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4233Y1 - 열 압축식 히트 펌프 - Google Patents

열 압축식 히트 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4233Y1
KR940004233Y1 KR2019910006963U KR910006963U KR940004233Y1 KR 940004233 Y1 KR940004233 Y1 KR 940004233Y1 KR 2019910006963 U KR2019910006963 U KR 2019910006963U KR 910006963 U KR910006963 U KR 910006963U KR 940004233 Y1 KR940004233 Y1 KR 9400042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low temperature
space
casing member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069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21856U (ko
Inventor
이병무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100069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4233Y1/ko
Priority to US07/883,369 priority patent/US5259197A/en
Priority to JP1992032278U priority patent/JPH0749327Y2/ja
Priority to DE4216132A priority patent/DE4216132C2/de
Publication of KR92002185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2185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42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4233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9/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in which the refrigerant is air or other gas of low boiling poi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GHOT GAS OR COMBUSTION-PRODUCT POSITIVE-DISPLACEMENT ENGINE PLANTS; USE OF WASTE HEAT OF COMBUSTION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G1/00Hot gas positive-displacement engine plants
    • F02G1/04Hot gas positive-displacement engine plants of closed-cycle type
    • F02G1/043Hot gas positive-displacement engine plants of closed-cycle type the engine being operated by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a mass of working gas which is heated and cooled in one of a plurality of constantly communicating expansible chambers, e.g. Stirling cycle type engines
    • F02G1/044Hot gas positive-displacement engine plants of closed-cycle type the engine being operated by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a mass of working gas which is heated and cooled in one of a plurality of constantly communicating expansible chambers, e.g. Stirling cycle type engines having at least two working members, e.g. pistons, delivering power output
    • F02G1/0445Engine plants with combined cycles, e.g. Vuilleumi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9/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in which the refrigerant is air or other gas of low boiling point
    • F25B9/14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in which the refrigerant is air or other gas of low boiling point characterised by the cycle used, e.g. Stirling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GHOT GAS OR COMBUSTION-PRODUCT POSITIVE-DISPLACEMENT ENGINE PLANTS; USE OF WASTE HEAT OF COMBUSTION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G2250/00Special cycles or special engines
    • F02G2250/18Vuilleumier cy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 Sorption Type Refrigeration Machines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열 압축식 히트 펌프
제1도는 종래예의 열 압축식 히트 펌프의 내부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제2도는 종래예의 열 압축식 히트 펌프의 평면을 도시한 평면도.
제3도는 종래예의 열 압축식 히트 펌프를 도시한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열 압축식 히트 펌프의 내부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제5도는 제4도의 A-A부분을 절결하여 도시한 단면도.
제6도는 제4도의 B-B부분을 절결하여 도시한 단면도.
제7도는 제4도의 C-C부분을 절결하여 도시한 단면도.
제8도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덮개부재를 일부절결하여 도시한 부분사시도.
제9도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저온 재생수단을 일부절결하여 도시한 부분사시도.
제10도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저온 열교환 수단을 일부절결하여 도시한 부분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구동부 11 : 케이스 부재
12 : 모터 13 : 커플링
14 : 제1편심부 15 : 제2편심부
16 : 크랭크샤프트 17 : 돌설부
18 : 베어링 20 : 가이드부재
21 : 제1가이드부 22 : 제2가이드부
23 : 제1커넥팅로드 24 : 제2커넥팅로드
25 : 제1디스플레이셔 26 : 제2디스플레이셔
30 : 케이싱 부재 31 : 가이드 공간부
32 : 수용공간부 33 : 내측돌설부
34 : 외측돌설부 40 : 저온열교환수단
41 : 저온판부재 42 : 저온접속관
45 : 저온열재생 수단 46 : 중온판부재
47 : 중온접속판 48 : 중온열교환수단
49 : 중온열재생 수단 50 : 덮개부재
51 : 가이드부재 61,61′ : 절결홈
62,62′ : 압력구멍 63,63′ : 토출구멍
70 : 이동통로 71 : 실링부재
본 고안은 수소 혹은 헬륨 등의 가스가 충진된 공간의 내부에 고온 공간부와 중온 공간부 그리고 저온 공간부가 형성되어서 가스의 압력변화에 의해 난방과 냉방의 출력을 얻을 수 있는 열압축식 히트 펌프에 관한 것으로, 특히 크기를 소형화하면서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열압축식 히트 펌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스의 압력 변화에 의해서 난방과 냉방의 출력을 얻을 수 있는 열압축식 히트 펌프는, 본 출원인에 의해서 특허 출원된 제90-18442호(90. 11. 4일 출원)의 벌마이어 히트 펌프로 제안되어 있다.
