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3891Y1 - 조립식 천정반자 - Google Patents

조립식 천정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3891Y1
KR940003891Y1 KR92001305U KR920001305U KR940003891Y1 KR 940003891 Y1 KR940003891 Y1 KR 940003891Y1 KR 92001305 U KR92001305 U KR 92001305U KR 920001305 U KR920001305 U KR 920001305U KR 940003891 Y1 KR940003891 Y1 KR 9400038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eiling
support frame
plate
lo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013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8269U (ko
Inventor
김태우
Original Assignee
김태우
주식회사 금정건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우, 주식회사 금정건철 filed Critical 김태우
Priority to KR920013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3891Y1/ko
Publication of KR93001826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826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38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3891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6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e.g. cross section or material of framework members
    • E04B9/064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e.g. cross section or material of framework members comprising extruded supporting bea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18Means for suspend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4B9/183Means for suspend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having a lower side adapted to be connected to a channel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22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4B9/24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with the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positioned on the upperside of, or held against the underside of the horizontal flang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or accessory means connected thereto
    • E04B9/26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with the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positioned on the upperside of, or held against the underside of the horizontal flang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or accessory means connected thereto by means of snap action of elastically deformable elements held against the underside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3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edge details of the ceiling; e.g. securing to an adjacent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6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e.g. cross section or material of framework members
    • E04B2009/062Caps covering visible surfac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sidential Or Office Building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조립식 천정반자
제1도 내지 제14도는 본 고안에 의한 조립식 천정반자에 관한 도면으로서,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조립식 천정반자의 부분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요부 분해사시도.
제4a, b도는 제2도의 부분 상세 단면도로서, 서로 다른 실시형태의 벽면고정골조가 이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제5a도는 본 고안에 의한 반자골조의 일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b도는 a도의 분해사시도.
제6도 및 제7도는 본 고안의 요부인 반자골조의 서로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제8도는 반자골조 체결구의 사시도.
제9도 및 제10도는 반자골조 서스팬드바의 서로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제11도는 반자골조 정립지지편의 사시도.
제12a도는 천정판의 사시도 b도는 a도의 요부단면도.
제13a도는 천정판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b도는 a도의 요부단면도.
제14a도 내지 e도는 반자골조의 여러가지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벽면고정골조 1′ : 몸체
1a,1b : 걸림홈 1c : 지지홈
1d : 결합부 1e : 결합홈
2 : 반자골조 3 : 단형지지골조
3a : 천정판 걸림부 3b : 장형지지골조 결합부
4 : 장형지지골조 4a : 단형지지골조 결합부
4b : 체결돌부 4c : 천정판 걸림부
5 : 천정판 5a,5b : 탄성걸림부
6 : 반자 골조 정립지지편 6a : 고정공
6b : 상측, 걸림돌기 6c : 하측, 걸림돌기
7 : 장식테 7a : 결합부
8 : 보강판 9 : 덮개판
9a,9b : 결합돌기 9c : 결합홈
9d : 천정판 지지돌부 10,11,12 : 끼워맞춤구조
20 : 체결구 21 : 날개부
21a : 걸림돌기 22 : 그립
22a : 갈고리부 25 : 코너부재
본 고안은 조립식 천정반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합성수지 또는 금속 압출성형재로 형성한 벽면고정골조와 반자골조 등의 천정골조와, 합성수지재 천정판을 조립하여 욕실 등 습기가 많은 장소에서 부식됨이 없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시공조립이 용이하고 시공상태가 양호하도록 한 조립식 천정반자에 관한 것이다.
