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1283Y1 - 진열장용 소켓 - Google Patents

진열장용 소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1283Y1
KR900001283Y1 KR2019870022763U KR870022763U KR900001283Y1 KR 900001283 Y1 KR900001283 Y1 KR 900001283Y1 KR 2019870022763 U KR2019870022763 U KR 2019870022763U KR 870022763 U KR870022763 U KR 870022763U KR 900001283 Y1 KR900001283 Y1 KR 9000012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et
hole
terminal
terminal support
show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227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4881U (ko
Inventor
연정웅
Original Assignee
연정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정웅 filed Critical 연정웅
Priority to KR20198700227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1283Y1/ko
Publication of KR89001488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488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12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1283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Landscapes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Freezers Or Refrigerated Showcase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진열장용 소켓
제1도는 본 고안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제3도-제4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종 단면도로서,
제3도는 진열장용 플러그를 꽂았을 때를 나타낸 것이고,
제4도는 본 고안의 진열장용 소켓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고정플레이트 2 : 몸체
3 : 통공 4 : 나사공
5 : 삽입부 6 : 단자지지플레이트
8 : 단자지지본체 10 : 단자공
13 : 플러그삽입공 14 : 손잡이
본 고안은 소켓의 후부로 체결되는 단자 지지구를 본체와 내열성 합성수지 등으로 된 단자지지 플레이트로 분리 성형하여 단자와 인입되는 전선의 연결을 간편하게 하고 사용중 파손되는 부품의 교환이 용이토록 하며, 소켓을 사용하지 않을 때는 소켓의 전방에 형성된 플러그 삽입공에 별도로 형성한 캡으로서, 막아 폐쇄함으로써 부주의로 인한 감전 및 누전등에 의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진열장용 소켓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진열장용 소켓과 단자를 일체로 형성시켰으므로, 소켓의 후부로 돌출되는 단자에 전선을 연결할 때는 일일히 납 등으로 땜을 하여 연결하므로,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그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전선의 연결이 불확실하게 되는 경우도 빈번하게 발생되었고, 과부하시 접점이 불안정하며, 이로 인하여 특히, 납땜부위가 녹게 되어 단선되거나 누전 또는 합선의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되었고, 또한 소켓의 내부에서 약간의 고장이 나거나, 소켓의 일부가 파손되게 되면 소켓 자체를 교체하여야 하는 폐단이 있음은 물론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 비용이 많이 드는 결점이 있었다.
그리고, 사용하지 않을 때는 절전하기 위해 소켓에서 플러그를 빼놓아야 하는데 이때 소켓의 내부에 먼지등이 쌓이게 되고 또한 부주의로 인하여 전도물질이 소켓으로 인입될 우려가 있어 감전 및 누전등의 사고를 방지하기 어려운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제결점들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방에 진열장의 벽 등에 고착시킬 수 있도록 상, 하부에 구멍을 가진 고정플레이트(1)를 형성하고, 그 후부에 소켓의 몸체(2)를 형성한 진열장용 소켓에 있어서, 소켓몸체(2)의 후면에 통공(3)을 형성하되, 이 통공(3)에는 수개의 나사공(4)를 형성하며, 통공(3)에 내열성 합성수지제 등으로 된 단자지지플레이트(6)의 전방삽입부(5)가 삽설되도록 하였는데, 단자지지플레이트(6)는 단자 지지본체(8)에 일단이 삽설된 단자(9)가 삽입 돌출되도록 수개의 단자공(10)을 천공하였으며, 단자 지지본체(8)는 단자 삽입부 외주연에 일측이 개방된 체결공(11)을 형성하고, 후면에 단자삽입부와 일치하도록 하여 전선 삽입공(12)을 형성하였으며, 또한 소켓의 전방에 형성된 플러그 삽입공(13)에 외표면에 손잡이(14)를 형성한 캡(15)이 빡빡하게 삽설되도록 하였다.
미설명 부호 16은 단자지지본체(8)와 단자 지지플레이트(6)를 보울트(17)등으로 결합시키도록 한 체결공이고, 18은 단자지지본체에 천공한 체결공이며, 19는 전선, 20은 공지의 진열장용 플러그이다.
위와 같이 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소켓의 몸체(2)을 진열장 등의 벽체에 고착시키기 전에 단자지지본체(8)의 전선삽입공(12)을 통하여 끝단의 피복을 벗겨낸 전선(19)을 관통시킨 다음, 전선의 끝단을 단자(9)의 하단부에 체결되도록 한 볼트의 단부에 권착한 후, 단자지지본체(8)의 단자삽입홈에 삽설시킨다.
다음에 단자지지플레이트(6)의 단자공(10)에 단자지지본체(8)에 삽설된 단자(9)를 끼우고 단자지지플레이트(6)와 단자지지본체(8)를 보울트(17)로서 일체가 되게 하여 나합시킨 후, 단자지지플레이트(6)의 전방에 형성한 삽입부(5)를 소켓몸체(2)의 후방에 천공된 통공(3)에 삽설하고, 몸체(2)에 형성된 나사공(4)에는 단자 지지본체(8)에 천공한 체결공(18)을 통하여 보울트를 나합시켜 몸체(2)와 단자지지 플레이트(6)를 고착시킨 단자지지본체(8)를 일체가 되게 한 다음, 소켓의 전방에 형성된 고정플레이트(1)가 벽체등에 고정시 전방으로 보이도록 하여 못 또는 버스 등으로 고착시키고, 사용시에 플러그(20)를 삽입하면 전원이 인가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사용하다가 주간 또는 휴일일 경우등과 같이 진열장을 사용치 않을 때는 플러그(20)을 소켓으로부터 빼내고 별도로 형성된 캡(15)을 삽입시켜 플러그 삽입공(13)을 막아두면 먼지등의 소켓의 플러그 삽입공(13)에 쌓이는 것을 막을 수 있어 소켓을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주의로 인한 누전 또는 감전등의 사고를 방지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전선(19)을 단자(9)에 연결하기 쉽고 과부하가 발생되어도 접점이 안정되며, 사용중 소켓의 일부가 파손되거나 고장시에, 그 부품만을 교체하면 되므로 종래 소켓 전체를 교체하여야 하는 것에 비해 훨씬 그 비용이 절감되고 작업이 손쉬우며 진열장등에 설치가 용이하고, 설치 후 외관이 깔끔하며, 감전 또는 누전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전방에 고정 플레이트(1)를 가진 소켓에 있어서, 소켓의 몸체(2)의 후방에 나사공(4)을 가진 통공(3)을 형성하여, 이 통공(3)에 단자 지지본체(8)에 고착되게 한 내열성 합성수지제 등으로 된 단자지지플레이트(6)의 전방삽입부(5)를 삽입하되, 단자 지지플레이트(6)에는 수개의 단자공(10)을 형성하며, 소켓의 전방플러그 삽입공(13)에 손잡이(14)를 가진 캡(15)을 삽입 가능토록 한 진열장용 소켓.
KR2019870022763U 1987-12-22 1987-12-22 진열장용 소켓 KR9000012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22763U KR900001283Y1 (ko) 1987-12-22 1987-12-22 진열장용 소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22763U KR900001283Y1 (ko) 1987-12-22 1987-12-22 진열장용 소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4881U KR890014881U (ko) 1989-08-11
KR900001283Y1 true KR900001283Y1 (ko) 1990-02-20

