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2854Y1 - 밀걸레 - Google Patents

밀걸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2854Y1
KR940002854Y1 KR92009433U KR920009433U KR940002854Y1 KR 940002854 Y1 KR940002854 Y1 KR 940002854Y1 KR 92009433 U KR92009433 U KR 92009433U KR 920009433 U KR920009433 U KR 920009433U KR 940002854 Y1 KR940002854 Y1 KR 9400028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p
main body
fastening
projection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094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9337U (ko
Inventor
남문식
Original Assignee
남문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문식 filed Critical 남문식
Priority to KR920094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2854Y1/ko
Publication of KR93001933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933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28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285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A47L13/24Frames for mops; Mop heads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밀걸레
제 1 도는 본고안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요부 분해 사시도.
제 3 도는 본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라 본체에 걸레를 장착시킨 상태의 종단면도.
제 4 도는 제 3 도의 측면도.
제 5 도는 본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제 6 도는 제 5 도의 요부 분해 사시도.
제 7 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본체에 걸레를 장착시킨 상태의 종단면도.
제 8 도는 제 7 도의 측면도.
제 9 도는 본고안의 걸레말이에 장착되는 부품들을 나타낸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2 : 손잡이
3 : 만곡부 4 : 쐐기
6 : 체결돌기 7, 13 : 접착테이프
8 : 걸레 9 : 걸레말이
10 : 미끄럼 방지돌기 11 : 체결편
11a : 걸림공 11b : 요입홈
14 : 걸림고리 14a : 후크
14b : 걸림돌기 15 : 돌출부
17 : 걸림봉
본 고안은 실내의 바닥을 청소하기위한 밀걸레에 관한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헌타올등을 이용하여 실내의 바닥을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에는 실내의 바닥을 물걸레질 할 경우에는 걸레를 빨은 다음 바닥에 엎드린 상태에서 닦아 주었기 때문에 주부의 가사노동을 가중시켰음은 물론 이로인해 쉽게 피로가 누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밀걸레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이는 주부들이 선상태에서 걸레를 밀고 다님에 따라 바닥면이 닦여져 편리한 점을 제공하는 반면, 그 구조가 복잡하여 걸레의 착탈 작업이 번거로웠음은 물론 반드시 밀걸레용 걸레를 별도로 구입하여 사용하여야 되었으므로,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본고안은 종래의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헌타올등의 폐품을 활용하여 간편하게 바닥면을 청소할 수 있도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위한 본고안의 형태에 따르면, 손잡이가 고정된 본체에 걸레를 착탈시킬 수 있도록 된것에 있어서, 본체의 저면에 만곡부를 형성하여 만곡부상에 다수개의 쐐기를 형성하고 본체의 저면에 결합되는 걸레말이의 표면에는 미끄럼 방지돌기를 형성하여 상기 걸레말이에 걸레를 말은 다음 걸레말이를 결합수단에 의해 본체와 고정시키도록 된 밀걸레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을 일실시예로 도시한 첨부된 도면 제 1 도 내지 제 9 도를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제 1 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제 2 도는 제 1 도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며 제 3 도는 제 1 도의 일부 종단면도이다.
본고안은 손잡이(2)가 고정된 본체(1)의 저면에 만곡부(3)가 형성되어 있고 만곡부(3)상에는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쐐기(4)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헌타올등의 걸레(8)를 감싸기 위한 걸레말이(9)의 둘레면에는 미끄럼 방지돌기(10)가 무수히 많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레말이(9)는 원형등으로 형성할 수 있지만 청소시에 걸레말이(9)가 본체(1)에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타원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와 바와같이 구성되는 걸레말이(9)에 걸레(8)를 감싼 다음 이를 본체(1)에 결합수단에 의해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결합수단으로는 제 1 도 내지 제 4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체결도릭(6)와 체결편(11)을 이용하여 걸레말이(9)를 본체(1)에 고정시킬 수 있지만 다른 실시예로 도시한 제 5 도 내지 제 8 도에서와 같이 체결편(11)과 걸림고리(14)를 이용할 수 있는 것으로 그 구성을 좀더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제 1 도 내지 제 4 도에 도시한바와 같이 본체(1)의 상부 양측면에 단턱부(5)가 형성되어 있고 내측으로는 접착테이프(7)가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걸레말이(9)의 양단에는 다수개의 걸림공(11a)이 형성된 체결편(11)이 고정핀(12)에 의해 결합되어 있고 체결편(11)의 연장부에는 접착테이프(13)가 고정되어 있다.
이때 본체(1)의 단턱부(5)에 형성되는 체결돌기(6)를 경사지게 하는 것은 체결편(11)의 걸림공(11a)을 끼웠을때 체결편(11)이 체결돌기(6)에서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고, 단턱부(5)와 체결편(11)의 연장부에 접착테이프(7)(13)를 고정하는 이유는 본체(1)에 걸레(8)를 장착시킨 상태에서는 외력에 의해 체결편(11)이 체결돌기(6)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2차 안전장치 역할을 하기 위함이다.
