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2644Y1 - 출입문 자물쇠 - Google Patents

출입문 자물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2644Y1
KR940002644Y1 KR2019910016434U KR910016434U KR940002644Y1 KR 940002644 Y1 KR940002644 Y1 KR 940002644Y1 KR 2019910016434 U KR2019910016434 U KR 2019910016434U KR 910016434 U KR910016434 U KR 910016434U KR 940002644 Y1 KR940002644 Y1 KR 9400026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handle
operating piece
projection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164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8998U (ko
Inventor
김명호
Original Assignee
김명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호 filed Critical 김명호
Priority to KR20199100164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2644Y1/ko
Publication of KR93000899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899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26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2644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4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for alternative use on the right-hand or left-hand side of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600/62Bol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출입문 자물쇠
제 1 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제 2a 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결합상태 단면도, (b)도는 본 고안의 다른실시예의 결합상태 단면도.
제 3 도는 본 고안의 작용상태를 설명키위한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자물쇠 1 : 케이스
1a, 1b : 관통공 2, 2' : 안내지지구
2a, 2a' : 안내돌기 2b, 2b' : 안내공
2c, 2c' : 회동방지턱 3 : 슬라이드 괘정구
4 : 작동편 4a : 안내용 개구
4b : 회동용 돌기 4c : 작동레버
5 : 손잡이 5a, 5a' : 돌기
5b : 회동홈 5c : 안내용 홈
6 : 열쇠가이드 6a : 연결부
6b : 나사공 7 : 실린더
7a, 7a' : 돌기 8 : 커버
8a : 결합공 9 : 고정보울트
본 고안은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하고 좌우 도어겸용으로 설치사용 가능한 출입문 자물쇠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출입문 자물쇠는 괘정편이 정중앙에 위치하지 않아 좌우 일측중 한쪽방향으로만 장착이 가능한 구성이므로 설치, 수리에 난점이 있으며, 일방향으로만 설치가 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개선키위하여 본원의 출원인은 "출입문 자물쇠"(1991년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81호)를 선출원한바 있다.
즉, 케이스내에 위치하는 회동구를 케이스 중앙에 위치되게하여 열쇠가이드와 손잡이를 좌우로 교환장착할 수 있도록한 것으로서 출입문의 좌우에 관계없이 하나의 자물쇠를 전용할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 선출원에 대한 또다른 개량고안으로서, 좌우 겸용가능함은 물론이고 교환 및 장착이 보다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것으로서, 이하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보인 출입문 자물쇠의 분해사시도이다.
