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3306Y1 - 휴즈홀더 단자 접속구 - Google Patents

휴즈홀더 단자 접속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3306Y1
KR940003306Y1 KR92002093U KR920002093U KR940003306Y1 KR 940003306 Y1 KR940003306 Y1 KR 940003306Y1 KR 92002093 U KR92002093 U KR 92002093U KR 920002093 U KR920002093 U KR 920002093U KR 940003306 Y1 KR940003306 Y1 KR 9400033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se holder
terminal connector
holder terminal
r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020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20456U (ko
Inventor
한흥수
Original Assignee
한흥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흥수 filed Critical 한흥수
Priority to KR920020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3306Y1/ko
Publication of KR93002045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2045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33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330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02Single-pole devices, e.g. holder for supporting one end of a tubular incandescent or neon lamp

Landscapes

  • Fu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휴즈홀더 단자 접속구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펼친 상태의 평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결합 상태 단면도, 제3도는 종래품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링구 1' : 나조
2 : 개구부 3 : 단자편
본 고안은 제작이 용이한 휴즈홀더 단자 접속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휴즈홀더에 끼워지는 휴즈 홀더 단자 접속구의 형태를 링형으로 형성한 다음 그 내부에 나조를 형성하고 선단부에 전선 결합 단자편을 리벳으로 결합하여 사용하였기 때문에 제조 과정이 복잡하고 단자 접속구가 일정규격을 갖게되어 단자접속구의 크기와 캡의 숫나조가 일정하여야 하므로 약간의 오차만 있어도 결합이 불가능하였고 또한 케이스내로 결합되는 단자접속구가 잘맞지 않아 헐겁게 되는 결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서 나조가 형성된 링구의 일부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단자편을 일체로 형성한 것으로 케이스내로 결합시 잘맞도록 하며, 난자접속구와 결합되는 캡의 숫나조와의 약간의 오차에도 이를 수용할 수 있고 제작이 용이하여 제작비가 저렴한 접속구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이를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휴즈홀더 단자 접속구를 형성함에 있어서, 나조(1')가 형성된 링구(1)의 일부에 개구부(2)를 두고 단자편(3)을 일체로 형성하여서 된 구조로서 부호 4는 전선 결합공, 5는 걸림부, 6은 케이스, 6'는 구멍, 7은 캡, 7'는 숫나조, 8은 휴즈, 9는 스프링이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제2도에서 보는바와 같이 일정 규격의 금속판재에 나조(1')를 형성하고, 단자편(3)을 일체로 형성한 다음 금속판재를 링형으로 형성한 것으로 구조가 극히 단순하여 제작이 용이하다.
본 고안의 사용시 케이스(6)안에 삽입하되, 단자편(3)을 케이스(6)의 구멍(6')을 통해 끼우면 단자편(3)에 형성된 걸림부(5)가 구멍(7')에 걸려 쉽게 빠지지 않게되고 케이스(6)의 직경이 일치하지 않더라도 링구(1)의 개구부(2)가 좁아지면서 케니스(6)와 결합되므로 결합 상태가 양호하다.
이런 상태에서 휴즈(8)를 케이스(6)안에 삽입하고 스프링(9)이 내장된 캡(7)을 끼우면 캡(7)의 숫나조(7')와 링구(1)의 나조(1')가 나합되면서 케이스(6)안에 수장된 휴즈(8)가 스프링(9)을 압축한 상태로 결착 되므로 휴즈(8)가 케이스(6)안에서 견고하게 유지된다.
만일 링구(1)에 형성된 나조(1')에 비해 이에 나합되는 캡(7)의 숫나조(7')의 크기가 클 경우에 링구(1)의 일부에 개구부(2)를 형성하였기 때문에 개구부(2)가 약간 벌어지면서 수용할 수 있다.
위와 같이 본 고안은 링구와 단자편을 일체로 형성하여 제작이 간편하고 이에 따른 제작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크기가 다른 캡도 링구의 개구부 때문에 용이하게 숭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휴즈 홀더 단자 접속구를 형성함에 있어서, 나조(1')가 형성된 링구(1)의 일부에 개구부(2)를 두고 단자편(3)을 일체로 형성하여 된 휴즈 홀더 단자 접속구.
KR92002093U 1992-02-13 1992-02-13 휴즈홀더 단자 접속구 KR9400033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2093U KR940003306Y1 (ko) 1992-02-13 1992-02-13 휴즈홀더 단자 접속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2093U KR940003306Y1 (ko) 1992-02-13 1992-02-13 휴즈홀더 단자 접속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0456U KR930020456U (ko) 1993-09-24
KR940003306Y1 true KR940003306Y1 (ko) 1994-05-19

Family

ID=19328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02093U KR940003306Y1 (ko) 1992-02-13 1992-02-13 휴즈홀더 단자 접속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330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0456U (ko) 1993-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43054A (en) Earth terminal for electrical equipment
US5791918A (en) Spark plug connector
US6669420B2 (en) Nut assembly including frame having a flange portion and opposed arms supporting a pivotable nut
US5278741A (en) Light bulb assembly particularly useful for miniature lamps
US5421742A (en) Electric lamp base system
KR940003306Y1 (ko) 휴즈홀더 단자 접속구
US4611876A (en) General purpose loss-proof terminal for forming electric connections by clamping between two conducting elements
US3115381A (en) Connecting device
JPS5814656U (ja) ヒユ−ズホルダ−
JPS5927022Y2 (ja) コネクタ
CN217444691U (zh) 一种带锁线功能插座
JPS6019336Y2 (ja) 端子機構
JPS594543Y2 (ja) ねじ端子
JPH02145779U (ko)
KR900001283Y1 (ko) 진열장용 소켓
JPH025523Y2 (ko)
JPH0546953Y2 (ko)
JPH02128961U (ko)
JPH019009Y2 (ko)
KR810001582Y1 (ko) 플 러 그
KR900001072Y1 (ko) 압력스위치의 인입 및 배전선 접속구조
JP3773638B2 (ja) ボルト締め型多極コネクタ
JPH0118596B2 (ko)
JPS6320060Y2 (ko)
KR910004771Y1 (ko) 가스호오스 접속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5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