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3962B1 - 카본 블랙 생산용 비-실린더형 반응기 - Google Patents

카본 블랙 생산용 비-실린더형 반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3962B1
KR940003962B1 KR1019890700658A KR890700658A KR940003962B1 KR 940003962 B1 KR940003962 B1 KR 940003962B1 KR 1019890700658 A KR1019890700658 A KR 1019890700658A KR 890700658 A KR890700658 A KR 890700658A KR 940003962 B1 KR940003962 B1 KR 9400039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ction chamber
hot gas
hydrocarbon
carbon black
cr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7006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700549A (ko
Inventor
챨스 버그 알란
로스 죤즈 2세 윌리암
Original Assignee
콜롬비안 케미칼스 캄파니
원본미기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249999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940003962(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콜롬비안 케미칼스 캄파니, 원본미기재 filed Critical 콜롬비안 케미칼스 캄파니
Publication of KR9007005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7005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39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39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1/00Treatment of specific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C09C1/44Carbon
    • C09C1/48Carbon black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1/00Treatment of specific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C09C1/44Carbon
    • C09C1/48Carbon black
    • C09C1/50Furnace black ; Preparation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60Optical properties, e.g. expressed in CIELAB-valu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igments, Carbon Blacks, Or Wood Stai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카본 블랙 생산용 비-실린더형 반응기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의 종단면도.
제2도는 기재된 구체예의 반응실의 내부 표면을 나태는 제1도의 2-2선의 확대 단면도.
제3도는 탄화수소 공급원료 분무물에 의해 생성된 흐름 패턴을 나타내는, 상기 구체예의 반응실의 3-3선의 개괄적 확대 단면도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술분야]
본 발명은 카본 블랙 생산용 반응기들에 관한 것이며, 더욱 특히 균일하게 색조가 진한(high tint)카본 블랙을 제공하는 더욱 효과적인 카본 블랙 반응기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
카본 블랙 생산의 기초적 방법은 얼마전부터 알려져 있었다. 일반적으로, 카본 블랙은 탄화수소 원료(이후는 탄화수소 공급원료로 칭함)를 고온의 산소-함유 기체 흐름에 주입시켜 여기서 탄화수소 공급원료를 부분적으로 열분해시킨 후 물 분무에 의해 켄칭시킴으로 생산된다. 고온의 기체는 연료를 연소실에서 태움으로 생산된다. 연소실은 실린더형 반응실과 같은 축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연소실에서 생산된 고온의 기체는 탄화수소 공급원료가 고온의 기체 흐름에 들어가는 반응실로 흘러간다.
탄화수소 공급원료는 반응실내의 축 위치로부터 반응실의 벽을 통해 고온의 기체의 흐름으로 들어갈 수 있다. 흔히 탄화수소 공급원료가 반응실의 벽을 통해 들어가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축 주입 장치가 연소실로부터의 고온 기체의 흐름을 방해하기 때문이다. 고온 기체 흐름이 탄화수소 공급원료를 포함함에 따라 탄화수소 공급원료는 열분해되어 카본 블랙과 기체성 부산물을 형성한다. 이후에 열 분해 반응은 물을 분무함으로 켄칭된다. 최종적으로 카본 블랙은 기체 흐름으로부터 분리된다.
카본 블랙의 물리적 성질은 카본 블랙 반응기의 공정 매개변수들을 조절함으로 변경시킬 수 있다. 예를들면 "색조"는 카본 블랙의 중요한 성질이다. 카본 블랙의 입자 크기 분포는 색조에 영향을 미친다. 입자 크기 분포가 좁으면 고무에 개선된 미끄럼과 견인력을 부여하는 색조가 진한 카본 블랙이 주어진다. 연소실로 부터의 고온 기체의 온도 및 양, 고온 기체 흐름에 있어서의 탄화수소 공급원료의 양과 분포, 반응기를 통한 탄화수소 공급원료와 고온 기체의 흐름 패턴, 카본 블랙 반응기내의 탄화수소 공급원료의 체류시간, 열분해 반응의 불꽃 길이 및 불순물의 양이 카본 블랙의 입자 크기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변수들이다. 이공정 매개변수들은 카본 블랙 생성물의 입자 크기 분포를 조절하기 위해서 조절되어야 한다.
