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5016Y1 - 고주파 유도가열을 이용한 보일러의 가열장치 - Google Patents

고주파 유도가열을 이용한 보일러의 가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5016Y1
KR200405016Y1 KR2020050028486U KR20050028486U KR200405016Y1 KR 200405016 Y1 KR200405016 Y1 KR 200405016Y1 KR 2020050028486 U KR2020050028486 U KR 2020050028486U KR 20050028486 U KR20050028486 U KR 20050028486U KR 200405016 Y1 KR200405016 Y1 KR 2004050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high frequency
frequency induction
boiler
induction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84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지혜
Original Assignee
이지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지혜 filed Critical 이지혜
Priority to KR20200500284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501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50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501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0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 F24H1/12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in which the water is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 F24H1/14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in which the water is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by tubes, e.g. bent in serpentine form
    • F24H1/16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in which the water is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by tubes, e.g. bent in serpentine form helically or spirally coiled
    • F24H1/162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in which the water is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by tubes, e.g. bent in serpentine form helically or spirally coiled using electrical energy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0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 F24H1/12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in which the water is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 F24H1/14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in which the water is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by tubes, e.g. bent in serpentine form
    • F24H1/142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in which the water is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by tubes, e.g. bent in serpentine form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8Water-storage heaters
    • F24H1/20Water-storage heaters with immersed heating elements, e.g. electric elements or furnace tubes
    • F24H1/201Water-storage heaters with immersed heating elements, e.g. electric elements or furnace tubes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48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incorporating heaters for domestic water
    • F24H1/52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incorporating heaters for domestic water incorporating heat exchangers for domestic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09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water heaters
    • F24H9/1818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2250/00Electrical heat generating means
    • F24H2250/08Ind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Induction Hea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보일러의 가열장치에 내장되던 온수관을 제거하고, 상기 고주파 유도가열장치와 그 외부 케이스 내의 간격을 소정 간격으로 밀접하게 유지함으로써 가열효과를 극대화하여 난방효율을 높임과 동시에 부품수 절감과 제품의 부피 최적화로 공간활용에 따른 비용절감의 효과를 누리도록 한 고주파 유도가열을 이용한 보일러의 가열장치에 관한 것으로, 저면이 폐쇄된 원통형의 케이스(111)로 구성되며, 상기 케이스(111)의 하방 일측과 그 상단 일측에는 입수관 연결부(112) 및 출수관 연결부(113)가 각각 형성되는 가열장치부(110)를 형성하되, 상기 가열장치부(110)의 케이스(111)와 고주파유도가열부(120)의 가열관(121) 사이의 간격(A)이 일정 거리를 유지하도록 근접하게 상기 고주파유도가열부(120)를 상기 가열장치부(110)의 내부에 삽입 장착시킨 후 상기 케이스(111)의 상부를 캡(116)으로 밀봉시켜 구성한 것이다.
유도가열, 보일러, 열교환, 케이스

Description

고주파 유도가열을 이용한 보일러의 가열장치{A HEATING DEVICE OF BOILER USING HIGH FREQUENCY INDUCTION HEATING}
도 1은 종래의 고주파 유도가열을 이용한 보일러의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고주파 유도가열을 이용한 보일러의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고주파 유도가열을 이용한 보일러의 가열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4는 상기 도 3의 결합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고주파 유도가열을 이용한 보일러의 가열장치의 히터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보일러 110: 가열장치부
111: 본체 112: 입수관 연결구
113: 출수관 연결구 114, 115: 돌출부
116: 캡 117: 홈부
120: 고주파유도가열부 121: 가열관
122: 절연관 123: 유도코일
130: 열교환기 140: 순환펌프
150: 삼방밸브 160: 난방배관
170: 히터
본 고안은 고주파 유도가열방식을 적용한 보일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주파 유도 가열되는 가열장치에 내장되던 온수관을 제거하고, 상기 고주파 유도가열장치와 그 외부 케이스 내의 간격을 소정 간격으로 밀접하게 유지함으로써 가열효과를 극대화하여 난방효율을 높인 고주파 유도가열을 이용한 보일러의 가열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유가의 지속적인 상승으로 경유나 가스 보일러에 비하여 그 유지비용이 저렴한 전기보일러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러한 전기보일러 중에서도, 유도전류를 이용한 고주파 발열(High Frequency Heating) 방식의 보일러가 각광을 받고 있다.
