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3706B1 - 상단노즐 소조립체를 재구성 가능한 연료집합체로 부터 그리핑하여 분리하기 위한 장치와 그 방법 - Google Patents

상단노즐 소조립체를 재구성 가능한 연료집합체로 부터 그리핑하여 분리하기 위한 장치와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3706B1
KR940003706B1 KR1019860002179A KR860002179A KR940003706B1 KR 940003706 B1 KR940003706 B1 KR 940003706B1 KR 1019860002179 A KR1019860002179 A KR 1019860002179A KR 860002179 A KR860002179 A KR 860002179A KR 940003706 B1 KR940003706 B1 KR 9400037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uel assembly
gripping
adapter plat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21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7677A (ko
Inventor
프란시스 윌슨 존
캐니스 저어트센 로버트
Original Assignee
웨스팅하우스 일렉트릭 코오포레이손
더블류.오.칼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웨스팅하우스 일렉트릭 코오포레이손, 더블류.오.칼센 filed Critical 웨스팅하우스 일렉트릭 코오포레이손
Publication of KR8600076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76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37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37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9/00Arrangements for treating, for handling, or for facilitating the handling of, fuel or other materials which are used within the reactor, e.g. within its pressure vessel
    • G21C19/02Details of handling arrangements
    • G21C19/06Magazines for holding fuel elements or control element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3/00Reactor fuel elements and their assemblies; Selection of substances for use as reactor fuel elements
    • G21C3/30Assemblies of a number of fuel elements in the form of a rigid unit
    • G21C3/32Bundles of parallel pin-, rod-, or tube-shaped fuel elements
    • G21C3/334Assembling, maintenance or repair of the bund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15Disassembling
    • Y10T29/49821Disassembling by altering or destroying work part or connec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1Nuclear devi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Nuclear Reactors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 Crushing And Grind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상단노즐 소조립체를 재구성 가능한 연료집합체로 부터 그리핑하여 분리하기 위한 장치와 그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그리핑 및 분리장치가 작용될 수 있는 형태의 상단노즐 소조립체를 가지는 제구성 가능한 연료집합체를 명백히 하기 위하여 부분절개한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선 2-2를 따라 도시한 연료집합체의 확대 평면도.
제3도는 제1도의 선 3-3을 따라 도시한 연료집합체의 확대 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을 구체화 하는 그리핑 및 분리 장치의 부분 사시도.
제5도는 제 위치에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상단노즐 소조립체에 체결되어 있지 않는 그리핑 및 분리장치와, 제2도의 선 5-5를 따라 도시한 상단노즐의 축소 단면도.
제6도는 안내딤블로 부터 상단노즐 소조립체를 이격시킨후 그 작동 위치에 있는 장치를 도시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5도와 동일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연료집합체 12 : 상단노즐그리핑 및 분리장치
14 : 저부노즐 16 : 안내딤블
18 : 연료봉 20 : 격자
22 : 구조관 24 : 상단노즐 소조립체
26 : 작은나사 28 : 안내딤블 상부단부부분
30 : 하부어댑터판 32 : 상부억제판
34 : 바아 36,46,48 : 냉각제유동기구
38 : 구멍 40,59 : 리테이너
42 : 통로 44 : 레지(ledge)
52 : 홈 56 : 코일스프링
58 : 스프링 시이트 60 : 직립측벽
62 : 정착부 64 : 스파이더
66 : 러그(lug) 68 : 칼라(collar)
70 : 스프링 압축기동 72 : 중앙허브(hub)
78 : 스포우크(spoke) 80 : 손잡이
82,84 : 중앙구경 86 : 상부표면
88 : 소켓요서 92 : 충격전달봉
98 : 슬러그(slug) 100 : 충격수용모루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원자로용 연료집합체에 관한 것이며, 특히 재구성 가능한 연료집합체로 부터 조립유니트인 상단노즐을 그리핑(gripping)하여 분리시키기 위한 장치와 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원자로에 있어서, 원자로심은, 가로로 뻗어있는 상부 및 하부 노심 지지판상에 정렬되어 지지부에 지지되어 있는 다수의 긴 연료집합체로 구성된다. 관례적인 설계의 이들 연료집합체는, 제어봉 아내딤블에 부착되어 있고 연료집합체의 길이를 따라 일정한 간격을두고 있는 다수의 격자에 의하여 조직적인 배열로 유지되는 다수의 연료봉과 제어봉 아내딤블을 포함한다. 연료집합체의 대향단부에 있는 상단 및 저부노즐은 통합연료집합체를 형성하기 위하여 안내딤블에 고정된다. 안내딤블은 연료봉의 단부 아래쪽 및 위쪽으로 미소하게 연장되어 있다. 또한 연료집합체는, 냉각재 유동의 상승력이 상부 노심 지지판과 충돌하여 훼손되어지도록 연료집합체를 상승시키는 것을 예방하는 반면에, 노심에 발생된 열팽창과 그와 같은 것에 의하여 야기되는 연료집합체의 길이변화를 허용하는 억제장치를 사용한다.
