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4021Y1 - 발광다이오우드가 부설된 스위치 노브구조 - Google Patents

발광다이오우드가 부설된 스위치 노브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4021Y1
KR940004021Y1 KR2019890021511U KR890021511U KR940004021Y1 KR 940004021 Y1 KR940004021 Y1 KR 940004021Y1 KR 2019890021511 U KR2019890021511 U KR 2019890021511U KR 890021511 U KR890021511 U KR 890021511U KR 940004021 Y1 KR940004021 Y1 KR 9400040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ob
light emitting
switch
emitting diode
tur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215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2415U (ko
Inventor
임무생
Original Assignee
대우전자 주식회사
김용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전자 주식회사, 김용원 filed Critical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900215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4021Y1/ko
Publication of KR91001241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241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40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402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23Light-emitting indicato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2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linear movement, e.g. push butt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발광다이오우드가 부설된 스위치 노브구조
제1도는 본 고안의 노브가 설치된 TV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노브구조의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노브구조의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캐비넷 3 : 노브홀
5 : 지지판 6,7 : 가이드홀
10 : 노브 11 : 가이드축
12 : 코일스프링 13 : 발광다이오우드
14 : 기판 15 : 전선
16 : 브라켓트 17 : 레일
본 고안은 TV등의 전자제품에 설치되어 스위치를 동작시키는 노브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노브의 내부에 발광다이오우드를 설치하여 노브가 스위치를 동작시킬때 발광다이오우드가 점등되도록하는 발광다이오우드가 부설된 스위치노브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일본공개 실용신안공보 소 57-110626 호에 도시된 바와같이 전자제품의 프론트캐비넷으로 돌출구성된 노브를 스프링에 탄지되도록 하여 노브를 누르면 노브에 의해 전자제품의 내부기판에 고정된 텍트스위치가 동작되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스위치노브의 구조는 단순하게 텍트 스위치를 동작시키는 역활만을 하게되므로 어린이들이 노브를 눌러 놓아도 어떤 노브를 눌렸는지 알수 없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하여 전자제품이 오동작되면 전자제품의 고장으로 오인하는 경우가 발생되는 결점이 있었다. 한편 일본 실용신안공보 소 39-5299호에는 노브의 내부에 램프를 설치하고 노브의 측면에 투명체를 설치하여 노브의 작동을 표시하는 노브가 도시도나 램프를 지지하는 구조가 약한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이와같은 종래의 결점을 감안하여 노브의 가이드축이 고정되는 브라켓트에 기판을 고정하고 기판에는 텍트스위치에 연결되는 발광다이오우드를 고정시킨 후 발광다이오우드를 노브의 내측에 설치함으로써 노브와 함께 발광다이오우드가 유동되면서 점등 및 소등될 수 있도록 한 발광다이오우드가 부설된 스위치 노브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이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는 전자제품 캐비넷(1)의 노브홀(3)로 삽입 돌출되는 본 고안의 노브(10)가 도시되며 제3도를 참조하면 노브(10)에 가이드축(11)을 형성시켜 코일스프링(12)을 삽입하고 가이드축(11)은 지지판(5)의 가이드홀(6)로 삽입하여 레일(17)로 기판(14)이 삽입된 브라켓트(16)에 체결나사(18)로 고정하며 기판(14)에는 텍트스위치(20)와 전선(15)으로 연결되는 발광다이오우드(13)를 땜납 한후 지지판(5)의 가이드홀(7)로 발광다이오우드(13)를 삽입하여 발광다이오우드(13)가 노브(1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조립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노브(10)를 반투명체로 구성하여 노브(10)를 누르면 노브(10)의 가이드축(11)이 고정된 브라켓트(16)가 텍트스위치(20)을 온시키게되므로 텍트스위치(20)에 전선(15)으로 연결된 발광다이오우드(13)가 점등되어 반투명체로 구성된 노브(10)의 외부에서 노브(10)에 의해 텍트스위치(20)가 온된것을 알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노브구조의 작동을 제2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노브(10)는 지지판(5)돠 노브(10) 사이에 탄지된 코일스프링(12)을 압축시키면서 캐비넷(1)의 노브홀(3)로 삽입되고 동시에 가이드축(11)은 캐비넷(1)의 보스(2)에 고정나사(8)로 고정시킨 지지판(5)의 가이드홀(6)로 삽입되며 레일(17)에 기판(14)이 삽입된 브라켓트(16)가 함께 밀쳐져서 브라켓트(16)에 의해 텍트스위치(20)가 온된다.
이때, 노브(10)의 가이드축(11)의 가이드홀(6)로 삽입되면 브라켓트(16)와 함께 체결나사(18)로 가이드축(11)에 고정된 기판(14)의 발광다이오우드(13)도 가이드홀(7)을 통하여 이동하여 텍트스위치(20)가 온될때 전선(15)을 통해 전원이 인가되므로 발광다이오우드(13)는 점등되고 발광다이오우드(13)의 점등상태는 반투명체의 노브(10)를 통해 외부에서 감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눌렀던 노브(10)에서 손을 떼면 코일스프링(12)의 텐션력에 의해 노브(10)가 캐비넷(1)으로 돌출되고 동시에 가이드축(11)에 고정된 브라켓트(16)와 기판(14) 및 발광다이오우드(13)가 최초의 상태로 복귀되지만 텍트스위치(20)는 온된 상태가 유지되므로 발광다이오우드의 온상태가 유지되며 노브(10)를 다시 눌렀다 놓으면 상기와 같은 동작으로 브라켓트(16)가 텍트스위치(20)를 오프시키며 동시에 발광다이오우드(13)가 소등되므로 노브(10)의 동작상태와 텍트스위치(20)의 온.오프 상태를 외부에서 쉽게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노브구조는 캐비넷(1)으로 돌출 설치되는 노브(10)를 반투명체로 구성하고 텍트스위치(20)와 전선(15)으로 연결된 발광다이오우드(13)를 노브(10)에 내설하고 노브(10)에 연결된 브라켓트(16)는 텍트스위치(20)를 작동시키는 이중구조로 되어있어 발광다이오우드(13)가 견고하게 지지되며 텍트스위치(20)의 온.오프시마다 발광다이오우드(13)의 점등 및 소등은 반투명체의 노브전체을 통해 쉽게 인지되므로 노브의 동작상태의 텍트스위치(20)의 온, 오프상태를 분명하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Claims (1)