이와같이 제안된 종래의 벌마이어 히트 펌프(이하, 열압축식 히트 펌프라 함)는 제1도 내지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다수의 가열관(39′)을 갖고 내부에 위상차를 가지면서 상ㆍ하 작동되는 두개의 디스플레이셔(45′)(46′)를 갖춘 실린더(42′)와, 상기 실린더(42′)의 내부에 상기 디스플레이셔(45′)(46′)에 의해서 부리 구성되고 서로다른 온도 공간을 갖춘 고온실(47′) 및 중온실(48′) 그리고 저온실(49′)과, 상기 실린더(42′)의 외측에 구비되고 서로 다른 세개의 온도실(47′)(48′)(49′)에 각각 연통되는 열재생부(33′)와, 상기 실린더(42′)의 하부에 구비되고 모터(36′)에 의해서 상기 디스플레이셔(45′)(46′)를 구동시키는 구동부(31′)로 이루어져 있었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의 열압축식 히트 펌프는, 고온실(47′) 및 중온실(48′) 그리고 저온실(49′)이 형성되는 작동부(32′)와 열재생기(51′)(52′)가 배설되는 열재생부(33′)가 분리되어서 연결관체(53′)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작동부(32′)와 열재생부(33′)와의 사이에 사공간이 형성되어 열압축식 히트 펌프의 크기가 커짐은 물론, 열손실이 과다하여 냉방과 난방의 열효율이 저하되었다. 또, 가열관(39′)과 열재생부(33′)도 연결관체(53′)에 의해서 연결되어 크기가 커지고 열효율을 저하시켰다.
즉, 작동부(32′)와 열재생부(33′) 그리고 가열관(39′)이 분리되어서 연결관체(53′)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사공간이 형성되어 열압축식 히트 펌프의 크기가 대형화됨은 물론 열효율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작동부(32′)와 열재생부(33′) 그리고 가열관(39′)을 각각 연결관체(53′)로 연결할 경우 용접등의 수단으로 접속시켜야 함으로써 제작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어서 생산성이 저하된다는 등의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여러가지 문제점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크기가 소형화 되면서도 열손실을 최소화하여 열효율을 형상시킬 수 있는 열압축식 히트 펌프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제작이 용이해서 다량 생산이 가능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열압축식 히트 펌프를 제공한데 있다.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열압축식 히트 펌프는, 모터 및 크랭크샤프트가 배설된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에 배설된 크랭크샤프트에 의해 소정의 위상차를 가지고 상ㆍ하 왕복운동되는 제1디스플레이셔 및 제2디스플레이셔로 이뤄진 열압축식 히트 펌프에 있어서, 상기 제1디스플레이셔 및 제2디스플레이셔가 원활하게 상ㆍ하 운동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 공간부가 형성되고 이 가이드 공간부의 외측에 수용공간부가 형성된 케이싱 부재와, 상기 케이싱부재에 형성된 수용공간부의 하부에 수용되며 다수의 저온 판부재 및 저온 접속관으로 이어져서 냉방 출력을 발생하는 저온 열교환 수단과, 상기 저온 열교환 수단의 상부에 재치되어 상기 수용공간부에 수용되며 열용량이 큰 금속망 등으로 형성되어 상기 저온 열교환수단이 냉방 출력을 발생하도록 열을 흡수 및 방출하는 저온 열 재생수단과, 상기 저온 열재생수단의 상부에 재치되어 상기 수용공간부에 수용되며 다수의 중온 판부재 및 중온접속관으로 이루어져 난방출력을 발생한 