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2238Y1 - 자동 이득 제어회로 - Google Patents

자동 이득 제어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2238Y1
KR940002238Y1 KR2019890002153U KR890002153U KR940002238Y1 KR 940002238 Y1 KR940002238 Y1 KR 940002238Y1 KR 2019890002153 U KR2019890002153 U KR 2019890002153U KR 890002153 U KR890002153 U KR 890002153U KR 940002238 Y1 KR940002238 Y1 KR 9400022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istors
gain control
emitter
transistor
g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021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6280U (ko
Inventor
박철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최근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최근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20198900021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2238Y1/ko
Publication of KR90001628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628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22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223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3/00Gain control in amplifiers or frequency changers
    • H03G3/20Automatic control
    • H03G3/30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 H03G3/3052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in bandpass amplifiers (H.F. or I.F.) or in frequency-changers used in a (super)heterodyne receiver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45Differential amplifiers
    • H03F3/45071Differential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3F3/45076Differential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characterised by the way of implementation of the active amplifying circuit in the differential amplifier
    • H03F3/4508Differential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characterised by the way of implementation of the active amplifying circuit in the differential amplifier using bipolar transistors as the active amplifying circuit
    • H03F3/45085Long tailed pai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Amplification And Gain Contro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 이득 제어회로
제 1 도는 종래의 자동 이득 제어 회로도.
제 2 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 이득 제어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Q1∼Q2: 트랜지스터 V1·V2·VB: 바이어스전압
VC : 이득제어단자전압 R1∼R3·RL: 저항
I1∼I3·I8·I9: 전류원
본 고안은 가변이득 증폭 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이득 제어에 적당하도록한 자동 이득제어 회로에 관한 것이다.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종래 자동 이득제어 회로의 구성 및 동작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그 구성을 보면, 제 1 도에서 트랜지스터(Q4, Q5)의 각 에미터는 접속되어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와 연결되고, 트랜지스터(Q6, Q7)의 각 에미터는 접속되어 트랜지스터(Q3)의 콜렉터와 연결되며, 트랜지스터(Q2, Q3)의 베이서는 바이어스 전압(VB)과 연결되고 트랜지스터(Q5, Q7)의 콜렉터는 출력(Vout)과 연결되는 동시에 저항(RL)을 거쳐(Vcc)과 연결되고 트랜지스터(Q5, Q6)의 베이스는 바이어스 전압(V1)과 연결되며 트랜지스터(Q4, Q7)의 베이슨 이득 제어단자 전압(Vc)과 연결되고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는 입력(Vin)과 연결되고 그 에미터는 저항(R2)를 거쳐 트랜지스터(Q2)의 에미터와 연결됨과 동시에 저항(R1)을 거쳐 트랜지스터(Q3)의 에미터와 연결되고 트랜지스터(Q1∼Q3)의 각 에미터에는 각각 전류원(I1∼I3)이 연결된다.
상기 구성회로의 동작상태를 살펴보면, 이득제어 단자에 가변전압(Vc)을 인가하면 차동대를 형성하는 트랜지스터(Q4, Q5) 및 트랜지스터(Q4, Q5)의 신호전류계로 입력(Vin)을 절체하여 이득은 GO={(1-K)+K}RL로 나타나게 되고 이때 이득 제어계수 K는 0에서 1까지 변화한다. (0K1)여기서 이득 제어단자 전압(Vc)이 트랜지스터(Q4, Q7)를 완전히 오프시킬 정도로 작으면 이득제어 계수 K=1이 되어 이득은 최대가 되고, 이때의 이득 Gomax=이고, 이득제어단자 전압(Vc)와 트랜지스터(Q4, Q7)를 트랜지스터(Q5, Q6)에 대해서 완전히 "온"시킬 정도로 크면 이득은 최소가 되고 이때의 이득 Gomin=이 된다.
이득이 GO={(1-K)+k}RL(0K1)로 표시되는 종래회로에서는 다이나믹 레인지(range)는 I2, R2에서 결정되며 이득 가변폭을 넓히기 위해서는 저항(R2)값을 작게해야 하므로 다이나믹 레인지(Range)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전류(I2·I3)가 반비례적으로 증대되어야 한다.
저항(R2)를 외부 저항으로 하면 이득제어가 가능하나 이득을 결정하는 저항(RL)과 제조 공정이 다른 저항에 있어서 치의 정밀도 확보가 곤란하고 가변범위가 넓은 자동이득 제어 회로는 구성이 곤란한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 2 도에서 그 구성을 보면 트랜지스터(Q10, Qn)의 각 에미러는 접속되어 트랜지스터(Q8)의 콜렉터와 연결되고, 트랜지스터(Q12, Q13)의 각 에미터는 접속되어 트랜지스터(Q9)의 콜렉터와 연결되며, 트랜지스터(Q4, Q5)의 각 에미터는 접속되어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와 연결되고 트랜지스터(Q6, Q7)의 각 에미터는 접속되어 트랜지스터(Q3)의 콜렉터와 연결되며, 트랜지스터(Q10, Q12)의 콜렉터와 트랜지스터(Q4, Q6)의 콜렉터는 전원(Vcc)에 연결되고 트랜지스터(Q11, Q13)의 콜렉터와 트랜지스터(Q5, Q7)의 콜렉터는 출력(Vout)으로 연결되는 동시에 부하저항(RL)을 거쳐 전원(Vcc)과 연결된다. 트랜지스(Q10, Q13)의 베이스와 트랜지스터(Q4, Q7)의 베이스는 접속되어 이득제어 단자전압(Vc)과 연결되고, 트랜지스터(Q5, Q6)의 베이스는 바이어스 전압(V1)과 연결되며 트랜지스터(Q11, Q12)의 베이스는 바이어스전압(V2)과 연결되고 트랜지스터(Q8, Q9, Q2, Q3)의 베이스는 바이어스 전압(VB)과 연결되고 트랜지스터(Q8, Q9, Q2, Q3)의 각 에미터는 전류원(I8, I9, I2, I3)과 각각 연결되며,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는 입력(VIN)과 연결되고 콜렉터는 전원(Vcc)와 연결되며 그 에미터는 전류원(I1)과 연결되는 동시에 저항(R3)을 거쳐서는 트랜지스터(Q3)의 에미터와 연결되고 저항(R2)을 거쳐서는 트랜지스터(Q2)의 에미터와 연결되고 저항(R1)을 거쳐서는 트랜지스터(Q3)의 에미터와 연결되는 구성이다.
상기 구성회로의 동작상태를 설명하면, 바이어스 전압(V2)가 바이어스전압(V1)보다 작다. 즉 V2〈V1이다.
여기서 이득 제어 단자 전압(Vc)이 바이어스 전압(V1)보다는 작고 바이어스는 전압(V2)보다는 큰 전압일때는 트랜지스터(Q10, Q13)와 트랜지스터(Q4, Q7)를 통하여 입력신호 전압(Vin)이 전달되므로 이득 GV는 GV={{(1-K)+k1}RL(0K,1·k2=0)로 나타나고, 이득제어 단자 전압(Vc)이 바이어스 전압(V2)보다도 작으면 트랜지스터(Q1, Q12)와 트랜지스터(Q5, Q6)를 통하여 입력신호 전압(Vin)이 전달되며 Gn은 Gn={+k2}RL(k1=1, 0k2 1)로 나타난다.
따라서 최대 이득 Gmax는 트랜지스터(Q11, Q12)와 트랜지스터(Q5, Q6)를 통하여 신호가 전달될때이며 이때의 이득 GNmax(+)RL가 된다.
즉, 본 고안은 가변 이득 증폭 회로를 병렬 접속하여 릴레이 적으로 동작시켜 이득을 가변제어 하는 데 있어서 다이나믹 레인지(Range)의 감쇄없이 저 소비 전력화를 피하면서 콘트롤이 가능하다.
따라서 제어이득의 콘트롤 폭이 수배에서 수십배에 이르는 회로도 간단히 병렬 접속하면 가능하므로 고 이득 제어를 필요로 하는 회로에 범용적으로 적용가능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이득 제어단자의 가변전압(Vc)에 따라 선택동작하며 차동 증폭대를 형성하는 트랜지스터(Q10∼Q13)(Q4∼Q7)와, 상기 트랜지스터(Q11·Q13)(Q5·7)의 콜렉터와 전원(Vcc)사이에 연결되는 저항(RL)과, 상기 트랜지스터(Q11, Q12)(Q5, Q6)의 베이스로 인가되는 바이어스전압(V1)(V2)과, 상기 트랜지스터(Q10, Q13)(Q4, Q7)의 에미터에그 콜렉터가 연결되며 베이스로 바이어스 전압(VB)이 인가되는 트랜지스터(Q8, Q9)(Q2, Q3)와, 베이스로 입력이 인가되는 트랜지스터(Q1)와, 상기 트랜지스터(Q1)의 에미터와 트랜지스터(Q8, Q2, Q3) 각각의 에미터 사이에 연결되는 저항(R3) (R2) (R1)과, 상기 트랜지스터(Q1∼Q3)(Q8, Q9)의 에미터에서 인출되는 전류원(I1∼I3)(I8, I9)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득 제어회로.
KR2019890002153U 1989-02-28 1989-02-28 자동 이득 제어회로 KR9400022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02153U KR940002238Y1 (ko) 1989-02-28 1989-02-28 자동 이득 제어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02153U KR940002238Y1 (ko) 1989-02-28 1989-02-28 자동 이득 제어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6280U KR900016280U (ko) 1990-09-03
KR940002238Y1 true KR940002238Y1 (ko) 1994-04-11

