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9653A - 육묘용 베드 - Google Patents

육묘용 베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9653A
KR20230089653A KR1020210178210A KR20210178210A KR20230089653A KR 20230089653 A KR20230089653 A KR 20230089653A KR 1020210178210 A KR1020210178210 A KR 1020210178210A KR 20210178210 A KR20210178210 A KR 20210178210A KR 20230089653 A KR20230089653 A KR 202300896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d
bed body
water
plate
nutrient 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82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석
어기주
Original Assignee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1782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9653A/ko
Publication of KR202300896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96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2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01G9/042Combinations of a saucer and a flower pot attached togeth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01G9/047Channels or gutters, e.g. for hydroponic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ponic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육묘용 베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베드 본체의 내부에 채워지는 물 또는 양액의 부력에 의해 배지판이 뜨는 현상을 스프링 돌출블럭과 고정대에 의해 눌러주어 항시 베드 본체의 상부측에 배지판이 구비됨으로써, 배지판의 재배공에 식재된 식물에 원활하고 균일한 수분을 공급할 수 있어 재배 효율이 증가하고, 기존에 배지판을 사람이 눌러줘야하는 번거로움과 시간이 줄어들어 편리성과 사용성이 증가하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육묘용 베드{Raising seeding bed}
본 발명은 육묘용 베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베드 본체의 내부에 채워지는 물 또는 양액의 부력에 의해 배지판이 뜨는 현상을 스프링 돌출블럭과 고정대에 의해 눌러주어 항시 베드 본체의 상부측에 배지판이 구비됨으로써, 배지판의 재배공에 식재된 식물에 원활하고 균일한 수분을 공급할 수 있어 재배 효율이 증가하고, 기존에 배지판을 사람이 눌러줘야하는 번거로움과 시간이 줄어들어 편리성과 사용성이 증가하는 육묘용 베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육묘용 베드는 씨앗이 발아되고 생육하는데 필요한 조건을 조성하는 장치로 크게 온도조절장치, 광조절장치, 급수조절장치, 배수조절장치로 구성된다. 이러한 육묘장치에는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시간 조절이 가능한 장치들로 구성되어 있어, 육묘용 베드 위 육묘포트에 물, 영양 및 광 등을 자동으로 공급이 가능해진다.
상기에 언급한 바와 같이 육묘용 베드의 중요한 부분은 온도조절장치, 급수장치, 배수장치이다. 온도조절은 식물공장 내부의 온도조절로 조절하기 때문에 큰 영향은 없지만, 급수와 배수장치는 대형 식물공장의 육묘용 베드는 전체적인 자동화 설비를 통해 인력과 시간을 절감하므로 가장 중요하다.
종래에는 흙을 이용한 육묘포트를 이용했지만, 최근에 대규모 식물공장에서는 수경재배방식을 선호하고 있고, 보수성과 보비성 및 통기성이 높고 흙보다 가벼운 폼을 폼 배지로 활용한 육묘법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는 재배기간 동안 이화학적 변화, 병원균, 잡초 종자가 없는 큰 장점으로 인한 것으로 사료된다.
기존에 한국 공개실용실안공보 제20-2006-0030128호(2006.11.21)에서 육묘포트를 사용하는 육묘베드의 설계방식에서 중요한 부분은 4가지로 크게 나뉠 수 있다.
첫 번째는 급수구를 통해 물이 급수되고, 두번째는 육묘포트를 올리는 돌출블럭이 있는 바닥판이며 이 바닥판은 기울기를 주어 배수를 용이하게 하며, 세 번째로는 바닥판보다 낮은 배수로를 이용하고, 네번째로 배수구로 흘러 들어간다.
그러나 상기에 기술된 설계방식은 흙을 이용한 육묘포트를 이용하는 베드이기 때문에 폼 배지를 이용한 배지판과 같이 가벼운 배지판는 부력으로 인해 물 위에 뜨기 때문에 수분을 균일하고 원활하게 공급하지 못하게 되고 사람이 직접 배지판을 눌러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한다.