선행 기술의 카본 블랙 반응기들은 일반적으로 실린더형 반응실을 갖는다. 연소실 로부터의 고온 기체의 온도와 양은 연료의 양과 유형 및 연소를 위해 사용된 공기와 양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고온 기체 흐름에 들어가는 탄화수소 공급원료의 양은 간단한 밸브 기구에 의해 조절될 수 있으나 카본 블랙 공정의 나머지 매개변수들은 실린더형 반응기로 조절하기 어렵다. 반응기내의 탄화수소 공급원료의 열분해 체류시간을 조절하기 위한 하나의 시도는 반응실의 세로축을 통해 탄화수소 공급원료의 도입 지점을 이동시키는 것이다. 탄화수소 공급원료의 연소실로의 도입지점이 가까우면 가까울수록 탄화수소 공급원료의 체류 시간이 더욱 길어진다.
탄화수소 공급원료가 반응실의 벽을 통해 도입되면, 체류시간을 조절하기가 어렵다. 더욱이, 탄화수소 공급원료가 실린더형 반응실의 벽을 통해 도입되면 탄화수소 공급원료가 탄화수소 공급원료의 도입 지점 주위의 시린더형 반응실 내부 표면상에 부딪치는 경향이 있다. 반응실 내의 고온 기체의 온도 및 따라서 반응실의 곡면 내부 표면의 온도는 1093.3℃-1648.9℃ (2000℉ 내지 2500℉)이다. 도입 지점에서의 탄화수소 공급원료의 온도는 일반적으로 176.7℃ (350℉)이다. 탄화수소 공급원료가 훨씬 높은 온도로 예비가열되면 이는 코크스가 된다. 온도에 있어서의 이러한 극심한 차이로 인해서 반응실의 내부 표면상에 탄화수소 공급 원료가 부딪쳐 반응실에 열충격을 야기한다. 열충격은 반응실의 내부 표면을 부식시켜서 반응실의 단면적을 넓힌다. 반응실의 내부 표면이 부식되면 내화 그릿이라고 불리우는 카본 블랙 생성물내의 불순물이 생성된다. 반응실 내부 표면에 탄화수소 공급원료가 부딪침으로 일어나는 또 다른 해로운 효과는 충격 코크스로 불리우는 불순물로서 이는 탄화수소 공급원료가 반응실의 고온의 표면과 접촉됨으로 초래된다. 충격 코크스는 입자크기가 색조가 짙은 카본 블랙보다 훨씬 큰 경질의 탄소 물질이다.
부식으로 인해 반응실의 단면적이 넓어졌기 때문에, 반응실의 부피가 커졌고 결과적으로 반응기가 조작될때의 고온 기체 흐름 및 열분해되는 탄화수소 공급원료의 체류시간이 증가되었다. 체류 시간이 증가됨으로 더 많은 반응 시간이 제공되고 따라서 카본 블랙 생성물의 입자 크기 분포가 변경되었다. 탄화수소 공급원료의 체류 시간이 길면 길수록, 생성물의 평균 입자 크기가 커진다. 카본 블랙 생성물내의 내화 그릿과 충격 코크스의 존재도 또한 카본 블랙의 입자 크기 분포와 전체적인 질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질과 입자 크기 조절은 통상적인 실린더형 반응기가 조작될 때와 같이 시간에 따라 열화된다.
실린더형의 선행 기술 카본 블랙 반응기들이 갖는 또다른 문제는 탄화수소 공급원료가 반응실의 벽을 통해 들어갈 때, 고온 기체 흐름의 단면적을 덮기에 탄화수소 공급원료 분무물이 불충분하다는 것이다. 탄화수소 공급원료가 반응실의 벽을 통해 반응실안으로 분무되면, 비-원형 분무 패턴이 형성된다. 실린더형 반응기들의 단면은 원형이고 따라서 실린더형 반응실을 통한 고온 기체 흐름의 단면도 또한 원형이다. 탄화수소 공급원료에 의해 형성된 비-원형 패턴은 고온의 기체 흐름의 원형 단면과 맞지 않기 때문에, 고온 기체 흐름의 일부(이후 고운기체 공극이라 약침함)는 탄화수소 공급원료가 도입된 후에도 탄화수소 공급원료 분무의 공극을 남긴다. 고온 기체 공극의 존재는 카본 블랙 공정에 나쁜 영향을 미친다.
첫째로, 고온 기체 공극은 탄화수소 공급원료를 열분해하는 불꽃의 길이를 증가시킨다. 탄화수소 공급원료을 열분해하는 불꽃은 공급원료의 주입으로 시작되고 고온기체 흐름내의 산호가 소비되었을 때 끝난다. 고온 기체 공극내에 존재하는 산소는 산소가 탄화수소 공급원료와 접촉될 때에야 비로서 소모된다. 이는 흔히 고온 기체 공극이 더욱 아래로 흘러내려가서 탄화수소 공급원료를 열분해하는 불꽃을 길게 만들때에야 비로서 발생한다. 고온 기체 공극은 탄화수소 공급원료 일부를 과도하게 열분해시킴으로 카본 블랙 생성물의 입자 크기 분포를 넓힌다. 더욱이, 고온 기체 공극의 일부는 탄화수소 공급원료와 접촉됨이 없이 도망하여 소모된다.