통상 아파트의 욕실과 대중 목욕탕 등의 천정에 각목을 종ㆍ횡으로 배치하여 격자상으로 설치하고 베니어판등의 천정판을 결합하여서 된 목재 천정반자는 목재가 습기에 약하기 때문에 습기에 의하여 부식됨으로써 사용수명이 짧은 단점이 유발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이러한 목재 천정반자가 가지는 결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각목 뜨는 철재앵글을 천정골조로 이용하여 천정에 격자형으로 설치하고, 널판자형 또는 장방판형 합성수지재 천정판을 조립하여 욕실용 천정반자를 형성하고 있으나, 이러한 천정반자는 시공작업이 번거롭고 까다로울 뿐 아니라, 각목이나 철재앵글의 천정골조는 습기에 의하여 산화 부식 되거나, 곰팡이가 생기는 등 사용수명이 짧고 비위생적인 것으로서 습기에 따른 피해를 방지할 수 없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결함을 감안하여 합성수지 압출성형재 또는 알루미늄 등의 금속 압출성형재로 형성되는 내부식성 천정골조와, 합성수지 사출성형재 또는 진공성형재로 형성되는 내부식성 천정판재로 천정반자를 조림함으로써, 자재의 대량생산성이 현저히 향상되고, 욕실 등 습기가 많은 장소에 거의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조립식 천정반자를 창안하여 특허출원 제91-10522호로 선출원한 바 있다.
상기한 선출원 발명은 천정골조를 형성함에 있어서, 자형지지골조와 웅형지지골조로 분리성형하여 그 자웅형지지골조를 끼워맞춤으로 결합하거나 체결구 등으로 체결하여 천정골조를 형성한 것이고, 이와같이 된 천정골조에 천정판과 천정둘레판을 간단히 조립하여 천정반자를 구성한 것이므로 각 부재의 생산성 및 기계적 강도가 양호하고 조립, 시공성이 우수한 이점을 갖도록 되어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조립식 천정반자는 설치하고자 하는 욕실 등의 벽체의 가로 또는 세로방향으로 길게 가로질러 교차하도록 설치되는 웅형지지골조의 교차부분을 미리 웅형지지골조에 형성한 구멍을 통하여 볼트를 삽입하고 너트로 체결한 구조이므로 설치장소의 면적에 따라 수십, 수백군데의 체결부를 볼트와 너트로 일일이 체결하여야 하는 매우 번거롭고 까다로운 작업이 요구되어 조립시공 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천정골조의 주요 지지부재인 웅형지지골조의 교차부분을 탄성을 가지는 체결구조로서 간편용이하고 견고하게 체결하도록 함으로써 상기한 본 출원인의 선출원 발명의 결함을 해소하여, 조립시공 시간을 단축시키도록 보완하고, 또한 장웅형지지골조와 벽면고정골조가 이루는 천정골조의 하면에 천정판과 천정둘레판을 대략 동일평면상에 위치하도록 결합함으로써, 사용자가 하부에서 관찰하였을 때 복잡하고 거칠게 보이지 않고 단순하면서도 깨끗하게 보이도록 하여 장식효과를 향상할 수 있게 되는 조립식 천정반자를 안출하여 실용신안등록출원 제91-17521호로 선출원한 바 있다.
이러한 조립식 천정반자는 천정의 네 벽면에 고정되는 합성수지 압출성형재 벽면고정골조와, 합성수지 압출성형재 자웅형지지골조가 끼워맞춤구조로 결합되고 벽면고정골조에 지지되어 격자상으로 배치되는 반자골조와, 반자골조의 웅형지지골조의 교차부분을 체결하는 체결구와, 벽면고정골조에 복개되는 덮개판과, 자웅형지지골조의 하부에 결합되는 천정판 및 천정둘레판과, 그 천정판 및 천정둘레판을 벽면고정골조와 자웅형지지골조에 결합하기 위한 천정판지지부재와, 벽면고정골조의 결합부에 결합되는 장식테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선출원 조립식 천정반자는 시공시 천정의 벽체에 반자골조의 웅형지지골조로 가로, 세로 방향으로 직교되게 배열하고 그 웅형지지골조의 상하면에 자형지지골조를 조립하여 자웅형지지골조의 교차부분을 체결한후, 벽면지지골조와 반자골조의 하면에 천정판과 천정둘레판을 부착시키고 천정판지지부재로 고정하게 된다.
이러한 선출원 조립식 천정반자는 조립 시공성이 매우 간편하게 되고, 천정반자의 외관상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었다.