중온 열교환수단과, 상기 중온 열교환 수단의 상부에 재치되어 상기 수용 공간부에 수용되며 열용량이 큰 금속망 등으로 형성되어 상기 중온 열교환 수단이 난방 출력을 발생하도록 열을 흡수 혹은 방출하는 중온열 재생수단과, 상기 케이싱 부재의 상부에 고착되어서 상기 케이싱 부재의 내부가 밀폐되도록 함은 물론 상기 케이싱 부재의 고온 공간부의 가스가 고온으로 유지되도록 열을 전달하는 덮개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은 구성에 의하면 저온 열교환 수단, 저온열 재생수단, 중온열교환 수단, 중온열 재생수단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부와, 제1디스플레이셔, 제2디스플레이셔가 원활하게 상ㆍ하 운동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공간부가 사공간이 형성됨 없이 케이싱부재로서 일체로 형성되어서 크기가 소형화됨은 물론 열손실을 최소화하여 열효율 향상 시킬 수 있으며, 또 제작이 용이해서 다량 생산이 가능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3도는 본 고안의 열압축식 히트 펌프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제4도는 본 고안의 열압축식 히트 펌프의 내부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제5도는 제4도의 A-A부분을 절결하여 도시한 단면도이고, 제6도는 제4도의 B-B부분을 절결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며, 제7도는 제4도의 C-C부분을 절결하여 도시한 단면도이고, 제8도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덮개부재를 일부 절결하여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며, 제9도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저온 열재생수단을 일부 절결하여 도시한 부분사시도이고, 제10도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저온 열교환수단을 일부 절결하여 도시한 부분사시도이다.
제3도 내지 제10도에 있어서, (10)은 열압축 히트 펌프의 초기가동 또는 고출력의 냉난방과 난방을 얻기위해서 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부로써, 이 구동부(10)는 상부 일측에 돌설부(17)가 돌설되어서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부재(11)와, 상기 케이스부재(11)의 내부에 배설되어서 전원이 인가될 경우 동력을 발생하는 모터(12)와, 상기 모터(12)의 모터축에 접속되어서 상기 모터(12)로부터 발생된 동력을 전달하는 커플링(13)과, 상기 커플링(13)에 일단부가 접속되고 타단부가 상기 케이스부재(11)의 내면 일측에 지지되며 대체로 중앙에 제1편심부(14)가 형성되고 이 제1편심부(14)의 양측에 제2편심부(15)가 형성되어서 상기 모터(12)의 동력에 의해 회전운동을 하는 크랭크샤프트(16)와, 상기 크랭크샤프트(16)가 원활하게 회전운동되도록 지지하는 베어링(18)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 상기 크랭크샤프트(16)의 제1편심부(14)의 제2편심부(15)는 크랭크샤프트(16)의 중심축으로부터 60∼100°사이의 어느한 각도로 편심되게 형성되고 있고, 상기 케이스부재(11)의 돌설부(17)에는 제1가이드부(21)와 제2가이드부(22)가 형성된 가이드부재(20)가 배설되어있다.
또한, 상기 크랭크샤프트(16)에 형성된 제1편심부(14)에는 회전운동을 왕복운동으로 전환시키는 제1커넥팅로드(23)의 일단부가 체결되고, 상기 제1편심부(14)의 양측에 형성된 제2편심부(15)에는 제2커넥팅로드(24)의 일단부가 체결되어 있다.