이는 상기 유도가열방식의 전기보일러가 일반 히터가열방식의 전기보일러에 비하여 소비전력이 월등하게 적게 소모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배경하에서, 선행기술로 실용신안등록 제352635호(고주파 유도가열을 이용한 보일러장치)가 개시된 바 있다.
이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보일러(10)는 난방수가 채워지는 사각형상의 본체(11)가 구성되고, 상기 본체(11)의 내부 중앙에는 제1가열실(13)과 제2가열실(14)로 구분하는 격판(12)이 설치되며, 상기 격판(12)의 상부는 일정부분 개구되어 제1가열실(13)과 제2가열실(14)로 난방수의 흐름이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제1가열실(13)의 저면에는 난방수환수관(16)을 형성하고, 상기 제2가열실(14)의 측면에는 난방수입수관(15)을 형성하여, 난방수가 난방수입수관(15)을 통해 난방배관(17)으로 흐르고, 상기 난방배관(17)을 경유한 난방수가 순환펌프(18)를 통해 난방수환수관(16)으로 유입 순환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가열실(13)(14)에는 난방수를 온도를 상승시키기 위한 발열장치인 유도가열장치(20)(40)와 가열부재(30)(50)가 각각 한 쌍으로 형성된다.
상기 유도가열장치(20)(40)는 내부에 유도코일(22)(42)이 형성된 원통형의 절연관(21)(41)과, 상기 절연관(21)(41)의 외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원통형의 가열관(23)(43)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유도가열장치(20)(40)의 발열원리를 살펴보면, 상기 유도코일(22)(42)에 소정의 주파수(20~25kHz)를 가진 전압이 인가되면 이 코일에 유도 기전력이 발생되고, 이 기전력은 절연관(21)(41)과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된 가열관(22)(42)을 2차 여기 시킴으로써 상기 가열관(22)(42) 주위의 온도는 급격하게 상승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가열부재(30)(50)는 상기 유도가열장치(20)(40)의 외부를 각각 감싸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원통형상이고 전도성 재질로 구성되며, 인가된 전압에 비례하여 스스로 발열하는 일종의 히터와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보일러(10)에는 온수관(40)이 더 설치된다.
상기 온수관(40)의 설치구조를 보면, 본체(11)의 제1가열실(13)로 유입되는 온수관(60)은 상기 유도가열장치(20)의 가열관(23)과 가열부재(30) 사이의 공간에 스프링 형상으로 감싸도록 설치된 후, 격벽(12) 상부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제2가열실(14)로 이어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가열실(14)로 인입된 온수관(60)은 상기와 동일한 구조로, 유도가열장치(40)의 가열관(43)과 가열부재(50) 사이의 공간에 스프링 형상으로 감싸도록 설치된 후, 제2가열실(14)의 일측을 통해 온수 수도꼭지로 연결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온수관(60)에는 온수의 흐름을 감지하는 유수감지기(70)가 더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온수관(60)의 설치 구조를 스프링 구조로 형성하는 것은 관의 표면적을 크게 함으로써 수온이 보다 효율적으로 상승 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보일러(10)는 난방시에는 유도가열장치(20)(40)의 유도가열에 의해, 가열관(23)(43)의 표면 온도가 급격히 상승함과 동시에 가열부재(30)(50)의 발열로 상기 유도가열장치(20)(40)와 가열부재(30)(50) 사이의 공간에 있는 난방수의 온도는 급격히 상승하게 된다. 이렇게 급격히 상승된 난방수는 제1 및 제2가열실(13)(14) 전체의 난방수의 온도를 상승시키게 되고, 상기 제2가열실(14)의 난방수가 난방수입수관(15)을 통해 난방배관(17)으로 흘러 난방작용을 수 행하고 다시 난방수환수관(16)을 통해 제1가열실(13)로 입수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한편, 온수 사용시에는 유수감지기(70)가 이를 감지하여 온수 사용에 따른 보일러 구동을 개시한다. 따라서 온수관(60)으로 유입되는 온수는 제1가열실(13)에 위치한 온수관(60)을 흐르면서 1차적으로 수온이 상승 된다. 