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1787B1 - 전원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전원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1787B1
KR940001787B1 KR1019910018899A KR910018899A KR940001787B1 KR 940001787 B1 KR940001787 B1 KR 940001787B1 KR 1019910018899 A KR1019910018899 A KR 1019910018899A KR 910018899 A KR910018899 A KR 910018899A KR 940001787 B1 KR940001787 B1 KR 9400017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signal
control
switch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88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8548A (ko
Inventor
김형중
Original Assignee
김형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중 filed Critical 김형중
Priority to KR10199100188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1787B1/ko
Publication of KR9300085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85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17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17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00Comparing elements, i.e. elements for effecting comparison directly or indirectly between a desired value and existing or anticipated valu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원 제어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전체 블럭 구성도.
제2도는 무선 스위치 회로의 상세 구성도.
제3도는 수신 및 제어회로의 상세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계전기(Relay Switch) 2 : 전원 공급회로
3 : 수신 및 제어회로 4 : 무선 스위치 회로
5 : 슬림형 접착식 와이어 6 : 박막형 터치(Touch) 스위치
본 발명은 전원 ON/OFF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유선 스위치나 무선 스위치로 전원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전원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원공급원의 ON/OFF를 제어하는 제어방식에 있어, 기존 유선 스위치로 제어장치를 구성할 경우 스위치와 제어장치간의 연결시 선로연결 공사가 복잡하고, 사용중 스위치의 위치 변경시 처음 선로 공사에 버금가는 수고를 요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고, 전원제어시 스위치가 있는 장소까지 가서야만 전원을 제어할 수 있는 불편함도 있었다.
또한, 상기 유선 스위치로의 제어방식의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해 상기 유선 스위치와 겸용해서 사용하거나 단독으로 사용하도록 구성된 종래의 무선 스위치 방식은 저주파를 이용하기 때문에 제어장치와 무선 스위치 사이에 장애물이 없는 공간에서만, 즉, 무선 스위치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시야에 제어장치가 있을 경우에만 사용할 수 있는 한계가 있었다. 그리고, 무선 스위치의 스위칭 동작이 토글(Toggle) 방식 즉, 한번 누르면 ON, 다시한번 누르면 OFF로 동작하므로 ON/OFF의 확인을 필히 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설치가 매우 간편한 유선스위치와 자기 고유 코드신호를 갖는 고주파를 송출하는 무선 스위치 회로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설치가 간단하고 시야에 벗어난 원거리에서도 안정된 전원제어동작을 하는 전원 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박막형 터치 스위치와, 상기 박막형 터치 스위치에 연결된 슬림형 접착식 와이어와, 고유 신호 데이터를 고주파 반송파와 변조시킨 변조파를 무선으로 송출하며 ON/OFF 스위치가 각각 따로 설치된 무선 스위치의수단과, 상기 슬림형 접착식 와이어에 연결되고 상기 무선 스위치 수단의 송신출력과 상기 박막형 터치 스위치의 동작출력을 논리합으로 수신하여 ON/OFF 스위칭 