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2823B1 - 퀴놀론카복실산 또는 이의 유도체의 엠보네이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퀴놀론카복실산 또는 이의 유도체의 엠보네이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2823B1
KR940002823B1 KR1019860005709A KR860005709A KR940002823B1 KR 940002823 B1 KR940002823 B1 KR 940002823B1 KR 1019860005709 A KR1019860005709 A KR 1019860005709A KR 860005709 A KR860005709 A KR 860005709A KR 940002823 B1 KR940002823 B1 KR 9400028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hyl
hydrogen
carbon atoms
acid
general formu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5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1210A (ko
Inventor
그로에 크라우스
베르트 푀게 헤르
하리바이 나이크 아룬데프
쉐르 마틴
페데르만 만프레드
Original Assignee
바이엘 아크티엔게젤샤프트
요아힘 그렘, 크라우스 데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이엘 아크티엔게젤샤프트, 요아힘 그렘, 크라우스 데너 filed Critical 바이엘 아크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8700012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12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28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28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7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quinoline or hydrogenated quinoline ring systems
    • C07D215/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quinoline or hydrogenated quinoline ring system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atoms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5/1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quinoline or hydrogenated quinoline ring system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atoms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15/48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 C07D215/54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attached in position 3
    • C07D215/56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attached in position 3 with oxygen atoms in position 4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65/00Compounds having carboxyl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and containing any of the groups OH, O—metal, —CHO, keto, ether, groups, groups, or groups
    • C07C65/01Compounds having carboxyl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and containing any of the groups OH, O—metal, —CHO, keto, ether, groups, groups, or groups containing hydroxy or O-metal groups
    • C07C65/105Compounds having carboxyl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and containing any of the groups OH, O—metal, —CHO, keto, ether, groups, groups, or groups containing hydroxy or O-metal groups polycyclic
    • C07C65/11Compounds having carboxyl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and containing any of the groups OH, O—metal, —CHO, keto, ether, groups, groups, or groups containing hydroxy or O-metal groups polycyclic with carboxyl groups on a condensed ring system containing two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65/00Compounds having carboxyl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and containing any of the groups OH, O—metal, —CHO, keto, ether, groups, groups, or groups
    • C07C65/01Compounds having carboxyl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and containing any of the groups OH, O—metal, —CHO, keto, ether, groups, groups, or groups containing hydroxy or O-metal groups
    • C07C65/105Compounds having carboxyl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and containing any of the groups OH, O—metal, —CHO, keto, ether, groups, groups, or groups containing hydroxy or O-metal groups polycyclic
    • C07C65/15Compounds having carboxyl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and containing any of the groups OH, O—metal, —CHO, keto, ether, groups, groups, or groups containing hydroxy or O-metal groups polycyclic with carboxyl groups on a condensed ring system containing more than two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 C07D40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1/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directly linked by a ring-member-to-ring-member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5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quinolizine ring systems, e.g. emetine alkaloids, protoberberine; Alkylenedioxy derivatives of dibenzo [a, g] quinolizines, e.g. berberine
    • C07D455/03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quinolizine ring systems, e.g. emetine alkaloids, protoberberine; Alkylenedioxy derivatives of dibenzo [a, g] quinolizines, e.g. berberine containing quinolizine ring systems directly condensed with at least one six-membered carbocyclic ring, e.g. protoberberine; Alkylenedioxy derivatives of dibenzo [a, g] quinolizines, e.g. berberine
    • C07D455/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quinolizine ring systems, e.g. emetine alkaloids, protoberberine; Alkylenedioxy derivatives of dibenzo [a, g] quinolizines, e.g. berberine containing quinolizine ring systems directly condensed with at least one six-membered carbocyclic ring, e.g. protoberberine; Alkylenedioxy derivatives of dibenzo [a, g] quinolizines, e.g. berberine containing a quinolizine ring system condensed with only one six-membered carbocyclic ring, e.g. julolidin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7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 C07D47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71/04Ortho-condensed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7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 C07D47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71/06Peri-condensed syste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Onc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Quinoline Compound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퀴놀론카복실산 또는 이의 유도체의 엠보네이트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인체 및 가축의 경구투여용 약제로 유용한, 신규의 하기 일반식( I )의 퀴놀론카복실산 또는 이의 유도체의 엠보네이트(embonate)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Figure kpo00001
상기식에서
n은 1 또는 2이고,
Y는 일반식
Figure kpo00002
[여기서, A는 질소 또는 =C-R4이고,
R4는 수소, 불소, 염소, 니트로 또는 메틸이고,
B는
Figure kpo00003
이거나, R1이 사이클로프로필이 아닌 경우,
Figure kpo00004
이고,
R5는 수소이거나, 하이드록실 또는 메톡시 그룹으로 임의 치환될 수 있는 탄소수 1 내지 4의 측쇄 또는 비측쇄 알킬 그룹이고,
R6는 수소, 메틸 또는 페닐이고, R7은 수소 또는 메틸이고, R8은 아미노 ; 알킬 그룹의 탄소수가 1 또는 2인 알킬아미노 또는 디알킬아미노 ; 아미노메틸 ; 또는 알킬 그룹의 탄소수가 1 또는 2인 알킬아미노메틸 또는 디알킬아미노메틸이고, R1은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 라디칼, 사이클로프로필, 2-플루오로에틸, 비닐, 메톡시, 4-플루오로페닐 또는 메틸아미노이고, R2는 수소,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 사이클로헥실, 벤질, 2-옥소프로필, 펜아실 또는 에톡시카보닐메틸이고, R3는 수소, 메틸 또는 에틸이고, Z는 산소 ; 메틸 또는 페닐로 치환된 질소 ; 또는 CH2-이다]이다.