원자로에서 그러한 연료집합체의 가동시, 소수의 연료봉은 때때로 방사성 핵분열 생성물을 누설시키거나, 그렇지 않으면 원자로의 1차냉각재속으로 방사성 핵분열 생성물을 순환시키는 가능성을 창출하는 1차적으로 내부응력에 기인되는 균열을 발생시킬지도 모른다. 또한 그러한 핵분열 생성물은 폐기연료집합체가 저장되어 있는 푸울을 통하여 순환되는 냉각재 내부나 연료교체작업시 담수원자로 공동내부로 방출될 수 있다. 연료봉은 상단 및 저부노즐에 부착된 안내딤블의 통합조립체의 부분이기 때문에, 파손된 봉을 탐지하거나 제거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연료집합체 교체에 관련되는 고비용의 관점에서 작동 및 유지 비용을 최소화 하기 위하여 재구성 가능한 연료집합체는 상당한 관심을 끌어왔다. 연료집합체를 재구성 가능하게 하는 일반적인 접근방법은 재거 가능한 상단노즐을 가지는 연료집합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1985.4.24 공보된 유럽특허 제0138606호는 상단노즐 소조립체의 통합 부분으로 되어 있는 억제장치를 포함하는 상단노즐 소조립체를 가지는 재구성 가능한 연료집합체를 서술하고 있다. 기본적으로 상단노즐 소조립체는, 두개의 판 사이에 끼워져 있고 안내딤블의 상부단부 둘레에 배치되어 있는 코일 스프링과, 상부 억제판과, 하부 어댑터판으로 구성된다. 하부어댑터판은 안내딤블상에 활주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으며, 하부어댑터판의 하향운동은 안내딤블상에 있는 리테이너에 의하여 제한된다. 상부억제판은, 통로의 하부부분에 경계를 정하고 있는 내부 레지를 가지는 각개의 안내딤블과 정합된 통로를 가진다. 안내딤블은 억제판을 따라 활주 운동을 하기 위하여 딤블에 억제판을 고정하도록 통로내에 넣어져 있다. 상부 리테이너는 안내딤블의 상부단부상에 부착되어 있으며, 억제판의 통로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상부리테이너는 안내딤블을 끼고 있는 억제판의 상향 운동을 제한하도록 통로의 재부 레지와 협력된다. 구조는 안내딤블의 상부단부가 상부리테이너와 함께 억제판의 통로내부에서 왕복운동을 가능하게 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에따라 안내딤블의 열적 팽창은 가능하게 된다. 코일 스프링은 하부어댑터판과 상부억제판사이에서 부분적인 압축상태로 유지된다.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재구성 가능한 연료집합체의 상단 노즐 소조립체를 간편하게 제거하거나 재설치되도록 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먼저 억제판을 가압하여 모든 안내딤블이 절단될 때까지 모든 억제스프링과 억제판을 가압된 상태로 유지하도록 작동하고, 그후 제어된 방식으로 스프링을 본래(즉, 압축되지 않는)길이까지 서서히 뻗어지도록 조적하기에 적당한 장치를 제공한다. 장치는 절단후 모든 상부 리테이너가 실질적으로 동시에 안내딤블로 부터 쉽게 제거되어질 수 있도록 보증하는 기구를 포함한다. 장치는 상단노즐 소조립체를 그리핑하기에 적당하며, 유니트인 연료집합체로 부터 상단 노즐 소조립체를 제거하기에 적당하다. 더우기 그것은 원격제어에 의하여 비교적 쉽게 조정되며, 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어댑터판과 상단노즐 억제판내에 미리 설치되는 형태의 장점을 가진다.