그러나, 벽면지지골조와 반자골조에 천정판과 천정둘레판을 부착할때 천정판과 천정둘레판을 벽면지지골조와 반자골조의 하측에 대어놓고 천정판지지부재를 벽면지지골조와 반자골조에 끼움으로써 천정판과 천정둘레판을 고정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반드시 천정판지지부재가 필요하였으며, 이에따라 사용부재의 비용이 증대하였다. 또한 시공시 다수개의 합성수지제 천정판지지부재를 요구되는 길이에 맞추어 각각 정하여지는 크기로 일정하게 절단하여야 하는 작업이 까다로울 뿐아니라 절단되어진 천정판지지부재를 벽면지지골조와 반자골조에 일일이 삽입하여 고정시켜야하므로 천정반자를 조립시공함에 있어 상당한 시간과 노력이 요구되는 것이었으며, 외관이 양호한 것이기는 하나 천정판지지부재가 천정판과 천정둘레판의 하면으로 돌출되고 또, 천정판지지부재의 절단부분이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천정반자의 외관이 만족스러운것이 되지 못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의 제반결함과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반자골조에 천정판을 별도의 체결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직접 결합할 수 있도록함으로써 사용부품수를 절약할 수 있도록 하고 조립작업을 매우 간단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며, 사용부품수의 절약으로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아니라 천정반자의 외관미를 더욱 향상하도록 한 것인바, 이하 이와같은 본 고안의 조립식 천정반자를 첨부도면 제1도 내지 제14도에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조립식 천정반자의 평면도를 보인 것이고, 제2도는 제1도의 A-A선 확대단면도를 보인 것이며, 제3도 및 제4도는 본 고안의 요부 분해사시도 및 단면도를 보인 것으로, 도면에서 1은 설치하고자 하는 장소의 벽체에 고정되는 벽면고정골조를 보인 것이고, 2는 그 벽면고정골조(1)에 지지되어 천정의 공간부에 가로, 세로방향으로 직교되게 조립되는 반자골조를 보인 것이며, 4, 3은 반자골조(2)를 이루는 장, 단형지지골조를 보인것이다.
그리고 5, 5′는 상기 벽면고정골조(1)와 반자골조(2)에 고정되는 천정판과 천정둘레판을 각각 보인 것이다.
상기 벽면고정골조(1)는 욕실 등 설치하고자 하는 장소의 네 벽면에 볼트등으로 고정되고, 각 벽면고정골조(1)는 벽체의 네 귀퉁이에 고정되는 코너부재(25)에 단부가 결합되어 견고하게 지지되어진다. 상기 코너부재(25)는 각 벽면고정골조(1)의 단부를 고정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구조를 갖는 것이라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반자골조(2)는 상기 벽면고정골조(1)에 지지되어 격자상으로 배치되며, 상기 천정판(5)은 반자골조(2)와 벽면고정골조(1)에 의하여 형성되는 격자상 공간부위에 조립 고정된다.
제1도 및 제3도에서는 미설명 부호 22는 그립을 보인 것이고, 23은 반자골조(2)를 그립(22)으로 걸어 천정에 매달아 고정하기 위한 행거볼트를 보인 것이다.
제4a도는 벽면고정골조(1)의 일 실시예와 반자골조(2) 및 장식테(7)의 결합관계를 보인 단면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벽면고정골조(1)는 합성수지 또는 금속 압출성형재로 ㄷ자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그 내측에는 ㄴ자형 보강판(8)이 삽입되고 개구부에는 덮개판(9)이 끼워맞춤구조(11)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끼워맞춤구조(11)는 벽면고정골조(1)의 상하측부 선단에 형성되는 걸림홈(1a), (1b)과, 상기 덮개판(9)의 상하단부에 형성되는 걸림돌기(9a)(9b)로 이루어지며, 상기 벽면고정골조(1)에는 지지홈(1c)이 형성되어 상기 반자골조(1)의 단부가 삽입지지되게 되어 있다.