따라서, 카본 블랙 반응 공정의 매개변수들을 더욱 크게 조절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입자 크기 범위가 협소한 카본 블랙을 생성하는 카본 블랙 반응기가 필요하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은 카본 블랙 생산을 위해 비-실린더형 반응기를 제공함으로 선행기술에 있어서의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한다. 일반적으로 말해서, 본 발명의 반응실은 비-원형 단면을 가지며 반응실내로 탄화수소 분무물을 다수 도입하여 반응실의 단면에 비-원형 분무 패턴을 형성한다. 반응실은 탄화수소 분무에 의한 고온 기체 흐름의 단면적 덮음을 최대로하기 위해서 본질적으로 분무 패턴의 비-원형 단면과 동형인 단면을 갖는 고온 기체의 흐름을 제공한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의 반응실은 반응실의 내부 표면을 규정하는 다수의 편형면을 갖는 외피부를 갖는다. 탄화수소 분무물들을 반응실안으로 도입시키기 위한 장치는 반응실의 편형 면상에 놓인다. 탄화수소 분무 장치들이 이렇게 놓여질 때, 분무물들이 겹쳐져서 본질적으로 고온 기체 흐름의 단면과 동형인 단면을 갖는 분무 패턴을 형성하고 따라서 탄화수소 분무에 의한 고온 기체 흐름의 단면의덮음을 최대로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신규한 구성은 색조가 짙은 카본 블랙을 생성한다. 탄화수소 분무에 의해 고온 기체흐름의 단면적을 최대로 덮으면 불꽃 길이를 최소로 한다. 최소 불꽃 길이는 탄화수소 분무물을 균일하게 열분해시켜서 카본 블랙 생성물에 있어서, 입자 크기 분포를 협소하게 하거나 색조를 짙게 한다. 고온 기체흐름의 단면적을 최대로 덮으면 또한 고온 기체 공극 및 그의 폐기물을 제거한다.
본 발명의 신규한 구성은 탄화수소 공급원료 분무의 충격이 일정하게 감소된 카본 블랙을 제공한다. 반응실 내부표면의 편형 면들은, 반응실의 내부 표면상에 탄화수소 분무물들이 부딪치는 것을 본질적으로 제거하기 위해서 탄화수소 도입 장치들 각각의 배출구 주위에 편형 표면을 제공하여 이로써 열 충격과 결과적인 반응실의 내부 표면의 부식을 본질적으로 제거한다. 반응실의 내부 표면이 부식됨이 없이 반응실의 단면적이 일정하게 유지되고 결과적으로 고온 기체 흐름 및 열 분해 탄화수소 공급원료의 체류 시간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고온 기체 및 탄화수소 공급원료의 일정한 흐름은 카본 블랙 생성물의 초래되는 색조질을 더욱 크게 조절한다. 탄화수소 분무물들의 충격을 본질적으로 제거함으써 카본 블랙 생성물내의 내화 그릿과 충격 코크스의 존재를 제거하여 카본 블랙의 더욱 협소하고 일정한 입자 크기 분포를 초래하고 카본 블랙의 전제적인 질을 개선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개선된 카본 블랙 반응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균일하게 협소한 입자 크기 범위을 갖거나 색조가 짙은 카본 블랙을 생산하는 카본 블랙 반응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최소 불꽃 길이를 생성하는 카본 블랙 반응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연소기체 및 탄화수소 공급원료의 일정한 흐름을 생성하는 카본 블랙 반응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탄화수소 공급원료의 충격에 의해 야기된 카본 블랙 반응기의 내부 표면의 열충결과 부식을 본질적으로 감소시키거나 제거하는 카본 블랙 반응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카본 블랙 생성물내의 내화 그릿을 본질적으로 감소시키거나 제거하는 카본 블랙 반응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카본 블랙 생성물내의 충격 코크스를 본질적으로 감소시키거나 제거하는 카본 블랙 반응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저은 카본 블랙 생성물내의 고온 연소 기체의 폐기물을 본질적으로 감소시키거나 제거하는 카본 블랙 반응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결지어 다음의 설명들을 읽으면 자명해질 것이다.