또, 그림에서 (25)는 제1디스플레이셔이고, (26)은 중심에 관통된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제2디스플레이셔로써, 제2디스플레이셔(26)의 하부면에는 상기 제2커넥팅로드(24)의 타단부가 고착되고, 상기 제1디스플레이셔(25)의 하부면에는 제1커넥팅로드(23)의 타단부가 고착되어 있다.
즉, 상기 제2커넥팅로드(24)는, 일단부가 상기 크랭크샤프트(16)의 제2편심부(15)에 체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가이드부재(20)의 제2가이드부(22)를 통해 상기 제2디스플레이셔(26)의 하부면에 고착되어서 상기 모터(12)로부터 발생된 동력을 상기 제2디스플레이셔(26)를 상하왕복운동 시키고, 상기 제1커넥팅로드(23)는 일단 부가 상기 크랭크샤프트(16)의 제1편심부(14)에 체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가이드부재(20)의 제1가이드부(21) 및 상기 제2디스플레이셔(26)의 관통된 구멍을 통해 상기 제1디스플레이셔(25)의 하부면에 고착되어서 상기 모터(12)로 부터 발생된 동력으로 상기 제1디스플레이셔(25)를 상하 왕복운동시킨다.
또한, 상기 제1디스플레이셔(25)와 제2디스플레이셔(26)는 상기 크랭크샤프트(16)의 제1편심부(14) 및 제2편심부(15)가 소정의 각도로 편심되게 형성되어 있음으로 인해서 소정의 위상차를 가지고 상ㆍ하 왕복운동한다.
한편, 그림에서 (30)은 상기 제1디스플레이셔(25)와 상기 제2디스플레이셔(26)가 원활하게 상ㆍ하왕복 운동 되도록 가이드하는 원통형상의 가이드 공간부(31)가 형성되고, 이 가이드 공간부(31)의 외측에는 후술하는 열교환 수단과 열재생수단들이 수용되는 수용공간부(32)가 형성된 케이싱 부재로써, 이 케이싱 부재(30)에 형성된 가이드 공간부(31)와 수용공간부(32)는 상부 일측면이 테이퍼진 내측돌설부(33)에 의해서 구획되고, 상기 수용공간부(32)는 내측돌설부(33)와 외측돌설부(34)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케이싱부재(30)의 내측돌설부(33)와 외측돌설부(34)에 의해서 형성된 수용공간부(32)의 하부에는 제1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열전도율이 뛰어난 재질로된 다수의 저온판부재(41)와 저온접속관(42)으로 이루어져서 냉방의 출력을 발생하는 저온 열교환수단(40)이 수용되고, 이 저온 열교환수단(40)의 상부에는 제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열용량이 큰 금속망 등이 적치되어 열을 흡수 혹은 방출하여 상기 저온 열교환수단(40)이 냉방의 출력을 발생되도록 하는 저온 열재생수단(45)이 재치되어서 상기 수용공간부(32)에 수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케이싱부재(30)의 내측돌설부(33)의 대체로 하부에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절결홈(61)이 형성되어서 헬륨 혹은 수소 등의 가스(이하, 가스라 함)가 상기 수용공간부(32)와 상기 가이드공간부(31)로 이동되도록하며, 상기 외측돌설부(34)의 소정의 위치(즉, 상기 저온 열교환수단(40)의 저온 접속관(42)이 위치되는 곳)에는 도시되지 않은 급수파이프 등과 같은 입력수단이 접속되도록 입력구멍(62)이 형성되고 이 입력구멍(62)과 대향되는 위치에는 냉방출력이 토출되도록 토출구멍(63)이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수용공간부(32)에 수용된 상기 저온열재생수단(45)의 상부에는 열전도율이 뛰어난 재질로 이루어진 다수의 중온판부재(46)와 중온 접속관(47)으로 이루어져서 난방의 출력을 발생하는 중온열교환수단(48)이 재치되어 상기 수용 공간부(32)에 수용되고 이 중온열교환수단(48)의 상부에는 열용량이 큰 금속망 등이 적치되어 열을 흡수 혹은 방출하여 상기 중온열교환수단(48)이 난방의 출력을 발생되도록 하는 중온열재생수단(49)이 재치되어서 상기 수용 공간부(32)에 수용된다.