상기 벽면고정골조(1)가 고정되는 벽면을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30)에 타일 몰탈을 바르고 타일을 부착한 구조로서 타일 부착공사가 마감된 후 타일의 상단부는 일직선상으로 일정하지 않고 울퉁불퉁하기 때문에 벽면의 타일 상단부측에 벽면고정골조(1)를 고정시키면서 경계부가 미관상 지저분하게 보이게 되는바, 벽면고정골조(1)의 하부에 부착하는 장식테(7)는 이러한 결함을 해소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벽면고정골조(1) 하부의 결합부(1d)에는 장식테 결합홈(1e)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장식테(7)의결합부(7a)를 삽입하여 끼워맞춤구조(12)로 결합하도록 되어있으며, 상기 결합홈(1e)과 결합부(7a)는 톱날과 같이 복수 요철형으로 형성되어 결합폭을 자유로이 조절하면서 결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덮개판(9)의 하단부에 형성한 천정판 지지편(9c)과 장식테(7)의 선단부 사이에는 삽입홈(26)이 형성되어 있어 천정판(5) 또는 천정둘레판(5′)의 단부를 삽입홈(26)에 삽입하고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제4b도는 벽면고정골조(1)의 다른 실시예와 반자골조(2) 등의 결합구조를 보인 단면도로서, 이 다른 실시예의 벽면고정골조(1)는 벽면고정골조(1)의 하측부 선단에 연장돌편(1f)이 일체로 형성되고, 천정판(5)을 삽입하기 위한 삽입홈(26)이 벽면고정골조(1)의 연장돌부(1f)와 덮개판(9)의 천정판 지지편(9c) 사이에 형성된 것이며, 그외 구성은 제4a도의 구성과 유사하다.
제5도 내지 제7도는 본 고안의 요부인 반자골조(2)의 여러가지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자골조의 여러가지 실시예들은 모두 합성수지 압출성형재 단형(短形) 지지골조(4)와 장형(長形) 지지골조(3)를 끼워맞춤구조(10)로 결합하여 각목형상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고있다.
제5a, b도를 참조하여 반자골조(2)의 일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단형지지골조(3)는 일단부에 천정판 걸림부(3a)가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장형지지골조 결합부(3b)가 형성되어 있으며, 장형지지골조(4)는 일단부에 단형지지골조 결합부(4a)와 체결돌부(4b)가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천정판 결합부(4c)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반자골조(2)의 단형지지골조(3)와 장형지지골조(4)는 도시한 바와같이, 장, 단형 지지골조 결합부(3b), (4a)에 의하여 끼워맞춤 구조(10)로 결합될 수 있으며, 이와같이 결합되는 반자골조(2)의 장, 단형지지골조(4), (3)는 체결구(20)에 의하여 체결된다.
제6도의 반자골조(2)는 장, 단형 지지골조(4)(3)의 천정판 결합부(4d), (3c)가 탄성을 갖을 수 있도록 일부분이 몸체와 절결된 것을 제외하면 제5도의 반자골조(2)와 거의 같다.
제5도와 제6도의 반자골조(2)는 장형지지골조(4)의 몸체 내부에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강판 등의 보강판(8)이 삽입고정되어 있다.
상기 장, 단형지지골조(4)(3)는 고강도를 가지는 합성수지 또는 알류미늄 등으로 압출성형되며, 사출 성형시 장, 단형지지골조(4)(3)의 내부에 보강판(8)이 매입되도록 함께 사출 성형된다.
제5도와 제6도의 반자골조(2)는 보강판(8)이 삽입될 정도의 폭을 갖게된다.
제7도의 반자골조(2)는 장형지지골조(4)의 내부에 보강판(8)이 삽입되지 않고, 단지 합성수지만으로 형성된 것이다.
제5도와 제6도에 도시한 반자골조(2)는 내부에 보강판(8)이 들어가 있기 때문에 강도가 높으므로 시공하고자 하는 면적이 넓은 경우에 이용하고, 제7도에 도시한 반자골조(2)의 실시예는 시공하고자 하는 면적이 좁은 장소에 적용한다.