그리고 제2가열실(14)에 위치한 온수관(60)으로 흐르면서, 더욱 수온이 상승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온수는 2번의 가열과정을 통해 매우 신속하게 수온이 상승 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이와 같이 수온이 상승한 온수는 유수감지기(50)를 통해 수도꼭지로 배출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유도가열방식 보일러(10)는 보일러 가열장치의 구조가 다소 복잡하고 그에 따른 부품 수가 증가하여 비용의 상승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가열장치 내에 온수관이 내장되어 그 부피가 커져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보일러의 가열장치에 내장되던 온수관을 제거하고, 상기 고주파 유도가열장치와 그 외부 케이스 내의 간격을 소정 간격으로 밀접하게 유지함으로써 가열효과를 극대화하여 난방효율을 높임과 동시에 부품수 절감과 제품의 부피 최적화로 공간활용 에 따른 비용절감의 효과를 누리도록 한 고주파 유도가열을 이용한 보일러의 가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내부에 유도코일이 권취 형성된 원통형의 절연관, 상기 절연관의 외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원통형의 가열관으로 구성되는 고주파유도가열부와, 열교환기와, 순환펌프와, 삼방밸브와, 난방배관을 포함하는 고주파 유도 가열 방식을 이용한 전기보일러에 있어서, 저면이 폐쇄된 원통형의 케이스로 구성되며, 상기 케이스의 하방 일측과 그 상단 일측에는 입수관 연결부 및 출수관 연결부가 각각 형성되는 가열장치부를 형성하되, 상기 가열장치부의 케이스와 상기 고주파유도가열부의 가열관 사이의 간격이 일정 거리를 유지하도록 근접하게 상기 고주파유도가열부를 상기 가열장치부의 내부에 삽입 장착시킨 후 상기 케이스의 상부를 캡으로 밀봉시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가열장치부 케이스의 출수관 연결부 부위와 다른 측면에는 내부에 홈부를 가지는 돌출부가 더 형성되는 특징을 가진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가열장치부의 케이스와 고주파유도가열부의 가열관 사이의 간격은 2.5m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가열장치부의 출수관에는 히터가 내장 설치되어 난방수를 2차로 가열하여주는 보조 가열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고주파 유도가열을 이용한 보일러의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 보일러(100)는 난방수를 생성(가열)하는 가열장치부(110)와, 상기 가열장치부(110)에 내장되어 고주파 유도 가열을 통해 표면을 가열, 난방수를 생성하는 고주파유도가열부(12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가열장치부(110) 및 고주파유도가열부(120)를 통해 가열된 난방수는 출수관(102)를 통해 열교환기(130)로 유출되고, 상기 열교환기(130)는 원수관(103)을 통해 직수를 공급받으며, 온수관(105)을 통해 온수를 배출하거나, 유출관(104)을 통해 난방수(또는 직수)를 유출시킨다.
상기 열교환기(130)의 유출관(104)을 통해 유출된 난방수는 순환펌프(140)를 거쳐 삼방밸브(150)로 흐르고, 온수만 사용시에는 상기 삼방밸브(150)의 절환 동작에 따라 분기관(106)을 통해 가열장치부(110)의 입수관(101)으로 순환 유입되며, 난방시에는 삼방밸브(150)의 절환 동작으로 난방수는 난방배관(160)을 통해 입수관(101)으로 흐르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가열장치부(110)의 출수관(102)에는 히터(170)가 내장 설치되어 난방수를 2차로 가열하여주는 보조 가열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즉 도 5에서와 같이, 출수관(102)에 ㄱ자형의 절곡되는 관 형태를 구성하고, 그 내부에 보조 히터(170)를 캡(171)을 통해 내장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출수관(102)을 통해 유출되는 난방수는 상기 히터(170)의 가열로 더 더욱 가열되어 난방효율을 배가시키게 된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172는 히터 전원공급용 전선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 보일러(100)의 상기 가열장치부(110) 및 고주파유도가열부(120)의 보다 상세한 구성이 도 3 및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우선, 상기 가열장치부(110)는 저면이 폐쇄된 원통형의 케이스(111)로 구성되며, 상기 케이스(111)의 하방 일측과 그상단 일측에는 입수관 연결부(112) 및 출수관 연결부(113)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111)의 출수관 연결부(113) 부위와 다른 측면에는 내부에 홈부(117)를 가지는 돌출부(114)(115)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111)의 내부에는 고주파유도가열부(120)가 내장되며, 상기 케이스(111)의 상부에 캡(116)으로 밀봉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고주파유도가열부(120)는 내부에 유도코일(123)이 권취 형성된 원통형의 절연관(122)과, 상기 절연관(122)의 외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원통형의 가열관(121)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고주파유도가열부(120)는 상기 가열장치부(110)의 케이스(111) 내부에 삽입 장착되는데, 이때 케이스(111)와 고주파유도가열부(120)의 가열관(121) 사이의 간격(A)은 약 2.5mm로 매우 근접하도록 유지시켜준다.
