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1812Y1 - Test tone circuit - Google Patents

Test tone circu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1812Y1
KR940001812Y1 KR2019910011577U KR910011577U KR940001812Y1 KR 940001812 Y1 KR940001812 Y1 KR 940001812Y1 KR 2019910011577 U KR2019910011577 U KR 2019910011577U KR 910011577 U KR910011577 U KR 910011577U KR 940001812 Y1 KR940001812 Y1 KR 9400018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level
signal
test ton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11577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30003912U (en
Inventor
김학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100115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1812Y1/en
Publication of KR93000391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3912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18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1812Y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60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20Circuitry for controlling amplitude respon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7/00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 H04N2017/006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for television sou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내용 없음.No content.

Description

테스트 톤 회로Test tone circuit

제1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1 is a circuit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는 제1도에 따른 제어 흐름도.2 is a control flowchart according to FIG.

본 고안은 음장(Spaciousness)을 형성시키기 위한 디지탈 오디오 프로세서(Digital Audio Processor)나 프로로직(pro-Logic)이 내장된 TV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음장의 효과(jEffect)를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테스트 톤(Test tone)회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V system in which a digital audio processor or pro-logic is built in to create a spaciousness, and in particular, a test that can efficiently adjust the effect of a sound field (jEffect). It relates to a test tone circuit.

통산적으로 기존의 세트(Set)에서는 음장의 효과를 적절히 조절하기 위해서 테스트 톤 모드(MODE)를 사용하게 되면, 조절하려는 부분의 위치와는 상관없이 계속적으로 돌아가며 백색노이즈(WUITE NOISE)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조절 하려고 하는 위치가 돌아올때까지 기다렸다가 해당위치의 노이즈의 레벨을 조절하여야만 한다.In general, when using the test tone mode (MODE) to properly adjust the effect of the sound field in the conventional set, the white noise is continuously generated regardless of the position of the portion to be adjusted. do. Therefore, you must wait until the position you want to adjust is returned before adjusting the level of noise at that position.

따라서 종래에는 일반적인 오디오 신호로써는 정확한 음의 레벨을 설정할 수 없으므로 적절한 음장의 효과를 얻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Therefore, in the related art, since an accurate sound level cannot be set using a general audio signal, there is a problem that an appropriate sound field effect cannot be obtained.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정확한 음을 레벨을 설정함에 의해 음장의 효과를 효율적으로 조절있는 테스트톤 회로를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est tone circuit that can efficiently adjust the effect of a sound field by setting an accurate sound level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특정위치의 노이즈 음량을 조절하고자 할때는 그 위치의 노이즈만 계속적으로 나오게하고 조정을 일정시간 하지 않게되면 노이즈가 다시 돌아가면서 출력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you want to adjust the volume of the noise of a specific position, only the noise of the position is continuously coming out, and if the adjustment is not mad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noise is output again while rotating.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1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로서, 택트스위치로 이루어져 테스트톤 수행에 필요한 각종 기능키를 가지는 키입력부(50)의, 키입력부(50)의 키 입력을 스캐닝하여 상기 테스트톤 수행에 필요한 각종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100)와, 상기 제어부(100)의 레벨 제어신호를 입력하여 프론트부(40)의 표시출력을 드라이브하기 위한 구동부(30)와, 다수의 스위치를 내장하여 상기 어부(100)의 로직 제어신호에 따라 테스트톤 모드일 경우에 일정레벨의 노이즈를 발생시키기 위한 노이즈 발생기 및 신호스위칭부(10)와, 상기 노이즈 발생기 및 신호스위칭부(10)의 출력을 입력하여 상기 제어부(100)의 레벨 조정신호에 따라 신호레벨을 업/다운 조정하기 위한 레벨조정부(20)와, 상기 레벨 조정부(20)의 출력을 소정 레벨로 증폭하기 위한 증폭기(OP1-OP3)로 구성되어 있다.1 is a circuit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consists of a tact switch and has various function keys for performing a test tone, and scans a key input of a key input unit 50 to control various signals necessary for performing the test tone. A control unit 100 for outputting the control unit, a driving unit 30 for driving the display output of the front unit 40 by inputting a level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100, and a plurality of switches incorporating the fisherman 100. According to the logic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100 by inputting the noise generator and signal switching unit 10 and the noise generator and the signal switching unit 10 for generating a predetermined level of noise in the test tone mode A level adjustment unit 20 for up / down adjustment of the signal level in accordance with the level adjustment signal of < RTI ID = 0.0 >), < / RTI >