상기 체결구(20)는 제8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장, 단형지지골(4)(3)를 감쌀 수 있도록 ㄷ자형 몸체를 가지고 있으며, 양쪽 날개부(21)의 하단에는 상기 장형지지골조(4)의 체결돌부(4b)가 걸리는 걸림돌기(21a)가 각각 형성됨과 아울러 양쪽 날개부(21)의 중간부에는 삽입홈(21b)이 각각 형성되고, 상면 중간부에는 필요시에 손으로 눌러 뗄 수 있도록 구멍형성부(20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반자골조(2)를 설치할 때에는 그 반자골조(2)의 양단부를 벽면고정골조(1)에 끼워 고정하고, 또한 반자골조(2)의 몇군데를 천정면에 매달아 견고하게 설치한다.
상기 반자골조(2)를 천정에 매달아 고정함에 있어서는 상기 체결구(20)의 구멍성형부(20a)를 뚫어 생긴 구멍에 행거볼트를 삽입하여 너트로 체결하고, 이 체결구(20)로 반자골조(2)의 장, 단형지지골조(4)(3)의 교차부위를 체결한후 상기 행거볼트를 천정의 슬라브에 고정한다.
상기 반자골조(2)는 상기와 같이 체결구(20)를 이용하여 천정에 매달 수 있으나, 제9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수단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 제9도의 반자골조 매달기수단은 상기 반자골조(2)에 결합되는 그립(22)과, 그 그립(22)을 천정에 매다는 행거볼트(23)로 구성되며, 제3도 및 제9도와 같이 그립(22)의 중간부에 행거볼트(23)를 삽입하여 너트(24)로 체결하고 그립(22)의 양단에 형성된 갈고리부(22a)로 반자골조(2)의 천정판 걸림부(3a) 또는 (4c)를 걸어 고정한후, 행거볼트(23)를 천정면에 고정함으로써 반자골조(2)를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게 한다.
제10도는 반자골조(2)를 매달기 위한 수단의 변형예를 보인것으로 그립(22)에 연결편(22b)을 형성하고 그 연결편(22b)을 행거바(23′)와 볼트(25), 너트(24)롤 체결하여, 그립(22)과 행거바(23′)를 연결한 것으로 그외는 제9도의 실시예와 같다.
제11도는 상기 반자골조(2)의 단부를 벽면고정골조(1)에 삽입고정할 때 바르게 세워 보다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한 반자골조 정립지지편(6)을 보인 사시도로서, 이 반자골조 정립지지편(6)은 반자골조(2)의 단면형상과 동일한 고정공(6a)이 중간부에 형성되고, 상하측에는 걸림돌기(6b), (6c)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반자골조 정립지지편(6)은 그의 상하측 걸림돌기(6b), (6c)가 제4a도와 같이 벽면고정골조(1)의 상하측 걸림홈(1a)(1b)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그 반자골조 정립지지편(6)의 고정공(6a)에 반자골조(2)의 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되어진다.
상기 벽체의 네 벽면에는 한가지 형상의 반자골조 정립지지편(6)을 이용하여, 반자골조(2)의 단부를 고정하게 되며, 이를 위하여 반자골조 정립지지편(6)의 상하측 걸림돌기(6b), (6c)는 서로 대칭으로 형성되어야 한다.
제12a도는 천정판(5)의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b도는 요부 단면도로서, 장방형 판체에 탄성걸림부(5a)가 사방에 형성되어 있다.
제13a도는 천정판(5)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b도는 요부 단면도로서, 이 제13도의 실시예 역시 장방형 판체에 탄성걸림부(5a)가 사방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천정판(6)은 사출성형법 또는 진공성형법으로 성형할 수 있으며, 제12도의 천정판(5)은 사출성형용으로 구성된 것이고, 제13도의 천정판(5)은 진공성형용으로 구성된 것으로 시공상태면에서는 제12도의 천정판(5)이 유리하고, 단가면에서는 제13도의 천정판(5)이 유리하다.