특히, 본 발명은 하부어댑터판과, 그 내부에 형성된 냉각지 유동기구를 가지는 상부억제판과, 상기 어댑터판과 억제판은 어댑퍼탄의 하향활주 운동을 제한하도록 어댑터판과 협력될 수 있는 하부리테이너 장치와, 억제판의 상향 활주 운동을 제한하도록 억제판과 협력될 수 있는 상부리테이너 장치를 포함하며 안내딤블 상부단부상에 활주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으며, 어댑터판과 억제판 사이에서 부분압축상태하에 유지되어 있는 다수의 억제스프링으로 구성되는 상단노즐 소조립체를 재구성 가능한 연료집합체의 부분을 형성하는 안내딤블의 상부단부부분으로부터 그리핑하여 분리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a) 상기 상부억제판에 관하여 위에 가로놓이는 관계로 위치선정되어 지기에 적당한 중앙 스파이더와, (b) 상부억제판의 상기 냉각재 유동기구 내부로 삽입되어 운동기구와 일직선으로 정렬되도록 배열되어 있고 상기 스파이더로부터 방사상 외부에 배치되어 있는 다수의 자리잡기러그와, 각각의 상기 자리잡기러그는 그 내부를 통하여 뻗어있는 축방향의 구경을 가지고 있으며, (c) 상기 스파이더에 연결되어 있는 다수의 칼라와, 각각의 상기 칼라는 자리잡기러그가 러그와 조합하고 있는 유동기구내에 삽입되어 있을때 상기 억제판상에 유지되어지기에 적당하고 상기 자리잡기러그에 하나를 칼라에 연결하고 있으며, (d) 긴 부재의 한 방향으로의 회전이 어딥터판을 향한 억제판의 운동을 이루도록 하며, 이것 때문에 상부 리테이너 장치 바로 아래지점에서 안내딤블을 절단하기 위한 준비로 안내딤블 상부단부 부분상에 작용하는 장력을 제거하는 반면에 억제스프링을 한층 더 압축하게되며, 상기 절단후 대향방향으로 이루어진 긴부재의 회전이 상기 억제스프링의 작용하에서 억제판을 어댑터판으로부터 이격변위시켜 절단지점 아래에 남아있는 안내딤블 상부단부부분의 부분으로 부터 방츨되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어댑터판과 함께 나선으로 맞물리며, 각각의 자리잡기러그의 축방향의 구경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축방향의 구경을 통하여 뻗어있는 다수의 긴부재를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중앙 스파이더는 상부 및 하부단부를 가니는 긴 중앙 허브와, 각개의 스포우크가 그 내부단부에서 중앙허브의 하부단부에 연결되어 있고 중앙허브의 하부단부에서 방사상 외부로 연장되어 그와부단부에서 칼라의 하나에 연결되어 있는 내부 및 외부단부를 가지는 다수의 스포우크와, 중앙허브의 상부단부에 연결되어 있는 손잡이를 포함한다.
그리핑 및 분리장치는, 상부억제판으로부터 접근하고 이격되는 운동을 위하여 그 하부단부에서 억제판에 부착될 수 있는 봉을 가지는 중앙 스파이더 허브내에 고정되어 있는 충격전달봉과, 분리되지 않는 안내딤블 상부단부분으로 부터 억제판의 확실한 방출을 야기하기 위하여 봉에 의하여 상부 억제판상에 상향유도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작동될 수 있는 봉상에 유지되어 있는 장치를 포함한다. 특히, 작동장치는, 봉을 따라 활주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슬러그를 고정하기 위하여 충격전달봉이 뻗어있는 중앙 구경을 가지는 충격발생 슬러그와, 봉을 따라 활주 가능한 슬러그의 운동통로를 가로질러 충격전달봉상에 고정되어 있는 충격수용모루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관련하여 예로서 서술하면 다음과 같다.
다음 설명에 있어서, 동일 참고번호는 전체도면을 통하여 동일 부분 또는 상응하는 부분을 표시하며, ‘전방’, ‘배후’, ‘좌측’, ‘우측’, ‘상향’, ‘하향’등과 같은 용어는 제한된 용어로서 한정되어지는 것이 아니라 편의상 용어로서 사용되는 것이다.
도면 특히 제1도를 참고하면, 일반적으로 번호(10)로 표시된 재구성 가능한 연료집합체는 원자로(도시하지 않음)의 노심구역내의 하부노심판(도시하지 않음)상에 집합체를 지지하기 위한 하부단부 구조체 또는 저부노즐(14)과, 저부노즐(14)로 부터 위쪽으로 세로로 뻗어있는 제어봉 안내관 또는 안내딤블(16)과, 안내딤블(16)에 부착되어 있고 연료집합체의 길이를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있는 횡격자(20)에 의하여 서로에 관하여 일정하게 간격을 두고 있는 관계로 유지되어 있는 연료봉(18)의 조직적인 배열과, 연료집합체(10)의 중심에 있는 구조관(22)과, 안내딤블(16)의 상부단부에 부착되어 있는 상부단부구조체 또는 상단노즐(24)로 구성된다. 저부 및 상단노즐(14, 24)과 함께 안내딤블(16)은 조립 부분품을 훼손시킴이 없이 관례적으로 취급할 수 있는 단일 조립체를 형성한다.
연료집합체(10)를 형성하기 위하여, 횡격자(20)는 선결된 축방향의 위치에서 안내딤블(16)에 부착되며, 연료봉(18)은 아래에서 부터 격자(20)를 통하여 삽입된다. 그 다음 하부노즐(14)은 작은나사(26)와 같은 것에 의하여 안내딤블의 하부단부에 적절히 부착되어진다. 마지막으로 상단노즐(24)은 안내딤블(16)의 상부단부부분(28)에 부착된다. 연료집합체(10)의 제어봉 안내딤블(16)내에서 왕복적으로 변위될 수 있는 제어봉(도시하지 않은)은 핵분열과정을 제어하기에 적당하다.
