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2259Y1 - 수경재배장치 - Google Patents

수경재배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2259Y1
KR940002259Y1 KR2019880011561U KR880011561U KR940002259Y1 KR 940002259 Y1 KR940002259 Y1 KR 940002259Y1 KR 2019880011561 U KR2019880011561 U KR 2019880011561U KR 880011561 U KR880011561 U KR 880011561U KR 940002259 Y1 KR940002259 Y1 KR 9400022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ulture medium
support
cultivation tank
p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115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2252U (ko
Inventor
김창수
Original Assignee
김창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수 filed Critical 김창수
Priority to KR20198800115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2259Y1/ko
Publication of KR90000225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225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22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225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ydroponic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수경재배장치
제 1 도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 3 도는 본 고안의 단면도.
제 4 도는 제 3 도의 A-A선 단면도.
제 5 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재배조 2 : 포트
3 : 구멍 4,4' : 식재홈
5 : 지지턱 6 : 공기홈
7,7' : 공기층 8 : 공기분배기
9 : 지지대 10 : 공기호스
11 : 기포발생기 12 : 부재
13 : 배약액 14 : 결합홈
15 : 지지대 16 : 망체
본 고안은 수경재배장치에 관한 것으로, 소규모주택 및 파트등의 좁은 공간에서도 오이, 딸기, 토마토, 상추, 아욱등 수경 재배가 가능한 식물재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경재배시에 식물의 생육에 적적한 온도와 습도, 조명, 영양공급등은 중요한 요소이며, 이러한 것들중 최근에 깊이 관심을 갖는 것의 하나인 식물의 뿌리에 충분한 산소를 공급할 수 있는 조건을 마련하여 줌으로 식물 생장에 효과적인 영향이 미치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이미 알려진 기술로서 일반적으로 배양액에 포트를 띄워 재배하는 수경재배방법에서 이제는 배양액중에 기포를 발생시켜 재배하는 방법과 일본공개실용신안공보 실개소 49-36024호와 같이 배양액을 순환시켜 재배하는 방법으로 진보 되었으며, 두가지 방법 모두가 배양액중에 산소의 용존량을 높여 식물의 뿌리에 산소공급이 효과적으로 이뤄지게 하려는 수단인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기한 두가지 방법 모두가 수위조절 장치와 배양액순환펌프를 채용하여 사용됨과 동시에 기포에 의한 방법은 별도의 기포발생기가 설치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종전의 수경재배장치는 제작비용의 상승과 조작에 번거로움이 따르고 전력 비용이 높아지는 점등의 불합리하고 복잡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문제점이 초래되었다.
본 고안은 수경재배 장치를 소형화로 좁은 공간에서도 손쉽게 설치가 가능토록 하는 동시에 식물이 갖는 생장력이 효과적으로 발휘될 수 있는 여견을 조성하여 주므로서 식물의 생장이 촉진됨과 아울러서 식물생장력을 극대화시켜 많은 양의 열매를 맺을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재배조내의 기포발생장치에 의하여 공기층을 이룸과 동시에 기포를 발생시켜 배양액중에 공기의 체재 시간을 장기화 함으로서 산소용존량을 높이고 배양액의 유동성을 증가시켜 식물생장을 촉진시킬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식물이 지지될 수 있도록 지지대를 설치하여 작은키 식물은 물론 큰키의 식물과 덩쿨성 식물등의 생장에도 바람직한 조건을 제공하는 구조로 이루어지게 하므로서 달성되게 된다.
본 과안의 목적을 달성시킬 수 있는 재배장치의 구성과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한 바와같이 식물이 지지되도록 망체(16)가 결합된 공지의 지지대(15)를 결합할 수 있게 결합홈(14)이 형성된 재배조(1)에 지지대(15)를 결합하고 재배조(1)내에는 지지대(9)로 공기 분배기(8)를 설치하고, 그 일측에 공기호스(10)로 기포발생기(11)에 연결되도록 하면 공기홈(6)과 식제홈(4), (4') 및 지지턱(5)이 구비되고 식재홈(4) 저면에 다수의 구멍(3)이 뚫어진 포트(2)를 재배조(1)에 결합한 후 포트(2)에 형성된 식재홈(4),(4')에 부재(12)를 채워 식물을 식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지지대(15)와 망체(16)에 의하여 큰키 식물과 넝쿨성 식물이 쓰러지거나 처지지 않도록 지지되면서 자랄 수 있게 재배조(1)의 결합홈(14)에 결합하여 설치된다.
재배조(1)내에는 공기분배기(8)를 지지대(9)로 지지시키며 재배조(1) 외부에 설치된 기포발생기(11)의 공기를 공기호스(10)로 공급받아 공기분배기(8)에서 공기층(7')을 이루어 배양액(13)과 접속하면서 배양액(13)에 산소를 공급되게 함과 동시에 기포발생기(11)의 연속적인 공기공급에 의해 기포를 배양액(13)에 연속적으로 산소를 공급하므로서 산소용량을 높이게 된다.
그리고 다시 기포로 공급된 공기의 일부는 직접 식재홈(4), (4')에 뚫어진 구멍(3)을 통하여 부재(12)사이로 누출이 되고 일부는 공기홈(6)으로 체적이 되면서 배양액(13)과 접촉이 되다가 계속 발생되는 기포에 의하여 다시 구멍(3)을 통하여 부재(12)사이로 누출되어 진다.
즉, 기포발생기(11)→호스(10)→공기분배기(8)→기포→공기층(6)→기포로 변화하면서 배양액(13)을 통과하므로 공기가 재배조(1)내에 잔류되는 시간이 길어짐과 동시에 배양액(13)내에서 공기의 변화로 인해 배양액(13)의 유동이 활발해지면서 산소가 공급되어 배양액중에 산소용존은 증가된다.
또한 식물의 뿌리는 부재(13)에 지지되면서 식재홈(4), (4')의 저면에 다수의 뚫어진 구멍(3)을 통하여 재배조(1)내에 뿌리가 퍼지며 일부의 뿌리는 공기층(7), (7')에 직접 접촉하여 공기중의 산소와 필요한 영양소를 흡수하게 되므로 수위 조절장치 등을 이용한 인위적인 수위조절을 배제하여도 되는 것이다.
즉, 식물자체의 생장에 따라 필요한 양 만큼의 산소를 식물스스로 배양액(13)층의 공기층(7), (7')에서 뿌리를 뻗어 흡수하게 됨과 동시에 배양액중에 용존된 산소의 양도 최상의 상태로 충분하게 공급되도록 되어진다.
그리고 계속적으로 발생되는 공기는 계속 충진되면서 공기홈(6)에 용량을 초과하게 되면 식재홈(4), (4')의 저면에 뚫어진 구멍(3)을 통하여 기포로 배출되어 공기의 유동성이 활발해지므로 배양액(13)은 일정용기에 적체되어 있으나, 활발하게 유동되기 때문에 식물뿌리에 적절한 영양공급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므로 재배조(1)내의 배양액(13)은 간단한 구조이면서 식물의 생장에 최적의 환경을 제공, 식물의 생장력을 최대로 발휘하게 하므로서 일반적인 수경재배 방법에 비하여 보다 많은 야채 및 과실을 수확함과 동시에 생장속도로 더욱 빠라지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장소와 계절의 제약을 받지 설치와 관리가 간단하며 관상 및 식용작물을 수요자의 선택에 따라 재배가 용이하고 생장속도 및 수확량이 비약적으로 향상된 수경재배 장치로서 구조가 간단하여 저렴한 가격으로 양산 공급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망체(16)가 결합된 지지대(15)가 재배조(1)의 경합홈(14)에 결합되고 재배조(1)내에는 공기홈(6)고 다수의 구멍(3)이 뚫린 포트(2)가 결합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재배조(1)에는 지지대(9)로 공기분배기(8)를 설치하고 그 일측에 공기호스(10)로 기포발생기(11)에 연결되게 하여 공기분배기(8)에서 공기층(7')을 이루게 하고 공기홈(6)과 구멍(3)을 통해 기포가 포트(2)의 식재홈(2)의 식재홈(4), (4')에 채워진 부재(12)로 누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재배장치.
KR2019880011561U 1988-07-15 1988-07-15 수경재배장치 KR9400022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1561U KR940002259Y1 (ko) 1988-07-15 1988-07-15 수경재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1561U KR940002259Y1 (ko) 1988-07-15 1988-07-15 수경재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2252U KR900002252U (ko) 1990-02-06
KR940002259Y1 true KR940002259Y1 (ko) 1994-04-13