퀴놀론카복실산, 이의 유도체 및 이의 염은 이미 공지되어 있다[참조 ; DE-OS 제3,033,157호]. 이들은 현저한 살균 특성을 갖지만, 그중 몇몇의 쓴맛 때문에, 용액, 현탁제 또는 사료 혼합물의 형태 또는 음료수로서의 경구투여에 제한이 있다. 예를들면, 이러한 활성 화합물을 고도로 발달된 미각을 가진 가축(예 : 돼지)에 직접 경구투여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하기 일반식( I )의 퀴놀론카복실산 또는 이의 유도체의 엠보네이트는 하기 일반식( II ) 또는 (III)의 퀴놀론카복실산 또는 이의 유도체를 하기 구조식(IV)의 엠본산과 반응시켜 제조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Figure kpo00005
상기식에서,
n은 1 또는 2이고,
Y는 상기 일반식( II ) 또는 (III)의 라디칼이고,
A는 질소 또는 =C-R4이고,
R4는 수소, 불소, 염소, 니트로 또는 메틸이고,
B는
Figure kpo00006
이거나, R1이 사이클로프로필이 아닌 경우,
Figure kpo00007
이고,
R4는 수소이거나, 하이드록실 또는 메톡시 그룹으로 임의 치환될 수 있는 탄소수 1 내지 4의 측쇄 또는 비측쇄 알킬 그룹이고, R4는 수소, 메틸 또는 페닐이고, R7은 수소 또는 메틸이고, R8은 아미노 ; 알킬 그룹의 탄소수가 1 또는 2인 알킬아미노 또는 디알킬아미노 ; 아미노메틸 ; 또는 알킬 그룹의 탄소수가 1 또는 2인 알킬아미노메틸 또는 디알킬아미노메틸이고, R1은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 라디칼, 사이클로프로필, 2-플루오로에틸, 비닐, 메톡시, 4-플루오로페닐 또는 메틸아미노이고, R2는 수소,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 사이클로헥실, 벤질, 2-옥소프로필, 펜아실 또는 에톡시카보닐메틸이고, R3는 수소, 메틸 또는 에틸이고, Z는 산소 ; 메틸 또는 페닐로 치환된 질소 ; 또는 =CH2-이다.
놀랍게도, 본 발명에 이르러 본 발명에 따른 신규의 화합물이 퀴놀론카복실산의 다른 염들에 비해, 특별한 맛이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들은 인체 및 가축용 약제에 있어서 경구투여용 제제 및 경구투여용 약제로 사용하기에 매우 적합하다. 또한, 약물처리된 동물사료 또는 음료수로 투여하는 제제의 제조에 적합하다. 또한 인체용 약제에서, 이러한 유도체를 다른 약제학적 제형(예를들면, 환제 또는 캡슐제)으로 사용할 수 없는 경우, 현탁제, 시럽, 유제 등의 형태로 경구투여하는 것 또한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가축용 약제로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다른 염들의 형성에 의해서는 퀴놀론카복실산 또는 이의 유도체의 맛에 대한 효과를 거둘 수 없었기 때문에, 본 발명은 매우 놀랄만하다.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하기 일반식(IIa)의 퀴놀론카복실산 또는 이의 유도체의 엠보네이트에 관한 것이다.
Figure kpo00008
상기식에서,
B는
Figure kpo00009
이거나, R1이 사이클로프로필이 아닌 경우,
Figure kpo00010
이고, A, R2, R5, R6, R7및 R8은 상기 정의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은 특히 바람직하게는, 하기 일반식(IIa')의 퀴놀론카복실산 또는 이의 유도체의 엠보네이트에 관한 것이다.
Figure kpo00011
상기식에서,
R2는 수소,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 벤질, 2-옥소프로필, 펜아실 또는 에톡시카보닐메틸이고,
B는
Figure kpo00012
이고, R5는 수소, 메틸 또는 에틸이고, R6는 수소 또는 메틸이고, R7는 수소 또는 메틸이고, A는 상기 정의한 바와 같다.