상기 간격(A)은 본 고안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구성요소이다. 이와 같이 가열관(121)과 가열장치부(110)의 케이스(111) 사이를 매우 근접시키는 이유는 난방수를 빠른 속도로 가열시키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동작을 살펴본다.
먼저, 전원이 인가되면 고주파유도가열부(120)의 유도코일(123)에 유도 기전력이 발생된다. 상기 유도코일(123)에서 발생된 기전력은 절연관(122)과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된 가열관(121)을 2차 여기 시킨다.
상기 가열관(121)이 2차 여기되어 가열관(121) 표면의 주위 온도는 급격하게 상승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가열관(121)과 가열장치부(110)의 케이스(111) 사이에 채워진 난방수는 급격하게 수온이 상승하며, 약 10~20초 사이에 상기 가열관(121)과 가열장치부(110)의 케이스(111) 사이의 채워진 난방수는 끊게 된다. 상기 끊는 시간은 상기 가열관(121)과 가열장치부(110)의 케이스(111) 사이의 거리(A)를 약 2.5mm로 한 경우이다.
이렇게 급격히 끊게 되는 난방수는 가열장치부(110) 내의 모든 난방수로 전이되고, 수온 상승한 난방수는 출수관(102)을 통해 유출된다.
상기 출수관(102)을 통해 유출된 난방수는 히터(170)를 통해 다시 한번 가열되면서 난방수는 최고점을 향해 수온 상승한다.
상기 히터(170)를 통해 2차 가열된 난방수는 열교환기(130)로 유입된다.
여기서, 온수만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난방수는 온수관(105)을 통해 배출되고 동시에 상기 열교환기(130)의 유출관(104)을 통해 순환펌프(140)를 거쳐 삼방밸브(150)로 흐르고, 상기 삼방밸브(150)의 절환 동작에 따라 분기관(106)을 통해 가열장치부(110)의 입수관(101)으로 순환 유입된다.
한편, 난방시에는 삼방밸브(150)의 절환 동작으로 난방수는 난방배관(160)을 통해 입수관(101)으로 흐르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보일러의 가열장치에 내장되던 온수관을 제거하고, 상기 고주파 유도가열장치와 그 외부 케이스 내의 간격을 소정 간격으로 밀접하게 유지함으로써 가열효과를 극대화하여 난방효율을 높임과 동시에 부품수 절감과 제품의 부피 최적화로 공간활용에 따른 비용절감의 효과를 가지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4)

  1. 내부에 유도코일(123)이 권취 형성된 원통형의 절연관(122), 상기 절연관(122)의 외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원통형의 가열관(121)으로 구성되는 고주파유도가열부(120)와, 열교환기(130)와, 순환펌프(140)와, 삼방밸브(150)와 난방배관(160)을 포함하는 고주파 유도 가열 방식을 이용한 전기보일러에 있어서,
    저면이 폐쇄된 원통형의 케이스(111)로 구성되며, 상기 케이스(111)의 하방 일측과 그 상단 일측에는 입수관 연결부(112) 및 출수관 연결부(113)가 각각 형성되는 가열장치부(110)를 형성하되, 상기 가열장치부(110)의 케이스(111)와 상기 고주파유도가열부(120)의 가열관(121) 사이의 간격(A)이 일정 거리를 유지하도록 근접하게 상기 고주파유도가열부(120)를 상기 가열장치부(110)의 내부에 삽입 장착시킨 후 상기 케이스(111)의 상부를 캡(116)으로 밀봉시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유도가열을 이용한 보일러의 가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장치부(110) 케이스(111)의 출수관 연결부(113) 부위와 다른 측면에는 내부에 홈부(117)를 가지는 돌출부(114)(115)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유도가열을 이용한 보일러의 가열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장치부(110)의 케이스(111)와 고주파유도가열부(120)의 가열관(121) 사이의 간격(A)은 2.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유도가열을 이용한 보일러의 가열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장치부(110)의 출수관(102)에는 히터(170)가 내장 설치되어 난방수를 2차로 가열하여주는 보조 가열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유도가열을 이용한 보일러의 가열장치.
