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2093B1 - 멀티-카세트 vcr 데크 - Google Patents

멀티-카세트 vcr 데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2093B1
KR940002093B1 KR1019910020909A KR910020909A KR940002093B1 KR 940002093 B1 KR940002093 B1 KR 940002093B1 KR 1019910020909 A KR1019910020909 A KR 1019910020909A KR 910020909 A KR910020909 A KR 910020909A KR 940002093 B1 KR940002093 B1 KR 9400020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sette
reel
tape
take
tap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20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0906A (ko
Inventor
민영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10020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2093B1/ko
Publication of KR9300109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09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20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20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0Guiding record carrier

Landscapes

  • Storage Of Web-Like 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 Replacement Of Web Rol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멀티-카세트 VCR 데크
제1도는 본 발명의 릴부를 나타낸 배치도.
제2도는 본 발명의 릴 셋팅시를 나타낸 상태도.
제3도는 본 발명의 테이프 경로를 나타낸 개략도.
제4도는 가이드 로울러를 나타낸 정면도.
제5도는 릴의 평면도.
제6도 및 제7도는 제5도는 K-K' 단면도로서, 제6도는 1/2" 카세트 안착시를 나타낸 단면도.
제7도는 8㎜ 또는, 4㎜ 카세트 안착시를 나타낸 단면도.
제8도는 실린더를 나타낸 개략도.
제9도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챠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가이드 로울러 11 : 상부 헤드 드럼
12 : 하부 헤드 드럼 14 : 리드 라인
α,β: 유효 감김각 R1 : 외측허브
R2 : 내측허브
본 발명은 VTR의 카세트 덱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서로 다른 사이즈의 테이프를 하나의 덱크를 사용하여 기록 및 재생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기존에 사용하는 카세트 테이프는 VHS방식과 8㎜방식의 카세트 테이프가 사용되고 있으며 차후에는 4㎜의 카세트 테이프가 실용화될 전망이다.
그러나 이들간의 호환성이 없어 각각의 덱크가 필요하다.
즉 VHS 방식의 카세트 테이프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이에 맞는 덱크를 필요로 하여 β방식 및 4㎜용 카세트 테이프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이에 맞는 덱크를 별도로 구비하여야 기존의 카세트를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하나의 덱크로써 서로다른 크기를 갖는 카세트 테이프를 사용할 수 있도록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서로다른 폭을 가지며 서로다른 포맷을 갖는 테이프를 기록 및 재생시킬 수 있는 덱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서플라이 릴은 고정설치되며 테이크업 릴은 서로다른 크기를 갖는 카세트 테이프의 릴센터간의 거리만큼 유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테이크업 릴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한 구동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릴들은 서로다른 카세트 테이프를 안착하기 위하여 2중 또는 3중으로 허브를 구성하여 이들은 테이프의 규격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되어 크기가 다른 테이프가 구동될 시 이를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롤러는 경사면은 형성하여 상단 또는 하단에 일치시킨후 구동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제1도는 본 발명의 릴부를 나타낸 배치도이고 제2도는 릴셋팅시를 나타낸 상태도로서, 테이프의 사이즈에 따라 셋팅이 가능하도록 솔레노이드(8)와 레버(9)를 사용하였으며, 이에 따라 릴의 위치가 가변되어도 구동기어(7)와 아이들러(6)가 그대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테이크 업 릴(Take Up Reel)(3a)에 형성된 기어와 동일한 보조기어(4)를 설치하였으며 회전 방향을 동일하게 하기 위해 보조아이들러(5)를 설치하였다.
