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1856B1 - 광자기 카드를 이용한 전자식 보안장치 - Google Patents

광자기 카드를 이용한 전자식 보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1856B1
KR940001856B1 KR1019910015919A KR910015919A KR940001856B1 KR 940001856 B1 KR940001856 B1 KR 940001856B1 KR 1019910015919 A KR1019910015919 A KR 1019910015919A KR 910015919 A KR910015919 A KR 910015919A KR 940001856 B1 KR940001856 B1 KR 9400018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code
signal
security device
mem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5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6287A (ko
Inventor
신성철
박종환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천성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천성순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199100159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1856B1/ko
Publication of KR9300062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62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18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18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광자기 카드를 이용한 전자식 보안장치
제1도는 전체 시스템의 블록도.
제2도는 본 발명의 회로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카드 판독기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제4도는 제3도의 카드 판독기용 광자기 헤드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개략도.
제5도는 제3도의 광자기 헤드로부터의 신호를 다음 회로로 연결해주는 입력부 회로도.
제6도는 제3도의 광자기 헤드로부터의 신호를 기억내용과 비교하는 기억 비교부 회로도.
제7도는 본 발명의 논리판단부의 회로도.
제8도는 제7도의 PROM 의 논리 코드를 도시한 도면.
제9도는 제7도에 도시한 논리회로의 상세한 회로도.
제10도는 제7도에 도시한 동기신호 발생장치의 상세 회로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장치의 각 임시 기억장치에 공급되는 전원 및 초기화 신호발생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카드 기록기 2' : 광자기 카드
3 : 카드 판독기 4 : 광자기 헤드
5 : 입력 회로부 6 : 기억 비교부
7 : 논리 판단부 8 : PROM
9 : 논리회로 10 : 동기신호 발생기
12 : 카드 스위치 15 : 체크용 기억장치
16 : 동의권 기억부 17 : 주기억장치
18 : 암호기 22 : 카운터
23 : ROM 27 : AND 게이트
본 발명은 자물쇠에 관한 것으로, 특히 광자기 카드를 이용한 전자식 보안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자물쇠는 여러가지 구조적 취약점으로 인해 많은 피해가 있기 때문에, 그러한 피해의 예방을 위해 자물쇠의 보안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고안되어 왔다. 그 중 효과적인 방법의 하나로서, 카드를 사용하여 등록된 코드를 인지·비교하여 문의 빗장을 작동시키는 형태의 전자식 안전장치가 이미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전자 장치들은 기존의 기계식 자물쇠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들이다.
기존의 흔히 사용되는 자물쇠들의 구조는 내부에 원통형의 회전드럼이 있고, 그 안에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는 이등분된 핀들이 있다. 이러한 핀들이 회전드럼과 외부 케이스 사이를 관통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서 회전 드럼의 회전을 방지할수 있다. 자물쇠 해정시 외부에서 삽입된 열쇠의 굴곡에 의해 핀들이 밀리게 되면 이 핀들 사이에 절단된 지점이 회전 드럼과 외부 케이스 사이의 분리된 점과 일치하게 된다. 이때 회전 드럼의 회전이 가능하게 되어 외부 열쇠의 회전력이 회전 드럼을 회전시키게 되는데, 이 회전 드럼이 기계적으로 문의 빗장과 연결되어 있어서 문을 개폐시킬수 있게 된다. 이러한 특성상 회전 드럼의 내부의 핀을 재위치에 맞출수만 있다면 문은 열리게 마련이므로, 보안상의 취약점으로 지적되어 왔다.
그 밖의 문제점으로는 직접적인 물리적 접촉에 의한 해독이므로 복사가 용이해서 일단 외부로 누출되었을 때 손쉽게 복제품을 만들 수 있다는 것과, 열쇠의 마모로 인한 변형의 소지가 있다는 것, 또 분실했을 경우 열쇠를 바꾸고 싶으면 자물쇠 전체를 교환해야만 한다는 것이다. 여기서, 외부로부터의 간단한 기술적인 조치로 문이 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열쇠의 형태를 원형(예컨대, 대한민국 특허 공고 제84-435호 및 제84-1430호와 실용신안공보 제86-465호 및 제85-468호 등) 또는 핀의 나열 방향을 2개 이상의 방향으로 설치하는 구조(대한민국 실용신안공고 제86-2544호, 제86-466호, 제86-3421호, 제86-1754호, 제85-2242호, 제84-1830호, 제84-899호, 제87-1617호 및 제86-1972호 등)가 있는데, 이 경우도 열쇠의 보안은 증가될지는 몰라도 그 밖의 경우에 대해서는 도리어 불편한 결과를 야기시킨다. 즉, 가격이 비싸서 열쇠를 분실하거나 무리한 외부 충격으로 파손되었을 때 자물쇠 교환이 부담스럽고 복사가 매우 힘들어 사용자(열쇠)의 수가 한정될 수 밖에 없다. 그리고, 휴대에도 키의 형태가 평면이 아니므로 상당히 불편하다. 그 밖의 방법으로 자력을 사용한 방법(예컨대, 대한민국 특허 공고 제84-1406호와 실용신안공고 제86-2540호, 제86-2542호 및 제86-404호 등)도 있으나, 위의 문제를 완전히 보완하지는 못하였다.