[억제장치를 가지는 상단노즐 소조립체]
제1도에서 제3도까지를 참고하면, 상단노즐 소조립체(24)는 하부어댑터판(30)과 상부억제판(32)을 포함하고 있다. 제3도에서 도시된 바와같은 하부어댑터판(30)은 냉가재 유동기구(36)의 범위를 한정하는 교차하여 짜맞춰진 다수의 인대 또는 바아(34)를 형성하고 있으며, 또한 어댑터판은 수에 있어서 안내딤블 상부단부부분(28)과 일치하는 수의 관통구멍(38)을 가진다. 바아(34)는 연료봉이 저부 및 상단노즐(14, 24)사이에 포획되어 있거나 축방향으로 속박되어 있도록 연료봉(18)의 상부단부위에 가로놓여진다. 구멍(38)은 어댑터판(30)이 안내딤블 상부단부부분(28)상에 활주 가능하게 고정되어질 수 있도록 안내딤블(16)의 배열과 함께 정합되는 형태로 되어 있으며, 충분한 크기의 치수를 가진다. 어딥터판(30)의 하향운동은 연료봉(18)의 상부단부위쪽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있는 위치에서 제각기 안내딤블(16)상에 배치되어 있는 다수의 링형 하부리테이너(40)에 의하여 제한된다.
또한 상부억제판(32, 제2도)은 안내딤블 상부단부부분(28)상에 활주 가능하게 고정된다. 그것은 각개가 통로의하부부분에서 통로내에 형성된 내부 레지(44)를 가지는 다수의 통로(42)를 가진다. 각개의 통로(42)는, 안내딤블 상부단부부분(28)과 활주 가능하게 맞물러질 수 있고 내부레지(44)의 범위를 한정하는 일반적으로 일정한 직경의 하부부분과 일반적으로 일정한 직경보다 큰 직경의 상부부분을 가진다. 제2도에서 알수 있는 바와같이, 억제판(32)은 역시 판(32)에 관하여 선렬된 위치에 위치선정되어 있는 수개의 작은 냉각재 유동기구(48)와 다수의 비교적 큰 냉각재 유동기구(46)을 가진다. 하부 리테이너(40) 위쪽에서 축방향으로 일정하게 간격을 두고 있는 것은 각각의 통로(42)의 상부부분내부에 배치되어 있고 각각의 안내딤블 상부단부부분(28)상에 고정되어 있는 또하나의 상부 리테이너(50)이다.
상부리테이너(50)은 그 상부부분내에 내부환형 홈(52)을 가지는 칼라의 형태이며, 안내딤블 상부단부부분(28)의 벽을 상부 리테이너(50)의 내부홈(52)내부에서 원주상으로 벌징(bulging)하는 것에 의하여 안내딤블(16)의 상부 단부(54)에 부착된다. 부착된 상부 리테이너(50)는 안내딤블 상부단부부분(28)을 따라 억제판(32)의 상향 운동을 제한하도록 내부레지(44)와 협력된다.
상단노를 소조립체(24)는 각각의 안내딤블 상부 단부부분(28)을 따라 배치되어 있고 하부 어댑터판(30)의 상부 표면과 상부억제판(32)의 하부표면사이에 삽입되어 있는 코일 스프링(56)을 포함한다. 코일 스프링(56)은 연료집합체(10)에 대하여 선행하중을 가하기 위하여 상부억제판(32)와 어댑터판(30)사이에서 압축상태로 유지된다. 코일 스프링(56)이 제각기 그들의 안내딤블(16)과 접촉하는 것을 예방하고 코일 스프링(56)을 적당히 일직선으로 정렬시키기 위하여, 스프링시이트(58)는 하부어댑터판(30)의 상부표면에 형성된 요부내에 설치되며 각각의 코일 스프링(56)의 하부단부상에 제공된다. 연료집합체(10)의 상부구역에서 상향하는 냉각재유동의 수로를 내기위하여 밀폐부의 범위를 한정하는 직립측벽(60)은 하부어댑터판(30)의 주변 가장자리상에 형성된다. 상부억제판(32)은 밀폐측벽(60) 내부에서 안내딤블 상부 단부부분(28)을 따라 활주할 수 있다.
[상단노즐 그리핑 및 분리장치]
제4도에서 제6도까지를 참고하면, 거기에는 재구성 가능한 연료집합체(10)의 안내딤블 상부단부부분(28)으로 부터 소조립체인 상단노즐(24)를 그리핑 및 분리하기 위한 일반적으로 번호(12)로 표시된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장치(12)는 냉각제 유동기구(36)와 안내딤블구멍(38)사이에서 하부어댑터판(30)내에 범위를 정하고 있는 다수의 내부나선 정착부(62, 제2도와 제3도)와, 정착부(62)와 함께 세로로 일직선으로 정렬하고 있고 그 통로(42)사이에서 상부억제판(32)내에 경계를 정하고 있는 다수의 큰 냉각제 유동기구(46)를 활용한다.
