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1917Y1 - 볼 조인트 - Google Patents

볼 조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1917Y1
KR940001917Y1 KR2019900015180U KR900015180U KR940001917Y1 KR 940001917 Y1 KR940001917 Y1 KR 940001917Y1 KR 2019900015180 U KR2019900015180 U KR 2019900015180U KR 900015180 U KR900015180 U KR 900015180U KR 940001917 Y1 KR940001917 Y1 KR 9400019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casing
sheet
elastic member
ball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151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5988U (ko
Inventor
요시미 고다께
게이이찌 사가모또
Original Assignee
고요세이꼬 가부시기가이샤
쯔보이 우즈히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요세이꼬 가부시기가이샤, 쯔보이 우즈히꼬 filed Critical 고요세이꼬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91000598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598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19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1917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16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 F16D3/20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one coupling part entering a sleeve of the other coupling part and connected thereto by sliding or rolling members
    • F16D3/22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one coupling part entering a sleeve of the other coupling part and connected thereto by sliding or rolling members the rolling members being balls, rollers, or the like, guided in grooves or sockets in both coupling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볼 조인트
제1도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의 볼 조인트를 도시한 종단면도.
제2도는 제2실시예의 볼 조인트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제3도는 종래예의 볼 조인트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30 : 볼조인트 21 : 하부볼시이트
22, 31 : 탄성부재 23, 32 : 백업시이트
본 고안은 볼조인트, 보다 상세하게는 예컨대 버스, 트럭등의 대형차량의 랙-피니온식 동렬조향장치 등에 적합한 볼조인트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현가장치 또는 조향장치등에 사용되는 볼조인트로는 예컨대 일본특공소 53-28576호 공보, 특개소 54-91665호 공보에 제시된 것이 알려져 있다.
제3도는 차량의 랙-피니언식 동력 조향장치에 사용되고 있는 종래의 볼조인트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 볼 조인트(1)은 일단부가 개구된 원통형의 게이싱(2)와, 축부(3a)의 선단에 볼헤드(3b)가 형성된 볼스터드(3)을 구비하고 있다.
케이싱(2) 및 볼스터드(3)은 예컨대 강제이다. 케이싱(2)의 폐쇄단부에 형성된 수나사부(2a)는 랙 로드(4)의 선단에 형성된 암나사부(4a)에 나사결합되고, 회전방지와셔(5)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볼 스터드(3)의 축부(3a)는 적절한 수단에 의해 도시생략된 타이로드에 고정되거나 타이로드와 일체로 형성된다. 볼스터드(3)의 볼헤드(3b)는 케이싱(2)의 개구로 부터 케이싱(2)내에 삽입되고, 선단측 부분이 하부 볼시이트(제1의 볼시이트)(6)과 탄성부재(7)을 통하여 케이싱(2)의 폐쇄단부에 지지되고, 축부(3a)측 부분이 상부 볼시이트(제2의 볼시이트)(8)을 통하여 케이싱(2)의 개구단부측에 지지되고 있다.
하부 볼시이트(6)은 예컨대 폴리아세탈 수지제로서, 케이싱(2)의 내경보다 외경이 작은 단원기둥부(6a)의 볼헤드(3b)측단부에 볼헤드(3b)측으로 향해서 비스듬히 외향으로 돌출된 내단 플랜지부(6b)가 일체로 형성된 것이다.
플랜지부(6b)의 외경은 케이싱(2)의 외경은 케이싱(2)의 내경과 거의 같고, 하부 볼시이트(6)은 케이싱(2)내에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끼워져 있다. 또 하부 볼시이트(6)의 볼헤드(3b)측면은 볼헤드(3b)와 미끄럼 접촉하는 부분구면형상을 이룬다.
탄성부재(7)은 예컨데 고무 또는 탄성합성수지 등의 탄성체에 의하여 링모양으로 형성되고 있고, 케이싱(2)의 폐쇄단부의 하부볼시이트(6)과의 사이에 형성된 환상공간에 축방향으로 약간 압축된 형태로 끼워져 있다.