이러한 단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일단은 자기 카드나 펀치 카드 등의 카드 형태의 열쇠가 고안되어 있다. 이와 관련한 전자장치는 이미 다수 공지된 바와같다 (예컨대, 대한민국 특허 공보 제87-849호, 제86-1518호 등). 이러한 고안들은 휴대와 다수 제작등이 용이한 이점은 있으나, 자기 카드의 경우, 헤드가 직접 접촉하기 때문에 충격과 외부 이물질에 민감하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외부의 조작 또는 충격으로 인해 헤드가 파손될수 있는 단점이 있고 복제가 용이함은 물론 카드 자체의 견고성(자기, 충격)에 문제가 있다. 한편, 빛을 이용한 펀치 카드방식은 무접촉으로써 판독 부분 자체에 대한 물리적 접근을 근원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고 볼수 있으나, 펀치 카드 자체가 단순하고 육안으로 판독이 가능하여 용이하게 복제 카드를 만들어 낼수 있다는 점이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특히, 특허 공고 제85-1538호의 경우 수시로 카드의 변경을 가능케 한다는 점에서는 유용하지만, 연산용 코드와 개폐용 코드가 함께 있어서 변경시에만 사용하는 연산용 판독장치가 추가되어야 하고, 만약 두 개 이상의 카드가 누출될 경우, 그 연산방식이 노출되어 도리어 외부인이 코드를 변경해 버리는 심각한 사태가 발생할 수도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고안들은 호텔과 같은 곳의 편리를 강조하는 입장에서 사용되었을 뿐, 반영구적인 사용을 위한 용도로의 사용은 바람직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공지의 자물쇠들이 갖는 제결점을 해소시킨 새로운 구조의 자물쇠, 특히 광자기 카드를 이용한 전자식 보안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보안장치는 보다 광범위한 보안장치로서의 사용을 가능케 하고자 안출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카드에 사용될 특정 코드를 작성하고 생성된 코드를 카드에 기록하는 카드 기록기와, 상기 카드와 협동하고 그 카드에 기록된 정보를 광자기 헤드를 통해 받아들이는 무접촉 방식의 카드 판독기와, 소거 및 재기록 가능한 ROM 으로 구성된 주기억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광자기 헤드로부터, 입력 회로부를 통하여 입력된 어드레스 및 데이터와의 비교 결과, 연산 결과, 동의권 기억부 및 체크용 기억장치 등의 상태를 논리 판단부로 보내기 위한 기억 비교부와, 그리고 PROM, 논리회로, 동기신호 발생기, 동의권 수 기억부, 카운터로 구성되고 상기 광자기 헤드로부터 입력된 카드 상태 정보와 기억 비교부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반응하여 카드 체크, 교정, 문 열림, 동의권 등록 및 삭제, 기억 내용 변경, 카드 소거에 필요한 출력 신호를 발생하는 논리 판단부로 이루어진 광자기 카드를 이용한 전자식 보안장치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치에서는 기존의 보안장치들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특징을 복합적으로 지니고 있다.
① 외부로 반출되어 쉽게(빠르게) 복사되지 않는다.
② 판독 부분 자체가 외부와 물리적 접촉을 갖지 않는다.
③ 휴대가 간편하다.
④ 키의 내구성도 일반 사용 환경에서 보장된다.
⑤ 키를 외부에서 분실하였을 경우 간단히 키의 사용을 중지 및 변경시킬 수 있다.
⑥ 사용자의 수를 내부에서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⑦ 내부인의 조작으로부터도 보안이 유지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 상세하게 설명하겠다.
본 발명의 특징적 구조는 크게 두가지로 구분할수 있다. 첫째는 카드형 키의 판독부이고, 둘째는 코드를 분석·처리하는 논리 비교부이다. 먼저 전체 구조를 통해 부분별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조는 크게 카드 기록기(1), 자물쇠(2), 카드 판독기(3), 기억 비교부(6) 및 논리 판단부(7)로 이루어져 있다.
