는 소망의 목적을 달성하게 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상기한 재봉기(23)의 바늘대(23a) 뒷부분에 봉재되는 작업물(W)의 봉재선(11a)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제외하고 남게되는 잔여직물을 깨끗이 절단하여 줌으로서 작업능률이 현저히 증대될 수 있도록 절단컷터(72)를 부설하는 것도 가능한데, 이때에는 재봉기(23)를 관통하는 형태의 내장형 컷터와 별도로 부설되는 외장형 컷터가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컷터(72)를 연결하는 구동축(73) 상부가 편심캠(74)에 연결되도록 하여 편심의 크기만큼 컷터(72)가 상하 왕복 운동하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리고 컷터(72)의 구동시기는 작업물(W)의 횡방향 이동에 따르는 봉재작업과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봉재선(11a)과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과 작업의 신속성을 유지하는 이중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은 또한 각각의 공정단계들을 제어하는 수단으로서 발판스위치에 의한 전기적인 단발제어방식과 더불어 마이크로컴퓨터를 이용한 수치제어방법, 그리고 타이머를 아용하는 등 여러 가지의 제어수단은 사용할 수 있을 것이나 정상봉재작업도중 윗실 또는 아랫실이 끊어졌을 경우 사절감지장치의 신호에 의해 재봉기가 순간적으로 작업위치에서 정지되도록 하는 서절감지장치를 구비하여 기계 오동작에 의한 봉재 불량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고, 정지된 부분에서부터는 다시 작업이 연결될 수 있도록 각 기능별 수동제어스위치를 부설하여 주는 것도 바람직할 것이며 이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는 후술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서만이 제한될 수 있다.

Claims (5)

  1. 작업대가 갖추어진 기대와; 상기 작업대 일측에 설치되며 작업물의 횡방향 봉재가 가능토록 배치되는 재봉기와; 작업대상에 놓여지는 작업물을 흡착하여 작업물의 위치를 고정 또는 임의 수정할 수 있도록 작업대 위에 제공되는 몸판흡착수단과; 작업물이 표면에 광선을 주사하여 봉재위치를 정확히 설정, 식별할 수 있도록 작업대상부에 설치되는 횡방향 및 종방향 표시수단과; 작업물이 표시된 위치로부터 흐트러짐을 방지하는 동시에 몸판과 허리단을 각기 지지할 수 있도록 좌우 분할하여 차례로 구동하는 누름판을 이용한 한쌍의 작업물 고정수단과; 한쌍의 가이드레일을 따라 안내되는 길이방향의 누름바아와 작업대 표면에 연성한 누름벨트로 이루어지고, 누름바아와 누름벨트 사이에 작업물을 견고히 삽입한체 작업물을 재봉위치로 신속히 이동시켜 주기 위한 작업물 이송수단과; 상기 각 수단들을 연쇄적으로 제어하는데 이용되는 동력전달수단 및 제어수단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바지 허리단 부착용 재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봉기의 바늘대 뒷부분에, 봉재되는 작업물의 봉재선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잔여직물을 절단할 수 있도록 절단컷터가 부설됨을 특징으로 하는 바지 허리단 부착용 재봉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재봉기의 내부에, 윗실과 아랫실의 장력을 동시에 감지하여 사절시 정지신호를 발생시키는 사절감지장치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바지 허리단 부착용 재봉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재봉기의 바늘대 측면에, 절단된 윗실이 바늘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잔사이탈방지용 집게가 부설됨을 특징으로 하는 바지 허리단 부착용 재봉장치.
  5. 좌우몸판의 상부에 허리단을 봉접하는 방법에 있어서, 작업대상의 흡착장치를 가동시켜 몸판 작업물을 작업대 위에 셋팅시키는 과정과, 셋팅된 작업물위에 횡방향 및 종방향의 광선을 주사하여 작업위치를 설정하는 과정과, 작업위치가 설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누름판으로 몸판을 지지하는 몸판고정과정과, 주사되고 있는 광선의 표시구역내에 허리단을 일치시키고 누름판으로 다시 고정시키는 허리단 고정과정과, 몸판과 허리단을 일치시킨 후 그 위에 수평 이동하는 누름바아를 눌러 줌과 동시에 작업물을 지지하고 있던 누름판 및 흡착장치들을 제거하는 과정과, 누름바아를 고속으로 이동시켜 주는 동시에 재봉기에 동력을 전해주어 누름바아의 이송방향으로 이송되는 작업물위에 봉재를 행하는 과정과, 봉재가 완료된 후 그 위치를 감지한 센서에 의해 재봉기가 정지하고 사절이 이루어지며 누름바아가 최초의 상태로 복귀하는 일련의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바지 허리단 부착방법.
KR1019920013053A 1992-07-22 1992-07-22 바지 허리단 부착용 재봉장치 및 허리단 봉재방법 KR9400053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3053A KR940005360B1 (ko) 1992-07-22 1992-07-22 바지 허리단 부착용 재봉장치 및 허리단 봉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3053A KR940005360B1 (ko) 1992-07-22 1992-07-22 바지 허리단 부착용 재봉장치 및 허리단 봉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2395A KR940002395A (ko) 1994-02-17
KR940005360B1 true KR940005360B1 (ko) 1994-06-17

Family

ID=19336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3053A KR940005360B1 (ko) 1992-07-22 1992-07-22 바지 허리단 부착용 재봉장치 및 허리단 봉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536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2395A (ko) 1994-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7108353B2 (ja) 種々の製品,特に皮革製品を縫製するための改良された自動機械
US4649842A (en) Method for the automatical sewing of quilting patterns in fabric webs, especially bed sackings or ticks of (wadded) bed quilts
US773997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a sewn product
JP2008054988A (ja) 玉縁縫いミシン
RU2092637C1 (ru) Способ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сшивания двух чулочно-носочных изделий с образованием колготок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US4376415A (en) Device for sewing workpiece plies together in contour alignment
US567607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wing sleeves on shirt bodies
KR940005360B1 (ko) 바지 허리단 부착용 재봉장치 및 허리단 봉재방법
DE3675147D1 (de) Verfahren und einrichtung zum automatischen naehen von steppmustern auf stoffbahnen, insbesondere inletts von steppbetten.
JPH0686882A (ja) ミシンにおける布地保持装置と基布搬送装置
JPH0262273B2 (ko)
US6189470B1 (en) Automatic pillow sham sewing machine
US566450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the side panel of a mattress sack
JPH0780174A (ja) マスクの縫製装置
US4559883A (en) Sewing machine for forming a plurality of seams
JPS6316389Y2 (ko)
JPS6125591A (ja) ベルトル−プ縫付け機用ナイフ・アセンブリ
US6082281A (en) Automatic pillow sham sewing machine
US4991527A (en) Method of attaching a strip of cloth with a zip-fastener component to a trouser forepart
WO2000042247A2 (en) Automated sewing system and method for sewing a knit glove cuff edge
JP4273192B2 (ja) 縫製機
JPS6452497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hange-over sewing of plural strip like span call in sewing machine
KR102508901B1 (ko) 총합송 재봉기용 속 노루발
JPH11319353A (ja) 剣ボロの自動縫着装置
JPH06190163A (ja) 布地の縁に縫い目を形成する方法、その装置、及び縫合により得られる縫い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