이하, 상기한 제1도 내지 제3도를 다시 참조하여 본 고안에 의한 조립식 천정반자의 구성 및 조립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조립식 천정반자를 시공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먼저, 천정의 내 귀퉁이의 일정한 높이에 코너부재(25)를 볼트로 체결하며, 제4도에 도시한 벽면고정골조(1)를 벽면의 길이에 맞추어 적당하게 절단한 후 네벽면에 배치하여 각 벽면고정골조(1)의 양단을 코너부재(25)에 지지시키며, 이와같이 지지되어진 각 벽면고정골조(1)를 벽면에 볼트로 체결한다.
이와같이한 후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한 반자골조(2)의 장형지지골조(4)를 벽간 길이에 맞추어 절단하여 그 장형지지골조(4)를 천정의 가로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개 배열하되, 이와 같이 배열된 각 횡방향 장형지지골조(4)의 양단부를 서로 대항하는 한쌍의 벽면고정골조(1)의 지지홈(1c)의 하부에 접촉되도록 배치하며, 이후 일정 길이로 절단된 장형지지골조(4)를 천정의 세로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개 배열하되 이와같이 배열된 각 종방향 장형지지골조(4)의 양단부가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벽면고정골조(1)의 지지홈(1c) 상부에 삽입되도록 배치한다.
이와같이하여, 종방향 장형지지골조(4)가 횡방향 장형지지골조(4)의 위에 직교되게 걸쳐지도록 배치하고, 천정의 둘레부를 제외한 중간부에는 다수개의 종ㆍ횡방향 장형지지골조(4)(4)가 정사각형을 이루도록 배치한다.
이와같은 종, 횡방향 장형지지골조(4), (4)를 배치한 후, 종, 횡방향 장형지지골조(4), (4)의 하부 및 상부에는 제3도와 같이 단형지지골조(3)를 적당한 길이를 절단하여 끼워맞춤으로 결합하며, 이와같이 장ㆍ단형지지골조(4)(3)를 배치하여 결합하면 장, 단형지지골조(4)(3)가 반자골조(2)를 이루는 동시에 그 반자골조(2)가 마치 각목을 격자형으로 조립한 것처럼 설치되어진다.
상기와 같이 반자골조(2)를 설치한후, 종ㆍ횡방향 반자골조(2)들이 이루는 정사각형 공간부에는 제12도의 천정판(5)를 조립하는바, 천정판(5)은 제2도 및 제3도와 같이 종, 횡방향으로 배열 설치된 반자골조(2)의 하측부재 즉, 하측부를 향하는 장형지지골조(4)와 단형지지골조(3)에 결합된다.
제2도에서 반자골조(2)의 장형지지골조(4)와 천정판(5)이 결합된 상태를 보이고 있는바, 천정판(5)을 반자골조(2)의 하부에 위치시키고 위로 밀어 올리면 천정판(5)의 둘레에 형성된 탄성걸림부(5a)가 장형지지골조(4)의 천정판 걸림부(4c)에 결합, 고정된다.
더 자세히 설명하면 천정판(5)을 장형지지골조(4)의 하부에 위치시켜 장형지지골조(4)의 천정판 걸림부(4c)에 천정판(5)의 탄성걸림부(5a)를 접촉시킨후, 천정판(5)을 위로 밀어 올리면 천정판(5)의 탄성걸림부(5a)가 자체 탄성에 의하여 탄력적으로 벌어지면서 끼워지고, 결합이 완료된후에는 원래상태로 오무라지면서 견고하게 결합되어진다. 그리고, 단형지지골조(3)의 천정판 걸림부(3c)와 천정판(5)의 탄성걸림부(5a)도 이와 동일하게 결합되어진다.