다름의 퀴놀론카복실산 또는 이의 유도체의 엠보네이트를 특히 언급할 수 있다 ;
1-사이클로프로필-6-플루오로-1,4-디하이드로-4-옥소-7-(1-피페라지닐 또는 4-메틸-또는 4-에틸-1-피페라지닐)-퀴놀린-3-카복실산 ; 1-에틸-6-플루오로-1,4-디하이드로-4-옥소-7-(4-메틸-1-피페라지닐)-퀴놀린-3-카복실산 ; 1-에틸-6-플루오로-1,4-디하이드로-4-옥소-7-(1-피페라지닐)-퀴놀린-3-카복실산 ; 1-에틸-6-플루오로-1,4-디하이드로-4-옥소-7-(1-피페라지닐)-1,8-나프티리딘-3-카복실산 ; 9-플루오로-3-메틸-10-(4-메틸-1-피페라지닐)-7-옥소-2,3-디하이드로-7,4-피리도[1,2,4-데] 1,4-벤즈옥사진-6-카복실산 및 이 화합물들의 메틸 및 에틸 에스테르.
일반식( I )의 퀴놀론카복실산 또는 이의 유도체의 엠보네이트의 제조는 바람직하게는 적합한 용매중에서 일반식( II ) 또는 (III)의 퀴놀론카복실산 또는 이의 유도체에 엠본산을 가하고, 필요한 경우 가열하여 수행한다.
이때, 퀴놀론카복실산 및 엠본산을 1 : 1 또는 1 : 2의 비율로 사용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언급한 비율에 필요한 엠본산의 양에 대해, 1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 과량으로 엠본산을 사용한다.
또한, 아미노퀴놀론카복실산의 강산(예를들면, 염산, 메탄설폰산 또는 포름산)과의 염을 염본산의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과 반응시킬 수 있다.
반응에 적합한 용매는 물 뿐만 아니라 불활성 유기 용매 예를 들면, 알콜(예를들면, 메탄올 또는 에탄올), 에테르(예를들면, 디에틸 에테르 또는 디이소프로필 에테르, 글리콜 에테르(예를 들면,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탄화수소(예를들면, 석유 에테르, 톨루엔, 벤젠 및 크실렌)이다.
반응은 20 내지 150℃의 온도에서 수행하고, 바람직하게는 용매의 비점에서 수행한다. 또한 반응을 실온에서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활성 화합물은 인체 및 동물에 적합한 경구용 제형의 형태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유형의 제형은 다음과 같다.
경구용 용액, 희석후 경구투여하는 농축액, 유제 및 경구 현탁용 현탁제.
활성 화합물이 연고 성분 또는 수중유 또는 유중수 유제 성분에 혼입된 제형 ; 분제, 예비혼합물 또는 농축물, 입제, 펠렛, 정제, 볼리(boli) 및 캡슐제와 같은 고체 제형.
경구용 용액은 적합한 용매에 활성 화합물을 용해시켜 제조하며, 가용화제, 산, 염기, 완충물질, 산화방지제 및 방부제등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용액은 필요한 경우, 여과로 멸균하고 용기에 분배한다.
용매로는 물, 알콜(예를들면, 에탄올, 부탄올, 벤질 알콜, 글리세롤, 프로필렌, 글리콜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N-메틸-피롤리돈 및 이들의 혼합물과 같은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용매를 들 수 있다.
또한, 활성 화합물을 필요에 따라,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식물성 또는 합성 오일에 용해시킬 수 있다.
가용화제는 활성 화합물의 용해를 촉진시키거나 침전을 방지하는 용매이며, 예로서,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옥시에틸화된 피마자 오일 및 폴리옥시에틸화된 솔비탄 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방부제의 예로는 벤질 알콜, 트리클로로부탄올 및 p-하이드록시벤조산 에스테르가 있다.
경구용 용액은 직접 사용하며, 농축액은 사용전 미리 희석하여 경구투여한다.
경구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유제는 유중수 또는 수중유 형태이다.
유제는 활성 화합물을 한 상(phase)으로 용해시키고 적합한 유화제 및 필요한 경우, 안료, 흡수촉진물질, 방부제, 산화방지제, 광선차단제 및 증점제와 같은 보조제로 균질화하여 제조된다.
소수성 상(오일 상)의 예로 다음을 들 수 있다 :
파라핀 오일, 실리콘 오일, 천연 식물성 오일(예를들면, 참깨 오일, 아몬드 오일 및 피마자 오일), 합성 트리글리세라이드, 예를 들면, 카프릴산/카프르산 비글리세라이드, C8내지 C12의 식물성 지방산 또는 다른 특별히 선택한 천연 지방산의 트리글리세라이드 혼합물, 하이드록시 그룹을 함유할 수 있는, 포화되거나 불포화된 지방산의 불완전 글리세라이드 혼합물, 및 C8내지 C10지방산의 모노-및 디-글리세라이드 ;
지방산 에스테르, 예를들면, 에틸 스테아레이트, 디-n-부티릴 아디페이트, 헥실 라우레이트, 디프로필렌 글리콜 펠라고네이트, 포화된 C16내지 C18지방산 알콜과 중쇄 측쇄 지방산과의 에스테르,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C12내지 C18의 포화 지방 알콜의 카프릴산/카프르산 에스테르, 이소프로필 스테아레이트, 올레일 올레에이트, 데실 올레에이트, 에틸 올레에이트, 에틸 락테이트, 인조 오리깃털선 지방(artificial duck preen gland fat)과 같은 왁스-형 지방산 에스테르, 디부틸 프탈레이트, 디이소프로필 아디페이트, 이들의 에스테르 혼합물 등 ; 지방 알콜, 예를들면, 이소트리데실 알콜, 2-옥틸 도데칸올, 세틸스테아릴 알콜 및 올레일 알콜 ; 지방산, 예를들면, 올레산 및 이의 혼합물.
