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3214Y1 - Karaoke system - Google Patents

Karaoke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3214Y1
KR0113214Y1 KR2019940026231U KR19940026231U KR0113214Y1 KR 0113214 Y1 KR0113214 Y1 KR 0113214Y1 KR 2019940026231 U KR2019940026231 U KR 2019940026231U KR 19940026231 U KR19940026231 U KR 19940026231U KR 0113214 Y1 KR0113214 Y1 KR 01132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ompaniment
sound
amplifier
karaoke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26231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60015482U (en
Inventor
김종화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20199400262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3214Y1/en
Publication of KR96001548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5482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32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3214Y1/en

Links

Landscapes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라오케 반주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가창자나 다른 사람이 임의로 반주나 간주가 불가능하므로 가라오케장치의 효과가 미흡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은 가라오케 모드에서 임의로 반주나 효과연출이 가능하도록 하여 가창자가 노래를 부르는 동안 가창자 이외의 사람도 즐길 수 있고 적절한 효과음을 구사하여 흥미를 더할 수 있도록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araoke accompaniment apparatus, conventionally, since the accompaniment or other people can not be arbitrarily accompaniment or considered, the effect of the karaoke apparatus was insufficient.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random accompaniment or effect production in the karaoke mode, so that the singer can enjoy the song other than the singer while singing.

Description

가라오케 반주장치Karaoke Accompaniment

제1도는 종래 가라오케장치의 회로구성도.1 is a circuit diagram of a conventional karaoke apparatus.

제2도는 본 고안 가라오케 반주장치의 회로구성도.2 is a circuit diagram of the karaoke accompani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3도는 제2도에서 믹서 및 제4증폭기의 상세회로도.3 is a detailed circuit diagram of the mixer and the fourth amplifier in FIG.

제4도는 제2도의 가라오케 반주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원격조정기의 구성도.4 is a block diagram of a remote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karaoke accompaniment device of FIG.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 : 원격조정기 12 : 원격조정용 수신부11: remote controller 12: receiver for remote control

13 : 마이크로컴퓨터 14 : 음원 아이씨(IC)13: microcomputer 14: sound source IC (IC)

15 : 기억/재생부 16 : 영상처리부15: memory / playback unit 16: image processing unit

17 : 믹서 18~21 : 증폭기17 mixer 18-21 amplifier

MIC : 마이크 SPK : 스피커MIC: Microphone SPK: Speaker

Q1~Q6 : 트랜지스터Q1 ~ Q6: Transistor

본 고안은 가라오케 반주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창자나 다른 사람이 기록된 반주외의 효과음이나 반주를 적절히 구사하여 가라오케의 반주효과를 높이도록 한 가라오케 반주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araoke accompaniment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karaoke accompaniment apparatus in which a singer or another person uses a sound effect or accompaniment other than the recorded accompaniment to enhance the accompaniment effect of karaoke.

종래 가라오케 장치의 회로구성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입력신호에 따라 해당반주가 나오도록 제어신호를 출력시키는 마이크로컴퓨터(3)와, 상기 마이크로컴퓨터(3)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반주를 재생시킴과 아울러 해당반주에 해당하는 영상신호를 영상처리부(6)로 출력시키는 기억/재생부(5)와, 상기 기억/재생부(5)와, 상기 기억/재생부(5)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와 마이크(MIC)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에 대해 소정레벨로 각각 증폭하여 출력시키는 제1,2증폭기(8)(9)와, 상기 제1,2증폭기(8)(9)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혼합하여 출력시키는 믹서(7)와, 상기 믹서(7)를 통해 혼합된 신호를 스피커(SPK)를 통해 외부로 출력가능하도록 증폭시키는 제3증폭기(10)로 구성된다.The circuit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karaoke apparatus is a microcomputer 3 for outputting a control signal such that the accompaniment is output according to an input signal as shown in FIG. And a storage / playback section 5 for outputting a video signal corresponding to the accompaniment to the video processing section 6, the storage / playback section 5, and the storage / playback section 5, respectively. The first and second amplifiers 8 and 9 for amplifying and outputting the signal and the voice signal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MIC to a predetermined level, respectively, and outputting from the first and second amplifiers 8 and 9. And a third amplifier 10 for amplifying the mixed signal through the speaker 7 and outputting the mixed signal through the speaker 7.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기술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Looking at the conventional technology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가라오케를 사용하는 사람이 먼저 해당하는 노래를 선택하면 이를 마이크로컴퓨터(3)에서 인식하고 기억/재생부(5)로 해당곡이 재생되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기억/재생부(5)는 제2증폭기(9)로는 반주에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고 영상처리부(6)로는 그 곡에 재생되도록 하는 영상신호를 출력하여 화면을 통하여 노래가사와 함께 영상이 나오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2증폭기(9)는 기억/재생부(5)로부터 재생된 반주신호를 소정레벨로 증폭시켜 믹서(7)로 전달하여 준다.When the person using the karaoke first selects the song, the microcomputer 3 recognizes the song, and the memory / reproducing unit 5 plays the song. Then, the memory / reproducing unit 5 outputs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accompaniment to the second amplifier 9 and an image signal for reproducing the song to the image processing unit 6 to display the image along with the song lyrics through the screen. Let this come out. At this time, the second amplifier 9 amplifies the accompaniment signal reproduced from the memory / reproducing section 5 to a predetermined level and delivers the accompaniment signal to the mixer 7.