그리핑 및 분리장치(12)는 기본적으로 중앙 스파이더(64)와, 스파이더(64)로 부터 방사상 외부에 배치되어 있는 다수의 체결러그(66)와, 중앙 스파이더(64)에 연결되어 있고 자리잡기러그(66)상에 부착되어 있는 다수의 칼라(68)와, 자리잡기러그(66)과 조합되어 있는 다수의 긴 스프링 압축기동(70)을 포함하고 있다. 사용시(제5도와 제6도에서 도시됨) 상부억제판(32)위에 가로놓여 있는 관계로 배치되는 중앙 스파이더(64)는 상부 및 하부단부(74, 76)를 가지는 긴 중앙허브(72)와, 그 내부단부에서 중앙허브(72)의 하부단부(76)에 연결되어 있고 중앙허즈(72)의 하부단부(76)에서부터 방사상 외부로 연장되어 그 외부단부에서 칼라(68)에 연결되어 있는 다수의 스포우크(78)와, 장치(12)를 조종하는 것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중앙허브(72)의 상부단부(74)에 연결되어 있는 손잡이(80)로 구성된다.
자리잡기러그(66)는 상부억제판(32)내의 큰 냉각제 유동기구(46)내부로 삽입되어 유동기구와 일직선으로 정렬되도록 하는 크기와 배열로 되어 있다. 또한, 각개의 자리잡기러그(66)와 그 상부칼라(68)는, 러그(66)가 각각의 유동기구(46)내부로 삽입되었을때 하부 어댑터판(30)내의 정착부(62)의 하나와 일적선으로 정렬되는 서로가 일직선으로 정렬하고 있는 긴 중앙 구경(82, 84)을 가진다. 제5도와 제6도에서 명백히 알 수 있는 바와같이, 자리잡기러그(66)의 하나의 위에 가로놓여 있는 각각의 칼라(68)는, 러그가 각각의 유동기구내에 삽입될 때 칼라가 유동기구위에 위치되어 억제판(32)의 상부표면(86)상에 지탱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러그가 삽입되어 있는 유동기구(46)와 각각의 러그(66)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진다.
그리핑 및 분리장치(12)의 긴 스프링 압축기둥(70)은 자리잡기러그(66)과 칼라(68)의 제작기 일렬정렬된 중앙 구경(82, 84)내부에서 회전가능하며, 중앙구경을 통하여 삽입된다. 각기의 기둥(70)은 기둥을 회전시켜 그리핑 하기 위하여 기둥의 상부단부상에 소켓요소(88)를 가진다. 소켓요소(88)는 기둥(70)이 고정되어 있는 하나의 자리잡기러그(66)의 각각의 칼라(68)에 대향하여 지탱되며 칼라 위쪽에 놓여진다. 또한 각각의 기둥(70)은, 기둥을 하부어댑터판(30)내의 내부나선 정착부(62)의 하나와 나선으로 맞물리도록 하기에 적당한 그 하부단부에 범위를 정하고 있는 외부나선부분(90)을 가진다.
스파이더(64)가 상부어거제판(32)내의 각각의 큰 냉각제 유동기구(46)내부에 삽입되는 자리잡기러그(66)와 함께 상단노즐(24)상에 설치되어 있을때, 각각의 기둥(70)의선결된 한 방향으로의 회전은 나선단부부분(90)을 하나의 정착부(62)내부로 삽입되도록 하게 되며, 그때 어댑터판 내부로 기둥의 나선삽입을 계속하는 억제판(32)의 상부표면(86)상에 지탱되는 소켓요소(88)는 서로를 향한 어댑터판과 상부억제판의 운동을 야기할 것이다. 그러한 판(30, 32)의 운동은 그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억제 스프링(56)을 더욱 압축시키며, 이와 동시에 억제판 통로(42)내부에서 레지(44)에 의하여 상부리테이너(50)상에 부과되는 장력을 제거한다. 이와같이 상부 리테이너(50)상의 장력이 제거되어짐에 따라 상부 리테이너(50) 바로 아래 지점에서의 안내딤블 상부 단부부분의 절단은 예를들면 1983년 12월 21일 출원된 미합중국 특허출원 제564,056호에서 서술되고 예시된 방법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게 된다.
일단 안내딤블(16)의 절단에 완료되면, 선결된 대향방향으로의 기둥(70)의 회전은 그 정착부(62)로 부터의 각각의 기둥의 풀림을 야기하게 되며, 이것에 의하여 하부어댑터판(30)과 상부억제판(32)을 서로로 부터 이격하도록 변위시키는 억제스프링(56)의 압축력은 감소되어진다. 그러한 운동과 동시에 억제판(32)의 레지(44)는 분리된 상부 리테이너(50)를 맞물게 되며, 통상적으로 분리된 상부리테이너(50)를 분리되지 않고 남아있는 안내딤블 상부단부부분(28)로 부터 이탈되어지도록 야기하게 된다.