친수성 상의 예로 다음을 들 수 있다 : 물, 알콜(예를들면, 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롤, 솔비톨) 및 이들의 혼합물.
유화제로는 계면활성제(유화제 및 습윤제를 포함)가 포함되며, 예로서 다음을 들 수 있다 :
1. 비이온성 유화제, 예를들면, 폴리옥시에틸화된 피마자 오일, 폴리옥시에틸화된 솔비탄 모노올레에이트, 솔비탄 모노 스테아레이트, 에틸 알콜,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 스테아레이트 및 알킬페놀 폴리글리콜 에테르.
2. 양쪽성 유화제, 예를들면, 디-Na N-라우릴-
Figure kpo00013
-이미노디프로피오네이트 또는 레시틴.
3. 음이온성 유화제, 예를들면, Na 라우릴 설페이트, 지방산 알콜 에테르 설페이트, 모노/디알킬 폴리글리콜 에테르 오르토포스페이트 모노에탄올아민 염.
4. 양이온성 유화제, 예를들면 세틸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또한 적합한 보조제는 다음과 같다 : 점도를 증가시키고 유제를 안정화시키는 물질(예를들면, 카복시메틸 셀룰로즈, 메틸셀룰로즈 및 기타 셀룰로즈 및 전분 유도체, 폴리아크릴레이트, 알기네이트, 젤라틴, 아라비아 고무,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 알콜, 메틸 비닐 에테르 및 말레산 무수물의 공중합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왁스), 콜로이드성 실리카 또는 상술한 물질들의 혼합물.
경구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현탁제는 활성 화합물을 액체 비히클중에 현탁시켜 제조하며, 필요한 경우, 습윤제, 안료, 흡수 촉진 물질, 방부제, 산화 방지제 및 광선차단제와 같은 보조제를 첨가한다.
액체 비히클로는 모든 균질한 용매 및 용매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습윤제(분산제)로는 계면활성제(유화제 및 습윤제를 포함)가 포함되며, 예로서 다음을 들 수 있다 :
1.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예를들면, Na 라우릴 설페이트, 지방산 알콜 에테르 설페이트, 모노/디알킬 폴리글리콜에테르 오르토포스페이트 모노에탄올아민 염, 리그닌 설포네이트 또는 디옥틸 설포숙시네이트.
2.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예를들면, 세틸 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3. 양쪽성 계면활성제, 예를들면, 디-Na N-라우릴-
Figure kpo00014
-이미노디프로피오네이트 도는 레시틴.
4.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예를들면 폴리옥시에틸화된 피마자오일, 폴리옥시에틸화된 솔비탄 모노올레에이트, 솔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 에틸 알콜,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스테아레이트, 알킬페놀 폴리글리콜 에테르 및 플루로닉
Figure kpo00015
(Pluronic
Figure kpo00016
).
다른 보조제는 상술한 바와 같다.
경구투여할 수 있는 반고체 제형은 더 높은 점도를 갖는 점에서만 상술한 현탁제 및 유제와 다르다.
고체 제형은 활성화합물을 적절한 비히클과 혼합(필요한 경우, 보조제를 가하여)하고, 원하는 형태로 전환하여 제조한다.
비히클은 모든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고체, 불활성 물질로서 무기 및 유기물질이 있다. 무기물질의 예로는 염화나트륨, 탄산염(예를들면, 탄산칼슘), 중탄산염, 산화알루미늄, 실리카, 알루미나, 침전된 또는 콜로이드성 이산화규소 및 인산염 등이 있다.
유기물질의 예로는 당, 셀룰로즈, 식품 및 사료(예를 들면, 분유, 육골분, 굵고 가는 곡물가루 및 전분)등이 있다.
보조제는 이미 상술한 방부제, 산화 방지제 및 안료이다.
또한 적합한 보조제는 윤활제(예를들면,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스테아르산, 활석 및 벤토나이트), 분해 촉진물질(예를들면, 전분 또는 가교 결합된 폴리비닐피롤리돈), 결합제(예를들면, 전분, 젤라틴 또는 선형 폴리비닐피롤리돈) 및 무수결합제(예를들면, 미정질 셀룰로즈) 등이 있다.
활성 화합물을 또한 상기 언급한 고체 또는 액체 제형의 형태로 캡슐화 할 수 있다. 활성 화합물을 서방성 제형으로 사용하는 것이 또한 유용하다.