[바람직한 구체예의 상세한 설명]
먼저 제1도를 보면, 일반적으로 연소 구간(12), 연소구간에 연결된 반응실(14), 반응실 끝에 연결된 반응 트로트(16), 반응실과 반응트로트로 들어가는 다수의 탄화수소 공급원료 주입 노즐(20) 및 반응트로트의 끝에 연결된 배출실(24)을 포함하는 카본 블랙 반응기(10)가 일반적으로 나타나있다. 연소 구간은 연소 초크(30)와 축상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는 실린더형 공기 주입실(26)을 포함한다. 공기 주입실(26)은 탄화수소 버어너 도입용 주입구(32)와 산소-함유 기체용의 또다른 개구(33)를 갖는다. 연소 초크(30)는 실린더형 연소실(34)과 축상으로 유사하게 서로 연결되어 있다. 연소 구간(12)의 상세한 것은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으며 따라서 상세히 기술하지 않음을 이해 하여야 한다.
연소실(34)은 수렴하는 8-면을 지닌 반응실(14)와 축상으로 서로 연결 되어있다. 반응실(14)은 연소실(34)로 부터 한 방향으로 모아진다. 수렴하는 8-면 반응실(14)의 작은 말단(36)은 8-면 반응 트로트(16)와 축상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다.
8-면 반응실의 내부 표면은 제2도에 나타나 있다. 바람직한 구체예의 중요한 특징은 제2도에 나타낸 반응실(14)의 편형 벽들(40a, 40b, 40c 및 40d)이다. 반응실(14)의 8면들은 평행 반대쌍(40a, 40b, 40c 및 40d)위치한다. 탄화수소 공급원료 주입 노즐구(44) 반응실(14)의 면의 비교적 협소한 교차 쌍들(40a 및 40c) 및 반응 트로트(16)의 면들(나타나 있지 않음)의 대응하는 교차 쌍들 상에 위치되어 있다. 편형 면들의쌍(40a 및 40c)은 탄화수소 공급원료 주입 노즐구(44) 편형 표면을 제공한다. 편평한 면들(40a 및 40c)의 편형 표면과 편형하게 탄화수소 공급원료 주입 노즐구(44)를 배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공급원료 주입 노즐구(44)는 90°분무각으로 탄화수소 공급원료 분무물을 형성한다. 반응 트로트(16)의 내부 표면은 반응 트로트(16)가 수렴되지 않는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반응실(14)의 단면과 동일하다. 반응 트로트(16)는 그 직경이 반응 트로트(16)보다 훨씬 더 큰 배출실(24)에 축상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다.
카본 블랙 생산 공정은 천연 가스와 같은 탄화수소 물질이 공기와 같은 산소-함유 기체와 혼합되고 연소되는 카본 블랙 반응기(10)의 연소 구간(12)에서 시작된다. 탄화수소 연료의 완전 연소에 필요한 양을 초과하는 산소-함유 기체의 양을 공기 주입실(26)안으로 주입한다. 연소 구간(12)에서 생산된 고온 기체는 연소 구간을 통해 반응실(14)로 축 방향으로 흐른다. 고온 기체의 온도는 일반적으로 2000℉-3500℉ 범위이다. 고온 연소 기체가 반응실(14)을 통해 반응 트로트(16)로 축방향으로 흘러 들어감에 따라, 탄화수소 공급원료가 주입 노즐(20)에 의해 반응 트로트(16) 및 반응실(14)의 벽들을 따라 위치한 주입구(44)를 통해 고온 기체 흐름안으로 분무된다. 탄화수소 공급원료 분무물은 고온 기체 흐름내에서 열분해되어 카본 블랙 입자들을 형성한다. 고온 기체 흐름에 존재하는 카본 블랙 입자들은 배출실 안으로 옮겨져서 여거서 물의 분무(나타나 있지 않음)에 의해 열 분해 반응이 정지된다. 이후에, 카본 블랙 입자들은 기체 흐름으로부터 분리된다. 카본 블랙 생성물 회수는 본 발명의 일부가 아니며 따라서 상세히 논의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편형 면들(40a 및 40c)의 편평한 표면들은 탄화수소 공급원료가 고온 기체의 흐름내로 주입될 때 선행 기술의 실린더형 반응실에서 발생하는 반응실(14)의 내부 표면상에 탄화수소 공급원료가 부딪치는 것을 본질적으로 제거한다. 탄화수소 공급원료가 부딪치는 것을 제거함으로써 반응실(14) 내부 표면의 열 충격과 이에 따른 반응실(14)내부 표면의 부식이 제거된다. 또한 탄화수소 공급원료가 부딪치는 것을 제거함으로 카본 블랙 생성물내의 충격 코크스와 내화 그릿이 존재하지 않게 된다. 반응실(14)의 내부 표면이 부식되지 않으면, 반응실 단면(제3도에 나타남)의 크기가 일정하게 유지되며, 따라서 반응실(14)을 통한 고온 기체의 유속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반응실(14) 및 반응트로트(16)를 통한 고온 기체의 일정한 유속에서, 카본 블랙 생성물의 입자크기 분포는 반응실(14) 및 반응 트로트(16)에 따라 탄화수소 공급원료 주입 노즐(20)의 특정 세트를 선택함으로 조절될 수 있다.
