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4978B1 - 전자레인지의 가열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전자레인지의 가열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4978B1
KR940004978B1 KR1019910021341A KR910021341A KR940004978B1 KR 940004978 B1 KR940004978 B1 KR 940004978B1 KR 1019910021341 A KR1019910021341 A KR 1019910021341A KR 910021341 A KR910021341 A KR 910021341A KR 940004978 B1 KR940004978 B1 KR 9400049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heating
inlet
pulse width
exhaust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21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0458A (ko
Inventor
김정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이헌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이헌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10199100213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4978B1/ko
Publication of KR9300104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04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49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49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 Ovens (AREA)
  • Control Of High-Frequency Heating Circui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자레인지의 가열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제1도는 종래의 가열 장치를 보인 블록도.
제2도는 제1도의 신호처리수단의 구성을 보인 상세 회로도.
제3도는 본 발명의 가열 제어장치를 보인 블록도.
제4도는 제1도의 흡입구 및 배기구 신호처리 수단의 실시예를 보인 상세회로도.
제5도는 본 발명의 가열 제어장치에 사용되는 초전센서를 보인 평면도.
제6a도, 제6b도는 제4도의 각부의 동작 파형도.
제7도는 본 발명의 가열 제어방법을 보인 신호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a : 흡입구 11b : 배기구
12 : 가열실 13 :음식물
17 : 마그네트론 18 : 팬모타
19, 20 : 초전센서 21 : 흡입구 신호처리수단
22 : 배기구 신호처리수단 24 : 제어부
25 : 전원공급부 26 : 세라믹판
27 : 금속원판 OP11, OP12 : 연산 증폭기
R11, -R13, R15 -R17 : 저항
본 발명은 전자레인지의 가열실의 흡입구와 배기구에 초전센서를 부착하여 온도의 변화를 검출하고 전자레인지의 연속동작에 따른 흡기구와 배기구의 온도특성에 대하여 적절한 보상값을 설정한 후 음식물을 가열함으로서 신뢰성이 높고, 연속 동작시에도 동일한 요리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전자레인지의 가열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자레인지는 가열실에서 배기되는 배기공기의 습도를 습도센서로 검출하고 검출한 습도에 따라 음식물의 요리를 제어하였다. 즉, 종래의 전자레인지의 가열 제어장치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의 가열실(2)내에 요리할 음식물(3)을 안착시키기 위한 턴테이블(4)이 설치되어 있고, 가열실(2)내로 전자파를 출력하기 위한 마그네트론(5)이 설치되어 있으며, 흡입구(1A)에는 팬모타(6)가 설치되어 가열실(2)로 외부공기를 유입시키며, 가열실(2)에서 공기가 배기되는 배기구(1B)에 습도센서가(7)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습도센서(7)의 변화를 신호처리수단(8)이 검출하고, 신호처리수단(8)이 출력하는 습도검출신호에 따라 제어부(9)가 팬모타(6)의 구동을 제어하게 함과 아울러 마그네트론 구동부(10)를 제어하여 마그네트론 구동부(10)가 마그네트론(5)에 전원을 공급 및 구동시키게 구성하였다. 신호처리수단(8)은,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습도센서(7)의 개방형 더미스터(TR1) 및 밀폐형 더미스터(RT2)와 저항(R1,R2)으로 브리지 회로를 형성하여 개방형 더미스터(RT1) 및 저항 (R1)의 접속 점에 전원(-Vcc)이 저항(R3)을 통해 인가되게 접속하고, 밀폐형 더미스터(RT2) 및 저항 (R2)의 접속점은 접지시키며, 저항(R1)(R2)의 접속점은 연산 증폭기(OP1)의 비반전 입력단자에 접속시키며, 개방형 더미스터(RT1) 및 밀폐형 더미스터(RT22)의 접속점은 저항(R4)을 통해 연산증폭기(OP1)의 반전입력단자에 접속시켜 연산증폭기(OP1)의 출력단자를 저항(R5)을 통해 그의 반전 입력단자에 궤환 접속시킴과 아울러 저항(R6)을 통해 다이오드(D1)의 캐소드 및 제어부(9)의 입력단자에 접속시켜 구성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전자레인지의 가열 제어장치는 전원(-Vcc)이 인가된 상태에서 가열실(2)의 턴데이블(4)에 요리할 음식물(3)을 안착시킨 후 요리를 시작하면, 제어부(9)는 팬모타(6)를 구동시켜 외부공기를 흡입구(1A)를 통해 가열실(2)로 유입시킴과 아울러 마그네트론 구동부(10)를 제어하여 마그네트론 구동부(10)가 마그네트론(5)을 구동 및 가열실(2)로 전자파를 출력하게 된다.