Family

ID=19270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22763U KR900001283Y1 (ko) 1987-12-22 1987-12-22 진열장용 소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128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4881U (ko) 1989-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381258A (en) Electrical plug with safety ground element
KR900001283Y1 (ko) 진열장용 소켓
US5176539A (en) Safety plug
KR200198502Y1 (ko) 전기접속구의 전선연결구조
KR0116048Y1 (ko) 단자대의 연결단자 체결장치
KR100211042B1 (ko) 배터리 케이블 결합구조
KR970007193Y1 (ko) 고(高) 암페아(a)용 케이블 접속구
KR920007785Y1 (ko) 단자접속 슬리이브 하우징
KR960008415Y1 (ko) 어스 (earth)용 나사
KR910004771Y1 (ko) 가스호오스 접속구
KR970005581Y1 (ko) 변압기용 전선 접속단자 구조
KR870001579Y1 (ko) 100v/220v 겸용 플럭의 어댑터 결합구조
KR920002170Y1 (ko) 프린트기판용 코넥터
KR910008180Y1 (ko) 접속단자용 절연캡
KR880002248Y1 (ko) 전화선 단자함
KR960002139Y1 (ko) 플러그
KR910009368Y1 (ko) 코오드 결속구
KR800002087Y1 (ko) 전원접속용 플럭의 코드선 고정구
KR910005786Y1 (ko) 전기 콘센트 접속단자
KR0134724Y1 (ko) 고압 변압기용 부싱
KR900005940Y1 (ko)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출력측과 콘덴서-저항 블록간의 전원접속 기구 구조
KR890000841Y1 (ko) 110v/220v 겸용 플럭
KR200187000Y1 (ko) 튜너의 핀블럭 결합구조
KR200248569Y1 (ko) 220볼트용 플러그 접속단자
KR0137318Y1 (ko) 배터리 케이블 단자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021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