신호에 따라 ON/OFF 상태를 래치하여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수신 및 제어수단과, 상기 수신 및 제어수단에 동작신호 인가단자가 연결되고 스위칭단자에는 전원중의 일선이 연결되어 상기 수신 및 제어수단의 제어신호를 동작신호로 받아 상기 전원선중 일선의 단락과 개방을 스위칭 하여 전원공급을 단속하는 계전기와, 상기 전원선에 입력단이 연결되고 출력단은 상기 수신 및 제어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수신 및 제어수단의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정전압 공급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전체 블럭 구성도로서, 도면에서 1은 계전기(Relay Switch), 2는 전원 공급회로, 3은 수신 및 제어회로, 4는 무선 스위치 회로, 5는 슬림형 접착식 와이어, 6은 박막형 터치(Touch) 스위치를 각각 나타낸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박막형 터치 스위치(6)와, 상기 박막형 터치 스위치(6)에 연결된 슬림형 접착식 와이어(5)와, 고유 신호 데이터를 고주파 반송파와 변조시킨 변조파를 무선으로 송출하며 ON/OFF 스위치가 각각 따로 설치된 무선 스위치 회로(4)와, 상기 슬림형 접착식 와이어(5)에 연결되고 상기 무선 스위치 회로(4)의 송신출력과 상기 박막형 터치 스위치(6)의 동작출력을 논리합으로 수신하여 ON/OFF 스위칭 신호에 따라 ON/OFF 상태를 래치하여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수신 및 제어회로(3)와, 상기 수신 및 제어회로(3)에 동작신호 인가단자가 연결되고 스위칭단자에는 전원중의 일선이 연결되어 상기 수신 및 제어회로(3)의 제어신호를 동작신호로 받아 상기 전원선중 일선의 단락과 개방을 스위칭하여 전원공급을 단속하는 계전기(1)와, 상기 전원선에 입력단이 연결되고 출력단은 상기 수신 및 제어회로(3)에 연결되어 상기 수신 및 제어회로(3)의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정전압 공급회로(2)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특징은 유선 스위치를 슬림형 접착식 와이어로 연결하므로 배선의 시공 및 위치 변경시 설치가 매우 간단하고, 무선으로 제어할 경우 고유 신호 데이터를 고주파 반송파와 변조시킨 변조파로 ON/OFF 제어신호를 제공하므로 시야에서 벗어나 있는 제어장치도 제어가 가능하며 제어신호가 고유 데이터를 가지므로 동일 건물내에 동종의 기기가 설치되어도 혼신으로 인한 오동작이 배제된다.
또한, 무선 스위치 회로에 ON/OFF 스위치를 각각 따로 두어 시야에서 벗어나 있는 곳의 전원을 눈으로 확인하지 않아도 확실히 ON/OFF를 시킬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
이제, 본 발명의 세부구성을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제2도는 무선 스위치 회로의 상세 구성도로서, 도면에서 11은 ON/OFF 스위치부, 12는 인코더부, 13은 RF(Radio Frequency) 송신부를 각각 나타낸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선 스위치 회로(4)는, 적어도 한쌍 이상의 ON/OFF 스위치로 이루어진 ON/OFF 스위치부(11)와, 상기 ON/OFF 스위치부(11)에 연결되어 ON/OFF 스위치의 동작에 따라 해당 데이터 코드를 출력하는 인코더부(12)와, 상기 인코더부(12)에 연결되어 상기 인코더부(12)에서 출력되는 데이터 코드를 고주파에 실어 FM 변조한 후 무선으로 송출하는 RF 송신부(13)로 구성된다.
ON/OFF 스위치부(11)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ON/OFF 스위치 쌍으로 이루어져 적어도 하나이상의 전원 제어신호를 낼 수 있도록 구성되고, 인코더부(12)는 인코더 IC칩(MC145026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RF 송신부(13)는 도면에서와 같이 자려발진형 FM 송신회로로 구성되는데 가장 간단하고 일반적인 공지의 회로이다.
제3도는 수신 및 제어회로(3)의 상세 구성도로서, 도면에서 14는 RF 수신부, 15는 적분부, 16는 비교부, 17은 디코더부, 18은 ON/OFF 제어부, 181은 논리합부, 182는 증폭 및 정형부, 183은 래치부, 184는 계전기 구동부, C1, C2, C3는 콘덴서, R은 저항 Q1, Q2, Q3는 트랜지스터, D-FF는 D플립플롭, INV는 인버터, D는 다이오드를 각각 나타낸다.
RF 송신부(13)에서 출력된 RF변조 주파수는 자려발진형 수신회로로 구성된 RF수신부(14)에 동조되어 무선입력 되며, 무선 입력된 RF 변조 주파수는 1차 필터링되어 상기 RF수신부(14)의 출력단으로 출력된다.
상기 RF수신부(14)의 출력단에 연결된 적분부(15)는 OP 앰프를 이용한 적분회로로 구성되며, 입력된 상기 수신회로부(14)의 출력을 무선 스위치 회로(4)에서 코딩된 원래의 데이터 신호로 복원시켜 출력시킨다.