하지만, 만일 절단지점 바로 아래에 있는 안내딤블의 상부선단과 상부 리테이너(50)사이의 억지끼워맞춤이 매우 밀착되어 있다면, 상부리테이너는 이탈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더욱 확실한 방법이 상부리테이너를 제거하기 위하여 필요하게된다. 이러한 필요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장치(12)는 추가적으로 상부억제판(32)으로 부터 접근하고 이격되는 운동을 위한 중앙 스파이더허브(72)내에 고정되어 있는 충격전달봉(92)을 포함한다. 봉(92)은 억제판의 상부표면(86)내의 내부나선 막힌 구멍(96)내에 간직되기 위하여 그 하부단부(94)에서 외부적으로 나선으로 되어 있다. 충격발생 슬러그(98)와 충격수용모루(100)의 형태로 봉(92)상에 유지되어 있는 장치는 분리되지 않는 안내딤블 상부단부부분(28)로 부터 상부 리테이너(50)의 확실한 이탈을 보장하기 위하여 봉(92)에 의하여 상부억제판(32)상에 상향유도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함께 작동할 수 있다. 특히, 충격발생슬러그(98)는 봉을 따라 활주운동하는 슬러그를 고정하기 위하여 봉(92)이 뻗어있는 중앙구경(102)를 가진다. 충격수용모루(100)는 봉 (92)을 가로질러 충격전달봉(92)상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슬러그(98)가 고종모루(100)에 대향하여 충돌하게 될때, 충격력은 중간연결봉(92)에 의하여 모루에서부터 억제판(32)까지 전달되어진다.
그 작동방법을 요약하며, 먼저 장치(12)는 자리잡기 러그(66)가 상부억제0판(32)내의 큰 냉각재 유동기구(46)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제5도에서 도시된 지점까지 상단노즐상으로 내려진다. 그다음, 4개의 스프링 압축기둥은 기둥사의 소켓요소(88)와 맞물리는 확장소켓렌치를 사용하는 것에 의하여 하부댑터판(30)내의 내부나선 정착부(62)내부로 나선으로 맞물려진다. 그다음, 기둥(70)은 안내딤블 상부단부부분(28)에 부착된 상부 리테이너(50)와 안내딤블 상부단부부분사의 인장하중을 제거하기에 충분할 만큼 아래로 꽉 죄여진다. 그때 안내딤블(16)은 연료집합체 골격으로 부터 상단노즐 소조립체를 분리시킬 수 있도록 벌지(104)바로 아래에서 전달된다. 스프링 압축스터드(70)는 억제스프링(56)이 상부리테이너(50)를 분리되지 않는 안내딤블(16)의 상부단부부분(28)으로부터 제거하도록 억제판(32)을 상승시키기 위하여 풀려지게 된다.
만일 상부리테이너(50)가 분리되지 않으면, 충격봉(92)은 상부억제판(32)내의 구멍(96)내부로 나선으로 맞물려지며, 충격슬러그(98)는 봉(92)과 모루(100)에 의하여 상향방향으로 판(32)을 충격시키는 헤머로서 사용된다. 이때, 슬러그는 상부리테이너를 안내딤블상단부부분(28)으로 부터 분리시키므로, 손잡이에 부착된 크레인 또는 손잡이(80)를 사용하면 제6도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연료집합체 골격으로 부터 상단노즐 소조립체(24)를 이격되어지게 할 수 있다.

Claims (6)

  1. 하부 어댑터판과, 그 내부에 형성된 냉각제 유동기구를 가지는 상부억제판과, 상기 어댑터판과 억제판은 어댑터판의 하향활주 운동을 제한하도록 어댑터판과 협력될 수 있는 하부 리테이너 장치와, 억제판의 상향활주운동을 제한하도록 억제판과 협력될 수 있는 상부 리테이너 장치를 포함하며 안내딤블 상부단부부분상에 활주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으며, 어댑터판과 억제판 사이에서 부분압축 상태하에 유지되어 있는 다수의 억제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상단노즐 소조립체를 재구성 가능한 연료집합체의 부분을 형성하는 안내딤블의 상부단부부분으로 부터 그리핑 하여 분리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a) 상기 상부 억제판(32)에 관하여 위에 가로 놓이는 관계로 위치선정되어 지기에 적당한 중앙 스파이더(64)와, (b) 상부억제판(32)의 상기 냉각재 유동기구(46) 내부로 삽입되어 유동기구와 일직선으로 정렬되도록 배열되어 있고 상기 스파이더(64)로 부터 방사상 외부에 배치되어 있는 다수의 자리잡기 러그(66)와, 각각의 상기 자리잡기러그(66)는 그 내부를 통하여 뻗어있는 축방향의 구경(82)을 가지고 있으며, (C) 상기 스파이더(64)에 연결되어 있는 다수의 칼라(68)와, 각각의 상기 칼라(68)는 자리잡기러그(66)가 러그와 조합하고 있는 유동기구(46)내에 삽입되어 있을때 상기 억제판(32)상에 유지되어지기에 적당하며 상기 자리잡기러그(66)의 하나를 칼라에 연결하고 있으며, (d) 긴 부재의 한 방향으로 회전이 어댑터판(30)을 향한 억제판(32)의 운동을 이루도록 하며, 이것때문에 상부이테이너 장치(50)바로 아래지점에서 안내딤블을 절단하기 위한 준비로 안내딤블 상부단부부분(28)상에 작용하는 장력을 제거하는 반면에 억제스프링(56)을 한층 더압축하게 되며, 상기 절단후 대향방향으로 이루어진 긴 부재(70)의 회전이 상기 억제스프링의 작용하에서 억제판(32)을 어댑터판(30)으로 부터 이격변위시켜 절단지점 아래에 남아있는 안내딤블 상부단부부분(28)의 부분으로 부터 방출되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어댑터판(30)과 함께 나선으로 맞물리며, 각각의 자리잡기 러그(66)의 축방향의 구경(82)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축방향의 구경을 통하여 뻗어있는 다수의 긴부재(70)를 특징으로 하는 상단노즐소조립체를 재구성 가능한 연료집합체로 부터 그리핑하여 분리하기 위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스파이터(64)는 긴 직립중앙허브(72)와, 중앙허브의 상부단부(74)에 인접하게 중앙허브에 연결되어 있는 손잡이(80)와, 중앙허브에서부터 방사상 외부로 뻗어있고 중앙허브의 하부단부(76)에 인접하게 중앙허브(72)에 연결되어 있는 다수의 스포우크(78)를 포함하고 있으며, 각개의 