그러므로 마그네트론(5)이 출력하는 전자파에 의해 음식물(3)이 가열되고, 가열에 따라 발생되는 수증기가 흡입구(1A)로 유입되는 외부공기와 혼합되어 배기구(1B)로 배기된다. 이때 음식물을 가열하는 초기시간에는 음식물(3)에서 발생되는 증기량이 미소하므로 배기구(1B)로 배기되는 공기는 흡입구(1A)로 유입되는 외부공기와 거의 비슷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음식물(3)의 가열이 진행됨에 따라 음식물(3)에서 발생되는 증기량이 점차적으로 많아지게 되고, 그 발생된 증기는 외부공기와 혼합되어 배기구(1B)로 배기되며, 배기구(1B)에 설치되어 있는 습도센서(7)가 배기구(1B)로 배기되는 증기량에 따른 습도를 검출하며, 검출한 습도를 신호처리수단(8)이 제어부(9)에 입력시키게 된다.
여기서, 습도센서(7)는 개방형 더미스터(RT1)와 밀폐형 더미스터(RT2)로 구성되어 외부공기에 혼합된 증기가 개방형 더미스터(RT1)에만 접촉되고, 밀폐형 더미스터(RT2)에는 접촉되지 않으므로 개방형 더미스터(RT1)의 열전도율이 밀폐형 더미스터(RT2)의 열전도율보다 커지게 되어 상대적으로 저항값이 커지게 된다.
그러므로 개방형 더미스(RT1)의 양단간의 전압이 밀폐형 더미스터(RT2)의 양단간의 전압보다 높게 되어 개방형 더미스터(RT1), 밀폐형 더미스터(RT2) 및 저항(R1,R2)으로 구성되는 브리지 회로의 전압평형상태가 무너지게 되고, 그 전압차가 연산증폭기(OP1)에서 증폭된 후 제어부(9)에 입력되므로 제어부(9)는 신호처리수단(8)의 출력신호에 따라 음식물(3)의 요리 진행상태를 판별하고, 그 판별한 요리 진행상태에 따라 음식물(3)의 요리를 제어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전자레인지의 가열 제어장치는, 습도센서(7)로, 소자의 표면에 흡착되는 증기에 의하여 전지저항이 변화되는 절대습도센서를 사용할 경우에는 음식물을 조리함에 따라 소자의 표면이 오며되고, 이로 인하여 습도를 검출하는 감도가 저하됨은 물론 센서와, 주변회로의 구성이 매우 복잡하고, 누설되는 전자파에 의하여 많은 영향을 받아 습도변화를 정확히 검출할 수 없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습도센서(7)로 상대 습도센서를 사용할 경우에는 높은 온도에서 사용할 수 없고, 오븐 요리를 수행한 후에는 바로 자동요리를 수행할 수 없으며, 음식물(3)의 가열시 급격한 습도의 변화를 감지하므로 음식물(3)을 과조리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초전센서의 온도에 대한 유전율의 변화를 이용하여 가열실의 흡입구와 배기구의 온도를 검출하고, 음식물을 가열하기 전에 초전센서가 검출한 흡입구 및 배기구의 온도차로 보상값을 설정한 후 음식물의 요리를 시작하며, 음식물의 요리에 따라 배기구의 온도가 보상값만큼 상승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검출하여 음식물의 요리를 제어함으로서 전자레인지의 연속 동작에서도 동일한 요리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가열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목적이 있는 것으로 이를 첨부한 제3도 내지 제7도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는 본 발명의 가열 제어장치를 보인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레인지 본체(11)의 가열실(12)내에 음식물(13)이 안착되는 턴테이블(14)을 설치하여 모타(15)의 구동에 따라 턴테이블(14)이 회전하게 하고, 고압트랜스(16)가 출력하는 고압에 따라 마그네트론(17)에 구동되어 가열실(12)로 전자파를 출력하게 하며, 팬모타(18)의 구동에 따라 외부공기가 고압트랜스(16) 및 마그네트론(17)을 냉각시킨후 흡입구(11A)를 통해 가열실(12)로 유입되고, 배기구(11B)를 통해 배기되게 하였다.