카드 기록기(1)은 카드판독기(3)과 같은 원리를 이용한 기록 전용의 장치인데, 보안장치에 연결되어 있고, 내부에는 공지되어 있는 마이크로컴퓨터 또는 논리회로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동작을 하도록 구성한다. 이 장치는 일반 컴퓨터의 보안장치와 같은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조작하기 위해서 개개인의 암호를 사용하여야 하고 필요에 따라 카드에 쓰일 코드를 발생시킨다. 일반 사용자는 자신의 암호로 자신의 카드만을 만들수 있게 한다. 다만, 관리자 (예를 들어 0번)의 등록번호는 특수 코드로서 임의의 카드를 생성할수 있다.
보안성의 향상을 위해 실제 자물쇠와의 연결은 하지 않고 독립적이며 필요한 명령의 전달은 생성시킨 카드를 통해서 이루어지게하고 그 명령 코드들은 판독장치에 따라 다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채용한 방식은 교정 명령이면 기억된 앞번 코드로부터 본 보안장치의 연산과 들어맞는 교정 코드를 발생시키고 새로운 암호로부터 변경된 코드를 갖는 카드를 만들어낸다. 삭제 명령이면 코드가 모두 0인 카드를 만들어 낸다.
문을 쇄정하는 자물쇠(2)는 이미 여러 방식이 공지되어 있는데 그중에 출력 임펄스에 의해 해정되는 자물쇠를 사용하도록 한다.
카드 판독기(3)의 구조는 제3도에 도시되어 있는데, 본 발명의 특징적인 부분은 외부 조작의 근원을 제거하기 위하여 물리적인 접촉을 차단하고 빛을 이용한 판독을 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외부의 복사 가능성을 고려하여 재기록이 가능한, 즉 소거가능한 매개체 (카들)를 사용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수시로 자신의 키(카드)의 내용을 변경시킴으로써 보다 확실한 보안을 기할수 있고 비용면에서도 절약할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되는 카드의 구조는 최근에 개발된 판독·기록이 자유로운 광자기 디스크의 원리를 이용한다. 이 원리는 회토류 금속의 자성체를 큐리 온도 이상으로 가열하였다가 냉각하면 가해준 외부 자장의 방향으로 자기가 유지되고 이에 선편광된 광을 주사할때 자성 재질의 표면에서 반사시 일어나는 폴라 케르(Polar Kerr) 효과에 의한 선평광의 회전을 검지하는 원리이다. 광자기 디스크는 외부 자장에 대해 수천 Oersted, 열에는 큐리 온도(약 200℃)까지는 정보가 보호되기 때문에 휴대용 키로서의 사용은 충분하다.
이에 대한 이론적 설명은 본 발명에서는 중요하지 않으므로 생략한다. 이러한 금속을 카드에 증착시키고 이를 현재 사용중인 광자기 디스크 플레이어의 헤드와 같은 원리의 판독장치(제4도)를 통해 전기적 신호로 바꾸게 된다. 이는 기록 면적이 아주 작고(1μ㎡ 이하로 접속 가능) 선편광의 회전을 이용하기 때문에, 눈으로는 물론 식별이 불가능하다. 자기 카드와 같은 원리의 헤드를 사용하여 해독하려 하더라도 전용 기록기를 사용하는 판독장치와 헤드 위치를 무작위로 쌍을 지움으로써 극히 어려워진다. 물론, 이로서 완벽한 보안은 된다고 할수 없다. 100% 복제 불능은 아니기 때문이다. 그러나, 설령 시도한다 하더라도 이에 대한 보완이 다음의 논리 해독 부분에서 가능하다. 이는 전용 기록기를 이용하여 수시로 정보를 변경시킨다는데 있다. 자신의 카드를 변경 기록 할수 있으므로, 마치 컴퓨터의 패스워드를 변경하는 것과 같이 의심스러울 때 수시로 변경이 가능하다.
제3도를 참조하면, 스위치(12)는 카드(2')가 판독장치에 들어올때 눌러져 카드 존재 여부를 알려주고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공지된 광자기 헤드(4)를 통해 등록번호(Address)와 코드(DATA), 문열림 여부(DF) 등을 받아들이며 이와 연결된 입력 회로부(5)(제5도 참조)를 통해 주소와 코드를 기억 비교부(6)에, 기타 상태 정보는 논리 판단부(7)에 보내지게 한다. 그리고, 내부에 소거 전용 헤드(13)이 있으며 이는 전원이 들어올 경우, 들어와 있는 카드(2')의 내용을 지우게 된다. 원리는 빛을 접속해 카드 표면이 큐리 온도 이상이 되도록 하는 것이며, 카드 재료 금속의 자성을 하부에 있는 자석(14)에 의해 일정방향으로 만드는 것이다.