활성 화합물은 사료 및/또는 음료수와 함께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료는 식물성 비화합물 사료(예를들면, 건초, 근채류, 곡물 및 곡물부산물), 동물성 비화합물 사료(예를들면, 고기, 지방, 유제품, 골분 및 어류 제품), 또한 비화합물 사료[예를들면, 비타민, 단백질, 아미노산(예를들면, DL-메티르신), 및 염(예를들면, 석회 및 염화나트륨)]를 포함한다. 또한 사료는 추가로 화합물 및 혼합사료를 포함한다. 이들은 비화합물 사료를 에너지 및 단백질의 공급 및 비타민, 무기염 및 미량원소의 공급과 관련하여 균형있는 식이를 보장하는 조성으로 함유한다.
사료중 활성 화합물의 농도는 보통 약 0.01 내지 500ppm, 바람직하게 0.1 내지 50ppm이다.
활성 화합물을 그대로 사료에 첨가하거나, 예비 혼합물이나 사료 농축물의 형태로 첨가할 수 있다.
예비혼합물 및 사료농축물은 활성 화합물과 적합한 비히클과의 혼합물이다. 비히클은 비화합물 사료 또는 이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또한, 이들은 유동성 및 혼화성을 조절하는 물질(예를들면, 실리카, 벤토나이트 및 리그닌설포네이트)과 같은 다른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추가로, BHT와 같은 산화방지제 또는 솔브산, 프로피온산 칼슘과 같은 방부제를 가할 수 있다.
음료수로 투여할 농축물은 음료수와 혼합시, 투명용액 또는 균질한 현탁액이 되도록 제형화해야 한다.
따라서, 적합한 비히클은 당 또는 염(예를들면, 시트레이트, 인산염, 염화나트륨 및 탄산나트륨)과 같은 수용성 물질(사료 첨가제)이다.
이들은 마찬가지로, 산화방지제 및 방부제를 함유할 수 있다.
활성 화합물은 제형중에 단독으로 또는 다른 활성 화합물, 무기염, 미량원소, 비타민, 단백질, 안료, 자방 또는 조미료와 혼합되어 존재할 수 있다.
활성 화합물은 인체 및 가축에 기생하는 병원성 미생물에 대하여 작용한다.
이러한 미생물은 다음과 같다 ;
1. 스피로카에타세아에(Spirochaetaceae)[예를들면, 트레포네마(Treponema), 렙토스파이라(Laptospira), 보렐리아(Borrelia)].
2. 스피닐라세아에(Spirillaceae).
3. 마이크로코카세아에(Micrococcaceae)[에를들면, 스타필로코치 생물형 A-F(Staphylococci Biotype A-F), 스타필로코치 히쿠스(st. hyicus)].
4. 스트렙토코카세아에(Streptococcaceae)[예를들면, 스트렙토코커스 유베리스(Streptococcus uberis), 스트렙토코커스이퀴(Str. equi), 스트렙토코커스 아갈락티아에(Str. agalactiae), 스트렙토코커스 디스갈락티아에(Str. dysgalactiae), 란세필드형 A-N의 스트렙토코치(Streptococci of Lancefield types A-N)].
5. 슈도모나세아에(Pseudomonacae)[예를들면, 슈도모나스 말레이(Pseudomonas malei), 슈도모나스 세파시아(Ps. cepacia), 슈도모나스 아에루기노사(Ps. aeruginosa), 슈도모나스 말토필리아(Ps. maltophilia), 브루셀라(Brucella)[예를들면, 브루셀라 어보트(Brucella abort), 브루셀라 멜리텐시스(B. melitensis), 브루셀라 슈스(B. suis)], 보르메텔라(Bordetella)[예를들면, 보르데텔라 브론치셉티카(Bordetella bronchiseptica)], 모락셀라(Moraxella), 아시네토박터(Acinetobacter)].
6. 엔테로박테리아세아에(Enterobateriaceae)[예를들면, B-E형의 살모넬라(Salmonella of types B-E), 시겔라(shigella), 이.콜리(E. Coli), 클렙실라(klebsiella), 프로테우스(Proteus), 시트로박터(Citrobacter), 에드워드실라(Edwardsiella), 헤모필루스(Haemophilus), 프로비덴시아(Providencia), 예르시나(Yersina)].
7. 비브리오나세아에(vibrionaceae)[예를들면, 비브리오(Vibrio)[예를들면, 비브리오 콜레아에(Vibrio cholerae)], 파스퇴렐라(Pasteurella) [예를들면, 파스퇴렐라 물토시다(Pasteurella multocida)], 에로모나스(Aeromonas), 악티노바실루스(Actinobacillus), 스트렙토바실루스(Streptobacillus)].
8. 박테로이다세아에(Bacteroidaceas)[예를들면, 박테로이데스(Bacteroides), 푸소박테륨(Fusobacterium)].