이와 동시에 사용자가 마이크(MIC)를 들고 노래를 부르면 그 음성신호는 제1증폭기(8)를 통해 소정레벨로 증폭되어 상기 믹서(7)로 입력되면, 상기 믹서(7)는 두 입력신호를 혼합하여 라인증폭기(10)로 출력시켜 출력에 적당하도록 증폭되어 스피커(SPK)로 재생된다.At the same time, when the user sings with a microphone, the voice signal is amplified to a predetermined level through the first amplifier 8 and input to the mixer 7, and the mixer 7 mixes two input signals. The output signal is output to the line amplifier 10, amplified to be suitable for the output, and reproduced by the speaker SPK.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 가창자나 다른 사람이 임의로 반주나 간주가 불가능하므로 가라오케장치의 효과가 미흡하였다. 즉, 기억되어 있는 반주 이외에는 다른 효과음 등을 첨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such a conventional technique, since the singer or others cannot arbitrarily accompany or regard it, the effect of the karaoke apparatus was insufficient. That is, there was a problem in that no other effect sound or the like could be added except for the memorized accompaniment.

따라서, 본 고안은 가라오케 모드에서 임의로 반주나 효과연출이 가능하도록 하여 가창자가 노래를 부르는 동안 가창자 이외의 사람도 즐길 수 있고 적절한 효과음을 구사하여 흥미를 더할 수 있도록 한 가라오케 반주장치에 관한 것이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araoke accompaniment apparatus that enables accompaniment or effect production in a karaoke mode to be enjoyed by a person other than the singer while the singer sings and to add interest by using an appropriate sound effec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동작모드 이외에 미리 설정된 효과음아니 반주음을 추가하는 가라오케모드를 행할 수 있도록 하는 원격조정기(11)와, 상기 원격조정기(11)의 출력신호를 수신하여 본체에 전달하여 주는 원격조정용 수신부(12)와, 상기 원격조정용 수신부(12)를 통해 입력받은 지시신호를 송출하여 주는 마이크로컴퓨터(13)와, 상기 마이크로컴퓨터(13)의 지시에 따라 효과음이나 반주음을 낼 수 있는 음원아이씨(14)와, 마이크(MIC) 및 증폭기(18)를 통한 음성신호와 기억/재생부(15) 및 증폭기(19)를 통한 재생반주 그리고 음원아이씨(14)로 음성출력을 모두 입력받아 혼합한 후 출력하는 믹서(17)와, 상기 믹서(17)를 통해 혼합된 신호를 증폭시킨 후 스피커(SPK)로 재생되도록 하는 라인증폭기(21)로 구성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to receive a remote controller 11 and the output signal of the remote controller 11 to the karaoke mode to add a predetermined sound effect or accompaniment sound in addition to the operation mode and transmits to the main body A remote control receiving unit 12 for transmitting a signal, and a microcomputer 13 for transmitting an instruction signal input through the remote control receiving unit 12, and an effect sound or accompaniment sound according to the instructions of the microcomputer 13; The sound source IC 14, the audio signal through the microphone (MIC) and the amplifier 18, and the playback accompaniment through the memory / playback unit 15 and the amplifier 19, and the sound output IC 14 The mixer 17 is configured to receive and mix input and output, and a line amplifier 21 for amplifying the mixed signal through the mixer 17 and then reproducing the mixed signal through the speaker SPK.