이에 따라, 앞에서 언급한 특징 ①, ②, ③ 및 ④는 대체로 만족되었다고 볼수 있을 것이다. 특징 ⑤, ⑥ 및 ⑦의 장점은 다음의 논리 판단 회로(7)과 연결됨으로써 가능하다.
제6도를 참조하면, 기억 비교부(6) 내에서는 재기록 가능한 ROM(EEPROM or SRAM wiht Power)으로 구성된 주기억장치(17)을 포함하고 입력된 신호와의 비교 결과(CF), 연산 결과(CAF) 등과 동의권 기억부(16), 체크용 기억장치(15) 등의 상태를 논리 판단부(7)로 보낸다. 주기억장치(ROM)에 여러 장소 (기억번지)가 있어서 여러 명의 사용자가 각각 다른 카드 키의 사용을 가능케 한다. N 또한, 임의의 N 비트의 기억 용량은 2종류의 카드를 생성할 수 있어서 넉넉잡아 카드의 1비트를 0.5㎜로만 잡아도 1㎝안에 20개의 점을 넣을 수 있고, 이것은 1048576 종류의 카드를 가능케 한다.
일반적인 카드의 형태와 광자기 헤드의 집속도로 볼때, 이 크기는 엄청나게 늘어날 수 있다. 이것은 또한 코드 선택의 폭을 넓히며 카드내 코드 위치를 파악한 외부인의시행 착오식 접근으로부터 확률적으로 보안성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7도의 논리 판단부(7)은 PROM(8)과 논리 회로(9), 동기신호 발생장치(10), 동의권 수 기억부(23), 카운터(22)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판독장치와 비교장치로부터의 신호를 받으면 PROM(8)에서는 입력된 신호 문열림(DF), 체크 상태(CB), 동의권 여부(AB), 비교 신호(CF), 연산신호(CAF), 코드가 0인가(IZF), 주소가 0인가("1")등을 입력으로 받아 출력으로 체크할 것인가(ChW), 교정상태로 들어갈 것인가(PR), 자물쇠를 열것인가(Key), 동의권을 등록할 것인가(ABW, AB=1), 삭제할 것인가(ABW, AB=0), 기억을 바꿀 것인가(RW), 동의 상태로 들어갈 것인가(AR), 카드를 지울 것인가(ER)등을 논리 출력으로 내보낸다. 그러면, 논리회로(9)는 이를 받아 동기신호 발생장치(10)로부터의 동기신호(클럭 1, 2, 3)과 함께 필요한 타이밍 동작을 위한 신호들을 내보낸다( 제10도 참조).
한편, 입력 회로부(5)는 공지된 전자회로를 이용한 신호 전환을 위한 회로이고, 기억 비교부(6)도 역시 주어진 명령에 따라 단순한 동작을 하는 공지된 회로들의 조합이다.
본 발명의 주된 특징인 논리 판단부(7)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 채택한 예를 다름의 실시예(1) 내지 (5)에 따라 열거하면 다음과 같다.
(1) 일반적인 사용
ⅰ) 카드를 꽃는다.
-내부의 데이터와 비교하여, 일치하면 문열림
(2) 자신의 카드 변경-분실이나 복사의 의심이 갈때
ⅰ) 카드 기록기에서 자신의 ID 번호와 패스워드를 입력하고 원하는 명령을 입력시킨다.
-교정 명령은 다음 패스워드를 요구한다. 삭제 명령은 0인 코드를 만든다.
ⅱ) 일련의 과정을 거쳐 교정 명령과 변경을 위한, 두 개의 카드를 얻는다.
ⅲ) 문이 열린 상태에서 카드 판독기에 교정용 카드를 투입한다.
-나오면서 지워진다.
ⅳ) 다음에 새로 등록하고자 하는 카드를 투입한다
-내부기억 내용이 바뀐다.
(3) 새로운 카드의 등록 또는 삭제
ⅰ) 카드 기록기에서 관리자 번호 "000000" 의 패스워드와 변경 패스워드를 입력한다.
-교정 코드와 새로운 0번 카드를 생성한다.
ⅱ) 카드 기록기에서 임의의 ID 번호와 패스워드를 입력한다.
-패스워드가 0이면, 코드가 0인 카드를 만든다.
ⅲ) 판독장치에 교정 명령 카드를 투입한다.
-지워진다.
ⅳ) 판독장치에 변경된 0변 카드를 투입한다.
-코드 변경되고 지워진다.
ⅴ) 그 다음 동의권을 가진 사람들의 카드를 연속해서 투입한다.