즉, 케이스(1)의 좌우 중앙에 관통공(1a,1b)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1a,1b) 내측에는 안내돌기(2a,2a')가 내연에 돌설된 안내공(2b,2b') 및 회동방지턱(2c,2c')이 외측에 형성된 안내지지구(2,2')가 접속끼움되며, 좌우 안내지지구(2,2')상간에는 슬라이드괘정구(3)를 출몰시키는 작동편(4)이 위치한다.
작동편(4)은 원통체로서 중간에 안내용 개구(4a)가 호형으로 형성되고, 내주연 중심에는 회동용 돌기(4b)가 돌설된다.
상기 작동편(4) 일측은 작동레버(4c)가 일체로 형성된다.
작동레버(4c)는 공지의 슬라이드 괘정구(3)와 연접된다.
상기 작동편(4)의 좌우로 선택끼움될수 있는 손잡이(5)와 열쇠가이드(6)의 구성을 살펴보면, 손잡이(5)의 선측에는 삼각형의 돌기(5a,5a')가 상하로 돌설되며, 하측돌기(5a')는 삼각형의 회동홈(5b)을 가진다.
상기 회동홈(5b)은 작동편(4)의 회동용 돌기(4b)와 끼움된다.
그리고 손잡이(5) 일측에는 작동편(4)의 안내용개구(4a)와 동일한 크기의 안내용 홈(5c)이 호형으로 형성된다.
열쇠가이드(6)에는 실린더(7)가 삽입되어 실린더(7)선측은 손잡이(5)의 삼각형돌기(5a,5a')와 접하여 작동편(4)을 각운동시키는 돌기(7a,7a')가 돌설되며, 열쇠,가이드(6)의 선측은 반원형연결부(6a)가 연장형성되어 나사공(6b)이 천공된다.
상기 나사공(6b)에는 케이스(1)의 전측을 커버하는 커버(8)에 천공된 결합공(8a)을 통해 고정보울트(9)가 끼움된다.
상기 고정보울트(9)는 자물쇠(A)조립시에 작동편(4)의 호형 안내용개구(4a) 및 손잡이(5)의 안내용홈(5c)상간으로 끼움된 형태로서, 손잡이(5)와 열쇠가이드(6), 작동편(4)을 상호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면중의 미설명 부호(10)은 판스프링, (11)은 결합피이스, (12)는 출입문, (13)은 고정편을 나타낸것임.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출입문 자물쇠(A)는 조립 및 분해가 극히 용이하며, 출입문의 좌우에 구애받지 않고 장착이 가능하다.
제 2a,b 도는 이러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도로서, 손잡이(5)와 열쇠가이드(6)가 케이스(1)를 중심으로 상호 위치변경된 상태이다.
즉, 손잡이(5)와 열쇠가이드(6)는 작동편(4)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호 돌기(5a,5a')(7a,7a')로 접속되며, 작동편(4)은 손잡이(5)와 회동용돌기(4b) 및 회동홈(5b)으로 맞물려진 상태에서 고정보울트(9)가 작동편(4)의 안내용 개구(4a) 및 열쇠가이드(6)의 나사공(6b)을 경유하여 손잡이(5)의 안내용 홈(5c)에 끼움된 상태이며 좌우로 손잡이(5)와 열쇠가이드(6)를 달리 설치하여도 조립상태는 동일하다.
즉, 손잡이(5)와 열쇠가이드(6)를 상호 반대방향으로 장착키위해서는 고정보울트(9)만 분해한후 손잡이(5)와 열쇠가이드(6)의 방향만 케이스(1)좌우로 교환한후 고정보울트(9)를 상기와 같이 결합공(8a), 안내용 개구(4a), 나사공(4b), 안내용홈(5c)에 끼움되게 하면 교환작업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때 작동편(4)은 케이스(1)내부에서 안내지지구(2,2')에 지지된 상태를 계속 유지함은 물론이다.
제 3 도는 본 고안의 작용상태를 설명키위한 종단면도로서, 작동편(4)의 작동레버(4c)는 공지의 슬라이드 패정구(3)와 연접되어 일정각 회동함으로서 슬라이드 괘정구(3)를 출몰시켜 출입문을 괘정 또는 해정됨은 동일하나, 손잡이(5)와 열쇠가이드(6)가 방향이 교환되는 상태에서도 동일한 작동을 실현키위하여 작동편(4) 내주연에서 손잡이(5)와 열쇠가이드(6)가 연접토록 하였으며, 결국 손잡이(5)의 회동홈(5b)과 작동편(4)의 회동용 돌기(4b)의 맞물림으로 작동편(4)의 각운동이 이루어지며, 손잡이(5)와 열쇠가이드(6)는 안내용 홈(5c)과 나사공(6b)이 고정보울트(9)에 의해 상호 일련의 동작을 동시에 수행케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이 본 고안의 출입문 자물쇠(A)는 슬라이드 괘정구(3)를 출몰시키는 손잡이(5)와 실린더(7)가 장착된 열쇠가이드(6)를 출입문의 좌우에 구애받지 않고 용이하게 설치할수 있음은 물론, 수리 또는 방향전환이 고정보울트(9)만 분리하면 간단히 이루어져 사용상의 편익을 증대시키는 효가가 있다.
이하의 부수되는 실용신안등록 청구의 범위에 본 고안에서 보호받고저 하는 기술의 범위가 언급될것이나, 간단한 수정 역시 본 고안에 포함됨은 물론이다.