이와같이 천정반자를 조립시공함에 있어서, 천정의 중간부분은 종, 방향으로 배치되는 반자골조(2)가 천정판(5)의 크기와 같은 정사각형 형태의 일정한 공간부를 이루게 되므로 천정판(5)을 그대로 결합할 수 있으나, 종, 횡방향 반자골조(2)에 의해 천정의 둘레부분에 형성된 공간부는 대개 천정판(5) 보다 작게 되므로 천정판(5)을 크기에 맞게 절단한후 조립하게 되며, 적당한 크기로 절단한 천정판(5)의 탄성걸림부(5a)를 반자골조(2)의 천정판 걸림부(3a)(4c)에 상기한 바와같은 방법으로 결합하고 천정판(5)의 절단된 변부를 제3도 및 제4a도와 같이 덮개판(9)의 하단부에 형성한 천정판 지지편(9c)과 장식테(7)의 선단부 사이에 형성된 삽입홈(26)에 삽입하여 결합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조립식 천정반자는 반자골조(2)와 벽면고정골조(1) 및 코너부재(25)의 외각부를 모두 합성수지로 형성하고, 천정판(5)을 합성수지로 형성하여 모든 부재가 외부 공기 및 습기에 접촉하여도 부식되지 않도록 되어있으므로 욕실등의 천정반자로서 시공하여 부식 손상없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 벽면고정골조(1)와 반자골조(2)를 설치하고자 하는 공간부에 맞추어 적당한 치수로 절단하여 코너부재(25)와 벽면고정골조(1)를 벽면에 부착하고, 반자골조(2)를 종ㆍ횡으로 정사각형 격자를 이루도록 배치한후 천정판(5)을 조립함으로써 시공이 완료되는 것으로서 조립시공 및 해체작업이 간단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모든 부재가 규격화되어 있으므로 아파트의 욕실 또는 대형 목욕탕 등 설치장소의 면적에 구애받음이 없이 현장시공성이 양호한 이점이 있다.
그리고 모든 부재가 규격화 되어있고, 천정판이 마치 타일 처럼 깨끗하고 균일하게 보이도록 시공되므로 디자인 및 미감이 양호하며, 각 부재를 유색 합성수지로 성형하고 천정판(5)과 장식테(7)를 비롯하여 필요한 부재에 무늬를 넣어 성형할 수 있으므로 의장 효과를 더욱 향상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천정판(5)을 반자골조(2)에 끼워맞춤구조로 결합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필요시 해당 천정판(5)을 간단히 분리한후, 천정 내부에 설치된 파이프나 덕트 등의 점검, 보수 교체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으며, 이에따라 별도의 점검구가 불필요하다. 그리고, 필요시 천정판(5)을 쉽게 탈거하고 천정내부를 청소 또는 소독하거나 세척할 수 있으므로 천정의 청결유지에 적합한 이점도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반자골조(2) 및 벽면고정골조(1)를 압출성형하여 제조하도록 하였으므로 생산성이 우수하고 대량생산이 가능한 이점이 있고, 반자골조(2)를 장, 단형지지골조(4)(3)로 분리 성형한 후 끼워맞춤에 의하여 각목과 같이 조립하여 사용하도록 한 것이므로 조립 시공성이 우수한 이점이 있다.
더욱이 본원인의 선출원 고안인 실용신안등록출원 제91-17521호는 반자지지골조에 천정판과 천정둘레판을 대어놓고 대상의 체결부재로 체결하였으므로 천정판과 천정둘레판의 하부로 대상의 체결부재가 종횡방향으로 돌출되어 외관미를 손상시킬 뿐아니라, 체결부재를 이용함에 따라 비용이 증가되는 결함이 있는 것이었으나, 본 고안에 의한 조립식 천정반자는 종, 횡방향으로 배열 설치되는 반자골조(2)의 장, 단형지지골(4)(3)에 천정판(5)을 직접 끼워맞춤 구조로 결합하여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천정의 하부에서 천정판(5)만 보이도록 되어 있으므로 시공상태가 매우 깨끗하게 보이는 효과가 있을 뿐만아니라, 체결부재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각 부재를 이용하여 구성되는 본 고안의 조립식 천정반자는 욕실이외에 다른 여러가지 공간에도 설치할 수 있고 반자골조(2)도 제14a도 내지 e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크기와 형상을 변경하여 여러가지 실시형태로 제작할 수 있다. 또한 각 부재의 형상 및 구조도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각 부재, 특히 반자골조(2)와 벽면고정골조(1)는 공장에서 일정한 길이를 갖는 규격품으로 생산하고 시공현장에서 적당한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하는 것이며, 이러한 반자골조(2)와 벽면고정골조(1)등의 부재는 천정반자용 자재이외에 다른 구조물의 이용할 수 있으므로, 각 부재를 독립적으로 매매하는 등 독립적으로 취급할 수 있다.