ⅵ) 동의 카드 투입이 끝난후 새로운 카드를 투입한다.
(4) 등록권의 등록
ⅰ) (3)의 ⅰ)에서 카드를 생성하고 (3)의 ⅲ), ⅳ) 및 ⅴ)의 과정을 거친다.
ⅱ) 그후 이미 등록된 사람의 카드를 투입한다.
-이때 동의권을 부여한다.
(5) 동의권의 삭제
ⅰ) (3)의 ⅰ), ⅱ), ⅳ) 및 ⅴ)의 과정을 거치면서 마지막 한장의 카드가 남았을 때 ;
ⅱ) 마지막으로 투입되는 등록권의 삭제 대상 카드가 기억과 일치하지 않는 코드를 갖고 있으면 동의권 삭제가 이루어진다.
상기 실시예의 작동 상태가 각각에 따른 본 발명의 장치의 내부 동작을 제8도의 PROM 논리코드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문이 닫혀 있고 카드의 코드가 기억과 일치하면 입력 상태가 루틴 1에서와 같은 조건으로 되고, 그 다음의 논리 회로(9)에서는 코드 입력 완료(Code END)신호와 함께 AB, Key 출력신호가 "1"로 출력되어 자물쇠를 열게 된다.
만약 카드를 분실하였거나 코드를 바꾸고 싶을때 에는, 카드 기록기(1)로부터 교정 카드를 생성해 문이 열린 상태에서 카드를 판독기(3)에 집어 넣으면, 제8도의 루틴 2의 1행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문은 열려있고(DF=1), 기억 비교가 일치하지 않으면서 (CF=0) 연산 비교가 일치할 때 (CAF=1), PROM(8)의 출력은 교정 상태를 지시하는 RR이 "1"로 되게 하는데, 논리 회로(9)에서 동기 신호 (클럭 3)에 맞추어 이상태를 기억한다. 그리고, 카드 소거신호(ER)은 "1"로 되는데, 이것은 클럭 2에 맞추어 카드 소거 헤드(13)을 "온(ON)" 시킨다. 카드 소거 헤드는 카드가 빠져 나가면 "오프(OFF)" 된다. 또한 교정 상태 지시신호(RR)는 릴레이와 연결되어 있어 RR=1인 동안은 전원이 계속 들어와 있게 된다. 또한, 제7도의 카운터(22)를 감소 상태로 조정하고 있기도 하다. 단순 교정 상태(RR=1, AR=0)은 클럭 신호 3과 함께 주소 입력의 차단신호(ACR')를 또한 "온" 시킨다. 이는 전원이 다시 투입되거나 동의 상태에 들어설 때까지 유지된다. 이 동작은 자신의 변경될 코드가 자신의 기억 주소에만 들어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 다음에, 새로 사용할 카드가 들어 올때 루틴 2의 2행에 나타낸 것과 같이 단순교정 모드이고 (AR=0), 주소가 0이 아니면 동의권도 없으면, 단순히 기억 장치 기록 신호(RW)가 "1"이 되는데, 이는 클럭 신호 2에 맞추어 주기억 장치(17)에 기록 신호를 보냄으로써 들어온 카드의 코드 내용이 기억된다. 그리고, 교정 상태를 클럭 신호 3와 함께 해체시킴으로서 전원이 차단된다. 동의권이 있어도 삭제시키지 않은 한 상기와 같은 동작을 한다.
그런데, 만약에 자신을 삭제하려는 사람이 동의권을 가진 사람이라면(AB=1), 입력 코드는 모두 0일 것이고 동의권 기억은 1일 것이다. 이 경우에는, 제8도의 루틴 2-2와 같은 상태가 되어 기억 기록 신호(RW)가 1이고, 동의권 기억부(16)에 0을 기록하도록 (AB=0, ABW=1) 하고, 체크신호(ChW)가 "1"로 된다. 몰론, 교정은 해제하고 (AR=0, RR=0), 교정 해제와 체크신호(RR, AR, ChW=0, 0, 1)가 이러한 상태일 때 클럭 신호 1과 함께 카운터(22)를 초기화시킨다. 또한, 클럭신호 2와 함께 ChW신호에 의해 카운터 동기신호(CC)를 생성하고 (이 때, 아직 RR=1이므로 거꾸로 세어 줄어든다). 클럭신호 3과 함께 제7도의 동의자 수를 기억하고 있는 프리셋트 ROM(23) 에 하나 줄어든 신호를 쓴다. 또한, 주기억 장치(17)과 동의권 기억장치(16)도 클럭신호 2와 동시에 모두 "0"으로 쓰여진다. 물론, 클럭신호 3과 함께 교정상태는 해제되지만, 이 클럭신호는 매우 빠르고 카드가 남아있고 동안에는 전원이 들어와 있으므로, 클럭신호 3과 함께 이루어지는 동작에는 이상이 없다.