그리고 흡입구(11A) 및 배기구(11B)에 검출온도에 따라 유전율이 가변되는 초전센서(19)(20)를 설치하고, 초전센서(19)(20)의 유전율의 가변에 따라 흡입구 신호처리수단(21) 및 배기구 신호처리수단(22)이 온도 검출신호를 출력하여, 조작부(23)의 조작, 흡입구 신호처리수단(21) 및 배기구 신호처리수단(22)의 출력 신호에 따라 제어부(24)가 전원공급부(25)를 제어하여 고압트랜스(16), 마그네트론(17) 및 팬모타(18)에 동작전원을 공급 및 구동시키게 함과 아울러 조작부(23)에 전자레인지의 동작상태를 표시하게 구성하였다.
제어부(24)는 내부에 펄스신호의 폭을 검출하는 제1-제4측정수단(24A-24D)과, 검출한 펄스신호의 폭을 저장하는 제1-제3기록수단(24E-24G)이 내장되어 있다. 흡입구 신호처리수단(21)의 배기구 신호처리수단(22)은,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Vcc)에 저항(R11,R12) (R13,R14)을 직렬로 연결하여 저항 (R11,R12) (R13,R14)의 접속점을 연산증폭기 (OP11)(OP12)의 비반전 입력단자에 각기 접속하고, 연산증폭기(OP11,OP12)의 반전 입력단자에는 초전센서(19)(20)를 접속하여 연산증폭기(OP11)(OP12)의 출력단자를 제어부(24)의 입력단자에 궤환 접속하고, 저항(R14)(R18)을 통해서는 반전 입력단자에 궤환 접속하여 구성하였다.
상기에서 초전센서(19)(20)는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라믹판(26)에 금속원판(27)이 설치되고, 리드선(28)이 연결되어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유전율이 증가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가열 제어장치는 전원(Vcc)이 인가된 상태에서 가열실(12)의 턴테이블(14)에 요리할 음식물(13)을 안착시키고, 조작부(23)를 조작하여 제어부(24)에 입력시키면, 제어부(24)는 전원공급부(25)를 제어하여 팬모타(18)를 구동시키게 되고, 팬모타(18)의 구동에 따라 외부공기가 고압트랜스(16) 및 마그네트론(17)을 통과하고, 흡입구(11A)를 통해 가열실 (12)로 유입된 후 배기구(11B)를 통해 외부로 배기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초전센서(19)(20)는 흡입구(11A) 및 배기구(11B)의 온도에 따라 유전율이 가변되고, 유전율의 가변에 따라 흡입구 및 배기구 신호처리수단(21)(22)이 온도 검출신호를 출력하여 제어부(24)에 입력시키게 된다.
즉, 흡입구 신호처리수단(21)은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Vcc)이 저항(R11,R12)에 의해 분할되어 연산증폭기(OP11)의 비반전 입력단자에 인가되고, 초기에는 초전센서(19)에 충전된 전원이 없으므로 연산증폭기(OP11)는 제6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전위를 출력하고, 출력한 고전위는 저항(R14)을 통해 제6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전센서(19)에 충전되면서 연산증폭기(OP11)의 반전 입력단자에 인가되며, 이때 연산증폭기(OP11)의 비반전 입력단자에는 연산증폭기(OP11)가 출력한 고전위이다.