또한, 상기 케이싱부재(30)의 내측돌설부(33)의 대체로 상부에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절결홈(61′)이 형성되어서 가스가 상기 수용공간부(32)와 가이드 공간부(31)로 이동되도록 하며, 상기 외측돌설부(34)의 소정위치(즉, 상기 중온열교환수단(48)의 중온 접속관(47)이 위치되는 곳)에는 도시되지 않은 급수파이프 등과 같은 입력수단이 접속되도록 입력구멍(62′)이 형성되고 이 입력구멍(62′)과 대향되는 위치에는 난방 출력이 토출되로록 토출구멍(63′)이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케이싱부재(30)의 상면에는 링형상으로 이루어진 가이드부재(51)가 배설되며, 이 가이드부재(51)가 배설된 케이싱부재(30)의 상부에는 표면이 울퉁불퉁한 돌기가 형성된 덮개 부재(50)가 재치되어 용접 등의 수단에 의해 상기 케이싱부재(30)에 고착된다.
또한, 상기 케이싱부재(30)에 돌설된 내측돌설부(33)와 덮개부재(50) 사이에는 상기 내측돌설부(33)의 상부 일측면이 테이퍼지고 상기 덮개부재(30)의 내면이 테이퍼져서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스가 이동되도록 이동 통로(70)가 형성된다.
또, 도면에서 미설명부호(71)은 상기 가이드공간부(31)에 충진된 가스가 구동부(10)로 새어 나가지 못하도록 배설된 실링부재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열압축식 히트 펌프의 작동을 설명하면, 상기 케이싱부재(30) 및 덮개부재(50)의 내부공간에 헬륨 혹은 수소 등의 가스를 충진시키고 덮개부재(50)에 도시되지 않은 히터수단을 위치시켜 덮개부재(50)를 가열시킬 경우, 덮개부재(50)의 내부공간과 제1디스플레이셔(25)의 상부면에 의해 구획되는 가이드 공간부(31)에 존재하는 가스는 히터 수단에 의해서 가열되어 고온으로 유지된다.
이때, 덮개부재(50)의 내부공간과 제1디스플레이셔(25)의 상부면에 의해 구획되는 가이드 공간부(31)에 존재하는 가스는 상기 덮개부재(50)의 울퉁불퉁한 표면과 가이드부재(51)에 의해 도시되지 않은 히터수단으로 가스를 가열할 경우 원활하게 가열되어 고온으로 유지된다.
이와 같이 제1디스플레이셔(25)의 상부면에 의해 구획되는 가이드공간부(31)에 존재하는 가스가 고온(약 600℃∼800℃)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부(10)의 모터(12)의 전원을 인가할 경우 제1디스플레이셔(25)와 제2디스플레이셔(26)는 상하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즉, 상기 제1디스플레이셔(25)가 상사점 방향으로 이동될 경우 제1디스플레이셔(25)의 상부면에 의해 구획되는 가이드 공간부(31)(이하 고온 공간부라 함)에 존재하는 고온의 가스는 덮개부재(50)와 내측돌설부(33)에 의해서 형성된 이동통로(70)를 거쳐서 상기 중온 열재생수단(49)을 통과하게 된다.
이때, 고온공간부에 존재하는 고온의 가스는 열용량이 큰 금속망에 통과하게 됨으로써 고온의 가스열이 중온열재생수단(49)에 흡수됨으로써 중온열재생수단(49)을 통과한 가스는 중온의 가스(100℃∼80℃) 상태로 중온열교환수단(48)에 공급된다.
즉, 중온열교환수단(48)은 중온의 가스가 존재하게 되어서 중온 열교환수단(48)의 다수 중온판부재(46)가 중온(100℃∼60℃)으로 유지됨으로써 중온 접속관(47)의 내부로 흐르는 유체 혹은 기체가 중온으로 가열되어 토출구멍(63′)을 통해 토출된다.(즉, 난방의 출력이 발생된다.)