카본 블랙 반응기(10)의 또 다른 신규한 특징은, 8-면 반응실 설계에 의해 생산된 고온 연소 기체가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다는 것이다. 제3도에는 탄화수소 공급원료 분무물에 의해 생성된 흐름 패턴을 나타내는 반응실(14) 넓이의 단면이 나타나 있다. 각각의 탄화수소 공급원료 주입 노즐(20)은 반응실내에서 90°분무각으로 탄화수소 공급원료 분무물을 형성한다. 동시에 분무하는 4개의 탄화수소 공급원료 주입 노즐(20)의 한 셋트로 직사각형 분무 패턴이 분무물들 (46)을 90°겹침으로 형성된다. 탄화수소 공급원료 분무의 직사각형 패턴은 본질적으로 고온 연소 기체 흐름의 직사각형 단면을 확정한다. 결과적으로, 탄화수소 공급원료 분무에 의한 고온연소 기체 흐름의 단면적 덮음이 최대로 된다.
탄화수소 공급원료에 의해 고온 연소 기체 흐름의 단면적을 최대로 덮으면 선행기술보다 여러 가지 이점들을 제공한다. 첫째로 단면적의 덮음을 최대로 함으로, 열분해 탄화수소 공급원료의 불꽃 길이가 최소로 된다. 불꽃은 고온 기체내의 산소와 탄화수소 공급원료 분무물 사이의 열분해 반응에 의해 생성된다. 열분해 탄화수소 공급원료에 의해 생성된 불꽃은 고온 연소 기체에 함유된 산소 전부가 소모될 때 꺼진다. 탄화수소 공급원료 분무물이 고온 기체흐름의 전 단면적을 본질적으로 덮을 때, 고온 기체 흐름내의 실질적으로 모든 산소가 고온 기체 흐름이 탄화수소 공급원료 주입 부분을 통과할 때 탄화수소 공급원료와 직접 접촉된다. 결과적으로 본질적으로 모든 산소가 즉시로 균일하게 탄화수소 공급원료와 반응하고 불꽃은 꺼진다. 본 카본 블랙 반응기의 이러한 특징은 고온 기체 공극의 바람직하지 못한 결과를 막으며 그렇지 않으면 고온 기체흐름의 단면적 전부가 덮이지 못하게 된다(실린더형 반응기로는) 결과적으로 본 반응기는 탄화수소 공급원료의 일부가 과도하게 열분해되는 것을 피하고 카본 블랙 생성물의 원하는 협소한 입자크기 분포가 유지된다.
카본 블랙 반응기(10)에 의해 생성된 최소 불꽃 길이의 특정 이점은 열분해 탄화수소 공급원료의 불꽃이 반응실(14)와 트로트(16)내에 유지 되어서 이로써 균일한 반응 조건들이 확정된다는 것이다. 열분해 공급원료가 트로트(16)로부터 배출실(24)로 들어갈 때 직경에 있어서의 커다란 즉각적인 증가로 인하여, 고온 기체는 빠르게 팽창되고 역혼합된다. 불꽃이 배출실 안으로 계속되면, 빠른 팽창 및 역혼합으로 고온 기체내의 산소화 탄화수소 공급원료의 비균일한 접촉과 결과적으로 탄화수소 공급원료 부분들의 과도한 열분해가 야기된다. 고온 연소 기체 흐름의 단면적을 최대로 덮는 또 다른이점은 연소실에서 생성된 고온 기체의 본질적으로 모든 양이 열분해 반응에 사용되고, 이로써 그렇지않을 경우 배출실(24)을 통해 배기되는 임의의 고온 기체 공극 폐기물이 제거된다.
고온 기체 흐름의 단면적 덮음 증가와 결과의 이점들은 탄화수소 공급원료 분무각 30°내지 120°사이에서 변하는 정도에 따라 얻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더욱 큰 각에서는, 탄화수소 공급원료가 주입될 때, 탄화수소 공급원료 분무물이 내부 표면에 부딪히지 않도록 탄화수소 공급원료 주입 노즐이 반응기의 내부표면을 지나 뻗어있어야 한다.