9. 에리시필로틱스(Erysiphylothix), 리스테리아(Listeria)[예를들면, 리스테리아 모노시토젠스(Listeria monocytojenes)].
10. 바실라세아에(Bacillaceas)[예를들면, 바실루스(Bacillus), A-D형의 클로스트리듐(clostridium of types A-D)[예를들면, 클로스트리듐 퍼프린겐스(Clostridium perfringens)], 락토바실라세아에(Lactobacillaceae) 및 무산소성 코치(Cocci)[예를들면, 펩토스트렙토코치(peptostreptococci) 및 펩토코치(Peptococci)].
11. 코리네폼 박테리아(Coryneform bacteria)[예를들면, 코리네박테륨 피오겐스(Corynebacterium pyogenes)].
12. 마이코박테리아세아예(Mycobatceriaceae)[예를들면, 마이코박테륨 보비스(Mycobacterium bovis), 마이코박테륨 아비윰(M. avium), 마이코박테륨 튜베르콜로시스(M. tuberculosis)],
13. 악티노미세아에(Actinomyceae)[예를들면, 악티노미세스 보비스(Actinomyces bovis), 안티노미세스 이스라엘리(A. israelii)].
14. 노카르디아세아에(Nocardiaceae)[예를들면, 노카르디아 파시니카(Norcardia facinica), 노카르디아 아스테로이테스(N. asteroides)].
15. 리케치아세아에(Rickettsiaceae)[예를들면, 콕시엘라(Coxiella), 리케치아(Rickettsia)].
16. 바르토넬라세아에(Bartonellaceae)[예를들면, 바르토넬라(Bartonella)].
17. 클라미디아세아에(chlamydiaceae)[예를들면, 클라이디아 프시타시(Chlamydia psittaci)].
18. 마이코플라즈마타세아에(Mycoplasmataceae)[예를들면, 마이코플라즈마 마이코이데스(Mycoplasma mycoides), 마이코플라즈마 아갈락티아에(M. agalactiae), 마이코플라즈마 갈리셉티쿱(M. gallisepticum)].
인체 및 가축에 기생하는 병원성 미생물들은 단일 또는 혼합 감염으로 다음과 같은 가축 기관계에 질병을 일으킬 수 있다 :
허파 및 기관지, 위 및 장과 같은 소화기관, 흉부 및 젖통, 자궁과 같은 생식기관, 피부, 근육, 손톱, 발톱 및 발굽과 같은 연조직, 뼈, 근육, 힘줄 및 관절과 같은 능동 및 수동 이동운동기관, 콩팥, 요도 및 수뇨관과 같은 비뇨기관, 신경기관, 청각기관 및 눈.
이미 언급한 바대로, 활성 화합물은 인체 및 가축의 세균성 질병을 퇴치하는데 사용한다. 해당되는 가축은 다음과 같다 :
소, 말, 돼지, 양, 염소, 개, 고양이, 낙타와 같은 포유류, 밍크 및 친칠라와 같은 부드러운 털을 가진 동물 및 동물원에 있는 동물 및 마우스 및 래트와 같은 실험실용 동물 ; 거위, 닭, 칠면조, 오리, 비둘기와 같은 조류, 동물원 조류 및 앵무새 및 잉꼬와 같은 실험실 조류 ; 잉어, 송어, 연어, 텐취 및 뱀장어와 같은 어류, 장식용 어류 및 수족관 어류 ; 악어 및 뱀과 같은 파충류.
가축의 세균성 질병으로는 다음의 것이 포함된다 : 돼지 이질(dysentery) ; 가금류의 스피로카에토시스(spirochaetois), 소, 돼지, 말 및 개의 렙토스피로시스(Leptospirosis) ; 소의 캄필로박터(Campylobacter) 장염 ; 양 및 돼지의 캄필로박터 유산 ; 닭의 캄피로박터 간장염 ; 피부감염 ; 개의 피오데르마(pyoderma) ; 오티티스 엑스테르나(otitis externa) ; 소, 양 및 염소의 유방염 ; 스트렙토코칼 유방염(streptococcal mastitis) ; 말, 돼지 및 다른 종의 스트렙토코갈 감염 ; 송아지 및 다른 종의 폐렴군 감염 ; 비저병 ; 결막염 ; 장염 ; 폐렴 ; 소, 양 및 돼지의 부루셀로시스(brucellosis) ; 돼지의 위축성 비염 ; 소, 말, 양, 닭 및 다른 종의 살로넬로시스(salmonellosis) ; 폐혈병 ; 돼지새끼의 대장균 감염(Escherichia coli infection) ; 자궁염-유방염-무유종(MMA) 증후군 ; 클렙실라 감염 ; 슈도튜베르클로시스(pseudotuberculosis) ; 전염성 늑막폐염 ; 프라이머리 파스퇴렐로시스(primary pasteurelloses) ; 망아지 절름발이 병(Lameness) ; 소 및 가축의 네크로바실로시스(necrobacillosis) ; 렙토스파이로시스(Leptospirosis) ; 돼지 및 다른 종의 에리시펠라스(erysipelas), 리스테리오시스(Listeriosis) ; 탄저병(anthrax) ; 클로스트리디오시스(clostridioses) ; 파상풍 감염 ; 보튤리즘(botulism) ; 코이네박테리아 피오겐스(Coynebacteria pyogenes) 감염 ; 소, 돼지, 가금 및 다른 종의 결핵 ; 반추동물의 결핵 ; 노카르디오시스(nocardiosis), Q 열병(Q fever) ; 오르니토시스-쉬타코시스(ornithosis-psittacosis) ; 뇌척수염 ; 소 및 다른 가축의 마이코플라즈모시스(mycoplasmosis) 및 돼지 유행성 폐염.