상기 적분부(15)의 출력단에 연결된 비교부(16)는 코드정보만 복원된 상기 데이터 신호를 정형시켜 출력하는 기능을 담당하며 OP 앰프를 이용한 비교회로로 구성된다.
파형이 정형된 상기 비교부(16)의 출력은 디코더부(17)로 입력되는데, 상기 디코더부(17)는 무선 스위치 회로(4)의 인코더부(12)와 쌍을 이루는 디코더 IC칩(MC1456027, MC145028, MC145029 등)으로 구성되어 세팅되어 있는 고유 데이터와 동일한 데이터 신호가 입력되면 하이(High) 전압을 출력하게 된다.
상기 디코더부(17)의 출력과 박막형 터치 스위치(6)의 동작출력은 펄스로서 ON/OFF 제어부(18)에 입력되고, ON/OFF 제어부(18)는 상기 두 펄스신호를 논리합 처리후 입력받는다. 그리고, 내부의 래치부로 펄스신호의 입력에 따른 동작상태를 다음 펄스가 들어올때 까지 유지하면서 계전기(1)의 동작을 제어하다.
한편, 상기 ON/OFF 제어부(18)의 래치부 출력은 디코더부(17)가 고유데이터를 갖도록 하는 고유 데이터 세팅단자에 궤환공급되어, 래치상태가 바뀔때 마다 디코더부(17)의 고유데이터 세팅 상태를 두가지 자동반복시켜주게 된다. 즉, 무선 스위치 회로(4), 또는, 박막형 터치 스위치(6)로 부터 스위치가 동작하여 임의의 상태로 래치부의 출력을 유지시키고 있을 경우, 상기 래치부의 출력이 상기 디코더부(17)의 고유데이터 세팅단자에 인가되도록 하여 바로전 스위치 동작과 반대동작에 해당하는 고유데이터 신호가 입력될때만 디코더부(17)가 출력신호를 내도록 상기 디코더부(17)의 세팅상태를 바꾸어 놓는다.
이렇게 되면, 무선 스위치 회로(4)로 부터의 ON/OFF 고유신호가 입력될때 ON 스위치 동작에 따른 고유신호든 OFF 신호에 따른 고유신호든 동일한 신호가 반복입력될 때는 출력신호가 출력되지 않도록 하고 바로전에 입력된 신호와 다른 신호가 들어올 때만(바로전의 입력신호가 ON 신호였으면 OFF 신호, 바로전의 입력신호가 OFF 신호였으면 ON 신호), 디코더부(17)가 출력신호를 출력하도록 한다.
결국, 무선 스위치 회로(4)의 ON 스위치 동작은 번복되도 무조건 계전기(1)를 동작상태로 유지시키고, OFF 신호는 번복되도 무조건 계전기(1)를 비동작 상태로 유지시키게 되어 사용자가 동작 상태를 눈으로 확인하지 않아도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동작하는 ON/OFF 제어부(18)는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디코더부(17)와 박막형 터치 스위치(6)의 출력을 받아 논리합 처리하는 논리합부(181)와 상기 논리합부(181)에 연결된 증폭 및 정형부(182)와, 상기 증폭 및 정형부(182)에 연결된 래치부(183)와, 상기 래치부(183)에 연결된 계전기 구동부(184)로 구성된다.
ON/OFF 제어부(18)의 세부동작을 살펴보면, 박막형 터치 스위치(6)의 동작출력과 디코더부(17)의 출력은 각각 논리합부(181)의 컨덴서(C1)와 다이오드(D)를 통해 펄스신호로 입력되어 상기 두 입력은 논리합 처리된다.
논리합으로 처리되는 펄스신호는 증폭 및 정형부(182)의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단에 인가되어 증폭되고 저항(R)과 콘덴서(C2)에 의해 적분되어 노이즈가 제거된 정형화된 신호가 된다.