만약, 실시예 (3)의 경우처럼 새로운 카드키를 추가하거나 기존의 카드를 삭제할 때 일단은 제8도의 루틴 2의 1행과 마찬가지로 교정 상태로 됨으로써 AND 게이트(27)은 클럭신호 2와 함께 카드 삭제 헤드(13)을 "온"시키고, 클럭신호 3에서 주소 입력 차단 신호(ACR'=0)를 보낸다. 그리고, 다음 카드를 받는데, 이때 입력된 카드가 주소 0번지를 갖고 있다면, 이는루틴 3의 2행에 해당되는 경우로 이때는 PROM(8)의 출력이 교정상태이며 동의를 구하는 상태(RR, AR=1,1)가 된다. 그리고, 주기억 기록 신호(RW)도 "1"이 된다. 동의 상태가 "1"이 되면 (AR=1), 클럭신호 1과 함께 동의 상태를 기억하면서 주소 입력 차단을 해체시킨다 (ACR'=1), 카드 삭제 신호(ER=1) 가 있으므로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카드는 지워진다. 또한, 이 경우 주기억 기록 신호가 "1"이므로 주기억 장치(17)의 0번지를 새로운 코드로 변경한다. 그리고, 그 다음부터 카드들의 입력을 받아 루틴 3의 3행에서 처럼 기억과 일치하는가(CF)를 보고 동의권(AB)가 있는가를 본 다음, 체크 상태(CB)도 보아 혹시 두 번 들어온 것인가를 검사한다. 그 밖에, 기타 상태들이 만족하면 체크신호(ChW)를 발생시킨다. 이 신호는 클럭신호 2와 함께 체크 기억부(15)의 입력(IN)을 "1"로 하고 동시에 카운터(22)에 클럭신호를 보내어 1을 감소시킨다. 이러한 반복 동작으로 계속적으로 감소시키다가 제8도의 루틴 3의 4행과 같이 동의권 한 명을 남겨두고 기억과 맞지 않으면(CF=0), 이는 동의권의 박탈로 받아들인다. 따라서, 이 경우는 루틴 2-2와 비슷하게 PROM(8)의 출력은 교정이 해제되고 체크신호가 "1"가 되는데, 이는 클럭신호 1과 함께 카운터(22)를 초기화(preset)시킨다. 체크신호가 "1"이므로, 클럭신호 2와 함께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카운터(22)에 클럭동기 신호(CC)를 보내준다. 그리고, 교정·동의 모두 해제되고 체크신호가 "1"이므로 제8도의 루틴 2-2의 경우처럼 클럭신호 3과 함께 하나 감소한 값을 프리셋트 ROM(23)에 기록한다.
그런데, 만약 동의권을 가진 사람 모두 카드입력을 끝마쳤다면, 새로운 카드를 집어 넣는다. 이때는 제8도의 루틴 3-2의 경우로 되어 카운터(24)는 0을 가리키게 되는데, 카드가 기억과 맞지 않으면(CF=0), 새로운 카드의 등록으로 간주한다. 따라서 교정 (클럭신호 3) 및 동의 상태(클럭신호1)로부터 해제하고, 클럭신호 2와 함께 주기억 장치 기록 신호(RW)를 보내고 동시에 동의권(16)도 클럭신호 2 함께 0으로 확실히 기록한다.
역시 동의권을 가진 사람 모두 카드 입력을 끝마친 후의 카드 입력이 기억에 맞는, 이미 등록된 카드라면 제8도의 루틴 3-3 의 경우가 된다. 즉, 카운터(24)는 0을 가리키고 있는데 카드가 기억과 맞으면(CF=1) 새로운 동의권을 등록으로 간주한다. 이 경우도 물론 PROM(8)의 출력은 교정·동의 신호는 "0"이고 체크 신호는 "1"이된다. 이때, 루틴 2-2 나 루틴 3의 4행의 경우처럼, 클럭신호 1에 맞추어 카운터(22)를 초기화시킨다. 이때의, 동의권 기억 기록 신호(ABW)가 "1"이고 동의권(AB)은 "1"로 기록하도록 하고 주기억 기록신호(RW)는 기록되지 않는다. 이러한 경우에는, 회로상에서 클럭신호 1에서 교정 상태를 해제하게 된다. 이는 카운터 방향 신호(U/D')를 "1"로 만들고, 클러신호 2에서 체크 신호가 있으므로, 카운터 동기 신호(CC)가 출력될 때 증가하는 방향으로 카운트 된다. 그리고, 역시 클럭 신호 3에서 프리셋트 ROM(23) 에 기록 신호를 보내어 증가된 동의권자의 수를 기억하게 된다. 물론, 카드가 빠져나감과 동시에 전원은 차단된다.