또, 상기 제1디스플레이셔(25)가 하사점 방향으로 이동되거나 혹은 상기 제2디스플레이셔(26)가 상사점 방향으로 이동될 경우, 상기 제1디스플레이셔(25)의 합면과 상기 제2디스플레이셔(26)의 상부면에 의해 구획되는 가이드 공간부(31)(이하 중온공간부라 함)에 존재하는 중온의 가스는 상기 내측돌설부(33)에 형성된 절결홈(61′)을 통해서 중온 열교환수단(48)으로 이동되고, 이중 일부는 중온의 가스는 상기 중온열재생수단(49) 및 덮개부재(50)을 거쳐 고온중간부로 이동되고 다른 일부의 중온의 가스는 상기 저온열재생수단(45)을 거쳐 저온 열교환수단(40)으로 이동된다.
즉, 상기 중온열재생수단(49)을 통과하는 일부의 중온가스는 중온열재생수단(49)에 축적된 열을 뺏아 덮개부재(50)로 이동되어 고온의 가스로 되고, 다른 일부의 중온가스는 상기 저온열재생수단(45)을 통과하게 됨으로써 저온열재생수단(45)을 통과한 가스는 저온(-10℃∼0℃)으로 되어 열교환수단(40)에 존재된다.
이때, 저온 열교환수단(40)의 다수의 저온 판부재(41)의 온도도 저온으로 됨으로써 저온접속관(42)의 내부로 흐르는 유체 혹은 기체가 저온으로 되어 토출구멍(63)으로 토출된다.(즉, 냉방의 출력을 얻을 수 있다.)
또, 상기 제2디스플레이셔(26)가 하사점으로 이동될 경우, 제2디스플레이셔(25)의 하부면에 의해 구획되는 가이드 공간부(31)(이하 저온공간부)에 존재하는 저온의 가스는 상기 내측돌설부(33)에 형성된 절결홈(61)을 통해서 저온 열교환수단(40)을 거쳐 저온 열재생수단(45)으로 이동된다.
이때, 저온 열재생수단(45)을 통과하는 저온가스는 저온열재생수단(45)에 축열된 열을 뺏으면서 저온 열재생수단(45)을 통과하게 됨으로써 저온 열재생수단(45)을 통과한 저온가스는 중온가스로 되는 것이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의한 열압축식 히트 펌프에 의하면 냉방의 출력이 발생되는 저온 열교환수단과, 상기 저온열교환 수단이 냉방의 출력을 발생하도록 열을 방출 혹은 흡수하는 저온 열 재생수단과, 난방의 출력이 발생되는 중온 열교환수단과, 상기 중온열교환 수단이 난방의 출력을 발생하도록 열을 방출 혹은 흡수하는 중온열재생수단을 수용하는 수용공간부와, 제1디스플레이셔 및 제2디스플레이셔가 원활하게 상ㆍ하 왕복 운동되도록 가이드하며 이 제1디스플레이셔 및 제2디스플레이셔에 의해 저온 공간부, 중온공간부, 고온공간부가 형성되는 가이드공간부가 사공간이 형성됨이 없이 케이싱 부재로써 일체로 형성됨으로서 열압축식 히트 펌프의 크기가 소형화됨은 물론, 열손실이 최소화되어 열효율을 향상시키고 제작이 용이해서 다량생산이 가능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뛰어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8)

  1. 모터(12) 및 크랭크샤프트(16)가 배설된 구동부(10)와, 상기 구동부(10)에 배설된 크랭크샤프트(16)에 의해 소정의 위상차를 가지고 상ㆍ하 왕복운동되는 제1디스플레이셔(25) 및 제2디스플레이셔(26)로 이루어지는 열압축식 히트 펌프에 있어서, 상기 제1디스플레이셔(25) 및 제2디스플레이셔(28)가 원활하게 상ㆍ하 운동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공간부(31)가 형성되고 이 가이드 공간부(31)의 외측에 수용공간부(32)가 형성된 케이싱부재(30)와, 상기 케이싱부재(30)에 형성된 수용공간부(32)의 하부에 수용되며 다수의 저온 판부재(41) 및 저온 접속관(42)으로 이루어져 냉방 