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4386Y1 - 음극선관용 방폭밴드 - Google Patents

음극선관용 방폭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4386Y1
KR940004386Y1 KR2019910010646U KR910010646U KR940004386Y1 KR 940004386 Y1 KR940004386 Y1 KR 940004386Y1 KR 2019910010646 U KR2019910010646 U KR 2019910010646U KR 910010646 U KR910010646 U KR 910010646U KR 940004386 Y1 KR940004386 Y1 KR 9400043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plosion
tube
cathode ray
ray tube
proof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106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3575U (ko
Inventor
황영민
Original Assignee
삼성전관 주식회사
김정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관 주식회사, 김정배 filed Critical 삼성전관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100106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4386Y1/ko
Publication of KR93000357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357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43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438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Vessels, Lead-In Wires, Accessory Apparatus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음극선관용 방폭밴드
제1도는 종래 방폭밴드가 장착된 음극선관의 일부절제 측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음극선관용 방폭밴드의 사시도.
제3도는 제2도에 도시된 방폭밴드가 장착된 음극선관의 일부절제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방폭밴드 11 : (방폭밴드의) 몸체
12 : (방폭밴드의) 러그 30 : 음극선관
31 : 음극선관의 튜브
본 고안은 음극선관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음극선관의 외주면에 장착되어 이의 폭축을 방지하는 방폭밴드의 개선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음극선관은 그 내부가 고진공인 튜브로 되어 있으므로 상기 튜브의 각부분은 외부로부터 내부로 대기압력을 받게 되어 그 구조적으로 매우 취약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음극선관의 스크린면에 큰 충격이 가하여지게 되면 상기 튜브의 최대 외주부 즉 패널과 판넬이 봉착되는 부위가 미세하게 늘어나면서 크랙(crack)이 발생하게 되고 나아가서는 음극선관이 폭축되게 된다. 이와 같이 음극선관이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의해 크랙이 발생되거나 폭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음극선관의 최대 외주부를 소정의 인장력으로 감싸는 방폭밴드를 채용하고 있다. 제1도에는 이러한 방폭밴드(1)가 음극선관(30)의 튜브(31)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 보였다. 이것은 띠상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진 대략 사각형 형상의 몸체(1a)와 상기 몸체(1a)의 각 모서리부 외주면에 이어(1b)가 용접 고정되어 된 것으로 음극선관(30)의 최대 외주부에 열박음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방폭밴드(1)는 입구측의 내주장(內周長)과 출구측의 내주장이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음극선관 튜브(31)와의 결합시 방폭밴드(1) 몸체(1a) 내주면에 모두 튜브(31)의 외주면에 접촉되게 되므로 튜브(31)의 최대 외주부를 견고하게 감쌀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기 방폭밴드(1) 몸체(1a)의 외주면이 튜브(31)의 내주면에 모두 접촉되게 되면 튜브(31) 최대 외주부의 단위면적당 받는 압력이 매우 적게 되어 최대한의 방폭효과를 기대할 수 없었다. 특히 상기 방폭밴드(1)의 장착면에 네크부 또는 패널의 스크린면 측으로 경사져 있는 경우에는 튜브(31)의 최대 외주부(外周部)를 소정의 장력으로 감쌀 수 없어 방폭 효과를 기대할 수 없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튜브(31)의 최대 외주부만을 감쌀 수 있도록 방폭밴드 몸체(1a)를 이루는 금속띠의 폭을 매우 좁게 형성하면 된다고 생각할 수 있으나, 이는 음극선관의 튜브(31)와 열박음하기가 매우 까다로울 뿐만 아니라 방폭에 필요한 충분한 인장강도를 가질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튜브의 최대 외주부를 감싸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의해 튜브 크랙의 발생억제 효과를 배가할 수 있으며, 튜브와의 결합이 용이한 음극선관용 방폭밴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음극선관의 튜브와 결합되는 것으로 대략 띠상의 금속판으로 제작된 대략 사각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각 모서리부에 부착된 복수개의 이어를 구비하여 된 음극선관용 방폭밴드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입구측의 내주장이 출구측의 내주장보다 길게 형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2도에 나타내 보인 본 고안에 따른 음극선관용 방폭밴드(10)가 도시되어 있는 바, 이는 대략 띠상의 금속판의 양단을 용접하여 대략 음극선관의 튜브(31) 외주면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의 몸체(11)와, 상기 몸체(11)의 각 모서리부의 외주면에 용접고정된 복수개의 러그(12)를 구비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몸체(11)는 본 고안의 특징에 따라, 그 입구측의 내주장, 즉 입구측의 내주면의 길이가 출구측의 내주장, 즉 출구측의 내주면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이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방폭밴드(10) 몸체(11)의 외주형상이 절두사각뿔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음극선관용 방폭밴드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음극선관용 방폭밴드(10)를 음극선관용 튜브(3)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방폭밴드(10)를 소정의 온도로 가열하여 충분히 열팽창시킨 후 이를 튜브(31)에 강제 삽입하여 상기 출구측에 튜브의 최대 외주장부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방폭밴드(10)를 냉각시킴으로써 방폭밴드(10)의 몸체(11)가 냉각되면서 축소되어 튜브(31)의 최대 외주장부를 소정의 인장력으로 감싸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방폭밴드의 몸체(11)는 그 내주장이 입구측보다 출구측이 짧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실질적으로 튜브(31)의 최대 외주장이 접촉되는 부위는 내주장이 짧은 출구측이 접촉되게 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몸체의 인장력에 의해 튜브(31)에 가하여지는 압착력이 분산되지 않고 튜브(31)의 최대 외주부에 집중적으로 가하여지게 되어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의해 음극선관의 크랙 발생 및 폭축방지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방폭밴드의 몸체(11)는 입구측이 출구측의 내주장에 비하여 길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튜브(31)와의 결합이 용이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 음극선관용 방폭밴드는 종래의 방폭밴드에 비하여 음극선관의 폭축 및 크랙의 발생의 억제효율을 배가할 수 있으며 나아가서는 음극선관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음극선관의 튜브와 결합되는 것으로 대략 띠상의 금속판으로 제작된 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각 모서리부와 부착된 복수개의 이어를 구비하여 된 음극선관용 방폭밴드에 있어서, 상기 몸체(11)의 입구측의 내주장이 출구측의 내주장보다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방폭밴드.
KR2019910010646U 1991-07-11 1991-07-11 음극선관용 방폭밴드 KR9400043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0646U KR940004386Y1 (ko) 1991-07-11 1991-07-11 음극선관용 방폭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0646U KR940004386Y1 (ko) 1991-07-11 1991-07-11 음극선관용 방폭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3575U KR930003575U (ko) 1993-02-26
KR940004386Y1 true KR940004386Y1 (ko) 1994-06-25