Family

ID=19277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11561U KR940002259Y1 (ko) 1988-07-15 1988-07-15 수경재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225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2252U (ko) 1990-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89751B1 (en) Plant cultivating apparatus using subirrigation
US20060272210A1 (en) Smart garden devices and methods for growing plants
JP2020191888A (ja) 植物の成長を促進するためのデバイス
KR20130021799A (ko) 양액 재배용 베드 구조
KR101941891B1 (ko) 아쿠아포닉스 인삼 재배 시스템
GB2070403A (en) Hanging plant device
JP2002125495A (ja) 溶液栽培装置
KR20200014072A (ko) 작물 재배 장치
KR20160101455A (ko) 다목적 수경 재배기
KR940002259Y1 (ko) 수경재배장치
CN114793870B (zh) 一种全生长要素最优的植物栽培方法及其装置与应用
JPH08294335A (ja) 湛水式養液栽培装置
RU194725U1 (ru) Многоярус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ращивания растений
JP3199233U (ja) 木質チップ発酵熱を利用した水耕栽培システム
KR20210085862A (ko) 심지를 이용한 수경재배장치
KR100205614B1 (ko) 비닐하우스용 수경재배방법 및 그 장치
CN221043946U (zh) 一种无土栽培用种植槽及落蔓架
KR102156723B1 (ko) 수조를 포함하는 작물 재배 장치
Vlădutoiu et al. New technologies for growing vegetables in artificial environments with microclimate monitored and controlled through current intelligent systems.
KR19990001509A (ko) 식물의 재배장치
Bindhya et al. Chapter-3 Hydroponics: A Potential Agrarian Future
JPH0779651A (ja) エアーバッグ利用による養液栽培方法及び装置
KR100343003B1 (ko) 가정용 양액재배장치
Manggala et al. Effects of Various Hydroponic Systems in Increasing Caisim (Brassica Chinensis L.) Productivity Under LED Grow Light
KR100342083B1 (ko) 자연수를이용한수경재배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41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