제2도는 제2도에 다른 제어흐름도로서, 본 고안에 다른 테스트 톤 모드를 수행하기 위해 (101)단→(110)단계롤 이루어져 있다.2 is a control flow diagram different from that of FIG. 2, and steps (101) to (110) are performed to perform a test tone m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고안을 상술한 구성에 의거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제1도에서 일반적인 음성신호(Audio Signal)는 입력단(A, B)로 입력되어 출력단(C, D)로 출력이 된다.First, in FIG. 1, a general audio signal is input to the input terminals A and B and output to the output terminals C and D.

여기서 상기 음성신호의 출력단(C)의 신호를 음장형성 스피커(SPEAEER)의 위치적인 관점에서 보아 프론투(FRONT) 효과, 출력단(D)의 신호를 리어(Rear)효과를 출력하는 스피커의 음성신호소스(SOURCE)라고 하면, 이때 음을 듣는 청취자에 따라서 상기 신호 벨 조정부(20)를 조절하여 각각의 효과래벨(EFFECT LEVEL)을 조절 최적의 음량 레벨로 조정한다.Here, the sound signal of the speaker outputting the front effect and the rear end signal of the output terminal D by viewing the signal of the output terminal C of the sound signal from the positional perspective of the sound field forming speaker SPEAEER. Speaking of the source SOURCE, the signal bell adjusting unit 20 is adjusted according to a listener who listens to the sound to adjust each effect level to the optimal volume level.

그러나 일상적인 음성신호로써는 그 변화가 심하기 때문에 정확한 음의 레벨을 조정하기가 불가하다. 따라서 이에대한 보완책으로 테스트톤 기능을 두어 정확한 음의 레벨 설정을 하도록 한 것인데, 본 고안은 이경우 보다 효과적인 조절기술의 개선에 주안점을 둔 것이다.However, it is impossible to adjust the correct sound level because the change is severe with a normal voice signal. Therefore, as a supplement to this, a test tone function is provided to set an accurate sound level, and the present invention focuses on improving an effective control technology in this case.

정상동작시에는 상기 입력단(A, B)에서 입력되는 프론트, 리어 음의 소스가 상기 노이즈 발생기 및 신호스위칭부(10)에서 패스되어 레벨조정부(20)로 입력되고, 입력단(M)에서 입력되어진 신호는 패스되어 가변저항(VR1)을 거쳐 출력단(M)에서 입력되어진 신호는 패스되어 가변저항(VR1)을 거쳐 출력단(N)으로 출력되지만, 키입력부(50)의 제4스위치(SW4)의 키를 터치(TOUCH)하여 테스트 톤 모드로 들어가게 되면, 상기 노이즈 발생기 및 신호 스위치부(10)는 지금까지 패스 시켰던 상기 입력단(A, B, M)의 음성신호를 오픈시키고 자체의 노이즈(NOISE) 신호를 출력라인(O, P, Q)를 통해서 출력시키게 되어 출력단(C, D, N)에서는 일정레벨의 노이즈가 출력되므로 음량을 조절하는데 좋은 조건이 된다.In normal operation, the front and rear sound sources input from the input terminals A and B are passed through the noise generator and the signal switching unit 10 and input to the level adjusting unit 20, and are input from the input terminal M. The signal is passed through the variable resistor VR1 and the signal input from the output terminal M is passed through the variable resistor VR1 and output to the output terminal N, but the fourth switch SW4 of the key input section 50 When the key is touched to enter the test tone mode, the noise generator and the signal switch unit 10 open the voice signals of the input terminals A, B, and M that have been passed so far, and make their own noise. Since the signal is output through the output lines (O, P, Q), noise of a certain level is output from the output terminals (C, D, N), which is a good condition for adjusting the volume.

여기서 제2스위치(SW2)는 효과 레벨을 조절하기 위한 키로서 이를 누르게 되면 효과 조절모드로 전환되어 상기 프론트부(10)에는 현재의 신호레벨 위치가 표시되어 진다. 다음 상기 제1스위치(SW1)을 누르면 레벨이 업(UP)이 되고 제3스위치(SW3)를 누르면 다운(DOWN)이 되어 레벨을 조절하는 것이다.Here, the second switch SW2 is a key for adjusting the effect level. When the second switch SW2 is pressed, the second switch SW2 is switched to the effect control mode, and the current signal level position is displayed on the front part 10. Next, when the first switch SW1 is pressed, the level is up, and when the third switch SW3 is pressed, it is down.