또한 테이크 업 릴(3a)과 보조기어(4), 보조아이들러(5)는 레버(9)에 장착되어 같이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8㎜ 카세트의 사이즈는 제1도의 가상선으로 표시한 바와같이 써플라이 릴(3)에서 테이크 업 릴(3a)까지의 길이는 카세트의 릴 센터간의 거리와 일치하게 되므로 8㎜카세트를 올려 놓으면 캡스턴에 의해 구동기어(7)가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아이들러(6), 보조기어(4), 보조아이들러(5)를 거쳐 테이크 업 릴(3a)이 CW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4㎜테이프를 사용할 때에는 제1도에서 써플라이 릴(3)에서 보조기어(4)까지 릴센터간의 거리가 된다. 또한 제2도에 나타난 바와같이 써플라이 릴(3)은 제1도에서의 위치와 동일하게 고정되어진다.
따라서 선택 스위치(도시는 생략함)에서 4㎜카세트를 선택하면 솔레노이드(8)가 작동하여 레버(9)를 당기게 되므로 레버(9)에 장착된 테이크 업 릴(3a)과 보조기어(4) 그리고 보조 아이들러(5)가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어 제1도에서 보조기어(4)가 위치한 곳에서 제2도와 같이 테이크 업 릴(3a)의 위치로 되므로 구동기어(7)의 CW방향 회전에 따라 아이들러(6)를 거쳐 테이크 업 릴(3a)이 CW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제1도와 제2도에서 테이크 업 릴(3a)의 회전방향은 같게 되고, 다만 8㎜, 4㎜ 포맷에 따른 릴의 속도는 8㎜ 혹은 4㎜가 선택되었을때 이에 따라 마이콤(MICOM)으로 콘트롤 된다. 1/2"카세트일때에도 전술한 바와같이 구성하면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릴의 간격 변화를 위해 솔레노이드와 스프링을 사용하도록 되어 있으나, 동일한 동작을 하는 다른 장치를 대체할 수도 있다.
첨부도면 제3도는 본 발명의 테이프 경로를 나타낸 개략도로서, 8㎜카세트(1), 4㎜카세트(2)로 부터 빠져나오는 8㎜테이프(a)와 4㎜테이프(b)가 가이드 로울러(10)를 지니는 경로를 나타낸 것이다.
8㎜와 4㎜의 경우는 테이프의 하단부가(카세트 하단부에서 테이프 하단부까지의 거리) 제3도와 같이 거의 일치하게 된다. 그러나 엄밀하게는 수십 미크론 정도 오차를 가지게 되며 1/2"인 경우에는 그 정도가 심하게 되므로 테이프의 하단부가 일치되도록 턱을 설치하여 테이프가 카세트로부터 빠져 나올때 가이드 로울러(10)가 테이프의 하단부를 규제하도록 되어 있는데, 이때 가이드 로울러(10)의 상플랜지(10a)는 테이프의 폭이 가장 큰 쪽과 일치시킨다.
첨부도면 제3도는 4㎜와 8㎜를 예로 도시하였으므로 8㎜테이프(a)의 폭에 가이드 로울러(10)의 상플랜지(10a)를 일치시키고 하플랜지(10b)로 두 종류의 테이프를 규제하게 된다.
또한 8㎜테이프(a)인 경우에는 상, 하 플랜지사이에 확실한 경로가 이루어지나 4㎜테이프(b)인 경우에는 상플랜지(10a) 방향으로 글라가 버릴 수 있게 되므로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가이드 로울러(10)를 원래의 점선 형태에서 θ각만큼 하향 경사지게 약간 테이프를 준 실선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하여 하측에서 규제를 꾀하였다.
전술한 바와같은 일실시예에서는 테이프의 하단을 규제하여 이송시키도록 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페이퍼의 방향을 상향으로 경사지도록 하면 테이프의 상단을 규제하도록 그 구서을 변경할 수도 있다.
첨부도면 제5도, 제6도, 제7도는 릴 허브의 구조와 동작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제1도와 제2도와 같은 방법으로 릴 센터간의 거리는 변환되더라도 맞는 릴허브가 필요하게 되므로 제5도에 이중으로 된 릴 허브를 도시하였다.
여기서 R1은 외측허브이고, R2는 내측허브를 나타낸 것이다.
첨부도면 제6도는 1/2"카세트 안착시, 그리고 제7도는 4㎜ 또는 8㎜ 카세트 안착시를 나타낸 것으로서, 1/2"카세트 안착시에는 외측허브(R1)가, 그리고 4㎜ 또는 8㎜ 카세트 안착시에는 내측허브(R2)가 사용되어진다.
첨부도면 제8도는 상기한 카세트를 사용할때의 실린더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때 각각의 테이프 폭이 다르게 되므로 테이프 하단이 규제된 상태에서 테이프가 헤드드럼의 리드라인(14)을 따라 주행하더라도 테이프의 폭에 따라 메인 케이스(15)에서 테이프 중심까지의 높이는 각각 H1과 H2로 다르게 된다.
따라서 기록/재생이 일정하지 않게 되므로 이를 위해 제9도에 도시한 플로우 챠트에 나타난 바와같이 일단 카세트의 종류가 선택되어지면 마이콤이 먼저 실린더의 P/G를 카세트 종류에 맞도록 셋팅시켜서 제8도에서와 같이 테이프 유효 감김각(α,β)의 센터에 테이프의 센터(H1, H2)가 일치하게 되므로 일정한 기록/재생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제9도에 도시한 플로우 챠트에 의해 설명하면, 먼저 카세트 테이프(1/2", 4㎜, 8㎜)을 선정하면 전술한 바와같이 릴간의 거리가 가변되고 카세트 테이프에 맞는 릴의 위치가 셋팅된다.
또한 여러 각종 스위치 및 센서들중 카세트 테이프에 맞는 것들만 동작되어지게 셋팅되므로 마이콤에 의해 각 카세트 테이프에 맞는 실린더의 스피드, 캡스턴 및 릴 스피드가 결정되어지며 헤드드럼 P/G도 셋팅되어진다. 그후 이미 선택된 카세트를 장착하고 플레이를 작동시키면 이미 설정된 포맷에 의해 실린더 및 캡스턴 그리고 릴이 콘트롤 되면서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테이프의 규격에 따라 릴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있어 테이프의 크기에 따른 각기 다른 데크를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되므로 VCR의 성능을 대폭 개선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4)