전원(Vcc)이 저항(R11-R13)으로 분할되어 높은 기준전압(VH)이 인가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초전센서(19)에 충전된 전압이 기준전압(VH)이상으로 되면, 연산증폭기(OP11)가 저전위를 출력하게 되므로 초전센서(19)의 충전전압이 저항(R14)을 통해 연산증폭기(OP11)의 출력단자로 출력되고, 이때 연산증폭기(OP11)가 저전위를 출력함에 따라 저항(R12,R13)이 등가적으로 병렬접속되므로 연산증폭기(OP11)의 비반전 입력단자에는 낮은 기준전압(VL)이 인가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초전센서(19)의 충전전압이 기준전압(VL)이하로 방전되면, 연산증폭기 (OP11)가 고전위를 출력하는 것을 반복하여 연산증폭기(OP11)는 펄스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즉, 출입구 신호처리수단(21)은, 흡입구(11A)의 온도에 따라 초전센서(19)의 정전용량이 가변되게 하고, 그 초전센서(19)의 정전용량에 따라 연산증폭기(OP11)가 펄스신호를 출력하며, 출력한 펄스신호의 전위에 따라 저항(R11-R13)이 가변되는 기준전압(VH)(VL)을 인가하여 히스테리시스 폭을 갖게 함으로서 흡입구(11)의 온도가 상승하여 초전센서(19)의 정전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연산증폭기(OP11)가 출력하는 펄스신호의 폭은 넓어지게 된다. 그리고 배기구 신호처리수단(22)도 흡입구 신호처리수단(21)과 동일하게 동작하여 배기구(11B)의 온도에 따라 폭이 가변되는 펄스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와 같이 흡입구 및 배기구 신호처리수단(21)(22)이 흡입구(11A) 및 배기구(11B)의 온도에 따른 펄스신호를 출력하면, 제어부(24)는 제1측정수단(24A)으로 흡입구 신호처리수단(21)이 출력하는 펄스신호의 폭을 검출 및 제1기록수단(24E)에 저장하고, 일정시간후 제2측정수단(24B)으로 흡입구 신호처리수단(21)이 출력하는 펄스신호의 폭을 검출하여 흡입구(11A)의 온도가 안정되었는지를 판별하여 안정되었을 경우에 검출한 펄스신호의 폭을 제2기록수단(24F)에 저장한다. 그리고 제3측정수단(24C)으로 배기구 신호처리수단(22)이 출력하는 펄스신호의 폭을 검출 및 제3기록수단(24G)이 저장하고, 보상값을 설정하며, 보상값으로 가열온도를 설정한 후 전원공급부(25)를 통해 마그네트론(17)을 구동시켜 음식물(13)을 가열하며, 제4측정수단(24D)으로 배기구(11B)의 온도를 검출하여 설정된 가열온도를 상승되면, 가열온도로 상승하는데 소요된 시간으로 추가 가열시간을 설정 및 마그네트론(17)을 구동시켜 음식물(13)을 요리한다.
한편, 제7도는 본 발명의 가열 제어방법을 보인 신호흐름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물(13)의 요리시 제어부(24)는 단계(100)에서 팬모타(18)를 구동시키고, 단계(101)에서 제1측정수단(24A)으로 흡입구 신호처리수단(21)이 흡입구(11A)의 온도에 따라 출력하는 펄스신호의 평균폭(T1)을 검출하여 단계(102)에서 제1기록수단(24E)에 저장하고, 단계(103)에서 10초가 경과되었는지를 판별하여 10초가 결과되면, 단계(104)에서 제2측정수단(24B)으로 흡입구(11A)의 펄스신호의 평균폭(T2)을 검출한 후 단계(105)에서 평균폭(T1)에서 평균폭(T2)을 감산하여 감산한 값이 설정값 이하 즉, 흡입구(11A)의 온도가 안정되었는지를 판별한 후 안정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단계(103)부터 반복수행하고, 안정되었을 경우에는 단계(106)에서 제2기록수단(24F)에 평균폭(T2)을 저장한다.
단계(107)에서 제3측정수단(24C)으로 배기구(11B)의 펄스신호의 평균폭(T3)을 검출하고, 간계(108)에서 제3기록수단(24G)에 평균폭(T3)을 저장한 후 단계(109)에서 흡입구(11A) 및 배기구(11B)의 펄스신호의 평균폭(T2)(T3)으로 보상분(δ)을 설정하고, 단계(110)에서 보상온도(Δt)에서 보상분(δ)를 감산하여 새로운 보상온도(Δt)를 계산하며, 단계(111)에서 배기구(11B)의 펄스 신호의 평균폭(T3)에 새로운 보상온도(Δt)를 가산하여 가열폭을 설정한다.
