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5177Y1 - 순간온수기 - Google Patents

순간온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5177Y1
KR940005177Y1 KR2019890004867U KR890004867U KR940005177Y1 KR 940005177 Y1 KR940005177 Y1 KR 940005177Y1 KR 2019890004867 U KR2019890004867 U KR 2019890004867U KR 890004867 U KR890004867 U KR 890004867U KR 940005177 Y1 KR940005177 Y1 KR 9400051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heater
heat
decompression tank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048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9023U (ko
Inventor
마선채
Original Assignee
대우전자 주식회사
김용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전자 주식회사, 김용원 filed Critical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900048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5177Y1/ko
Publication of KR90001902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902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51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5177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0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 F24H9/2014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using electrical energy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6Arrangements for water drain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순간온수기
제1도는 본 고안 한 실시예의 종 단면도.
제2도는 동실시예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몸체 11 : 갑체
12 : 덮개 13 : 유입구
20 : 전열관 21 : 절연히터
22 : 통수공 30 : 감압탱크
31 : 온도감지센서 32 : 플로트스위치
33 : 체크 밸브
본 고안은 순간온수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시에는 절연히터가 내장된 전열관에서 그 내부로 유입된 물을 급격히 가온하고 이를 감압탱크를 통해 배출하는 한편 사용후에는 감압탱크내에 잔류하는 물을 항상 일정 온도를 유지할 수 있게끔 한 것이다.
순간온수기는 그 용량 또는 가열방식에 따라 여러가지가 있으나 본 고안에서 관계하는 순간온수기는 특히 온수세정기등에 채용되는 비교적 용량이 적은 간이형으로 통상 버너등으로 가열되는 열교환장치를 구비한 대형의 것과는 달리 그 가열원으로 전기저항을 이용한 방식이 대부분이며 이는 전열히터가 송수관 외부에 설치되는 것과 히터를 수로상에 설치하는것으로 대별할 수 있다.
상기에서 송수관 외부에 히터를 설치한 것은 도전체의 송수관 외부에 전열선을 감아 전열선의 열과 송수관의 저항열로 하여금 송수관 내부를 흐르는 물을 순간적으로 가온하게끔 된 것이지만 송수관과 전열선의 발열이 송수관 내부에 모두 투여되지 않고 외부로 발산되는 폐열이 많기 때문에 열효율이 좋지 않은 문제가 있으며 미세한 전류이기는 하지만 누전이 발생하여 전력손실 및 감전의 우려가 있다.
한편, 전열히터를 송수 경로내에 설치하는 방식은 절연히터를 사용하는 것과 절연하지 않은 노출히터를 쓰는 것으로 나눌 수 있는 바 노출히터를 쓰는 것은 누전이 발생하므로 이에 대한 대비책으로 반드시 접지단자를 설치해야 하는등 번거로운 경향이 있는 반면에 절연히터를 사용하면 누전에 대한 염려는 없게 된다.
상기에서 히터에 접촉되는 물은 급격히 온도가 상승하면서 분자활동이 활발해지며 압력이 상승하고 유속이 빨라지게 되기 때문에 종래에 있어서는 히터를 경유하기 전의 수로와 히터 경유 후의 수로 상의 유속 및 압력을 안정시키기 위해 지그재그로 된 미로형 수로를 히터 전후에 형성하여 감압 및 감속을 도모하였다. 따라서 내부구조가 복잡하여 성형이 곤란할 뿐만 아니라 순간온수기 사용 후 수로에 남아 있게 되는 물은 온도가 저하되므로 순간온수기 사용초기에는 냉수가 유출되는 문제가 있으며 별다른 안전장치가 없어 순간온수기 내부 수로에 물이 공급되지 않은 때에 히터가 가동되면 내부수로가 파손되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따라서 그 목적은 누전 및 감절의 우려를 배제하고 유속과 압력을 일정하게 하는 한편 잔수를 적정온도로 유지하게 하고 내부에 물이 공급되지 않으며 히터가 동작하지 않도록 한 순간온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갑체와 덮개로 구성되는 순간온수기 몸체 내부에 열히터가 내장되는 열전도성의 전열관을 설치하고 전열관 둘레에는 온도감지센서 및 플로트스위치 등을 설치한 감압탱크를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하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도시한 한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갑체(11)와 덮개(12)로서 몸체(10)가 구성되며 몸체(10) 내부 일측에는 열전도성의 전열관(20)이 설치되고 그 둘레에는 감압탱크(30)가 마련된다.
상기 전열관(20)의 내부에는 절연히터(21)가 설치되며 상단외주에는 수개의 통수공(22)이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전열관(20) 하단부에는 유입구(13)가 형성된다.
감압탱크(30)에는 상기 통수공(22)에 인근하여 온도감지센서(31)가 설치되며 내상단에 플로트스위치(32)가 설치되고 상단 일측에 유출구(33a) 및 플런저(33b)를 구비한 체크밸브(33)가 설치된다.
상기에서 절연히터(21), 온도감지센서(31), 플로트스위치(32)는 별도의 전기회로부(미도시)에 회로적으로 접속된다.
한편 감압탱크(30) 하단에는 배수관(14)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유입구(13) 후방에 설치되는 급수밸브(미도시)를 조작하면 이와 연동하도록 된 절연히터(21)에 통전이 되며 유입구(13)를 통해 전열관(20)으로 유입된 물은 절연히터(21)의 표면에서 발산되는 열로 급격히 가열되어 전열관(20) 상단부의 통수공(22)을 통해 감압탱크(30)로 배출되고 감압탱크(30)에서 유속 및 압력이 안정된 온수는 체크밸브(33)의 플런저(33b)를 밀어올리고 유출구(33a)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과정속에서 온도감지센서(31)는 전열관(20)의 통수공(22)을 통해 감압탱크(30)로 유입되는 물의 온도를 계속적으로 감지하여 회로적으로 접속된 절연히터(21)를 제어하게 된다.
한편 순간온수기의 사용을 중단하고자 급수밸브를 닫으면 유입구(13)로의 물의 공급은 중단되며 체크밸브(33)의 플런저(33b)가 낙하하여 외부로 부터의 역류를 방지하게 된다. 이때에도 온도 감지센서(31)는 감압탱크(30)의 내부수온을 계속적으로 감지하게 되며 수온이 저하되면 히터(21)를 가동시키게 되고 히터(21)의 작동으로 가온된 전열관(20) 내부의 물은 열전도성의 전열관(20)의 표면과 그 상단의 통수공(22)을 통해 감압탱크(30)내의 물과 열교환이 이루어지므로 항상 일정온도를 유지하게 되어 순간온수기의 사용 초기에도 온수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감압탱크(30)내의 플로트스위치(32)는 누수등을 통해 감압탱크(30)내의 수면이 저하될 경우 동작하여 절연히터(21)의 통전을 방지함으로써 전열관(20)을 포함한 순간온수기 내부를 보호하는 것이며 감압탱크(30) 하단의 배수관(14)은 청소등을 위해 감압탱크(30) 내부의 물을 교체하고자 할때 배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감압탱크(30)에 설치된 온도감지센서(31)로 하여금 내부수온을 계속적으로 감지하게 하여 감압탱크(30)의 수온을 항상 적정온도로 유지함으로써 순간온수기 사용 초기에도 온수를 공급할 수 있음은 물론 감압탱크(30)의 수위가 저하되면 플로트스위치(32)를 통해 절연히터(21)의 동작을 방지함으로써 전열관(20)을 포함한 순간온수기 내부를 보호할 수 있도록 된 신규유용의 실용적인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갑체(11)와 덮개(12)로 구성되는 몸체(10)의 내부 일측에 절연히터(21)가 내장되고 상단에는 다수의 통수공(22)이 형성된 전열관(20)을 설치하고, 전열관(20) 하부에는 유입구(13)를 형성하는 한편 상기 전열관(20) 둘레에는 상기 통수공(22)과 인근하여 온도감지센서(31)를 설치하고 내상단에 플로트스위치(32)를 설치하는 동시에 일측 상단에 체크밸브(33)를 설치한 감압탱크(30)를 마련하여서 되는 순간온수기.
KR2019890004867U 1989-04-20 1989-04-20 순간온수기 KR9400051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04867U KR940005177Y1 (ko) 1989-04-20 1989-04-20 순간온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04867U KR940005177Y1 (ko) 1989-04-20 1989-04-20 순간온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9023U KR900019023U (ko) 1990-11-08
KR940005177Y1 true KR940005177Y1 (ko) 1994-08-03

