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5213B1 - 전화기 시스템에서 하울러음 발생시에 훅-스위치 자동차단방법 - Google Patents

전화기 시스템에서 하울러음 발생시에 훅-스위치 자동차단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5213B1
KR940005213B1 KR1019910005435A KR910005435A KR940005213B1 KR 940005213 B1 KR940005213 B1 KR 940005213B1 KR 1019910005435 A KR1019910005435 A KR 1019910005435A KR 910005435 A KR910005435 A KR 910005435A KR 940005213 B1 KR940005213 B1 KR 9400052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ergy
predetermined
hook
howler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5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20893A (ko
Inventor
배명진
Original Assignee
배명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명진 filed Critical 배명진
Priority to KR10199100054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5213B1/ko
Publication of KR9200208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208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52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52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9Arrangements of transmitters, receivers, or complete sets to prevent eavesdropping, to attenuate local noise or to prevent undesired transmission; Mouthpieces or receive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Supply Of Signal Current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Exchang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화기 시스템에서 하울러음 발생시에 훅-스위치 자동차단방법
제1도는 본 발명에 사용한 전화시스템의 처리 블럭의 예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단방법을 설명하는 플로우 챠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가입자라인 2 : 훅-스위치 제어회로
3 : 송수화기안착 감지 훅-스위치 4 : 송수화기
5 : 가입자라인 회로망 6 : 하울러음 감지기
7 : 송수화기방지 경고 8 : 상태 유지기
14 : 수동-자동 전환스위치
본 발명은 고도로 정보화된 현 시대에 정보전달의 매개체 역활을 하는 전화기 시스템의 효율을 높이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 통화상태를 전화기 내부에서 판단하여 전화기 동작의 유무를 제어하게 하는 전화기 시스템에서 하울러음 발생시에 훅스위치 자동차단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회가 고도로 정보화되는 지금에는 전화기가 정식품이 아닌 가정의 필수품으로 인정되고, 전화기를 통한 통신의 범위는 전세계적으로 자동 즉시 통화제기 채용되었다.
또한 전화 통화량의 계산도 기존의 도스제에서 시분제로 바뀌어져 통화 요금관리의 자동화가 이루어졌다.
이에 반해 가정에서 실제로 사용하고 있는 가입자들은 남녀노소에 무관하게 사용하기 때문에 전화자동화의 유리한점만 이해할 뿐 실제의 불이익을 안미하게 생각하는 것이 대부분의 경우이다.
그렇지만 사용 부주의로 송수화기가 방치되면 전화국의 전력이 계속 낭비됨과 동시에 가입자는 통과요금의 불이익을 감수해야 한다. 또한 외출중이거나 다른 일을 처리할 때 작동법을 잘 모르는 유아들이 장난으로 송수화기를 방치하는 경우나, 송수화기의 위치를 잘못두는 경우에는, 외부로부터 전화를 수신할 수 없는 등의 불편이 초래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전화교환기에는 하울러장치에 의해 송수화기가 방치되었음을 알려주는 하울러음 통보 기능이 있다.
그렇지만 그 통보기능이 잠시만 유효할 뿐이며 거주공간이 넓고 블럭화 되어 있는 오늘날의 주택에서는 이 하울러음을 잘 감지할 수 가 없게된다.
종래의 전화기는 멀리있는 사람과 통신할 수 있는 중요한 수단으로 사용되어 왔지만 실수로 송수화기가 방치되는 경우에는 상대방에게서 걸려오는 전화를 받을 수 없기 때문에 정보 전달체제가 두절되거나 전화국에서 공급해야하는 전력이 과다하게 낭비되는 등의 어려움이 많았다.
또한 가입자 상대방을 호출한 다음에 송수화기를 잘못 방치한 경우에는 억울하게 요금을 부담해야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이러한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전화기에 전화통화의 상태를 파악하고 있다가 일정시간 이상 신호의 소통이 이루어지지 않아 전화국 교환대에서 하울러음이 발생되면 자동으로 전화기의 훅-스위치를 차단시켜 사용상의 편리성과 시스템 성능향상을 도모코저한 것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방법을 수행하는데 관련된 전화시스템의 구성의 일예는 제1도와 같이 기존 전화기회로에 부가하는 몇개의 장치블럭(6,8,14)이 있다. 전화기회로에 부가하는 장치블럭으로는 송수화기의 위치에 무관하게 훅스위치를 차단할 수 있는 훅스위치 제어회로(2), 하울러음을 감지하는 하울러음 감지기(6), 그리고 훅-스위치의 상태에 무관하게 훅-스위치의 차단상태를 유지하는 상태유지기(8)가 구비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하울러음 검출방법은 제2도에서와 같이 가입자인(1)에서 검출된 하울러신호에 대해 단시간 에너지를 소정시간(12.5msec) 단위로 구하여 에너지 변화도를 작성하는 과정과, 상기 에너지 변화도가 소정 프레임(7프레임) 이상 레벨로 유지되면서 다음 프레임의 에너지가 현재 레벨의 소정레벨이상(1/3 이상) 상승하면 하울러음의 복합신호구간을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복합신호의 소정구간(100msec)에서 영교차율이 프레임당 소정횟수(50회) 이상 지속적으로 나타나면 FFT(Fast Fourier Transform) 알고리즘을 통해 진폭 스펙트럼을 계산하는 과정과, 상기 진폭스펙트럼에서 소정주파수(1KHZ∼3KHZ) 사이의 대역에너지가 다른 그의 주파수 대역에너지 보다 높고 소정주파수(1.6KHZ∼1.9KHZ) 사이의 스펙트럼골이 형성되면 주파수 영역에서도 하울러음 구간으로 가정한후 상기 하울러음 구간이 소정시간(100msec) 이상 지속된 후에 다시 프레임 에너지가 소정레벨(1/3) 이하로 하강되는가를 소정횟수(10회) 반복하여 훅스위치의 상태를 복귀시키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서 훅-스위치(3)가 차단되어 있을때 외부에서 전화 호출신호가 오면 가입자회로(5)에 있는 부져가 작동되어 벨이 울리게 된다. 이때 가입자가 송수화기(4)를 들어 응답하면, 하울러음 감지기(6)에서는 통과되는 하울러음 신호의 유무를 감지하여 훅-스위치 제어회로(2)를 제어하게 된다.