이와 같이 가열폭이 설정되면, 단계(112)에서 전원공급부(25)를 제어하여 마그네트론(17)을 구동 및 음식물(13)을 가열하고, 단계(113)에서 음식물(13)의 가열시간을 카운트하며, 단계(114)에서 제4측정수단(24D)을 배기구(11B)의 펄스신호의 평균폭(T4)을 검출한 후 단계(115)에서 평균폭(T4)이 가열폭(T4+Δt)이상인지를 판별하고, 이상으로 될 경우에는 단계(116)에서 현재까지 음식물(13)을 가열한 카운트 시간을 판별하고, 단계(117)에서 판별한 카운트 시간에 보상시간(α)을 곱하여 추가 가열시간을 설정 및 추가 가열시간동안 음식물(13)을 계속 가열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초전센서로 온도에 따른 정전용량의 변화를 이용하여 흡입구 및 배기구의 온도를 검출하므로서 센서 표면의 오염등에 의해서도 감도가 저하되지 않고 온도를 정확히 검출할 수 있고, 구성이 간단하며, 저렴한 가격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또한 흡입구의 온도를 안정화시킨후 흡입구와 배기구의 온도차에 다라 보상분을 설정하여 보상온도를 설정 및 가열 폭을 설정한 후 음식물을 가열하고, 가열폭만큼 온도가 상승되는 시간으로 추가가열하여 요리함으로서 온도 특성의 차이를 최소화시켜 신뢰성이 높고, 연속요리를 하여도 요리결과에 차이가 없이 음식물을 요리할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요리제어를 위한 제어부(24)와, 상기제어부(24)의 제어에 따라 마이크로 웨이브를 발생시키는 마그네트론(17)과, 가열실 송풍을 위한 팬모타(18)와, 상기제어부(24)의 제어를 받아 마그네트론(17) 및 팬모타(18)를 구동시키는 전원공급부(25)와, 음식물(13)을 내장하여 상기 마그네트론(17)에서 출력되는 마이크로 웨이브로 가열하는 가열실(12)과, 상기가열실(12)벽면에 형성되며, 상기 팬모타(18)의 구동에 따라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흡입구(11A) 및 배기구(11B)를 갖는 전자레인지의 가열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11A)에 설치되며, 흡입구(11A)의 온도에 따라 정전용량이 가변되는 초전센서(19)와, 상기 배기구(11B)에 설치되며, 배기구(11B)의 온도에 따라 정전용량이 가변되는 초전센서(20)와, 상기 흡입구측 초전센서(19)의 온도 감지에 따른 정전용량의 변화에 따라 흡입구 온도 검출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제어부(24)에 입력시키는 흡입구 신호처리수단(21)과, 상기 배기구측 초전센서(20)의 온도감지에 따른 정전용량의 변화에 따라 배기구 온도 검출신호를 출력하여 상기제어부(24)에 입력시키는 배기구 신호처리수단(22)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24)는 흡입구 신호처리수단(21) 및 배기구 신호처리수단(22)의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전원공급부(25)를 제어하여 마이크로 웨이브 출력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의 가열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측 초전센서(19) 및 배기구측 초전센서(20)는 , 세라믹판(26)에 금속 원판(27)을 설치하여 온도의 상승에 따라 정전용량이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의 가열 제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 신호처리수단(21)은, 흡입구측 초전센서(19)의 충전 전압과 기준 전압의 크기를 비교하여 펄스 신호를 출력하는 연산 증폭기(OP11)와, 상기 연산증폭기(OP11)가 출력하는 펄스 신호의 전위에 따라 그 연산 증폭기(OP11)에 인가되는 기준 전압을 가변시켜 검출온도에 대한 히스테리시스 폭을 갖게 하는 저항(R11)(R12)(R13)으로 구성하고, 상기 배기구 신호처리수단(22)은, 배기구측 초전센서(20)의 충전 전압과 기준전압의 크기를 비교하여 펄스 신호를 출력하는 연산증폭기(OP12)와, 상기연산증폭기(OP12)가 출력하는 펄스 신호의 전위에 따라 그 연산 증폭기(OP12)에 인가되는 기준전압을 가변시켜 검출온도에 대한 히스테리시스 폭을 갖게하는 저항(R15)(R16)(R17)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의 가열제어 장치.