출력을 발생하는 저온 열교환 수단(40)과, 상기 저온 열교환수단(40)의 상부에 재치되어 상기 수용공간부(32)에 수용되며 열용량이 큰 금속망으로 형성되어 상기 저온 열교환수단(40)이 냉방 출력을 발생하도록 열을 흡수 및 방출하는 저온 열재생수단(45)과, 상기 저온 열재생수단(45)의 상부에 재치되어 상기 수용공간부(32)에 수용되며 다수의 중온 판부재(46) 및 중온접속관(47)으로 이루어져 난방출력을 발생한 중온열교환수단(48)과, 상기 중온 열교환수단(48)의 상부에 재치되어 상기 수용 공간부(32)에 수용되며 열용량이 큰 금속망형성되어 상기 중온 열교환 수단(48)이 난방 출력을 발생하도록 열을 흡수 혹은 방출하는 중온열 재생수단(49)과, 상기 케이싱 부재(30)의 상부에 고착되어서 상기 케이싱 부재(30)의 내부가 밀폐되도록 함은 물론 상기 케이싱 부재(30)의 고온 공간부의 가스가 고온으로 유지되도록 열을 전달하는 덮개부재(5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압축식 히트 펌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부재(30)에는 상부일측면이 테이퍼진 내측돌설부(33)가 돌설되어 상기 가이드공간부(31)와 수용공간부(32)를 구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압축식 히트 펌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부재(30)의 수용공간부(32)는 내측돌설부(33)와 외측돌설부(34)에 의해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압축식 히트 펌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부재(30)의 내측돌설부(33)의 대체로 하부 및 상부에는 가스가 상기 수용공간부(32)와 상기 가이드공간부(31)로 이동되도록 다수의 절결홈(61)(6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압축식 히트 펌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부재(30)의 외측돌설부(34)에는 입력수단이 접속되는 입력구멍(62)(62′)과 냉방 및 난방의 출력이 토출되도록 토출구멍(63)(63′)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압축식 히트 펌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부재(30)에는 가이드부재(51)가 배설되어 상기 가이드공간부(31)의 고온공간부에 존재하는 가스가 원활하게 가열되도록 가이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압축식 히트 펌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재(50)는 표면에 울퉁불퉁한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공간부(31)의 고온공간부에 존재하는 가스가 원활하게 가열되어 고온으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압축식 히트 펌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부재(30)에 돌설된 내측돌설부(33)와 덮개부재(50)와의 사이에는 가스가 이동되도록 이동통로(7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압축식 히트 펌프.