통화중이거나 통화가 개시된 후에 하울러음이 감지되지 않으면 훅-스위치 제어회로(2)는 정상적인 전화기의 기능을 수행하지만, 상대방 가입자의 회선이 끊어져서 전화교환기가 하울러음을 발생하게되면 전화기내에 부착한 하울러음 감지기(6)에서 이 음(tone)을 감지하게 되고, 감지신호(13)에 의해 훅-스위치(3)의 상태에 무관하게 훅-스위치 제어회로(2)가 훅-스위치(3)를 차단시키는 쪽으로 상태 유지기(8)를 작동시킨다.
이때 전화기에 부착된 표시장치에 송수화기가 방치중임을 가입자에게 알려주는 경고등을 점등시키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호출이 오면 전화가입자회로(5)에 있는 벨이 정상적으로 울리게 된다.
이때 가입자가 전화요청에 응답하기 위해 전화기를 들었으나 벨이 계속 울리면서 경고등이 켜져 있으면 전화기의 훅-스위치를 한번이상 늘렀다 놓음으로서 훅-스위치의 상태를 복귀시킬 수 있다.
외부로부터 전화호출이 없을지라도 수화기방치 경고등을 보고 송수화기의 위치를 수정하여 주면 훅-스위치 제어장치(2)는 원래의 상태로 복귀시킨다.
이렇게하면 송수화기 방치상태를 제거하여 외부에서의 통화 호출을 정상적으로 처리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훅-스위치 자동차단 제어방법은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다.
전화기에 부착되는 상기한 상태유지기(8)는 범용 메모리장치나 릴레이장치 등을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지만, 하울러음 감지기(6)의 경우는 복잡하다.
하울러음 감지기(6)은 전화라인상에 나타나는 잡음을 제거하면서 하울러신호의 유무를 검출할 수 있어야 한다.
통화되는 신호는 음성신호가 대부분이지만 최근에는 전화서비스에서 정보의 형태가 다양해서 비음성신호도 많이 나타난다.
그렇지만 교환기에서 발생되는 하울러의 신호는 단일톤의 형태가 아닌 몇개의 톤이 복잡하게 결합된 형태를 띠고 있다.
따라서 이들 신호를 검출하는 알고리즘이 필요하다.
몇개의 톤이 복합된 신호를 검출하는 방법들은 크게 시간영역법, 주파수영역법, 그리고 두 영역 결합법으로 나눌 수 있다.
시간영역에서 몇개의 톤이 복합되면 그 신호파형의 변동이 복잡하게 나타난다.
따라서 시간영역법에는 영교차율 측정법, 에너지측정법, 기본주기(피치) 측정법 등이 있으며, 처리과정은 간단한 방면 전화라인을 통해 유입되는 잡음에 약한 단점이 있다.
주파수영역법은 단시간(일예로 20msec 정도)에 나타나는 신호들의 주파수성분을 검출하여 두드러진 특정신호의 성분이 존재하면서 인근한 단시간 주파수 성분과의 비교를 통해 신호의 변동을 감지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방법은 주파수영역으로서의 변환이 필요하기 때문에 디지탈 신호처리 알고리즘을 이용한 FFT법이나 특정 대역을 갖는 필터뱅크법 등이 채용되 있다. 이러한 주파수영역법은 주파수영역으로 변환할 단시간 구간에서 특정신호성분을 검출할때 잡음은 광대역에 걸쳐서 존재하기 때문에 분산되어 나타나 그 영향이 제거될 수 있으며, 인근한 주파수성분과 비교하면 협대역잡음도 제거시킬 수 있기 때문에 주파수영역법은 잡음에 강한 성질을 띠고 있다.