상부볼시이트(8)은 예컨데 폴리아세탈수지로 링모양으로 형성되고 케이싱(2)의 개구단부에 고정된 고정링(9)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또 상부 볼시이트(8)의 내면은 볼헤드(3b)와 미끄럼 접촉하는 부분 구면형상을 가진다.
상부 볼시이트(8)과 하부 볼시이트(6)의 사이에는 축방향으로 약간의 간극(10)이 형성되어 있다.
또 볼스터드(3)의 축부(3a)에 더스트시일(11)의 일단부가 있다.
볼조인트(1)의 하부볼시이트(6)은 볼헤드(3b)와 미끄럼 접촉하므로 자체윤활성이 있는 합성수지 등으로 형성할 필요가 있고, 하부 볼시이트(6)의 강도를 너무 크게 해서는 안된다. 그리고 상기 종래의 볼조인트(1)의 경우 이와같은 하부 볼시이트(6)을 직접 탄성부재(7)로 지지하고 있기때문에 큰 축 하중을 받을때에 탄성부재(7)의 변형에 의하여 하부 볼시이트(6)의 플랜지부(6b)에 높은 응력이 발생하고, 하부 볼시이트(6)의 내구성이 부족하다는 문제가 있다. 즉, 볼조인트(1)이 축하중을 받은때, 탄성부재(7)의 변형이 균일하지 않게되고 그때문에 하부 볼시이트(6)의 플랜지부(6b)가 변형하여 국부적인 높은 응력을 발생하고 여기에 균열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문에 볼조인트가 필요한 랙피니온식 동력 조향 장치를 대형차량에 설치할수 없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고 볼스터드의 볼헤드 선단측을 지지하는 볼시이트의 내구성이 높은 볼조인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에 의한 볼조인트는, 볼스터드의 축부의 선단에 형성된 볼헤드가 일단부가 개구된 케이싱내에 수용되어 볼헤드의 선단측 부분이 하부 볼시이트와 탄성부재를 통하여 케이싱의 폐쇄단부 부분에 지지되고 볼헤드의 축부측 부분이 상부 볼시이트를 통하여 케이싱의 개방단부 부분에 지지되고 있는 볼조인트에 있어서, 상기 하부 볼시이트와 탄성부재의 사이에 금속제 또는 고강도 저변형성의 합성수지제 백업시이트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볼조인트에 의하면 하부 볼시이트와 탄성부재의 사이에 금속제 또는 고강도 저변형성의 합성수지제 백업 시이트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축하중을 받은때의 탄성부재의 불균일한 변형이 직접 하부 볼시이트에 전달되는 일이 없고, 따라서, 큰 축하중을 받은 경우에도 하부 볼시이트에 국부적으로 높은 응력이 발생하는 일이 없으므로, 하부 볼시이트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또한 앞에서 설명한 종래예와 다음에 설명할 실시예에 있어서, 같은 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있다.
제1도는 제1실시예를 도시한다. 제 1 실시의 볼조인트(20)의 경우, 백업시이트(23)이 하부 볼시이트(21)과 탄성부재(22)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하부 볼시이트(21)은 예컨대 폴리아세탈 수지제로서, 볼헤드(3b)의 선단측 부분에 미끄럼 접촉하는 부분 구면형상을 이룬다. 백업시이트(23)은 금속제 또는 고강도 저변형성의 합성 수지제로서 종래예의 하부 볼시이트(6)과 같이, 단원기둥부(23a)와 플랜지부(23b)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백업시이트(23)의 볼헤드(3b)측 면은 하부 볼시이트(21)에 접하는 부분 구면형상을 이룬다. 탄성부재(22)는 종래예의 경우와 같이 링형상을 이루고, 케이싱(2)의 폐쇄단부의 백업시이트(23)와의 사이에 형성된 환상공간에 축방향으로 약간 압축된 형태로 끼워져 있다.
제1실시예의 경우 하부 볼시이트(21)과 탄성부재(22)의 사이에 금속제 또는 고강도 저변형성의 합성수지제의 백업시이트(23)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축하중을 받은때의 탄성부재(22)의 불균일한 변형이 직접 하부 볼시이트(21)에 전달되는 일이 없다. 따라서 큰 축하중을 받은 경우에도 하부 볼시이트(212)에서 국부적으로 높은 응력이 발생하는 일이 없고 하부 볼시이트(21)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이때문에 대형 차량에 랙 피니온식 동력조향 장치를 적용할 수 있게 된다. 또 부하 하중의 수준에 따라 볼헤드(3b)의 치부를 적정치로 설정하기만 하면 되고 기본적인 구조를 변경할 필요가 없다.
제2도는 제2실시예를 도시한다. 제2실시예의 볼조인트(30)의 경우, 탄성부재(31)은 제1실시예의 탄성부재(22)와 같은 링부(31a)의 케이싱(2)폐쇄단부측의 단부가 원판부(31b)로 폐쇄된 형상을 이루고, 케이싱(2)의 폐쇄 단부벽과 백업시이트(32)의 사이에 끼워져 있다. 백업시이트(32)는 제1실시예의 백업시디트(23)과 같이 단원기둥부(32a)와 플랜지부(32b)로 구성되어 있으나 단원기둥부(32a)의 길이는 제1실시예의 경우보다 탄성부재(31)의 원판부(31b)의 두께부분만큼 짧게되어 있고, 케이싱(2)의 폐쇄단부벽과 백업시이트(32)의 단원기둥부(32a)의 사이에 탄성부재(31)의 원판부(31b)가 끼워져 있다.
제1실시예의 경우 케이싱(2)의 폐쇄단부벽과 백업시이트(23)의단원기둥부(23a)의 사이에 미소한 간극(예컨대 0.5㎜)가 설정되어 있고, 이것이 타음발생의 원인이 되는 경우가 있다. 이에 대하여 제2실시예의 경우는 케이싱(2)의 폐쇄단부벽과 백업시이트(32)의 단원기둥부(32a)의 사이에 탄성부재(31)이 끼워져 있으므로 이것에 의하여 타음의 발생이 방지된다. 이외의 것은 제1실시예의 경우와 같다.