  4. 요리제어를 위한 제어부(24)와, 상기 제어부(24)의 제어에 따라 미이크로 웨이브를 발생시키는 마그네트론(17)과 가열실 송풍을 위한 팬모타(18)와, 상기제어부(24)의 제어를 받아 마그네트론(17) 및 팬모타(18)를 구동시키는 전원공급부(25)와, 음식물(13)을 내장하여 상기 마그네트론(17)에서 출력되는 마이크로 웨이브로 가열하는 가열실(12)과, 상기 가열실(12)벽면에 형성되며, 상기 팬모터(18)의 구동에 따라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흡입구(11A) 및 배기구(11B)를 갖고, 상기 제어부(24)에서 마그네트론(17) 및 팬모타(18)를 구성시키면서 음식물(13)을 가열하고, 가열에 따른 온도변화로 음식물(13)의 가열을 제어하는 전자레인지의 가열 제어방법에 있어서, 팬모타(18)를 구동시켜 흡입구측 초전센서(19)로 흡입구(11A)의 온도 감지에 따른 펄스폭(T1)을 검출 및 저장하는 단계와, 흡입구(11A)의 온도에 따른 펄스폭(T2)을 재차 검출하고 이를 상기 펄스폭(T1)과 비교하여 흡입구(11A)의 온도가 안정되었는 지를 판별하고 안정되었을 경우에 펄스폭(T2)을 저장하는 단계와, 흡입구(11A)의 온도가 안정되었을 경우에 배기구측 초전센서(20)로 배기구(11B)의 온도감지에 따른 펄스폭(T3)을 검출 및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펄스폭(T3)에 따라 음식물 초기가열에 따른 펄스폭(T3+ΔT)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마그네트론(17)을 구동시켜 음식물 가열을 진행하면서 배기구(11B)의 온도감지에 따른 펄스폭(T4)을 검출하여 이 펄스폭(T4)이 상기 펄스폭(T3+ΔT)이상으로 될 때까지의 시간을 카운트하는 단계와, 상기 카운트된 시간에 설정된 보상시간(α)을 곱한 시간만큼 마그네트론(17)을 계속 구동시켜 추가 가열을 실행하는 단계로 제어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의 가열제어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폭(T3+ΔT)을 설정하는 단계는, 흡입구(11A)의 온도감지에 따른 펄스폭(T2) 및 배기구(11B)의 온도감지에 따른 펄스폭(11B)으로 보상분(δ)을 설정하는 단계와, 미리 설정된 보상온도(ΔT)에 상기 보상분(δ)을 감산하여 새로운 보상온도(Δt)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펄스폭(T3)에 새로운 보상온도(Δt)을 가산하여 초기 가열의 펄스폭(T3+Δt)을 설정하는 단계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의 가열 제어 방법.
KR1019910021341A 1991-11-26 1991-11-26 전자레인지의 가열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9400049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21341A KR940004978B1 (ko) 1991-11-26 1991-11-26 전자레인지의 가열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21341A KR940004978B1 (ko) 1991-11-26 1991-11-26 전자레인지의 가열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0458A KR930010458A (ko) 1993-06-22
KR940004978B1 true KR940004978B1 (ko) 1994-06-09

Family

ID=19323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21341A KR940004978B1 (ko) 1991-11-26 1991-11-26 전자레인지의 가열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497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6734B1 (ko) * 2012-04-20 2013-11-08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건열 진공 오븐
CN103428931A (zh) * 2012-05-18 2013-12-04 上海松下微波炉有限公司 微波炉的控制电路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6734B1 (ko) * 2012-04-20 2013-11-08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건열 진공 오븐
CN103428931A (zh) * 2012-05-18 2013-12-04 上海松下微波炉有限公司 微波炉的控制电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0458A (ko) 1993-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359976B1 (en) Automatic heating appliance with weight sensor
US4734554A (en) Heating apparatus with humidity sensor
US4717811A (en) Differential resistance humidity detector
KR950011628B1 (ko) 전자레인지의 습도 검출장치와 방법
KR0154643B1 (ko) 증기센서의 출력신호를 이용한 적응 제어방법
US587612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food temperature in microwave oven
EP0093173A1 (en) High frequency heating device
KR900003965B1 (ko) 전자레인지의 자동요리방법
EP0232817B1 (en) Humidity detecting circuit
KR940004978B1 (ko) 전자레인지의 가열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GB2243461A (en) Microwave oven control
JPH02120914A (ja) 圧電素子応用センサ
US5847261A (en) Polarity discriminating method and signal processing circuit for a vapor sensor in a microwave oven
JPH0444529B2 (ko)
KR940006523B1 (ko) 초전센서를 이용한 전자레인지의 자동 가열장치
KR940003015B1 (ko) 초전센서를 이용한 전자레인지의 자동 가열장치
KR950001227B1 (ko) 전자레인지의 자동 가열장치 및 가열방법
KR950001226B1 (ko) 전자레인지의 자동 가열장치 및 가열방법
JP2877435B2 (ja) 加熱調理器
KR0119572B1 (ko) 전기보온밥솥의 제어회로 및 그 제어방법
KR950001228B1 (ko) 전자레인지의 절대습도 감지장치
KR950008380B1 (ko) 전자레인지의 자동 가열장치
KR940008520B1 (ko) 전자레인지의 자동 해동장치와 방법
JP2706396B2 (ja) 加熱調理装置
KR950004357B1 (ko) 전자레인지의 자동 가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