상기 스포우크는 스포우크에 간직되어 있는 상기 칼라(68)의 하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단노를 소조립체를 재구성 가능한 연료집합체로 부터 그리핑하여 분리하기 위한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스파이더(64)는 상부억제판(32)으로 부터 접근하고 이격되는 봉의 운동을 위하여 충격전달봉(92)을 지지하며, 상기 충격전달봉(92)은 그 하부단부(94)에서 상기 억제판(32)에 부착될수 있으며 안내딤블 상부단부부분(28)의 상기 남아있는 부분으로부터 억제판(32)의 확실한 방출을 야기하는 상향 유동구동 충격을 충격전달봉과 충격전달봉을 통하여 억제판(32)까지 전달하도록 작동될수 있는 충격발생장치(98, 100)를 지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단 노즐 소조립체를 재구성 가능한 연료집합체로부터 그리핑하여 분리하기 위한 장치.
  4. 제3항에 있어, 충격발생장치(98, 100)는 충격 전달봉(92)상에 배치되어 있는 고정모루(100)와, 모루(100)에 대향하여 축 방향으로 변위되어질 수 있도록 충격전달봉상에 활주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는 슬러그(98)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단노즐 소조립체를 재구성 가능한 연료집합체로 부터 그리핑하여 분리하기 위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칼라(68)는 관련 자리잡기러그(66)의 축방향의 구경(82)과 함께 일직선으로 정렬되어 있는 축방향의 구경(84)을 가지며, 상기 각각의 긴 부재(70)는 칼라와 조합되어 있는 자리잡기러그(66)와 칼라(68)의 축방향의 구경을 통하여 뻗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단노즐 소조립체를 재구성 가능한 연료집합체로 부터 그리핑하여 분리하기 위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긴부재(70)는 회전 공구와 함께 맞물리기 위한 소켓요소(88)를 긴 부재의 상부단부상에 가지며, 상기 소켓요소(88)는 소켓요소와 관련된 각각의 칼라(68)의 상부표면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부표면에 대향하게 유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단노즐 소조립체를 재구성 가능한 연료집합체로 부터 그리핑하여 분리하기 위한 장치.
KR1019860002179A 1985-03-25 1986-03-24 상단노즐 소조립체를 재구성 가능한 연료집합체로 부터 그리핑하여 분리하기 위한 장치와 그 방법 KR9400037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6/715,850 US4646414A (en) 1985-03-25 1985-03-25 Device for gripping and detaching a top nozzle subassembly from a reconstitutable fuel assembly
US715,850 1985-03-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7677A KR860007677A (ko) 1986-10-15
KR940003706B1 true KR940003706B1 (ko) 1994-04-27

Family

ID=24875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2179A KR940003706B1 (ko) 1985-03-25 1986-03-24 상단노즐 소조립체를 재구성 가능한 연료집합체로 부터 그리핑하여 분리하기 위한 장치와 그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4646414A (ko)
EP (1) EP0199043B1 (ko)
JP (1) JPH0658427B2 (ko)
KR (1) KR940003706B1 (ko)
CN (1) CN86101874A (ko)
DE (1) DE3665237D1 (ko)
ES (1) ES88014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74752A (en) * 1986-06-27 1988-10-04 Westinghouse Electric Corp. Fuel assembly repair system and method
DE3711844A1 (de) * 1987-04-08 1988-10-27 Wiederaufarbeitung Von Kernbre Vorrichtung zum herausziehen von mehreren brennstaeben aus einem brennelement
US4917854A (en) * 1988-08-26 1990-04-17 Westinghouse Electric Corp. Method and arrangement for consolidating and storing nozzles removed from nuclear fuel assemblies
DE4041349A1 (de) * 1990-12-21 1992-06-25 Siemens Ag Kernreaktorbrennelement
DE4325062A1 (de) * 1993-07-26 1995-02-02 Siemens Ag Kernreaktorbrennelement
FR2966760B1 (fr) * 2010-10-29 2012-12-21 Areva Nc Dispositif de maintien axial et de mise en rotation autour de son axe d'un element de forme allongee
US20150059177A1 (en) * 2013-08-27 2015-03-05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for removing an end cap of a combustor cap assembly
CN108257696B (zh) * 2016-12-29 2023-08-29 中核建中核燃料元件有限公司 一种用于燃料组件上管座压缩组装及测量的装置
CN108817581B (zh) * 2018-07-09 2020-11-27 浙江麦知网络科技有限公司 电火花加工用电源装置