그리고 상기 원격조정기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각 기능키를 이중구조의 스위치놉으로 구성하여 모드절환스위치를 이용한 스위치절환에 따라 재생, 기록, 정지, 일시정지등의 동작모드나 북소리, 심벌즈, 나팔, 종 등의 가라오케모드 제어가 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각 기능키의 상단에 큰북 소리를 낼 수 있는 경우엔 큰북의 상을 표시하여 주도록 하고, 나팔소리를 낼 수 있는 경우엔 나팔의 상을 표시하여 주도록 한다.As shown in FIG. 4, the remote controller configures each function key as a switch knob having a dual structure, and operates modes such as play, record, stop, and pause, drum sounds, cymbals, etc. according to a switch switch using a mode switch. Allows karaoke mode control of trumpets, bells and bells. At this time, if the top of each of the function keys can make a sound of the drum, the image of the drum is to be displayed, if the sound of the trumpet to display the image of the trumpet.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n detail.

어떤 사람이 가라오케장치를 이용하여 노래를 부르고자 할 때 먼저, 원격조정기(11)의 모드절환스위치(30)를 절환하여 동작모드로 선정한 후 부르고자 하는 노래곡명의 번호를 누르게 되면 수신부(12)에서 그에 해당하는 신호를 입력받아 마이크로컴퓨터(13)로 전달하여 준다. 이에 상기 마이크로컴퓨터(13)가 입력받은 지시신호를 기억/재생부(15)로 출력하여 그로부터 인출되는 반주신호가 증폭기(19)를 통해 믹서(17)로 출력하도록 한다.When a person wants to sing a song using a karaoke device, first, the mode switching switch 30 of the remote controller 11 is selected as an operation mode, and then the number of the song song to be sung is pressed. Receives the corresponding signal from and delivers it to the microcomputer (13). Accordingly, the microcomputer 13 outputs the input signal to the memory / reproducing unit 15 so that the accompaniment signal drawn therefrom is output to the mixer 17 through the amplifier 19.

그러면 상기 믹서(17)는 기억/재생부(15)로부터 입력되는 반주신호와 함께 가창자가 마이크(MIC)를 잡고 노래를 불렀을 때 발생하는 음성신호를 합하여 라인증폭기(21)로 전달하여 준다. 이에 상기 라인증폭기(21)는 스피커(SPK)로 재생가능하도록 소정레벨로 증폭하여 출력한다.Then, the mixer 17 combines the accompaniment signal input from the memory / playback unit 15 together with the voice signal generated when the singer grabs the microphone MIC and sings the song to the line amplifier 21. The line amplifier 21 amplifies and outputs a predetermined level so as to be reproduced by the speaker SPK.

이때 노래를 부르는 사람 이외의 사람이 원격조정기(11)의 모드절환 스위치(30)를 절환하여 가라오케모드로 선정한 후 스위치놉(111)을 누르면, 수신부(12)를 통해 마이크로컴퓨터(13)가 북소리의 효과음을 내고자 함을 인식하고 음원아이씨(14)를 제어하여 큰 북 소리의 효과음이 상기 믹서(17)로 입력되어 가창자의 음성신호 및 기억/재생부(15)의 반주신호와 함께 혼합되어 스피커(SPK)로 출력되도록 한다.At this time, a person other than the singer switches the mode switching switch 30 of the remote controller 11 and selects the karaoke mode, and then presses the switch knob 111. Then, the microcomputer 13 sounds the drum through the receiver 12. Recognizing the effect sound of the sound and controlling the sound source IC 14, the sound effect of the loud drum sound is input to the mixer 17 is mixed with the voice signal of the singer and the accompaniment signal of the memory / playback unit 15 speaker Output to (SPK).