한편 첨부도면 제 5 도 내지 제 8 도는 본 고안의 본체(1)에 걸레말이(9)를 고정시키는 다른 결합수단을 나타낸 것으로서, 본체(1)의 상부 양측면에 돌출부(15)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출부(15)의 근접부에는 후크(14a)를 가진 걸림고리(14)가 핀(16)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걸레말이(9)의 양단에는 다수개의 요입홈(11b)이 형성된 체결편(11)이 고정핀(12)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체결편(11)을 지지하는 걸림고리(14)에 걸림돌기(14b)가 형성되어 있고 상부에는 2개의 체결공(14c)이 형성되어 있으며 본체(1)에는 걸림봉(17)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걸림돌기(14b)가 걸림봉(17)에 끼워져 체결편(11)이 본체(1)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걸림고리(14)의 상부에 2개의 체결공(14c)을 형성한 이유는 걸림고리(14)로 체결편(14c)을 통해 혁대와 같이 끼울수 있도록 하기위함이다.
또한 걸림고리(14)에 형성되는 걸림돌기(14b)와 본체(1)에 형성되는 걸림봉(17)을 각각 1개씩 형성하여도 되지만 체결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양측으로 2개씩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헌타올등의 걸레(8)를 걸레말이(9)에 말은 다음 걸레말이(9)를 본체(1)에 형성된 만곡부(3)에 대고 결합수단에 의해 걸레말이(9)를 본체(1)에 고정시키므로서 걸레(8)의 장착이 완료된다.
즉, 제 1 도 내지 제 4 도에 도시한 일실시예에서와 같이 체결편(11)에 형성된 걸림공(11a)을 걸레(8)의 두께에 따라 체결돌기(6)에 선택적으로 제 3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끼움과 동시에 연장부에 고정된 접착테이프(13)를 단턱부(5)에 고정된 접착테이프(7)에 부치거나, 또는 제 5 도 내지 제 8 도에 도시한 다른 실시예에서와 같이 체결편(11)에 형성된 요입홈(11b)을 걸레(8)의 두께에 따라 본체(1)의 양측으로 형성된 돌출부(15)에 제 7 도와 같이 끼워지도록 한후 핀(16)을 중심으로 걸림고리(14)를 회동시켜 후크(14a)가 체결편(11)과 돌출부(15)에 끼워지도록 하므로서 걸레(8)의 장착이 완료된다.
이때 걸림고리(14)에 형성된 걸림돌기(14b)가 본체(1)에 형성된 걸림봉(17)에 함께 끼워지므로 2차 안전장치의 역할을 하게된다.
그후 체결편(11)의 여유분을 걸림고리(14)에 형성된 체결공(14c)에 혁대와 같이 끼워주면 체결편(11)의 뒷처리가 마무리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장착 완료된 밀걸레의 손잡이(2)를 잡고 사용자가 선상태에서 걸레(8)를 바닥면에 접속시킨 후 밀고 당김으로서 청소를 하게되는데, 이때 본체(1)의 저면에 형성된 만곡부(3)에 걸레(8)가 밀착되어 원통형상을 이루게 되므로 걸레(8)의 사용범위를 극대화 할 수 있게된다.
또한 밀걸레의 사용시에 제 4 도 및 제 8 도의 실선과 같이 걸레말이(9)에 걸레(8)를 완전히 말아 바닥을 닦는 기능을 수행하지만 일점쇄선과 같이 일측으로 길게 늘어 뜨려 바닥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훔치는 효과도 얻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일정시간 반복 사용후 걸레(8)가 더러워져 교체하거나, 세척후 다시 장착할 경우에는 걸레말이(9)에서 걸레(8)를 분리시켜야 된다.
한편 일정시간 반복 사용후 걸레(8)가 더러워져 교체하거나, 세척후 다시 장착할 경우에는 걸레말이(9)에서 걸레(8)를 분리시켜야 된다.