증폭되고 정형화된 상기 펄스신호는 래치부(183)의 D플립플롭(D-FF)의 클럭단에 인가되는데, 상기 D플립플롭(D-FF)는 Q출력을 인버터(INV)로 궤환시켜 D단자에 인가함으로 토글(Toggle) 동작하도록 구성되어 클럭단에 입력펄스가 하나 입력될 때마다 쌍안정 멀티바이브레이팅 출력을 반전시킨다. 또한, 상기 Q출력은 디코더부(17)의 고유 데이터 세팅단자에 입력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D플립플롭(D-FF)의 /Q단에서의 출력은 계전기 구동부(14)의 PNP 트랜지스터(Q2) 베이스단에 입력되는데, 로우(low) 전압의 출력이면 상기 PNP 트랜지스터(Q2)를 ON시키고 하이(High) 출력이면 PNP 트랜지스터(Q2)를 OFF시킨다. 상기 PNP 트랜지스터(Q2)가 ON되면 하이전압이 NPN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단에 인가되어 NPN 트랜지스터(Q3)를 ON시키므로 계전기(1)에 동작전류가 흐르고 계전기(1)의 스위칭단은 단락되어 전원출력이 제공되며, PNP 트랜지스터(Q2)가 OFF되면 로우전압이 NPN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단에 인가되어 NPN 트랜지스터(Q3)를 OFF시키므로 계전기(1)에 동작전류가 흐르지 않고 계전기(1)의 스위칭단은 개방되어 전원출력은 제공되지 않게 된다.
한편, 정전압 공급수단(2)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공지의 정전압 회로로 구성되어 상기 수신 및 제어회로에 동작전원을 공급하며, 세세한 동작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동작하는 본 발명은 유선 스위치를 슬림형 접착식 와이어로 연결하므로 배선의 시공 및 재시공시 설치가 매우 간단하고, 무선으로 제어할 경우 고유 신호 데이터를 고주파 반송파와 변조시킨 변조파로 ON/OFF 제어신호를 제공하므로 시야에서 벗어나 있는 제어장치도 제어가 가능하며, 제어신호가 고유 데이터를 가지므로 동일 건물내에 동종의 기기가 설치되어도 혼신으로 인한 오동작이 배제되므로 동작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전원 제어회로에 있어서, 박막형 터치 스위치(6)와, 상기 박막형 터치 스위치(6)에 연결된 슬림형 접착식 와이어(5)와, 고유 신호 데이터를 고주파 반송파와 변조시킨 변조파를 무선으로 송출하여 ON/OFF 스위치가 각각 따로 설치된 무선 스위치 수단(4)과, 상기 슬림형 접착식 와이어(5)에 연결되고 상기 무선 스위치 수단(4)의 송신출력과 상기 박막형 터치 스위치(6)의 동작출력을 논리합으로 수신하여 ON/OFF 스위칭 신호에 따라 ON/OFF 상태를 래치하여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수신 및 제어수단(3)과, 상기 수신 및 제어수단(3)에 동작신호 인가단자가 연결되고 스위칭단자에는 전원중의 일선이 연결되어 상기 수신 및 제어수단(3)의 제어신호를 동작신호로 받아 상기 전원선중 일선의 단락과 개방을 스위칭하여 전원공급을 단속하는 계전기(1)와, 전원선에 입력단이 연결되고 출력단은 상기 수신 및 제어수단(3)에 연결되어 상기 수신 및 제어수단(3)의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정전압 공급수단(2)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스위치 수단(4)은, 적어도 한쌍이상의 ON/OFF 스위치로 이루어진 ON/OFF 스위치수단(11)과, 상기 ON/OFF 스위치수단(11)에 연결되어 ON/OFF 스위치의 동작에 따라 해당 고유 데이터 코드를 출력하는 인코더 수단(12)과, 상기 인코더 수단(12)에 연결되어 상기 인코더 수단(12)에서 출력되는 데이터 코드를 고주파에 실어 FM 변조한 후 무선으로 송출하는 RF 송신부(1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제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및 제어수단(3)은 자려발진형 수신회로로 구성되어 상기 무선 스위치 수단(4)에서 출력된 RF변조 주파수를 동조시켜 무선입력하는 RF 수신수단(14)과, 상기 RF 수신수단(14)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입력되는 상기 RF 수신수단(14)이 출력을 무선 스위치 수단(4)에서 코딩된 원래의 데이터 신호로 복원시켜 출력시키는 적분수단(15)과, 상기 적분수단(15)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코드정보만 복원된 데이터 신호를 정형시켜 출력하는 비교수단(16)과, 상기 비교수단(16)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세팅되어 있는 고유 데이터와 동일한 데이터 신호가 상기 비교수단(16)으로 부터 입력되면 하이(High) 전압을 출력하는 디코더 수단(17)과, 상기 디코더수단(17)의 출력단과 고유 데이터 세팅단, 및 상기 슬림형 접착식 와이어(5)에 연결되어 상기 디코더 수단(17)과 