여기서 스위치놉(112)을 누르면 작은북 소리가 나고, 스위치놉(113)을 누르면 심벌즈소리가, 스위치놉(114)를 누르면 실로폰 소리가, 스위치놉(115)(116)을 누르면 나팔, 종소리가 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놉들은 111, 111', 111과 같이 수직적으로 같은 위치에 착설하여 윗덮개를 덮은 상태로 놉을 누르면 111'과 111이 작용하여 연결되도록 하였다.Pressing the switch knob 112 produces a snare drum sound, pressing the switch knob 113 presses the cymbal sound, pressing the switch knob 114 presses the xylophone sound, pressing the switch knobs 115 and 116 presses the trumpet and the bell. It is supposed to be me. In addition, the knobs are installed at the same position vertically as 111, 111 ', and 111 so that when the knob is pressed while the top cover is covered, 111' and 111 are connected to each other.

그리고 상기 믹서(17)와 라인증폭기(21)의 동작을 살펴보면, 마이크(MIC)의 입력이 증폭기(18)를 통하여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인가되어 턴온됨에 따라 전원전압단(Vccl)의 전압이 에미터측으로 출력되고, 기억/재생부(15)의 출력이 증폭기(19)를 통하여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입력됨에 따라 턴온되어 전원전압단(Vccl)의 전압이 에미터측으로 출력됨에 동시에 콜렉터에도 증폭된 출력이 라인증폭기(21)로 출력된다.The operation of the mixer 17 and the line amplifier 21 will be described. As the input of the microphone MIC is applied to the base of the transistor Q1 through the amplifier 18 and turned on, the voltage of the power supply voltage terminal Vccl is turned on. It is output to the emitter side, and the output of the storage / reproducing section 15 is input to the base of the transistor Q2 through the amplifier 19, and is turned on so that the voltage of the power supply voltage terminal Vccl is output to the emitter side. The amplified output is also output to the line amplifier 21 at the collector.

이때 상기 믹서(17)의 트랜지스터(Q1)의 에미터측 출력은 트랜지스터(Q2)의 에미터에 영향을 주어 그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출력에 혼합되는 효과로 나타나고, 마이크로컴퓨터(13)의 지시에 따른 음원아이씨(14)의 출력도 증폭기(10)를 통하여 믹서(17)의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에 입력되어 턴온됨에 따라 이 트랜지스터(Q3)의 에미터측 출력도 역시 트랜지스터(Q2)의 에미터에 연결되어 그의 콜렉터에로 혼합 출력된다.At this time, the emitter side output of the transistor Q1 of the mixer 17 affects the emitter of the transistor Q2 and appears to be mixed with the collector output of the transistor Q2. As the output of the sound source IC 14 is also input through the amplifier 10 to the base of the transistor Q3 of the mixer 17 and turned on, the emitter side output of the transistor Q3 is also the emitter of the transistor Q2. It is connected to and outputs mixed to his collector.

즉, 마이크(MIC)의 출력과 기억/재생부(15)의 출력 및 음원아이씨(14)의 출력이 혼합되어 최종 라인증폭기(21)를 통해 증폭되어 스피커(SPK)로 나간다.That is, the output of the microphone MIC, the output of the memory / reproducing section 15, and the output of the sound source IC 14 are amplified by the final line amplifier 21 and go out to the speaker SPK.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가라오케 모드에서 임의로 반주나 효과연출이 가능하므로 가창자가 노래를 부르고 있는 동안에 가창자 이외의 사람도 원격조정기(11)를 이용하여 큰북, 작은북, 실로폰이나 나팔소리와 같은 효과음을 중간중간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서로 흥미를 돋우며 즐길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mpaniment or effect production can be performed in the karaoke mode, so that a person other than the singer can use the remote controller 11 while the singer is singing. By inserting it in the middle, there is an effect to inspire and enjoy each other.