CA3236363A1 (en) * 2021-10-29 2023-05-04 Scott J. Shargots Control rod remote disconnect mechanism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018662A (en) * 1962-03-22 1966-01-26 English Electric Co Ltd Fuel element handling apparatus for nuclear reactors
US3514838A (en) * 1966-07-15 1970-06-02 Bechtel Int Corp Method of severing a nuclear fuel bundle
US3768668A (en) * 1971-12-17 1973-10-30 Combustion Eng Fuel bundle and control element assembly handling mechanism
US3887980A (en) * 1973-03-29 1975-06-10 Exxon Nuclear Co Inc Nuclear fuel bundle disassembly and assembly tool
US4078967A (en) * 1976-07-26 1978-03-14 Combustion Engineering, Inc. Holddown device for nuclear fuel assembly
US4219386A (en) * 1977-06-10 1980-08-26 Exxon Nuclear Company, Inc. PWR Integral tie plate and locking mechanism
US4358421A (en) * 1977-10-26 1982-11-09 The Babcock & Wilcox Company Industrial technique
US4321111A (en) * 1977-10-26 1982-03-23 The Babcock & Wilcox Company Industrial technique
GB2031217A (en) * 1978-10-05 1980-04-16 British Nuclear Fuels Ltd Reprocessing nuclear fuel
US4355449A (en) * 1978-10-18 1982-10-26 The Babcock & Wilcox Company Method of assembling and disassembling a control component structure
US4376092A (en) * 1979-12-10 1983-03-08 Westinghouse Electric Corp. Nuclear fuel assembly wear slee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8801469A1 (es) 1987-12-16
US4646414A (en) 1987-03-03
JPS61223696A (ja) 1986-10-04
DE3665237D1 (en) 1989-09-28
KR860007677A (ko) 1986-10-15
JPH0658427B2 (ja) 1994-08-03
CN86101874A (zh) 1986-11-05
EP0199043A1 (en) 1986-10-29
ES553241A0 (es) 1987-12-16
EP0199043B1 (en) 1989-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3706B1 (ko) 상단노즐 소조립체를 재구성 가능한 연료집합체로 부터 그리핑하여 분리하기 위한 장치와 그 방법
KR930011013B1 (ko) 재구성 가능한 핵연료집합체의 로킹관 제거 및 교체장치
DE68906998T2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Herausziehen von Blockierhülsen aus Führungsrohren von zerlegbaren Kernreaktor-Brennstabbündeln.
JPH02196997A (ja) 軽水炉の燃料集合体の不良燃料棒を交換する方法
KR101859359B1 (ko) 원자로로부터 칼란드리아 튜브들과 가압 튜브들을 제거하는 방법
KR910005806B1 (ko) 핵연료 조립체를 재구성하기 위한 방법과 장치
JPH034116B2 (ko)
DE19654155C2 (de) Handhabungsvorrichtung für reaktorinterne Einrichtungen
DE2929506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festigen und entfernen von abbrennbaren absorberstaeben in brennelementen von kernreaktoren
JPS6352355B2 (ko)
US4928291A (en) Control cluster provided with removable control elements for a nuclear fuel reactor
JPH0421160B2 (ko)
KR940003794B1 (ko) 제거가능한 정부노즐을 갖는 핵연료집합체
EP0458202B1 (en) Fuel assembly for a nuclear reactor
RU2140673C1 (ru) Тепловыделяющий элемент или управляющий элемент с разъемной фиксацией между кожухом и верхним или нижним хвостовиком элемента
JPH0129433B2 (ko)
EP0467093B1 (en) Guide tube insert assembly for use in a nuclear reactor
CH689240A5 (de) Kernrohr- und Tragplattenbaueinheit fuer Druckwasserkernreaktor.
JPH0458911B2 (ko)
JP2667624B2 (ja) 制御棒のスペーサ・パッド
JPH0743675Y2 (ja) 燃料集合体用のロック管取外し装置
KR940008251B1 (ko) 재구성 가능한 연료집합체에 체결관을 삽입하기 위한 고정구
DE2854816A1 (de) Rohrfoermige verschlussvorrichtung
US6009137A (en) Mid-shroud joint for a boiling water reactor
CH672205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