[실시예 1]
[염 A]
[일반식( I )에서 n은 1이다]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800㎖중 1-사이클로프로필-6-플루오로-1,4-디하이드로-4-옥소-7-(4-에틸-1-피레라지닐) 퀴놀린-3-카복실산 62.1㎏(0.173몰) 및 엠본산[파모산, 4,4'-메틸렌-비스-(3-하이드록시)-2-나프토산, 플루카(Fluka) No. 45150]67.3㎏(0.173몰)의 현탁액을 30분 동안 환류시킨다. 혼합물을 냉각시키고 침전물을 흡인여과한 다음, 에탄올로 세척하고 120℃에서 진공하에 일정한 중량까지 건조시켜 분해온도가 232 내지 235℃인 염 A 127.6(이론치의 98.6%)을 수득한다.
[실시예 2]
[염 B]
[일반식( I )에서 n은 2이다]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에 500㎖중 1-사이클로프로필-6-플루오로-1,4-디하이드로-4-옥소-7-(4-에틸-1-피페라지닐)퀴놀린-3-카복실산(1)71.8g(0.2몰) 및 엠본산(2) 40g(0.103몰)의 현탁액을 1시간 동안 환류시킨다. 혼합물을 냉각시키고 침전물을 흡인여과한 다음, 에탄올로 세척하고 120℃에서 진공하게 일정한 중량까지 건조시켜 분해온도가 226 내지 228℃인 염 B 107.2g(이론치의 96.9%)을 수득한다.
C61H60F2N6O12(1106)
이론치 ; C : 66.16, H : 5.42, N : 7.59, F : 3.43
실측치 ; 66.0, 5.6, 7.5, 3.4
다음의 1-사이클로프로필-6-플루오로-1,4-디하이드로-4-옥소-7-(4-에틸-1-피페라지닐)-퀴놀린-카복실산의 염들을 상기 언급한 과정과 유사한 방법으로 제조한다.
염기(NaOH ; KOH ; Ca(OH)2)와의 염,
산(HCI ; HBr ; HNO3; CH3SO3H ; CH3COOH)과의 염.
이러한 염들 모두 맛 시험결과 현저하게 쓴맛을 나타냈다.
대조적으로, 실시예 1 및 2의 염은 아무런 맛이 없었다.

Claims (1)

  1. 하기 일반식( II ) 또는 (III)의 퀴놀론카복실산 또는 이의 유도체를 하기 구조식(IV)의 엠본산과 반응시킴을 특징으로 하여, 하기 일반식( I )의 퀴놀론카복실산 또는 이의 유도체의 엠보네이트를 제조하는 방법.
    Figure kpo00017
    상기식에서,
    n은 1 또는 2이고,
    y는 상기 일반식( II ) 또는 (III)의 라디칼이고,
    A는 질소 또는 =C-R4이고,
    R4는 수소, 불소, 염소, 니트로 또는 메틸이고,
    B는
    Figure kpo00018
    이거나, R1이 사이클로프로필이 아닌 경우,
    Figure kpo00019
    이고,
    R5는 수소이거나, 하이드록실 또는 메톡시 그룹으로 임의 치환될 수 있는 탄소수 1 내지 4의 측쇄 또는 비측쇄 알킬 그룹이고, R6는 수소, 메틸 또는 페닐이고, R7은 수소 또는 메틸이고, R8은 아미노 ; 알킬 그룹의 탄소수가 1 또는 2인 알킬아미노 또는 디알킬아미노 ; 아미노메틸 ; 또는 알킬 그룹의 탄소수가 1 또는 2인 알킬아미노메틸 또는 디알킬아미노 메틸이고, R1은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 라디칼, 사이클로프로필, 2-플루오로에틸, 비닐, 메톡시, 4-플루오로페닐 또는 메틸아미노이고, R2는 수소,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 사이클로헥실, 벤질, 2-옥소프로필, 펜아실 또는 에톡시카보닐메틸이고, R3는 수소, 메틸 또는 에틸이고, Z는 산소 ; 메틸 또는 페닐로 치환된 질소 ; 또는 =CH2-이다.