Claims (3)

모드절환에 따라 미리 설정된 효과음이나 반주음을 낼 수 있는 키를 구비한 원격조정기와, 상기 원격조정기의 출력신호를 수신하여 본체에 전달하여 주는 수신수단과, 상기 수신수단을 통해 입력받은 지시신호를 송출하여 주는 마이크로컴퓨터와, 상기 마이크로컴퓨터의 지시에 따라 효과음이나 반주음을 낼 수 있는 음원아이씨와, 마이크(MIC) 및 증폭기를 통한 음성신호와 기억/재생부 및 증폭기를 통한 재생반주 그리고 음원아이씨로 부터의 음성츨력을 모두 입력받아 혼합한 후 증폭기를 통해 스피커(SPK)로 재생되도록 하는 믹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라오케 반주장치.A remote controller having a key capable of generating a predetermined sound effect or accompaniment according to mode switching, receiving means for receiving an output signal of the remote controller and delivering the signal to the main body, and an indication signal received through the receiving means. A microcomputer for transmitting, a sound source IC capable of producing an effect sound or an accompaniment sound according to the instructions of the microcomputer, a voice signal through a microphone (MIC) and an amplifier, a playback accompaniment through a memory / playback unit and an amplifier, and a sound source IC Karaoke accompani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mixer that receives all the audio output from the mixer and mixes them and then reproduces them through a amplifier (SPK). 제1항에 있어서, 키는 되감기(REW)/기록(REV), 재생(PLAY), 빨리감기(FF)/전진고속재생(CUE)등의 기능키 및 북소리, 나팔소리, 종소리등의 효과음키로서의 두가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이중구조의 스위치놉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라오케 반주장치.The function key of claim 1, wherein the key is a function key such as rewinding / recording, replaying, playing fast forwarding, fast forwarding, and the like. Karaoke accompani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mposed of a switch knob of the dual structure to perform two functions as. 제1항에 있어서, 키는 그의 상면에 작은북, 큰북, 심벌즈, 실로폰, 나팔, 종등의 상을 표시하여 그 키를 눌렀을 때 사용자가 바로 어떠한 효과음이 발생하는 지를 알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라오케 반주장치.According to claim 1, The key is display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rum, snare drum, cymbal, xylophone, trumpet, bell, etc. so that the user can immediately know what effect sounds when the key is pressed Karaoke accompaniment device.
KR2019940026231U 1994-10-07 1994-10-07 Karaoke system KR0113214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6231U KR0113214Y1 (en) 1994-10-07 1994-10-07 Karaoke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6231U KR0113214Y1 (en) 1994-10-07 1994-10-07 Karaoke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5482U KR960015482U (en) 1996-05-17
KR0113214Y1 true KR0113214Y1 (en) 1998-04-17

Family

ID=19395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26231U KR0113214Y1 (en) 1994-10-07 1994-10-07 Karaoke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3214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0860B1 (en) * 2005-08-12 2007-02-09 임정우 Effect sound produc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0860B1 (en) * 2005-08-12 2007-02-09 임정우 Effect sound produc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5482U (en) 1996-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70988B1 (en) Recording and regenerating apparatus in microphone
US5319452A (en) Control system for concentrative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usic accompanying apparatuses
JP4608718B2 (en) Musical instrument
JPH10149179A (en) Karaoke system
KR100373477B1 (en) Sound reproducing apparatus
JP3750699B2 (en) Music playback device
KR0113214Y1 (en) Karaoke system
JP3871382B2 (en) Music playback device
JP4123583B2 (en) Karaoke equipment
JP2004205818A (en) Karaoke machine
JP4107212B2 (en) Music playback device
JPH1091175A (en) Musical tone reproducing system
JP3948685B2 (en) Karaoke equipment
JP3480331B2 (en) Effect device and automatic performance device
JP2959804B2 (en) Karaoke equipment
JPH08292782A (en) Karaoke device which decrease sound volume between music or during intermediate orchestration
JPH0728607Y2 (en) Singing device
JP2833138B2 (en) Karaoke equipment
JP3392650B2 (en) Karaoke equipment
JPH0142878Y2 (en)
JP2006184684A (en) Music reproducing device
KR20000073402A (en) Karaoke system having a function for reproducing MPEG data and the method thereof
KR100296927B1 (en) Sound facility with accompaniment and song separately
JP3899149B2 (en) Music generator
JP2002055688A (en) Karaoke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10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