본 카본 블랙 반응기가 8-면의 반응실 및 트로트에 제한되지 않으며 더 큰 또는 더 작은 면의 반응실 및 트로트들도 고려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상기한 것들은 단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에 관한 것이며 다수의 변경 및 개조들이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된 본 발명의 범위와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한 행해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Claims (9)

  1. 고온 기체 흐름 생성 수단 : 고온 기체 흐름을 받아들이는 주입구와 고온 기체가 반응실을 통해 흐를수 있도록 하는 배출구를 갖는 반응실 ; 반응실의 단면에 비-원형 분무 패턴을 형성하기 위해, 반응실의 주입구와 배출구 사이에 다수의 탄화수소 분무물들을 반응실안으로 도입시키기 위한 수단 ; 및 탄화수소 분무물에 의한 고온 기체 흐름의 단면적 덮음을 최대로 하기 위해서, 분무 패턴의 단면과 본질적으로 동형인 고온 기체 흐름의 단면을 생성하는 반응실내의 수단으로 이루어진 카본 블랙 생산용 장치.
  2. 고온 기체 흐름 생성 수단 ; 반응실의 내부 표면을 형성하는 다수의 편형 면들을 갖는 외피부를 가지며, 또한 고온 기체 흐름을 받아들이는 주입구와 고온 기체가 반응실을 통해 흐를 수 있도록 하는 배출구를 갖는 반응실 ; 반응실의 단면에 비-원형 분무 패턴을 형성하기 위해 반응실의 주입구와 배출구 사이의 반응실의 편형 면상에 다수의 탄화수소 분무물들을 반응실 안으로 도입시키기 위한 수단 ; 및 탄화수소 분무물에 의한 고온 기체 흐름의 단면적 덮음을 최대로 하기 위해서 분무 패턴의 단면과 본질적으로 동형인 고온 기체 흐름의 단면을 생성하는 평형 면들에 의해 형성되는 반응실 내부 표면으로 이루어진 카본 블랙 생산용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다수의 탄화수소 분무물 각각이 미리정해진 분무각을 가지며, 분무물들이 겹쳐져서 분무패턴을 형성하는, 카본 블랙 생산용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편형 면들이 짝수로 있고 ; 편형 면들 각각이 본질적으로 평행하고 마주보는 쌍들로 위치되어 있으며 ; 다수의 탄화수소 분무물들을 반응실안으로 도입시키기 위한 수단이 반응실의 교차 편형면들상에 위치한, 카본 블랙 생산용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편형 면의 수가 8인, 카본 블랙 생산용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탄화수소 분무물의 수가 4이고 각각의 분무각이 30°-120°사이인 카본 클랙 생산용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탄화수소 분무물 각각의 분무각이 본질적으로 90°이고 ; 분무물들이 겹쳐져서 본질적으로 직사각형 단면의 분무 패턴을 형성하는 카본 블랙 생산용 장치.
  8. 고온 기체 흐름 생성 수단 ; 반응실의 내부 표면을 형성하는 다수의 편형면들을 갖는 외피부를 가지며, 고온 기체 흐름을 받아들이는 주입구와 고온 기체가 반응실을 통해 흐를 수 있도록 하는 배출구를 갖는 반응실 ; 반응실의 주입구와 배출구 사이의 반응실의 편형 면들상에 각각 배출구를 갖는, 반응실에 다수의 탄화수소 분무들을 도입하기 위한 수단들 ; 및 내부 표면상에 탄화수소 분무물들의 부딪침을 본질적으로 감소시켜서 반응실 내부 표면의 열충격과 결과적인 부식을 본질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해서 탄화수소 도입 수단들 각각의 배출구를 둘러싸는 편평한 표면을 제공하는 편형 면들로 이루어진 카본 블랙 생산용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각각의 탄화수소 도입 수단들의 배출구가 반응실의 내부 표면과 같은 높이로 위치해 있는 카본 블랙 생산용 장치.