이와같은 동작을 상기 테스트 톤 모드에서도 동일하게 되어 이와같이 조절하게 된다.This operation is the same in the test tone mode and thus controlled.

따라서 테스트톤 스위치를 누르게 되면 상기 노이즈 발생기 및 신호 스위치(10)에서 발생되는 노이즈 신호가 제어부(100)의 출력단(e)에서 발생하는 로직 제어 신호에 의해서 상기 출력단(C, D, N)으로 순차적으로 일정시간을 갖고 출력하게 된다. 이것으로 사용자는 현재의 메인, 프론트, 리어 출력레벨을 쉽게 알수가 있다.Therefore, when the test tone switch is pressed, the noise signals generated by the noise generator and the signal switch 10 are sequentially transferred to the output terminals C, D, and N by logic control signals generated at the output terminal e of the controller 100. It prints out with a certain time. This makes it easy for the user to know the current main, front and rear output levels.

이때, 제2스위치(SW2)의 키를 터치 하게되면 상기 제어부(100)는 프론트, 리어의 조절모드로 들어가게 되는데, 예를들어 한번 누르면 프론트, 또한번 누르면 리어의 조절 모드로 해두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when the key of the second switch SW2 is touched, the control unit 100 enters the front and rear adjustment mode. For example, it is preferable to press the front button once, and to set the rear adjustment mode once. .

상술한 동작을 제2도의 제어흐름도에 따라 설명하면, (101) 단계를 상기 키입력부(50)의 제1 및 제3스위치(SW1, SW3)가 터치 되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Referring to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according to the control flowchart of FIG. 2, step 101 is a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first and third switches SW1 and SW3 of the key input unit 50 have been touched.

상기(101)단계에서 터치 되었으면(102) 단계를 수행하여 효과모드(Effect Mode)인가를 판단하여 효과모드이며(103)단계를 수행한다.If it is touched in step 101, step 102 is performed to determine whether an effect mode is an effect mode, and step 103 is an effect mode.

상기(103) 단계는 상기 제2도의 레벨 조정부(20)에 해당제어 데이타를 출력하고 리세트팀(Reset term)을 설정하는 단계이다.Step 103 is a step of outputting corresponding control data to the level adjusting unit 20 of FIG. 2 and setting a reset term.

상기(101) 단계에서 터치가 아니면(104) 단계를 수행하여 제4스위치(SW4)가 터치인가를 판단한다.In step 101, if it is not a touch (104),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fourth switch SW4 is a touch.

상기(104)단계에서 터치이면(105)단계를 수행하여 상기 제2스위치(SW2)가 터치인가를 판단한다.If it is touched in step 104, step 105 is performed to determine whether the second switch SW2 is touched.

상기(105) 단계에서 터치이면(106)단계를 수행하여 효과모드인 프론트 또는 리어 인가를 판단한다.If it is touched in step 105, step 106 is performed to determine whether an effect mode is applied to the front or the rear.

상기(106) 단계에서 프론트이면(107)단계를 수행하여 상기 출력단(C)으로 노이즈 신호를 발생시키고 리세트팀을 설정한다.In step 106, the front side 107 is performed to generate a noise signal to the output terminal C and to set the reset team.

상기(106) 단계에서 리어이면(108)단계를 수행하여 상기 출력단(D)으로 노이즈 신호를 발생시키고 리세트팀을 설정한다.If it is rear in step 106, step 108 is performed to generate a noise signal to the output terminal D and set a reset team.

상기(105)단계에서 터치가 아니면(109)단계를 수행하여 미리설정된 일정팀이 경과 하였는가를 판단한다.In step 105, if it is not the touch, step 109 is performed to determine whether a predetermined predetermined team has elapsed.

상기(109)단계에서 일정팀이 경과 하였으면 상기 출력단(C, D, N)으로 노이즈 신호를 발생시키고 효과모드를 리세트 한다.If a predetermined team has elapsed in step 109, a noise signal is generated to the output terminals C, D, and N, and the effect mode is reset.