Claims (1)

  1. 작동편(4)이 케이스(1)내의 안내지지구(2,2')에 의해 접속끼움되며, 상기 작동편(4) 내주연에는 좌우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손잡이(5)와 열쇠가이드(6)를 설치하며, 상기 작동편(4)에는 호형의 안내용개구(4a)와 내주연에는 회동용 돌기(4b)가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5)선측에는 안내용홈(5c) 및 돌기(5a,5a')가 상하로 형성되고 하측돌기(5a')저부에는 회동홈(5b)을 길게 형성하여 작동편(4)의 회동용돌기(4b)와 맞물림토록하며, 상기 열쇠가이드(6)에는 선측에 돌기(7a,7a')가 돌설된 실린더(7)가 삽입설치되며, 상기 열쇠가이드(6) 선측은 연결부(6a)가 형성되어 나사공(6b)이 천공되며,상기 케이스(1) 전측에는 결합공(8a) 이 천공된 커버(8)를 고정하며, 상기결합공(8a), 안내용개구(4a), 나사공(6b), 안내용홈(5c)을 경유하며 끼움되는 고정보울트(9)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문 자물쇠.
KR2019910016434U 1991-10-04 1991-10-04 출입문 자물쇠 KR9400026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6434U KR940002644Y1 (ko) 1991-10-04 1991-10-04 출입문 자물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6434U KR940002644Y1 (ko) 1991-10-04 1991-10-04 출입문 자물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8998U KR930008998U (ko) 1993-05-25
KR940002644Y1 true KR940002644Y1 (ko) 1994-04-22

Family

ID=19320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16434U KR940002644Y1 (ko) 1991-10-04 1991-10-04 출입문 자물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264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3765B1 (ko) * 2017-11-23 2019-01-29 김명호 좌우 겸용 도어 로킹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3765B1 (ko) * 2017-11-23 2019-01-29 김명호 좌우 겸용 도어 로킹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8998U (ko) 1993-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4720B1 (ko) 차량의 트렁크 도어용 래치장치
KR950010294B1 (ko) 조정가능한 래치 수축 기구를 구비한 손잡이 세트
US5595079A (en) Motorcycle steering lock
KR100399289B1 (ko) 스위치 캐비닛 본체에 경첩으로 연결되는 캐비닛 도어용 슬라이딩 로드 폐쇄구
KR940002644Y1 (ko) 출입문 자물쇠
US5695227A (en) Lock platform
US4587816A (en) Lock assembly
JPH0239004Y2 (ko)
JP2943758B2 (ja) パネルロック機構
DE3664081D1 (en) Door hinging device with different opening angles, and a box having such a hinging device
KR20040075674A (ko) 인출 회전 조작형 문짝용 로크 핸들장치
JP3080026B2 (ja) パネルロック機構
CA2133050C (en) Door lock having a deadbolt assembly with a low-cost corrosion-resistantbolt member
KR920005012Y1 (ko) 출입문 자물쇠의 양면개폐장치
KR920008305A (ko) 원통형 로크 조립체
JP2905197B1 (ja) 扉の施錠装置
KR890000815Y1 (ko) 캐비넷의 자물쇠와 괘정부의 연결장치
KR200163081Y1 (ko) 자동차의 외측 도어핸들
KR200226727Y1 (ko) 배전반용 핸들
KR100406942B1 (ko) 창문용 괘정장치
KR950003943Y1 (ko) 점검 커버의 스프링 로크장치
KR200226671Y1 (ko) 창문개폐용 연결암
KR200214282Y1 (ko) 배전반용 핸들
KR0132723Y1 (ko) 방음문 잠금장치
JPH0512569U (ja) 錠のラツチ板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422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