Family

ID=19285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04867U KR940005177Y1 (ko) 1989-04-20 1989-04-20 순간온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517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9023U (ko) 1990-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10791A (en) Electric instant water heater
US1731058A (en) Water heater
KR200405016Y1 (ko) 고주파 유도가열을 이용한 보일러의 가열장치
KR940005177Y1 (ko) 순간온수기
KR940005176Y1 (ko) 순간온수기
KR20190042239A (ko) 온풍 발생 기능을 갖는 저탕식 전기 온수기
KR200358234Y1 (ko) 순간가열 기능을 가지는 비데.
CN209915724U (zh) 一种安全可靠的电磁感应加热饮水机
KR20020040230A (ko) 심야전기를 이용한 온수기의 열교환기
KR940009069B1 (ko) 순간온수 가열장치
CN209915735U (zh) 带缺水检测的电磁加热饮水机
KR910008503Y1 (ko) 유도가열 방식 팬 히이터
JPS6010034A (ja) 局部洗浄装置
US2879371A (en) Electric heater
CN2235099Y (zh) 排水控热式电热水器
CN211695413U (zh) 一种多用途电磁加热装置
KR100649981B1 (ko) 직수 순간 가열식 전기 난방장치
US5903709A (en) Electrode-type steam production device with automatically controlled water inlet and outlet valves
KR200148090Y1 (ko) 동파방지수단이 일체로 구비된 가스보일러용 플로우밸브
KR20020004319A (ko) 보일러용 히트파이프
KR200219771Y1 (ko) 열매체유를 이용한 전기보일러
SU879183A1 (ru) Индукционный водонагреватель
KR900009732Y1 (ko) 전기 온수보일러
KR200238405Y1 (ko) 비닐하우스나 주택의 난방을 위한 전열선이 통과하는전기난방파이프
KR870001792Y1 (ko) 자압 분수식 세척장치의 온수용 수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73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