KR1019860005709A 1985-07-16 1986-07-15 퀴놀론카복실산 또는 이의 유도체의 엠보네이트의 제조방법 KR9400028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853525335 DE3525335A1 (de) 1985-07-16 1985-07-16 Embonate von chinoloncarbonsaeuren und ihren derivaten
DEP3525335.5 1985-07-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1210A KR870001210A (ko) 1987-03-12
KR940002823B1 true KR940002823B1 (ko) 1994-04-04

Family

ID=6275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5709A KR940002823B1 (ko) 1985-07-16 1986-07-15 퀴놀론카복실산 또는 이의 유도체의 엠보네이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0)

Country Link
EP (1) EP0209000B1 (ko)
JP (1) JPH0772177B2 (ko)
KR (1) KR940002823B1 (ko)
AR (1) AR242570A1 (ko)
AT (1) ATE55600T1 (ko)
AU (1) AU582255B2 (ko)
BR (1) BR8603333A (ko)
CA (1) CA1262350A (ko)
CS (1) CS255878B2 (ko)
DE (2) DE3525335A1 (ko)
DK (1) DK168042B1 (ko)
ES (1) ES2000678A6 (ko)
FI (1) FI88389C (ko)
GR (1) GR861823B (ko)
HU (1) HU194151B (ko)
IE (1) IE58750B1 (ko)
IL (1) IL79399A (ko)
NZ (1) NZ216815A (ko)
PL (1) PL149651B1 (ko)
ZA (1) ZA86525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705621C2 (de) * 1986-02-25 1997-01-09 Otsuka Pharma Co Ltd Heterocyclisch substituierte Chinoloncarbonsäurederivate
DE19633480A1 (de) * 1996-08-20 1998-02-26 Bayer Ag Oral applizierbare Formulierungen von Chinolon- und Naphthyridoncarbonsäuren
PT1594500E (pt) * 2003-02-10 2010-12-17 Bayer Schering Pharma Ag Tratamento para doenças bacterianas dos órgãos respiratórios por aplicação local de fluoroquinolona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97903A (en) * 1944-09-19 1946-04-02 Vick Chemical Company Methylene-bis-2 hydroxy-3 naphthoates
US2641610A (en) * 1950-10-27 1953-06-09 May & Baker Ltd Quaternary ammonium salts
JPS5762259A (en) * 1980-09-05 1982-04-15 Kyorin Pharmaceut Co Ltd Preparation of substituted quinolinecarboxylic acid derivative
US4382937A (en) * 1981-02-27 1983-05-10 Dainippon Pharmaceutical Co., Ltd. Naphthyridine derivatives and their use as anti-bacterials
ES512969A0 (es) * 1981-06-11 1983-02-16 Warner Lambert Co "un procedimiento para preparar sales de compuestos de naftiridina y quinoleina".
DE3525108A1 (de) * 1985-06-07 1986-12-11 Bayer Ag, 5090 Leverkusen Antibakteriell wirksame chinoloncarbonsaeurees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E861889L (en) 1987-01-16
AR242570A1 (es) 1993-04-30
JPH0772177B2 (ja) 1995-08-02
CS535186A2 (en) 1987-07-16
EP0209000A3 (en) 1988-05-25
FI862942A0 (fi) 1986-07-14
BR8603333A (pt) 1987-02-24
EP0209000B1 (de) 1990-08-16
HUT42427A (en) 1987-07-28
CA1262350A (en) 1989-10-17
AU582255B2 (en) 1989-03-16
FI88389B (fi) 1993-01-29
PL149651B1 (en) 1990-03-31
EP0209000A2 (de) 1987-01-21
DE3673476D1 (de) 1990-09-20
DE3525335A1 (de) 1987-01-22
PL260626A1 (en) 1987-06-15
IL79399A (en) 1990-08-31
ES2000678A6 (es) 1988-03-16
DK168042B1 (da) 1994-01-24
CS255878B2 (en) 1988-03-15
HU194151B (en) 1988-01-28
ZA865256B (en) 1987-03-25
FI862942A (fi) 1987-01-17
JPS6219569A (ja) 1987-01-28
IL79399A0 (en) 1986-10-31
AU6006286A (en) 1987-01-22
GR861823B (en) 1986-11-11
IE58750B1 (en) 1993-11-03
NZ216815A (en) 1988-10-28
DK335386A (da) 1987-01-17
KR870001210A (ko) 1987-03-12
DK335386D0 (da) 1986-07-15
ATE55600T1 (de) 1990-09-15
FI88389C (fi) 1993-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73579A (en) Bactericidal formulations for use in the area of veterinary medicine
US5808076A (en) Orally administrable formulations of quinolone- or naphthyridonecarboxylic acids
KR940002823B1 (ko) 퀴놀론카복실산 또는 이의 유도체의 엠보네이트의 제조방법
US7112336B2 (en) Solid phase dispersion of quinolone or naphthyridonecarboxylic acids
EP0828715B1 (de) N-oxide als antibakterielle mittel
JPH01265088A (ja) 新規キノロンカルボン酸誘導体およびそれ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動物用抗菌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321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