여기서 상기 효과 모드는 음장을 효과적으로 형성시키기 위한 모드를 말한다.Here, the effect mode refers to a mode for effectively forming a sound field.

또한 본 고안에서 설명된 실시에의 상기 제어부(100)는 마이콤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를 이용할 수 없을 경우에는 논리게이트 및 래치수단등을 사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e to use a microcomputer, but when it is not available, it may be configured using a logic gate and latch means.

제1도에서 미설명된 저항(R1-R3)는 입력저항이며 가변저항(VR1)은 상기 출력라인(Q)의 레벨을 가변적으로 조정하기 위한 저항이다.The resistors R1-R3, which are not described in FIG. 1, are input resistors and the variable resistor VR1 is a resistor for variably adjusting the level of the output line Q.

여기서 상기 레벨 조정부(20)는 디지탈 신호로써 제어되는 전자식 연동볼륨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증폭기(OP1-OP3)는 연산증폭기를 이용하였다.Here, the level adjusting unit 20 preferably uses an electronic interlocking volume controlled as a digital signal, and the amplifiers OP1 to OP3 use operational amplifiers.

이상의 동작설명에서 알수 있는 바와같이 프론트, 리어 조절모드로 키입력부(50)의 키를 세팅하게 되면, 노이즈 신호의 출력이 순서적으로 돌아가게 되던것이 멈추면서 현재모드의 위치에 고정된 노이즈신호가 계속적으로 발생되어 진다. 이후 일정시간이 지나면 즉, 레벨조절의 동작이 없으면 원래의 일정시간 팀를 갖고 돌아가면서 출력단(C, D, N)에 노이즈 신호를 출력한다.As can be seen from the above operation description, when the key of the key input unit 50 is set in the front and rear adjustment modes, the output of the noise signal is stopped in order, and the noise signal fixed at the current mode position is stopped. It is generated continuously. After a certain time, that is, if there is no operation of the level adjustment, the team outputs a noise signal to the output terminals C, D, and N while returning with the original fixed time team.

상기 테스트 톤 모드를 탈출(escape)하혀면 제4스위치(SW4)를 누르거나 기타의 세트가 갖고 있는 기능 스위치를 누르면된다.To escape the test tone mode, press the fourth switch SW4 or press the function switch of the guitar set.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정확한 음의 레벨을 설정하도록 함에 의해 음장의 효과를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잇으므로 사용자에게 보다 개선된 청취감을 제공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that the effect of the sound field can be efficiently adjusted by setting the correct sound level, thereby providing an improved listening feeling to the user.

Claims (6)