이러한 과정들을 거쳐서 본 발명의 보안 장치의 자물쇠의 해정, 카드키 변경, 삭제, 새로운 카드의 등록, 동의권의 추가 및 삭제 등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모든 과정에서 문열림(DF)을 체크하도록 하여, 만약 전술한 어떠한 과정 중에도 문이 닫혀 있는 상태가 되면, 모든 동작은 정지하고 전원은 꺼진다.
특히, 기억 비교 회로에서 암호기(18)에는 기억의 내용이 모두 0이면 연산 비교 출력을 무조건 차단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카드 기록기(1)에도 이와 동일한 형기의 암호기가 내장되어 있어 각각에 맞는 교정카드를 만들어낸다.
이로써 해결하고자 했던 전술한 ⑤, ⑥ 및 ⑦의 특징들을 충분히 만족할수 있게 된다. 즉, 키를 분실했을 경우나 변경하고 싶을 때, 상기 실시예 (2)와 같은 경로로 손쉽게 외부의 접근시도로부터 방어할 수 있다. 그리고, 실시예(3)의 경로를 통해 사용자를 내부에서 변경할 수는 있지만 다수의 동의를 받도록 함으로써 내부인의 조작도 방지할수 있다. 심지어 0번 카드를 갖는 관리자 조차도 다른 사람의 카드를 동의 없이는 변경·추사할수 없다.
예시된 예를 든 회로에서는 광자기 헤드의 구조와 가격상 수를 줄이기 위하여 직렬 순차 입력 회로를 사용하였다. 비용이 절감된다면 병렬 동시 입력으로서 사용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입력부 회로를 조정하여 요구되는 신호를 꺼낼 수 있으면 된다.
카드 하나로 다수의 대응도 가능하게 된다. 즉, 하나의 카드키를 여러곳의 보안장치에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하나의 카드 기록기와 여러 개의 보안 장치를 쌍을 지어 사용하면 된다.
예를 든 제8도의 ROM코드는 동작의 원활을 위하여 판단의 중점 근거 외에는 "1"과 "0"을 모두 허용하도록 하였다. ("X"는 don't care). 만약, 철저한 보안에 역점을 둔다면 모든 상태가 특정 경로만을 거치도록 지정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카드는 맞는 것일지라도 내부 상태가 불확실하면 모두 원점으로 되돌아간다.
카드 변경 방식도 수시로 변경할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교정 명령으로 기존의 코드를 암호기(18)을 거쳐 암호화한 것을 사용하였으나 특허 공고 제85-1583호와 같은 연산 비교 방식을 사용할수도 있다. 이는 기억 비교부(제6도)와 논리 회로(제7도)의 변경으로 손쉽게 변경할 수 있다. 변경과정(순서, 조건)도 수정할 수 있다.
그리고, 예에서는 동의 변경시 동의권자 전원의 찬성을 요구했지만 그 숫자는 제7도에 도시된 카운터의 숫자 판단 논리 회로(24)의 변경으로 그수를 조절할 수도 있어 다수결 방식도 사용 가능하다.
이는 ROM 코드의 변경만을 통해 간단히 사용자의 조건에 맞게 보안 장치의 상태를 조절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의미에서 볼때 제9도의 논리 회로(25), (26)은 ROM 코드 안에 포함시킬 수 있으나, 일반적인 ROM이 8비트 단위임을 감안하여 논리 회로(9)에 포함시켰다.
그 밖에는, 카드에 사진을 부착하여 ID 카드로 사용할 수도 있고 보안장치에 시계를 내장시켜 출입자의 주소 번지(ID 번호)와 출입 시간을 기록할 수도 있다. 이는 공지된 여러 방식을 사용하여 가능하다.
그리고, 회로 중에는 꼭 필요치 않음에도 검사하는 논리 회로가 몇 부분 있는데, 이는 혹시 있을 지도 모를 회로상의 잡음에 의한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므로 삭제해도 동작은 가능하다.