KR2019910006963U 1991-05-15 1991-05-15 열 압축식 히트 펌프 KR9400042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6963U KR940004233Y1 (ko) 1991-05-15 1991-05-15 열 압축식 히트 펌프
US07/883,369 US5259197A (en) 1991-05-15 1992-05-15 Compression type heat pump
JP1992032278U JPH0749327Y2 (ja) 1991-05-15 1992-05-15 熱圧縮式ヒートポンプ
DE4216132A DE4216132C2 (de) 1991-05-15 1992-05-15 Kompressionswärmepump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6963U KR940004233Y1 (ko) 1991-05-15 1991-05-15 열 압축식 히트 펌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21856U KR920021856U (ko) 1992-12-19
KR940004233Y1 true KR940004233Y1 (ko) 1994-06-22

Family

ID=19313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06963U KR940004233Y1 (ko) 1991-05-15 1991-05-15 열 압축식 히트 펌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259197A (ko)
JP (1) JPH0749327Y2 (ko)
KR (1) KR940004233Y1 (ko)
DE (1) DE4216132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51410A (ja) * 1993-11-30 1995-06-16 Sanyo Electric Co Ltd ガス圧縮・膨張機
US5632149A (en) * 1994-11-28 1997-05-27 Sanyo Electric Company, Ltd. Heat exchanger for a gas compression/expansion apparatus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EP1469261B1 (en) * 2003-04-15 2008-12-17 L'AIR LIQUIDE, Société Anonyme pour l'Etude et l'Exploitation des Procédés Georges Claude A helium cooling system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7137251B2 (en) * 2005-02-11 2006-11-21 Infinia Corporation Channelized stratified regenerator with integrated heat exchangers system and method
US7089735B1 (en) * 2005-02-11 2006-08-15 Infinia Corporation Channelized stratified regenerator system and method
US9797341B2 (en) * 2009-07-01 2017-10-24 New Power Concepts Llc Linear cross-head bearing for stirling engine
JP6275524B2 (ja) * 2014-03-25 2018-02-07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スターリング冷凍機
CN108870791A (zh) * 2018-04-26 2018-11-23 浙江大学 一种采用形状记忆合金的接触式冷却系统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05089B (de) * 1952-06-10 1957-03-28 Philips Nv Kaltgas-Kuehlmaschine mit mindestens zwei Raeumen, deren Volumen sich kontinuierlich mit nahezu konstantem Phasenunterschied aendert
NL148378B (nl) * 1968-09-07 1976-01-15 Philips Nv Heetgasmotor.
JPS5491648A (en) * 1977-12-29 1979-07-20 Toyokichi Nozawa Lnggfleon generation system
DE3170664D1 (en) * 1981-01-27 1985-07-04 Treuhand Gmbh Fides Piston engine
DE3536710A1 (de) * 1985-10-15 1987-04-23 Schneider Christian Dipl Ing Waermewandler und verfahren zu seinem betrieb
US5056316A (en) * 1990-07-20 1991-10-15 Goldstar Co., Ltd. Cooling system for stirling engine
KR920010229A (ko) * 1990-11-14 1992-06-26 강진구 벌마이어 히트펌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4216132C2 (de) 1998-08-06
KR920021856U (ko) 1992-12-19
US5259197A (en) 1993-11-09
JPH0614865U (ja) 1994-02-25
JPH0749327Y2 (ja) 1995-11-13
DE4216132A1 (de) 1992-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46698A (en) Isothermalizer system
US4444011A (en) Hot gas engine
CN100487235C (zh) 热机
KR940004233Y1 (ko) 열 압축식 히트 펌프
US5214923A (en) Vuilleumier heat pump
CA2482179A1 (en) Thermoacoustic device
US4455825A (en) Maximized thermal efficiency hot gas engine
KR20180101397A (ko) 정압 다중-구획 용기, 열역학적 에너지 변환기, 및 그 작동 방법
JPH0660770B2 (ja) 熱駆動ヒ−トポンプ
US3949554A (en) Heat engine
US5335506A (en) Regenerative heat pump
US5414997A (en) Thermal lag machine
GB2174457A (en) Stirling cycle engine
JP3602823B2 (ja) 脈動管冷凍機
US5400599A (en) Hot gas machine
KR20000005325A (ko) 움직이는 축열기를 가지는 열 동력 기계
JPH09152211A (ja) 外燃機関のピストン
US4458488A (en) Heat engine
US20240151215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converting thermal, mechanical and/or electrical energy quantities
JPS58158353A (ja) スタ−リング機関
KR102555024B1 (ko) 극저온 저장탱크용 토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극저온 저장탱크
US4719755A (en) Stirling engine
CN112066584B (zh) 一种转子式斯特林制冷机及工作方法
JP3101448B2 (ja) 熱ガス機関
JP2603683B2 (ja) スターリングサイクル機関の高温側熱交換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5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