  1. 스플라이 릴(3)은 본체 하우징에 고정 설치되며, 레바(9)에 설치되는 테이크 업 릴(3a)은 서로다른 크기를 가지는 카세트 테이프(1, 2)의 릴센터간의 거리에 테이크업 릴(3a)이 선택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테이크 업 릴(3a)의 위치를 가변할 수 있도록 레바(9)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수단(20)을 구비하여 상기 테이크업 릴(3a)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가변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릴(3, 3a)들은 서로다른 카세트 테이프(1, 2)를 안착하기 위하여 2중 또는 3중으로 허브를 구성하여 서로다른 크기의 테이프를 안착시키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카세트 VCR 데크.
  2. 제1항에 있어서, 폭이 다른 테이프의 하단을 규제하여 동일한 헤드드럼의 리드라인(14)에 안내되어 주행하도록 하고 헤드드럼의 P/G를 조정하여 유효감김각(α,β)의 센터점이 테이프의 센터높이가 되도록 하여서 된 멀티-카세트 VCR 데크.
  3. 제1항에 있어서, 테이프의 주행로 상에 설치되는 가이드 로울러(10)에 경사진 테이퍼면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카세트 VCR 데크.
  4. 제3항에 있어서, 가이드 로울러(10)의 경사면이 상향으로 경사져 테이프의 상면을 안내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카세트 VCR 데크.
KR1019910020909A 1991-11-22 1991-11-22 멀티-카세트 vcr 데크 KR9400020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20909A KR940002093B1 (ko) 1991-11-22 1991-11-22 멀티-카세트 vcr 데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20909A KR940002093B1 (ko) 1991-11-22 1991-11-22 멀티-카세트 vcr 데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0906A KR930010906A (ko) 1993-06-23
KR940002093B1 true KR940002093B1 (ko) 1994-03-17

Family

ID=19323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20909A KR940002093B1 (ko) 1991-11-22 1991-11-22 멀티-카세트 vcr 데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209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0906A (ko) 1993-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2093B1 (ko) 멀티-카세트 vcr 데크
EP0822548B1 (en) Magnetic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with tilting head drum for dynamic tracking
US5243477A (en) Apparatus for threading magnetic tape from a single reel cartridge in a rotary head tape transport
US4367854A (en) Tape cassette
JPH07282427A (ja) 磁気ヘッド装置及び磁気テープ走行系
KR960006952B1 (ko) 테이프 이송 소자 및 이를 이용한 테이프 처리장치
US4017904A (en) Tape driving device including pinch roller and tape guide mounting means
JP3089499B2 (ja) テーププレーヤ
KR0130224Y1 (ko) 자기기록재생기 테이프 주행계의 권취포스트 구동장치
KR100412939B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소거헤드조립체
KR200214361Y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테이프가이드장치
KR970005049Y1 (ko) 광테이프 카세트
JPS6122378B2 (ko)
KR930012166B1 (ko) 테이프 레코더의 카세트
JPH0792956B2 (ja) 磁気テ−プ装置
KR0133734Y1 (ko) 테이프 레코더의 리일 역회전 제동장치
KR0153901B1 (ko) Vcr 의 테이프가이드폴
KR0128984Y1 (ko) 테이프 레코더의 테이프 주행 가이드장치
JPH0337164Y2 (ko)
JP2749177B2 (ja) 記録再生装置
KR100243204B1 (ko) 테이프 레코더의 자기테이프 보호장치 및 그를 이용한 자기테이프 보호방법
KR20020045900A (ko) 자기기록재생기의 일체형 권취포스트장치
KR20000015620U (ko) 브이시알의 릴 제동제어장치
KR0130397Y1 (ko) Vcr의 테이프가이드암 높이조정장치
KR200214362Y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가이드롤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8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