박막형 터치 스위치(6)의 동작출력을 입력받아 상기 계전기(1)의 동작을 제어하는 동시에 상기 디코더수단(17)의 고유 데이터 세팅상태를 제어하는 ON/OFF 제어수단(18)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제어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ON/OFF 제어수단(18)은, 상기 디코더수단(17)과 슬림형 접착식 와이어(5)에 연결되어 디코더 수단(17)과 박막형 터치 스위치(6)의 출력을 입력으로 받아 논리합 처리하는 논리합부(181)와, 상기 논리합부(181)에 연결되어 입력되는 신호를 증폭 및 적분하는 증폭 및 정형부(182)와, 상기 증폭 및 정형부(182)에 클럭입력단이 연결되고 상기 디코더수단(17)에 출력단(Q)이 연결되어 상기 증폭 및 정형부(182)를 통한 펄스의 입력에 따른 쌍안정 멀티바이브레이팅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출력(Q출력)을 상기 디코더 수단(17)이 세팅단자로 궤환시켜 디코더수단(17)의 세팅상태를 제어하는 래치부(183)와, 상기 래치부(183)의 부출력단(/Q)에 연결되어 상기 래치부(183)의 부출력으로 계전기(1)를 구동하는 계전기 구동부(18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제어장치.
KR1019910018899A 1991-10-25 1991-10-25 전원 제어장치 KR9400017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8899A KR940001787B1 (ko) 1991-10-25 1991-10-25 전원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8899A KR940001787B1 (ko) 1991-10-25 1991-10-25 전원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8548A KR930008548A (ko) 1993-05-21
KR940001787B1 true KR940001787B1 (ko) 1994-03-05

Family

ID=19321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8899A KR940001787B1 (ko) 1991-10-25 1991-10-25 전원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178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8548A (ko) 1993-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55560A (en) Means for locating a remote control device
US4835531A (en) Automobile remote-control system
KR860001241B1 (ko) 직류 모우터 구동 집적회로
JPS6330097A (ja) 通信装置
US7359433B1 (en) Data transmission system
US4380832A (en) Portable radio communication device having signal processing circuit with presetting function
JPH08139635A (ja) 無線通信装置
KR940001787B1 (ko) 전원 제어장치
US5687192A (en) Circuit arrangement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on a two-wire line
US20020070878A1 (en) Radio frequency transmitter having switched mode power supply
US4672686A (en) High frequency antenna tuning device
JP2006042149A (ja) Ask通信装置
RU2001112984A (ru) Многорежимная схема ввода-вывода сигналов
JPS62269497A (ja) 通信装置
KR19990087501A (ko) 고전압 전자 엔코더에 유용한 전압 레귤레이터집적 회로
US5994931A (en) Method and circuit configuration for controlling operating states of a second device by means of a first device
CN110829803B (zh) 一种小型化射频收发模块功放的电源检测及控制电路
KR910009259B1 (ko) 가전기기의 전원제어장치
JP2502055Y2 (ja) トランシ―バ
KR100443944B1 (ko) 무선크레인의 원격조정장치
JPH07170209A (ja) 位置固定されたビーコンへのデータ伝送用車両機器
KR100638656B1 (ko) 비제로복귀 방식의 웨이크업 장치
KR100285195B1 (ko) 컴퓨터의 전원공급장치
KR100260137B1 (ko) 절전형 응답 리모콘
KR970005038Y1 (ko) 고유부호를 가진 무선 송,수신기를 사용한 키보드 보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