따라서 하울러신호 감지기에 바람직한 처리방법의 일예는 주파수 영역법이 된다.
주파수영역 하울러신호 감지기법은 주파수영역으로의 변환이 실시간으로 이루어져야 하는 그 처리의 복잡성이 존재하지만 현재의 반도체 기술 수준은 이러한 복잡성을 충분히 극복할 수 있다.
여기에 예를든 송수화기 방치시의 전화기 제어방법은 하울러신호를 감지하고 그 처리하는 과정을 자동으로 하는 경우의 예이나 필요에 따라서는 수동-자동전환스위치(14)에 의해 수동으로 처리할 수도 있다.
수동상태(M)로 하면 전화기제어는 수화기방치에 무관하게 기존의 전화기처럼 동작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종래의 전화기가 부주의나 실수로 송수화기를 방치했을때, 전화요금의 불이익이나 통화를 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으나, 그러한 상황을 자동으로 감지해 처리해주기 때문에 전화기 고객의 서비스 관리 측면이나 전화국의 에너지 절약 및 서비스 측면에서 보다 효율적인 장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가입자라인(1)에서 검출된 하울러 신호에 대해 단시간 에너지를 소정시간 단위로 구하여 에너지 변화도를 작성하는 과정과, 상기 에너지 변화도가 소정 프레임 이상 레벨로 유지되면서 다음 프레임의 에너지가 현재 레벨의 소정레벨이상 상승하면 하울러음의 복합신호구간을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복합신호의 소정구간에서 열 교차율이 프레임당 소정횟수이상 지속적으로 나타나면 FFT 알고니즘을 통해 진폭 스펙트럼을 계산하는 과정과, 상기 진폭 스펙트럼에서 소정주파수 사이의 대역에너지가 다른 그의 주파수 대역 에너지보다 높고 소정주파수 사이의 스펙트럼 골이 형성되면 주파수 영역에서도 하울러음 구간으로 가정한후 상기 하울러음 구간이 소정시간 이상 지속된 후에 다시 프레임 에너지가 소정레벨이하로 하강되는가를 소정횟수 반복하여 훅-스위치의 상태를 복귀시키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 시스템에서 하울러음 발생시에 훅-스위치 자동차단방법.
KR1019910005435A 1991-04-02 1991-04-02 전화기 시스템에서 하울러음 발생시에 훅-스위치 자동차단방법 KR9400052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05435A KR940005213B1 (ko) 1991-04-02 1991-04-02 전화기 시스템에서 하울러음 발생시에 훅-스위치 자동차단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05435A KR940005213B1 (ko) 1991-04-02 1991-04-02 전화기 시스템에서 하울러음 발생시에 훅-스위치 자동차단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20893A KR920020893A (ko) 1992-11-21
KR940005213B1 true KR940005213B1 (ko) 1994-06-13

Family

ID=19312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5435A KR940005213B1 (ko) 1991-04-02 1991-04-02 전화기 시스템에서 하울러음 발생시에 훅-스위치 자동차단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52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9518B1 (ko) * 1997-05-06 2000-03-02 윤종용 식기세척기의 소음누설 차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20893A (ko) 1992-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92529A (en) Telephone inadvertent off-hook condition detector
US553981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n attempted three-way conference call on a remote telephone
TW339491B (en) Telecommunications system for accessing subscriber premises equipment using ring suppression
US5978470A (en) Signal-processing method and system for off-hook notification
WO2004049102A3 (en) Directing premises alarm panel to backup radio network upon detection of use of the pstn by another
KR20010034855A (ko) 팁 및 링 톤신호 검출기용 근거리 종단 음성 제거 방법 및시스템
US4408102A (en) Two-wire exchange telephone system
US7190945B1 (en) Security alarm operation in telephone device
KR940005213B1 (ko) 전화기 시스템에서 하울러음 발생시에 훅-스위치 자동차단방법
US4675901A (en) Automatic disconnect device with protected ringer
US5987119A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recovering speech path of telephone terminal and method therefor
KR940006003B1 (ko) 전화기 시스템에서 송수화기 방치시에 훅-스위치 자동 차단방법
US20080079563A1 (en) Security alarm operation in telephone device
US6185297B1 (en) Low power dialer
JP2504156Y2 (ja) 電話装置
JPH0388468A (ja)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CN1151095A (zh) 自动应答电话机在来话呼叫切换服务下对外部来话呼叫的切换方法
JPH10173791A (ja) 自動検針システムおよび網制御装置
CN1819603B (zh) 模拟中继接口盗打电话检测方法
KR0121971B1 (ko) 장난 전화 격퇴 방법
KR19980041306A (ko) 뮤트기능이 구비된 전화기
KR100202139B1 (ko) 전화 단말장치의 통화로 자동절단방법
KR940003508B1 (ko) 전화기의 신호경로와 통화경로 자동 복구방법 및 장치
GB2149615A (en) Telephone exchange
KR200243791Y1 (ko) 보안이 필요한 통화내용도청(청취) 차단전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6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