Claims (1)

  1. 볼스터드의 축부의 선단에 형성된 볼헤드는 일단부가 개구된 케이싱내에 수용되고, 볼헤드의 선단측 부분은 하부 볼시이트와 탄성부재를 통하여 케이싱의 폐쇄단부측 부분에 지지되고, 볼헤드의 축부측 부분은 상부볼시이트를 통하여 케이싱의 개방단부측 부분에 지지되는 볼조인트에 있어서, 상기 하부 볼시이트와 탄성부재의 사이에 금속재 또는 고강도 저변형성 합성수지제의 백업시이트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조인트.
KR2019900015180U 1989-09-29 1990-09-29 볼 조인트 KR940001917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15647 1989-09-29
JP1989115647U JPH0730983Y2 (ja) 1989-09-29 1989-09-29 ボール継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5988U KR910005988U (ko) 1991-04-24
KR940001917Y1 true KR940001917Y1 (ko) 1994-03-26

Family

ID=14667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15180U KR940001917Y1 (ko) 1989-09-29 1990-09-29 볼 조인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730983Y2 (ko)
KR (1) KR94000191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44500B2 (en) * 2006-01-17 2010-01-12 Federal-Mogul World Wide, Inc. Method of setting the pre-load for a ball socket joint
JP5414655B2 (ja) * 2010-11-09 2014-02-12 日立機材株式会社 制震用油圧ダンパ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70612U (ko) * 1978-11-07 1980-05-15
JPS596260U (ja) * 1982-06-30 1984-01-14 富士通株式会社 バ−コ−ド読取り作業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730983Y2 (ja) 1995-07-19
KR910005988U (ko) 1991-04-24
JPH0353617U (ko) 1991-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38493B2 (en) Cross axis ball and socket joint with sealing ring for cross axis sleeve ends
US5851082A (en) Axial ball-and-socket joint for linkages in motor vehicles
US5181784A (en) Elastic sliding bearing iii
US6171012B1 (en) Radial ball-and-socket joint for a motor vehicle
US4874261A (en) Seal for bearings
KR970045872A (ko) 죠인트 조립체
GB2104590A (en) Ball and socket joints
KR890010470A (ko) 개스킷트를 착설한 자동차용 볼죠인트
US20090060633A1 (en) Joint arrangement and/or bearing arrangement
KR930009814A (ko) 차량의 핸들레버의 지지용 피벗베어링
US5975766A (en) Arrangement of a shaft in a support
US4063834A (en) Ball joint assembly
US7090425B2 (en) Balljoint
KR940018589A (ko) 엔진블록을 기어블록에 연결하기 위한 장치
KR940001917Y1 (ko) 볼 조인트
US6341915B1 (en) Rubber-cushioned ball joint with a bearing geometry which is optimized with regard to tension
US4577987A (en) Ball and socket joint
US3731957A (en) Ball joints
JPH0472088B2 (ko)
JPS6223664Y2 (ko)
US2876030A (en) Ball joint and support therefor
US4270759A (en) Combination thrust washer and seal article, apparatus and method
KR930007810Y1 (ko) 기어장치
JPH0724661Y2 (ja) カルダン継手
FR2592692A1 (fr) Agrafe elastique autobloquan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31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