  1. 전자제품의 기능을 콘트롤하기 위해 텍트스위치에 온, 오프 표시부가 형성된 노브구조에 있어서, 노브(10)전체를 반투명체로 구성하고 노브(10)의 가이드축(11)에 고정되는 브라켓트(16)에는 레일(17)을 형성시켜 발광다이오우드(13)가 땜납되는 기판(14)을 삽입고정하며 발광다이오우드(13)는 노브(10)의 내측으로 삽입되며 브라켓트(16)는 텍트스위치(20)를 온, 오프시키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다이오우드가 부설된 스위치 노브구조.
KR2019890021511U 1989-12-31 1989-12-31 발광다이오우드가 부설된 스위치 노브구조 KR9400040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21511U KR940004021Y1 (ko) 1989-12-31 1989-12-31 발광다이오우드가 부설된 스위치 노브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21511U KR940004021Y1 (ko) 1989-12-31 1989-12-31 발광다이오우드가 부설된 스위치 노브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2415U KR910012415U (ko) 1991-07-30
KR940004021Y1 true KR940004021Y1 (ko) 1994-06-17

Family

ID=19295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21511U KR940004021Y1 (ko) 1989-12-31 1989-12-31 발광다이오우드가 부설된 스위치 노브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402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2415U (ko) 1991-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722029Y2 (ja) 自照式電源スイッチ付回路遮断器
US7375300B2 (en) Switch assembly
US6545576B1 (en) Switch assemblies
CA2138560A1 (en) Modular lighting assembly and method for a refrigerator
EP0530509A3 (en) Switch device
KR940004021Y1 (ko) 발광다이오우드가 부설된 스위치 노브구조
KR900006136Y1 (ko) 기기의 복귀장치에 있어서의 동작 표시장치
US7495187B2 (en) Electrical switch
US5165785A (en) Floor lamp dimmer
JP5299633B2 (ja) スイッチ装置
JP3052306B2 (ja) ステッピングモータの接続構造
JPH0545649A (ja) 液晶表示器の照明構造及び組立構造
KR940001646Y1 (ko) 발광다이오드의 고정구조
KR950009768A (ko) 일체형 전원스위치
KR100319214B1 (ko) 스위치
KR890009071Y1 (ko) Led표시 장치용 버튼 장치
KR930004294Y1 (ko) 컴퓨터의 전원스위치 및 발광다이오드 고정장치
JP2720587B2 (ja) 照光押しボタンスイッチ
KR900003701Y1 (ko) 음향기기 포인타의 발광장치
JPS6042517Y2 (ja) ダイヤル表示装置
JP2602227Y2 (ja) 受光ブロック
JPS5914964Y2 (ja) 照明器具の付属機器の取付構造
KR930004847Y1 (ko) 조명장치가 부착된 엔진오일 레벨게이지
JPH0451383Y2 (ko)
KR200156368Y1 (ko) 컴퓨터 본체의 발광소자 인디케이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6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