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1708Y1 - 콩나물 재배통 - Google Patents

콩나물 재배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1708Y1
KR940001708Y1 KR2019910018995U KR910018995U KR940001708Y1 KR 940001708 Y1 KR940001708 Y1 KR 940001708Y1 KR 2019910018995 U KR2019910018995 U KR 2019910018995U KR 910018995 U KR910018995 U KR 910018995U KR 940001708 Y1 KR940001708 Y1 KR 9400017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bean sprouts
water
plate
wat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189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0138U (ko
Inventor
김근성
Original Assignee
김근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근성 filed Critical 김근성
Priority to KR20199100189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1708Y1/ko
Publication of KR93001013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013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17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170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콩나물 재배통
제1도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용기 22 : 배수공
24 : 저면벽 28 : 급수대
32 : 고정대 34 : 통수공
38 : 급수공 40 : 저면판
42 : 중간판 44 : 상부판
46 : 통수로
본 고안은 콩나물 재배통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일반가정에서 손쉽게 콩나물을 재배하기에 접합한 자가재배용기 콩나물 재배통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공장에서 대량으로 재배되어 판매되고 있는 콩나물에 대한 위생상의 문제점이 지적됨에 따라 수요자가 직접 가정에서 콩나물을 재배하여 자가 소비하려는 경향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서 여러가지 형태의 가정용 콩나물 재배기가 제안된 바 있다.
종래의 콩나물 재배기에 있어서는 재래식의 전형적인 형태로 콩나물 시루라 불리는 것이 있으며 이는 시루내에 콩나물을 얇게 깔고 그 위에 차광물을 얹어 빛을 차단한 상태에서 선택된 시간간격을 두고 상부로부터 물을 공급하는 것이 있다. 이러한 콩나물 재배방법은 비록 자가재배용으로 이용되고 있으나 매우 번거러운 점이 있었따. 또한 적절한 배수시설과 급수시설을 갖춘 것이 있으나 이러한 형태의 콩나물 재배기는 그 제작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결점이 있다.
또한 자가재배용으로 용기내에 콩나물의 성장에 따라 상부로 이동되는 분배판이 내장되고 이 분배판에 다수의 살수공이 형성되어 분배판으로 물을 공급하여 콩나물을 생장시키고 콩나물의 성장에 따라 이 분배판이 상부로 이동되게 한 것이 제안된바 있으나, 분배판의 살수공이 수직으로 뚫려 있어 적절한 차광기능을 갖지 못하는 결점이 있으므로 용기의 별도의 뚜껑을 구비하여야 하는 필요성이 있다.
그러나 급수를 위하여서는 이 뚜껑을 일일이 개방하여야 번거러움이 있고 뚜껑의 개방시 빛이 용기내로 유입되어 콩나물의 이상 성장을 초래하게 되는 결점이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는 종래의 이와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콩나물의 성장에 따라 상부로 이동하는 급수대를 미로형으로 구성하여 원활한 급수와 통기가 이루어지는 반면에 빛의 유입이 효과적으로 차단될 수 있도록 하여 재배용기에 별도의 뚜껑을 필요로 하지 않아 콩나물 재배를 위한 급수에 아무런 불편한 점이 없도록하고 양질의 콩나물을 재배할 수 있도록 한 것인바, 이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제1도에서 보인 바와같이 상부개방형의 직육면체 용기(10)로 구성된다. 이 용기(10)는 양측에서 전 높이에 걸쳐 수직플랜지(12)(12')가 형성된 배면벽(14), 상측변부에 외향 확대부(16)를 갖는 양측벽(18)(18'), 전면벽(20)측에 인접하여 수개의 배수공(22)이 형성된 저면벽(24)으로 구성딘다.
용기(10)의 내부에는 저면벽(24)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하향측벽(26)(26')과 이후 상세히 설명되는 급수대(28)의 저면을 치지하여 급수대(28)와 초기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상향측벽(30)(30')을 갖는 고정대(32)가 내장된다. 이 고정대(32)에는 전면에 걸쳐 다수의 슬리트형 통수공(34)이 형성되어 있따. 고정대(32)의 상향측벽(30)(30')에 의하여 지지되는 급수대(28)는 용기(10)의 내면에 거의 밀착되어 상하 이동이 원할한 크기와 형태로 상하 개방형의 사각프레임(36)으로 구성된다. 이 사각 프레임(36)내에는 용기(10)의 배면벽(14)에 인접한 위치에 수개의 급수공(38)을 갖는 저면판(40)이 배설되고 이 저면판(40)의 상부에 사각프레임(36)의 반폭보다 약간 큰 중간판(42)과 이 중간판(42)의 상부에 사각프레임(36)의 반폭정도의 크기이며 중간판(42)과 대향된 위치에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는 상부판(44)이 배설되어 중간판(42)과 상부판(44)이 상부로부터의 급수는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빛의 유입은 효과적으로 차단될 수 있는 미로형 통수로(46)를 구성한다.
한편, 용기(10) 자체는 예를 들어 주방의 씽크대등에 고정한 클립(48)에 양측의 수직플랜지(12)(12')가 삽입되게 하여 고정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와같은 본 고안의 용기(10)는 상기 언급된 바와같이 급수가 편리한 장소에 고정한 클립(48)에 그 배면벽(14)의 수직플랜지(12)(12')를 결합시켜 고정위치에 설치한다. 용기(10)내에 고정대(32)를 내장한 다음 고정대(32) 상에 콩나물콩을 1-2겹의 층으로 깔고 고정대(32)상에 급수대(28)를 상치한다.
급수시에는 용기(0)의 상측 개방부를 통하여 일시에 공급한다. 이때에 물을 급수대(28) 상기 잠시 정체되며 급수대의 상부판(44)과 중간판(42)으로 구성되는 미도형 통수로(46)를 통하여 저면판(40)에 이르며 저면판(40)의 일측에 형성된 급수공(38)을 통하여 고정대(32) 상에 놓인 콩나물콩에 급수되고 이를 통과한 물은 고정대(32)의 슬리트형 통수공(34)과 용기(10)의 저면벽(24)에 형성된 배수공(22)을 통하여 외부로 배수된다. 급수대(28)에서 저면판(40)은 급수공(38)이 배설된 변부측을 약간 높여 급수시 습수대(28) 하부에 있는 공기가 상부로 배기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콩나물이 고정대(32) 상에서 발아되고 생육이 시작되면 콩나물의 떡잎부분이 급수대(28)의 저면판(40) 측을 향하여 성장하기 시작할 것이다.
이와같은 콩나물의 성장에 딸라 콩나물은 급수대(28)를 상부로 밀어올려 이동시킨다. 이때에 콩나물에는 급수대(28)의 무게에 해당하는 수직하중이 작용하게 되며 이러한 수직하중의 작용을 콩나물의 성장에 도움이되고 콩나물의 맛에 유리한 효과를 주는 것으로 믿는다.
콩나물의 성장에 따라 상부로 이동하는 급수대(28)을 그 상부에 물을 일시에 공급시 그 하측의 콩나물에 원활한 급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반면에 급수공(28)이 형성된 저면판(40)의 상부측으로 미로형 통수로(46)를 구성하는 중간판(42)과 상부판(44)에 의하여 빛의 유임이 효과적으로 차단되는 효과가 있다.
콩나물의 성장이 완료되면 급수대(28)를 용기(10)의 상부로 분리하여 콩나물을 꺼내고 다시 콩나물을 재배할 준비를 하면 된다.