KR1019890700658A 1988-01-11 1988-10-06 카본 블랙 생산용 비-실린더형 반응기 KR9400039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7/142,478 US4927607A (en) 1988-01-11 1988-01-11 Non-cylindrical reactor for carbon black production
US142478 1988-01-11
PCT/US1988/003425 WO1989006260A1 (en) 1988-01-11 1988-10-06 Non-cylindrical reactor for carbon black produ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700549A KR900700549A (ko) 1990-08-16
KR940003962B1 true KR940003962B1 (ko) 1994-05-09

Family

ID=22499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700658A KR940003962B1 (ko) 1988-01-11 1988-10-06 카본 블랙 생산용 비-실린더형 반응기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4927607A (ko)
EP (1) EP0368936B2 (ko)
JP (1) JPH0774315B2 (ko)
KR (1) KR940003962B1 (ko)
AU (1) AU617710B2 (ko)
BR (1) BR8807385A (ko)
CA (1) CA1306599C (ko)
DE (1) DE3873342T3 (ko)
ES (1) ES2006674A6 (ko)
IN (1) IN169714B (ko)
MX (1) MX164224B (ko)
NZ (1) NZ227571A (ko)
PH (1) PH24827A (ko)
PT (1) PT89418B (ko)
WO (1) WO19890062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24115B1 (fr) * 1987-12-03 1990-04-13 Gaz De France Procede et appareil pour la conversion des hydrocarbures
NO176969C (no) * 1992-12-23 1995-06-28 Kvaerner Eng Fremgangsmåte til styring av fremstillingen av karbon og hydrogen ved pyrolyse av hydrokarboner, samt anordning for bruk ved fremgangsmåten
DE69735235T2 (de) 1996-05-16 2006-07-27 Columbian Chemicals Company Russ für kraftfahrzeuge und diesen enthaltende kautschukzusammensetzungen
FR2760182B1 (fr) * 1997-02-28 1999-04-16 Minna From Finland Amelioration aux douches et aux cabines de douches
JP4643790B2 (ja) * 2000-03-15 2011-03-02 旭カーボン株式会社 カーボンブラックの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
JP3859057B2 (ja) * 2001-06-22 2006-12-20 旭カーボン株式会社 カーボンブラック製造装置
US7238741B2 (en) 2004-05-13 2007-07-03 Columbian Chemicals Company Carbonaceous material with broad aggregate size distribution and improved dispersibility
US20060034748A1 (en) * 2004-08-11 2006-02-16 Lewis David R Device for providing improved combustion in a carbon black reactor
EP1820569A1 (en) 2006-01-20 2007-08-22 Ineos Europe Limited Process for contacting a hydrocarbon and an oxygen-containing gas with a catalyst bed
DE102007047432A1 (de) * 2007-10-04 2009-04-09 Evonik Degussa Gmbh Ruß,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und seine Verwendung
AU2009305468A1 (en) * 2008-10-16 2010-04-22 Evonik Carbon Black Gmbh Carbon black,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and use thereof
WO2011135579A2 (en) 2010-04-27 2011-11-03 Aditya Birla Nuvo Limited Carbon black reactor
EP2623564A1 (en) 2012-02-03 2013-08-07 Omya International AG Installation for the purification of minerals, pigments and/or fillers and/or the preparation of precipitated earth alkali carbonate

Family Cites Families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811058A (en) * 1969-04-22 Phillips Petroleum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carbon black
CA911684A (en) * 1972-10-10 Charles R. Venable, Jr. Carbon black reactor
CA828064A (en) * 1969-11-25 Phillips Petroleum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carbon black
CA842123A (en) * 1970-05-19 Kraus Gerard Production of carbon black
CA811653A (en) * 1969-04-29 E. Dollinger Robert Production of furnace carbon black
CA827577A (en) * 1969-11-18 J. Forseth Glenn Production of carbon black
CA876015A (en) * 1971-07-20 J. Gunnell Thomas Method of carbon black production
CA828065A (en) * 1969-11-25 J. Gunnell Thomas Production of carbon black
CA821460A (en) * 1969-08-26 H. Kallenberger Robert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carbon black
CA835289A (en) * 1970-02-24 Phillips Petroleum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carbon black
CA827569A (en) * 1969-11-18 E. Dollinger Robert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carbon black
US2705190A (en) * 1951-07-31 1955-03-29 Columbian Carbon Apparatus for carbon black manufacture
US2769692A (en) * 1952-05-06 1956-11-06 Columbian Carbon Carbon black process and apparatus
GB977622A (en) * 1961-07-07 1964-12-09 Lynco Ltd Of Panama S A Carbon black
US3490869A (en) * 1966-11-17 1970-01-20 Columbian Carbon Vortex reactor for carbon black manufacture
US3490870A (en) * 1967-08-09 1970-01-20 Columbian Carbo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of carbon black
US3563706A (en) * 1967-12-29 1971-02-16 Phillips Petroleum Co Production of carbon black