Claims (9)

  1.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카드 (2')에 사용될 특정 코드를 작성하고 생성된 코드를 카드(2')에 기록하는 카드 기록기(1), 상기 카드(2')와 협동하고 그 카드(2')에 기록된 정보를 광자기 헤드(4)를 통해 받아들이는 무접촉 방식의 카드 판독기(3), 소거 및 재기록 가능한 ROM 으로 구성된 주기억 장치(17)을 포함하고 상기 광 자기 헤드(4)로부터 입력 회로부(5)를 통하여 입력된 어드레스 및 데이터와의 비교결과(CF), 연산결과(CAF), 동의권 기억부(16) 및 체크용 기억 장치(15)의 상태신호를 논리 판단부(7)로 보내기 위한 기억 비교부(6), PROM(8), 논리 회로(9), 동기 신호 발생기(10), 동의권 수기억부(23), 카운터(22)로 구성되고 상기 광 자기 헤드(4)로부터 입력된 카드 상태 정보와 기억 비교부(6)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반응하여 카드 체크, 교정, 문 열림, 동의권 등록 및 삭제, 기억 내용 변경, 카드 소거에 필요한 출력 신호를 발생하는 논리 판단부(7)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자기 카드를 이용한 전자식 보안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판독기(3)은 빛을 판독 매체로 하고 재기록 가능한 매체인 광자기 카드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보안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판독기(3)의 헤드(4)의 위치를 다양하게 배치하고, 그 위치가 판독기(3)과 카드 기록기(1)만이 대응하여 일치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보안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변경 과정에서 판독기(3) 내의 소거 헤드(12)를 이용하여 한번 사용한 명령 전달 카드를 소거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보안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기억 비교부(6)의 암호기(18)를 통하여 기존의 코드로부터 무작위의 연산신호를 만들어내고 이를 교정 명령과 비교하여 변경 허가 신호를 만들어 내어 다음 코드로의 변화에 있어 앞코드와의 연관성이 없는 임의의 코드로 변경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보안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논리 회로부의 신호로 코드 변경시 복수 사용자의 환경에서 타인의 기억장소를 침범하지 못하도록 입력 회로부(5)내에 주소 번지를 차단하는 수단(27)을 포함하고, 이 차단수단(27)은 어드레스 시프트 레시스터의 시프트 클럭 입력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보안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기억 비교부(6)의 암호기(18)을 통하여 연산신호를 내보낼 때 기억장소의 내용이 모두 0이면 비교 신호(CAF)를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보안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논리 판단부(7)은 카드의 첨삭시 PROM 논리코드를 이용하고, 여러명의 동의를 통하여 카드의 첨삭을 가능하게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보안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논리 판단부(7)내의 PROM(8)의 논리 코드와 논리 회로(9)의 일부를 변경함으로써 동작 상태와 판단 조건을 변경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보안장치.
KR1019910015919A 1991-09-12 1991-09-12 광자기 카드를 이용한 전자식 보안장치 KR9400018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5919A KR940001856B1 (ko) 1991-09-12 1991-09-12 광자기 카드를 이용한 전자식 보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5919A KR940001856B1 (ko) 1991-09-12 1991-09-12 광자기 카드를 이용한 전자식 보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6287A KR930006287A (ko) 1993-04-21
KR940001856B1 true KR940001856B1 (ko) 1994-03-09

Family

ID=19319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5919A KR940001856B1 (ko) 1991-09-12 1991-09-12 광자기 카드를 이용한 전자식 보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185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6287A (ko) 1993-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73861B1 (en) Magnetic optical encryption/decryption disk drive arrangement
KR100590671B1 (ko) 해킹 방지를 갖는 보안 메모리
US3971916A (en) Methods of data storage and data storage systems
US8296582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py-protection on a storage medium and storage medium for use in such a system
US4960982A (en) IC card with secure mass storage memory
KR0138770B1 (ko) 데이타 록킹용 전자 키 장치
JP3091462B2 (ja) 情報識別装置
US429503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hieving secure password verification
KR100566627B1 (ko) 반도체 메모리 카드 및 데이터 판독장치
JPH0444314B2 (ko)
FR2401459B1 (ko)
NO319811B1 (no) Sikkerhetslager med multippelsikkerhetsniva
KR20000075917A (ko) 전자 데이터 처리 장치 및 시스템
WO1990015211A1 (en) Security system
KR940001856B1 (ko) 광자기 카드를 이용한 전자식 보안장치
CN112199740A (zh) 一种加密锁的实现方法及加密锁
KR20000023078A (ko) 기억매체, 판독/기록장치, 카드 시스템, 암호키 사용방법,역무 시스템 및 카드 발행기
US2010030323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tecting root key in control system
JPH07161172A (ja) データ記録媒体
WO1994006071A1 (en) A dongle
JPH06187510A (ja) 情報記録再生システム
JP4462911B2 (ja) 出入管理システム
JPH06299748A (ja) キャビネット
JP2677342B2 (ja) 携帯形半導体記憶装置システム
JPH06187511A (ja) 情報記録再生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8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