이때에는 전술한바와는 반대로 제 3 도와 같이 접착테이프(7)(13)를 상호 분리시킨 상태에서 체결편(11)을 상방으로 당기면서 체결돌기(6)에서 걸림공(11a)을 빼낸다음 걸레말이(9)를 본체(1)에서 분리시킨 후 새로운 걸레로 교체시키거나, 또는 제 7 도와 같이 체결편(11)을 걸림고리(14)의 체결공(14c)에서 빼낸다음 걸림고리(14)를 상방으로 일점쇄선과 같이 젖혀 본체(1)로부터 걸레말이(9)를 분리시킨 후 새로운 걸레를 걸레말이(9)에 감싸주거나, 또는 세척후 다시 감싸주고 전술한 바와 같이 걸레말이(9)를 본체(1)에 장착시켜 주므로서 반복해서 사용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첨부도면 제 9 도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로서, 지지체(18)에 접착테이프(19)(20)를 각각 고정하고 상기 지지체(18)에는 몹걸레(21)나비(22) 또는 솔(23), 스폰지(24), 스폰지(25) 및 고무(26)등을 각각 고정하여 접착 테이프(19)(20)를 이용지지체(18)를 걸레말이(9)에 감싸지도록 하므로서 걸레질외에도 비질이나 창문 및 가구닦이 작업을 할수 있게됨은 물론 스폰지(24)를 이용하여 세차를 할수 있게 되는등 밀걸레를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게됨은 이해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고안은 간단한 동작에 의해 헌타올등과 같은 폐품을 이용하여 주부들이 선상태에서 바닥면을 물걸레질 할수 있게되므로 바닥 청소로 인한 가사노동의 부담을 덜어줄 수 있게됨은 물론 폐품 활용에 따른 생활비를 절감시킬 수 있게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Claims (5)

  1. 손잡이가 고정된 본체에 걸레를 착탈시킬 수 있도록 된 것에 있어서, 본체(1)의 저면에 만곡부(3)를 형성하여 만곡부(3)상에 다수개의 쐐기(4)를 형성하고 본체(1)의 저면에 결합되는 걸레말이(9)의 표면에는 미끄럼 방지돌기(10)를 형성하여 상기 걸레말이(9)에 걸레(8)를 말은 다음 걸레말이를 결합수단에 의해 본체(1)와 고정시키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밀걸레.
  2. 제 1 항에 있어서, 결합수단은 본체(1)의 양측으로 경사진 체결돌기(6)를 형성하고 걸레말이(9)의 양측에는 다수개의 걸림공(11a)을 가진 체결편(11)을 결합하여 걸림공(11)을 체결돌기(6)에 선택적으로 끼워 고정시키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밀걸레.
  3. 제 1 항에 있어서, 결합수단은 본체(1)의 양측으로 돌출부(15)를 형성하고 상기 돌출부의 근접부에는 후크(14a)를 가진 걸림고리(14)를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며 걸레말이(9)의 양측에는 다수개의 요입홈(11b)을 가진 체결편(11)을 결합하여 요입홈(11b)을 돌출부(15)에 선택적으로 끼운다음 걸림고리(14)의 후크(14a)로 지지하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밀걸레.
  4. 제 2 항에 있어서, 체결돌기(6)에 일측과 체결편(11)의 연장부에 접착테이프(7)(13)을 고정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밀걸레.
  5. 제 3 항에 있어서, 걸림고리(14)의 일측에 걸림돌기(14b)를 형성하고 본체(1)에는 걸림봉(17)을 형성하여 걸림돌기가 걸림봉에 결합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밀걸레.
KR92009433U 1992-02-22 1992-05-29 밀걸레 KR9400028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9433U KR940002854Y1 (ko) 1992-02-22 1992-05-29 밀걸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2629 1992-02-22
KR920002629 1992-02-22
KR92009433U KR940002854Y1 (ko) 1992-02-22 1992-05-29 밀걸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9337U KR930019337U (ko) 1993-09-23
KR940002854Y1 true KR940002854Y1 (ko) 1994-04-27

Family

ID=70804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09433U KR940002854Y1 (ko) 1992-02-22 1992-05-29 밀걸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285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9337U (ko) 1993-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29858A (en) Foot scrubbing system
US5012544A (en) Multipurpose bathing wiper construction
JP2927543B2 (ja) 二つのポケット及び固定板を備えたモップヘッド
US4184221A (en) Bath brush
KR940002854Y1 (ko) 밀걸레
KR101802208B1 (ko) 발 세척 매트
CA2146262C (en) Mattress handle construction
US7469442B1 (en) Scrubber with removable washing element
US2628381A (en) Toilet bowl brush
US20070240270A1 (en) Device for Cleaning Floors and Similar Surfaces
KR960009342Y1 (ko) 손잡이를 착탈 가능한 수세미
KR940007923Y1 (ko) 걸레
KR200463212Y1 (ko) 전면에 돌기부가 부착된 클리너
KR200340927Y1 (ko) 걸레 청소 도구
KR960000918Y1 (ko) 실내용 걸레
JP3790973B2 (ja) 清掃用払拭具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184462Y1 (ko) 청소기
KR101300615B1 (ko) 물걸레 청소기
KR960005447Y1 (ko) 청소기
AU643990B2 (en) Adjustable washing device
JP2004180719A (ja) 清掃ブラシケース
US4133056A (en) Soiled diaper wringer device
JP3101100U (ja) 清掃具
JPH0534995U (ja) 垢擦り器具
JPS6310142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