US3522005A (en) * 1968-02-28 1970-07-28 Cities Service Co Process and apparatus for manufacture of carbon black
US3592597A (en) * 1968-05-23 1971-07-13 Phillips Petroleum Co Carbon black process and reactor
CA928936A (en) * 1968-12-30 1973-06-26 Phillips Petroleum Company Large size carbon black producing process and product
US3787562A (en) * 1969-01-02 1974-01-22 Cities Service Co Carbon blacks having improved dispersion and platewear characteristics
BE758008A (fr) * 1969-10-27 1971-04-26 Phillips Petroleum Co Procede d'obtention de noir de carbone
US3867513A (en) * 1970-01-08 1975-02-18 Phillips Petroleum Co Method for producing carbon black
US3615210A (en) * 1970-04-02 1971-10-26 Cabot Corp Process for production of carbon black
US3726964A (en) * 1970-11-18 1973-04-10 Phillips Petroleum Co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carbon black
CA967724A (en) * 1970-12-31 1975-05-20 Robert E. Dollinger Production of simulated lamp black
US3832450A (en) * 1972-12-18 1974-08-27 Cities Service Co Carbon black process
US3988478A (en) * 1974-02-22 1976-10-26 Cities Service Company Carbon black
US3922335A (en) * 1974-02-25 1975-11-25 Cabot Corp Process for producing carbon black
US4195068A (en) * 1974-03-06 1980-03-25 Deutsche Gold- Und Silber-Scheideanstalt Vormals Roessler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furnace black
US3959008A (en) * 1974-06-24 1976-05-25 Cities Service Company Carbon black
FR2321713A1 (fr) * 1975-08-22 1977-03-18 Danel Francois Appareil de prise de vue sous-marin
CH630948A5 (de) * 1977-09-02 1982-07-15 Mura Anst Anlage zur russherstellung.
US4283378A (en) * 1979-08-01 1981-08-11 Cabot Corporation Production of high surface area carbon blacks
US4370308A (en) * 1981-05-15 1983-01-25 Cabot Corporation Production of carbon black
US4342736A (en) * 1981-06-01 1982-08-03 Columbian Chemicals Company Reduction of the degradation of refractories in a carbon black reactor
US4391789A (en) * 1982-04-15 1983-07-05 Columbian Chemicals Company Carbon black proces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Z227571A (en) 1990-06-26
CA1306599C (en) 1992-08-25
BR8807385A (pt) 1990-03-20
DE3873342D1 (de) 1992-09-03
IN169714B (ko) 1991-12-14
KR900700549A (ko) 1990-08-16
US4927607A (en) 1990-05-22
PH24827A (en) 1990-10-30
EP0368936B2 (en) 1998-11-11
DE3873342T3 (de) 1999-04-22
JPH0774315B2 (ja) 1995-08-09
DE3873342T2 (de) 1993-03-25
WO1989006260A1 (en) 1989-07-13
AU2543688A (en) 1989-08-01
EP0368936A1 (en) 1990-05-23
PT89418A (pt) 1989-10-04
AU617710B2 (en) 1991-12-05
JPH028259A (ja) 1990-01-11
EP0368936B1 (en) 1992-07-29
ES2006674A6 (es) 1989-05-01
MX164224B (es) 1992-07-27
PT89418B (pt) 1994-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3962B1 (ko) 카본 블랙 생산용 비-실린더형 반응기
US4391789A (en) Carbon black process
EP1765934B1 (en) Carbon black and multi-stage process for making same
US7514062B2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furnace black
KR920700267A (ko) 카본블랙의 제조방법 및 장치
US5252297A (en) Process for producing carbon black and apparatus therefor
KR0166972B1 (ko) 카본블랙 제조 장치 및 방법
US4228131A (en)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of carbon black
EP2563864B1 (en) Carbon black reactor
US3701827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of large particle-size,low structure carbon black
US3060003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producing carbon black
US4339422A (en) Carbon black manufacture
US5256388A (en) Method for consistently producing carbon black having a high tint
US4970059A (en) Method of producing furnace carbon black
JPH03115365A (ja) 広範囲粒子寸法分布を有するカーボンブラックを製造するための反応器および方法
US3565586A (en) Apparatus for producing carbon black
US5069882A (en) Carbon black reactor with a choke extension
US4341750A (en) Carbon black production
EP0206315A2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producing carbon black
US2957755A (en) Method of producing carbon black
US4446108A (en) Carbon black manufacture
CA2005697A1 (en) Carbon black reactor with an elongated choke and method for producing carbon black therewith
EP0360379A2 (en) Reactor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carbon black with high surface activity
WO2000020514A2 (en) An improved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black by furnace process and an improved high volume high temperature (hvht) reactor for carrying out said method
RU2044559C1 (ru) Реактор термоокислительного пиролиза углеводород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25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