Claims (7)

  1. 천정의 네 벽면에 합성수지 또는 금속 압출성형재 벽면고정골조를 고정하고, 합성수지 또는 금속 압출성형재 장, 단형지지골조로 이루어지는 반자골조를 천정의 종, 횡방향으로 서로 교차되게 배치하여 벽면고정골조에 단부를 삽입고정하며, 반자골조의 장, 단형지지골에 천정판을 직접 끼워맞춤 구조로 결합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천정반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자골조의 장, 단형지지골조는 끼워맞춤구조로 결합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천정반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벽면고정골조의 전면에는 덮개판을 결합하고, 각 덮개판의 사이에는 반자골조의 단부를 지지하여 정립시키기 위한 반자골조 정립지지편을 고정하며, 벽면고정골조의 하부에는 장식테를 결합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천정반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 단형지지골조에는 천정판 걸립부가 각각 형성되고, 천정판의 주연부에는 탄성걸림부가 형성되어 장, 단형지지골조의 천정판 걸림부와 천정판의 탄성걸림부가 끼워맞춤구조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천정반자.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반자골조의 장형지지골조에는 단형지지골조 결합부가 형성되고, 단형지지골조에는 장형지지골조 결합부가 형성되어 장, 단형지지골조 결합부가 끼워맞춤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천정반자.
  6. 제2항 내지 제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자지지골조의 장형지지골조 내부에는 보강판이 매입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천정반자.
  7. 제2항 내지 제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형지지골조에는 체결부가 일단부측에 형성되어, 장, 단형지지골조가 서로 교차되게 결합된후 한쌍의 날개부와 그 하단부에 걸림돌기가 형성된 체결구로 결합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천정반자.
KR92001305U 1992-01-29 1992-01-29 조립식 천정반자 KR9400038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1305U KR940003891Y1 (ko) 1992-01-29 1992-01-29 조립식 천정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1305U KR940003891Y1 (ko) 1992-01-29 1992-01-29 조립식 천정반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8269U KR930018269U (ko) 1993-08-21
KR940003891Y1 true KR940003891Y1 (ko) 1994-06-15

Family

ID=19328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01305U KR940003891Y1 (ko) 1992-01-29 1992-01-29 조립식 천정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389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8269U (ko) 1993-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36822A (en) Prefabricated building elements
KR101336959B1 (ko) 조립식 건축물의 모서리용 패널 및 그 시공방법
KR101710913B1 (ko) 조립식 화장실
KR940003891Y1 (ko) 조립식 천정반자
CN110528917B (zh) 手术室八角型模块化装配式结构
KR200381862Y1 (ko) 조립식 물탱크의 외부 보강구조
KR100811773B1 (ko) 칸막이 코너 연결 구조
CN211447260U (zh) 一种采用型钢和条板用紧固件进行连接的装配式建筑
KR930008554Y1 (ko) 조립식 천정반자
KR930005631B1 (ko) 조립식 천정반자
JPH0649756Y2 (ja) コンクリート型枠用パネル
KR100787189B1 (ko) 침대 조립체
JP3653069B2 (ja) 組立式捨型枠
JPH017775Y2 (ko)
KR200407694Y1 (ko) 조립식 배기 덕트
KR100392031B1 (ko) 건물시공용 철골조와 이를 이용한 건물 시공방법
KR101797518B1 (ko) 조립식 구조물
JPH069163Y2 (ja) 天井パネルの取付構造
JP2003321919A (ja) 建物及びその内装構造
JPH0513841Y2 (ko)
JPH09296546A (ja) 間仕切壁とユニット壁の連結構造
JPH028036Y2 (ko)
KR200142803Y1 (ko) 조립식 천정재의 설치구조
JPH0613992Y2 (ja) 連窓サッシ
JPH0640760Y2 (ja) 壁パネ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