Family

ID=19284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02153U KR940002238Y1 (ko) 1989-02-28 1989-02-28 자동 이득 제어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223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6280U (ko) 1990-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87448A (en) Differential amplifier with common-mode stability enhancement
US4462005A (en) Current mirror circuit
KR20010020410A (ko) 선형성 및 대역폭이 개선된 가변 이득 증폭기
US4639685A (en) Offset reduction in unity gain buffer amplifiers
US3959733A (en) Differential amplifier
US4870372A (en) AGC delay on an integrated circuit
US5644269A (en) Cascode MOS current mirror with lateral bipolar junction transistor to enhance ouput signal swing
US5485074A (en) High ratio current mirror with enhanced power supply rejection ratio
KR0149650B1 (ko) 전류 증폭기
KR970705229A (ko) IF 증폭기/제한기(IF Amplifiers/Limiters)
KR940002238Y1 (ko) 자동 이득 제어회로
EP0157447B1 (en) Differential amplifier
US4496860A (en) Voltage-controlled attenuator
US5351011A (en) Low noise, low distortion MOS amplifier circuit
EP0115165A2 (en) Active load circuit
US6734720B2 (en) Operational amplifier in which the idle current of its output push-pull transistors is substantially zero
US5047729A (en) Transconductance amplifier
JPH0586686B2 (ko)
JPH051649B2 (ko)
TW361009B (en) Variable gain amplifier circuit
KR100918789B1 (ko)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 집적 회로 및 드라이버 회로
KR100282713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자동이득제어용 가변이득증폭 회로
JPH0126202B2 (ko)
KR940003612Y1 (ko) 오디오증폭기의 출력전압 안정화회로
KR960011406B1 (ko) 연산트랜스콘덕턴스증폭기(ot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31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