음장을 형성시키기 위한 디지탈 오디오 프로세서에 있어서, 택트스위치로 이루어져 테스트톤 수행에 필요한 각종 기능키를 가지는 키 입력부(50)와, 상기 키입력부(50)의 키 입력을 스캐닝하여 상기 테스트톤 수행에 필요한 각종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100)와, 상기 제어부(100)의 레벨 제어신호를 입력하여 프론트부(40)의 표시출력을 드라이브 하기 위한 구동부(30)와, 다수의 스위치를 내장하여 상기 제어부(100)의 로직 제어 신호에 따라 테스트톤 모드일 경우에 일정레벨의 노이즈를 발생시키기 위한 노이즈 발생기 및 신호스위칭부(10)와, 상기 노이즈 발생기 및 신호스위칭부(10)의 출력을 입력하여 상기 제어부(100)의 레벨 조정신호에 따라 신호레벨을 업/다운 조정하기 위한 레벨 조정부(2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 톤 회로.A digital audio processor for forming a sound field, comprising: a key input unit 50 consisting of a tact switch and having various function keys necessary for performing a test tone, and scanning a key input of the key input unit 50 to perform the test tone. The control unit 100 for outputting various control signals, the drive unit 30 for driving the display output of the front unit 40 by inputting the level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100, and the control unit by embedding a plurality of switches The noise generator and the signal switching unit 10 and the outputs of the noise generator and the signal switching unit 10 for generating a predetermined level of noise in the test tone mode according to the logic control signal of 100 are inputted to the And a level adjusting unit (20) for adjusting the signal level up / down according to the level adjusting signal of the control unit (10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 조정부(20)가 디지탈 제어신호에 의해 조정되는 전자식 연동볼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 톤 회로.The test tone circui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evel adjusting unit (20) is composed of an electronic interlocking volume adjusted by a digital control sig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00)가 미리 설정된 소정논리에 의해 테스트 톤 수행을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콤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 톤 회로.The test tone circui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100) comprises a micom that outputs a control signal for performing a test tone by a predetermined logic. 음장을 형성시키기 위해 프로-로직이 내장된 TV시스템에 있어서, 택트스위치로 이루어져 테스트톤 수행에 필요한 각종 기능키를 가지는 키 입력부(50)와, 상기 키입력부(50)의 키 입력을 스캐닝하여 상기 테스트톤 수행에 필요한 각종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100)와, 상기 제어부(100)의 레벨 제어신호를 입력하여 프론트부(40)의 표시출력을 드라이브 하기 위한 구동부(30)와, 다수의 스위치를 내장하여 상기 제어부(100)의 로직 제어 신호에 따라 테스트톤 모드일 경우에 일정레벨의 노이즈를 발생시키기 위한 노이즈 발생기 및 신호스위칭부(10)와, 상기 노이즈 발생기 및 신호스위칭부(10)의 출력을 입력하여 상기 제어부(100)의 레벨 조정신호에 따라 신호레벨을 업/다운 조정하기 위한 레벨 조정부(2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 톤 회로.In a TV system having a built-in pro-logic to form a sound field, a key input unit 50 having various function keys necessary for performing a test tone by a tact switch and a key input of the key input unit 50 are scanned and the A control unit 100 for outputting various control signals required to perform a test tone, a drive unit 30 for driving the display output of the front unit 40 by inputting a level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100, and a plurality of switches A noise generator and signal switching unit 10 for generating a predetermined level of noise in a test tone mode according to a logic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100, and the noise generator and signal switching unit 10 of And a level adjustment unit (20) for inputting an output to adjust the signal level up / down according to the level adjustment signal of the control unit (10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 조정부(30)가 상기 레벨 조정부(20)의 출력을 소정레벨로 증폭하기 위한 증폭기(OP1-OP3)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 톤 횔로.5. The test tone amplifier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level adjuster (30) further comprises amplifiers (OP1-OP3) for amplifying the output of the level adjuster (20) to a predetermined level.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 조정부(20)가 디지탈 제어 신호에 의해 조정되는 전자식 연동 볼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 톤 회로.5. The test tone circuit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level adjuster (20) is constituted by an electronic interlocking volume adjusted by a digital control signal.
KR2019910011577U 1991-07-23 1991-07-23 Test tone circuit KR940001812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1577U KR940001812Y1 (en) 1991-07-23 1991-07-23 Test tone circu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1577U KR940001812Y1 (en) 1991-07-23 1991-07-23 Test tone circu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3912U KR930003912U (en) 1993-02-26
KR940001812Y1 true KR940001812Y1 (en) 1994-03-24

Family

ID=19316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11577U KR940001812Y1 (en) 1991-07-23 1991-07-23 Test tone circu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1812Y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3912U (en) 1993-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77540A (e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having a pan-pot function
KR940001812Y1 (en) Test tone circuit
US5434923A (en) Acoustic apparatus
GB2207542A (en) Electric guitar pickup switching circuitry
EP1037503A3 (en) Audio equipment and method of displaying operation thereof
JPS6246879B2 (en)
US5451712A (en) Positional effect sound generation apparatus for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JP3063948B2 (en) Sound output device
KR920005935Y1 (en) Switching circuit of sound and mic
JP2891553B2 (en) Sound field control device
KR200319502Y1 (en) Apparatus for processing sound of television
KR0113214Y1 (en) Karaoke system
JPH06232668A (en) Audio equipment
JP2770561B2 (en) Mute circuit
JPH05161200A (en) Audio system integration equipment
KR0164569B1 (en) Circuit for controlling a voice signal
KR930007372Y1 (en) Function switching circuit for audio set
JPH038556B2 (en)
KR940011872B1 (en) Echo effect sound output control method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
KR0164578B1 (en) Back ground music processing circuit in television
JP3094510B2 (en) Sound image localization control device
KR960006402B1 (en) Complex karaoke vcr using monitor
JPH04278799A (en) Sound field controller
KR940004183Y1 (en) Speaker-sound control circuit
JPH0635541Y2 (en) Guide tone output circu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22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