KR2020050028486U 2005-10-06 2005-10-06 고주파 유도가열을 이용한 보일러의 가열장치 KR2004050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8486U KR200405016Y1 (ko) 2005-10-06 2005-10-06 고주파 유도가열을 이용한 보일러의 가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8486U KR200405016Y1 (ko) 2005-10-06 2005-10-06 고주파 유도가열을 이용한 보일러의 가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5016Y1 true KR200405016Y1 (ko) 2006-01-11

Family

ID=41756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8486U KR200405016Y1 (ko) 2005-10-06 2005-10-06 고주파 유도가열을 이용한 보일러의 가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5016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3925B1 (ko) 2006-05-30 2007-06-04 주식회사 에이스테크 수평식 고주파 유도 가열 장치
KR100749044B1 (ko) 2006-08-24 2007-08-13 주식회사 삼흥기업 축열층 안정 고주파 유도가열 보일러장치
KR100749043B1 (ko) 2006-08-24 2007-08-13 주식회사 삼흥기업 고주파 유도가열 보일러장치
WO2008007819A1 (en) * 2006-07-10 2008-01-17 Ktl Co., Ltd. Induction boiler
CN109405271A (zh) * 2018-12-25 2019-03-01 长春市龙阳电气设备有限公司 一种电磁感应加热装置
KR102328167B1 (ko) 2021-06-08 2021-11-18 박상영 직렬코어 인덕션 보일러 가열시스템
KR102328166B1 (ko) 2021-06-08 2021-11-18 박상영 인덕션 보일러 가열시스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3925B1 (ko) 2006-05-30 2007-06-04 주식회사 에이스테크 수평식 고주파 유도 가열 장치
WO2008007819A1 (en) * 2006-07-10 2008-01-17 Ktl Co., Ltd. Induction boiler
KR100749044B1 (ko) 2006-08-24 2007-08-13 주식회사 삼흥기업 축열층 안정 고주파 유도가열 보일러장치
KR100749043B1 (ko) 2006-08-24 2007-08-13 주식회사 삼흥기업 고주파 유도가열 보일러장치
CN109405271A (zh) * 2018-12-25 2019-03-01 长春市龙阳电气设备有限公司 一种电磁感应加热装置
KR102328167B1 (ko) 2021-06-08 2021-11-18 박상영 직렬코어 인덕션 보일러 가열시스템
KR102328166B1 (ko) 2021-06-08 2021-11-18 박상영 인덕션 보일러 가열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5016Y1 (ko) 고주파 유도가열을 이용한 보일러의 가열장치
KR200430701Y1 (ko) 순간가열식 전기 보일러
KR100957822B1 (ko) 고주파 가열 보일러
JP4332469B2 (ja) 加熱水蒸気発生装置
CN113465183B (zh) 燃气热水器
KR100749044B1 (ko) 축열층 안정 고주파 유도가열 보일러장치
KR100539453B1 (ko) 고주파 유도가열을 이용한 보일러 장치
KR20110030035A (ko) 전기보일러의 온수가열관 구조 및 이를 구비한 전기보일러
KR100815719B1 (ko) 수직형 전기보일러.
KR101683011B1 (ko) 플렉시블 필름히터를 적용한 온수모듈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온수매트
KR102174356B1 (ko) 고주파 유도 가열 보일러
KR20070097272A (ko) 고주파 유도 가열 전기보일러
KR100749043B1 (ko) 고주파 유도가열 보일러장치
CN210624894U (zh) 一种内置式磁感应流体加热元件及其装置
KR200406352Y1 (ko) 전기히터봉 삽입식 히트파이프
RU180381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ндукционного нагрева жидкости
KR200421462Y1 (ko) 나선형 유로의 원통형 히터 구조
CN201078303Y (zh) 发动机液体加热器
CN216644174U (zh) 加热器和家用电器
CN208186839U (zh) 一种热水加热结构
KR20200001256A (ko) 열교환기 및 그를 가지는 가온장치
KR100958693B1 (ko) 축열식 보일러
CN212902005U (zh) 电磁加热器
KR101867329B1 (ko) 토네이도 유도 액체 전기 가열장치
KR200290896Y1 (ko) 축열재를 이용한 전열식 보일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2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