Family

ID=19316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10646U KR940004386Y1 (ko) 1991-07-11 1991-07-11 음극선관용 방폭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438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60054A (ko) * 2022-05-16 2023-11-23 이희정 출몰식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3575U (ko) 1993-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0457B1 (ko) 장력 제한 수단을 갖는 수축 고정식 내파 보호 밴드를 구비한 음극선관
KR940004386Y1 (ko) 음극선관용 방폭밴드
CN1024870C (zh) 带有防爆带的阴极射线管
KR960004558Y1 (ko) 브라운관의 방폭밴드
JPS625533A (ja) 陰極線管の製造方法
KR100496483B1 (ko) 수축끼워맞춤 밴드를 구비한 음극선관
KR940000304B1 (ko) 수축 밀착형 폭발방지 밴드
KR0131424Y1 (ko) 이종도금층이 형성된 방폭밴드
KR19980023679A (ko) 음극선관용 방폭밴드
KR910006638Y1 (ko) 음극선관의 방폭밴드
KR910004071Y1 (ko) 브라운관의 방폭용 밴드
KR960001830Y1 (ko) 브라운관의 방폭밴드
KR950006436Y1 (ko) 컬러음극선관용 방폭밴드
KR930007531Y1 (ko) 수상관용 음극선관의 보강밴드
KR0140007Y1 (ko) 음극선관의 방폭밴드
JPH0113368Y2 (ko)
KR100301665B1 (ko) 평면브라운관용밴드
KR0127476Y1 (ko) 음극선관의 방폭밴드
KR200228838Y1 (ko) 안전성이개선된음극선관
KR0136761Y1 (ko) 음극선관용 러그
KR0133813Y1 (ko) 음극선관의 방폭밴드
JP2814329B2 (ja) カラー受像管用取り付けラグ
KR19980023403A (ko) 음극선관의 스커트부 판넬
KR20020023491A (ko) 브라운관의 러그
KR100319707B1 (ko) 플랜지 냉각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5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