Claims (1)

  1. 저면벽(24)에 수개의 배수공(22)이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된 용기(10)로 구성되는 콩나물 재배통에 있어서, 용기(10)내에 슬리트형 통수공(34)을 갖는 고정대(32)를 내장하고 고정대(32)상에는 저면판(40)에 수개의 급수공(38)이 배설되고 그 상부에 중간판(42)과 상부판(44)으로 미로형 통수로(46)가 형성되는 급수대(28)를 용기(10)내에서 상, 하 이동가능하게 장설하여서된 콩나물 재배통.
KR2019910018995U 1991-11-09 1991-11-09 콩나물 재배통 KR9400017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8995U KR940001708Y1 (ko) 1991-11-09 1991-11-09 콩나물 재배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8995U KR940001708Y1 (ko) 1991-11-09 1991-11-09 콩나물 재배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0138U KR930010138U (ko) 1993-06-23
KR940001708Y1 true KR940001708Y1 (ko) 1994-03-24

Family

ID=19321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18995U KR940001708Y1 (ko) 1991-11-09 1991-11-09 콩나물 재배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170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0138U (ko) 1993-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02924A (en) Planter assembly having automatic water-feeding and drying intervals
KR980007956A (ko) 관수 육묘방법 및 관수 육묘상자
KR940001708Y1 (ko) 콩나물 재배통
KR200214155Y1 (ko) 화분
CN100563428C (zh) 水培花卉盆
KR20230089653A (ko) 육묘용 베드
JPH10271926A (ja) 養液栽培用の定植板
KR20210052643A (ko) 육묘 트레이
JP7445217B2 (ja) 植物栽培用容器及び植物の栽培方法
KR200398830Y1 (ko) "은나노 코팅된 연계조립자바라식 이동형 카페트잔디재배용기"
KR200420667Y1 (ko) 물받이 내장형 화분
KR200146903Y1 (ko) 미니화분세트
KR940006307Y1 (ko) 가정용 콩나물 재배통
JPH08256604A (ja) 植木鉢
JP6013633B1 (ja) プランター
JP2709997B2 (ja) 発芽育苗方法及び発芽育苗装置
KR200493718Y1 (ko) 식물 재배용 파이프형 화분
JP2000050754A (ja) 水耕栽培用ベッド部材とそれを使用した水耕栽培用ベッド
JPS6228865Y2 (ko)
KR840000775B1 (ko) 육묘 및 식물재배용 상자
KR960010432Y1 (ko) 작물의 토경과 수경을 겸용할 수 있는 냉온 재배상자
KR200160181Y1 (ko) 컵 포트
KR20230016115A (ko) 지피포트를 이용한 저면관수식 육묘방법 및 저면관수장치
KR19990035012U (ko) 수경식물재배장치
JPH052540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