한국 공개실용실안공보 제20-2006-0030128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베드 본체의 내부에 채워지는 물 또는 양액의 부력에 의해 배지판이 뜨는 현상을 스프링 돌출블럭과 고정대에 의해 눌러주어 항시 베드 본체의 상부측에 배지판이 구비됨으로써, 배지판의 재배공에 식재된 식물에 원활하고 균일한 수분을 공급할 수 있어 재배 효율이 증가하고, 기존에 배지판을 사람이 눌러줘야하는 번거로움과 시간이 줄어들어 편리성과 사용성이 증가하는 육묘용 베드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은 욕묘용 베드에 있어서,
물 또는 양액이 채워지도록 내부가 중공되면서 상부가 개방되고, 측면 상부에 물 또는 양액이 급수되는 급수구가 형성되며, 바닥면 일측에 채워진 물 또는 양액이 배수되는 배수구가 형성되는 베드 본체와;
상기 베드 본체의 바닥면에 형성되되, 상기 베드 본체의 배수구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에 설치되어 탄성력에 의해 상측으로 구동되는 스프링 돌출블럭과;
상기 스프링 돌출블럭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스프링 돌출블럭에 탄성력에 의해 베드 본체의 개방된 상부로 이동되어 물 또는 양액의 부력에 영향을 받지 않으며, 일면에 다수개의 재배공이 배열 형성되는 배지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용 베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베드 본체의 상부 일측에는 스프링 돌출블럭의 탄성력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되는 배지판을 지지하여 고정시키는 고정대가 수평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용 베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베드 본체의 상부 타측에는 스프링 돌출블럭의 탄성력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되는 배지판을 지지하여 고정시키는 여닫이 고정대가 형성되고, 상기 여닫이 고정대는 베드 본체의 상부 타측에 힌지결합되어 회동됨으로써, 배지판을 고정/분리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용 베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여닫이 고정대와 베드 본체의 상부 타측 사이에는 여닫이 고정대를 베드 본체의 상부 타측에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용 베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베드 본체의 내부 측면에는 내부에 채워지는 물 또는 양액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센서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용 베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스프링 돌출블럭은 내부에 탄성부재가 설치되어 상측으로 항시 구동되고, 상기 스프링 돌출블럭은 바닥판의 길이방향으로 다수개가 상호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용 베드에 관한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육묘용 베드는 베드 본체의 내부에 채워지는 물 또는 양액의 부력에 의해 배지판이 뜨는 현상을 스프링 돌출블럭과 고정대에 의해 눌러주어 항시 베드 본체의 상부측에 배지판이 구비됨으로써, 배지판의 재배공에 식재된 식물에 원활하고 균일한 수분을 공급할 수 있어 재배 효율이 증가하고, 기존에 배지판을 사람이 눌러줘야하는 번거로움과 시간이 줄어들어 편리성과 사용성이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육묘용 베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육묘용 베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육묘용 베드의 작동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그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더욱 명확히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 1(first)", "제 2(second)"와 같은 용어는 설명을 위해 본원 및 첨부 청구항들에 사용되고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육묘용 베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육묘용 베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육묘용 베드의 작동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육묘용 베드는 베드 본체(10)와, 바닥판(20)과, 스프링 돌출블럭(30)과, 배지판(40)으로 구성된다.
상기 베드 본체(1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사각형 형태로 물 또는 양액이 채워지도록 내부가 중공되면서 상부가 개방되고, 상기 베드 본체(10)의 측면 중 상부에는 물 또는 양액이 급수되는 급수구(11)가 형성되며, 상기 베드 본체(10)의 바닥면 일측에는 급수구(11)를 통해 채워진 물 또는 양액이 배수되는 배수구(12)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급수구(11)와 배수구(12)에는 솔레노이드밸브(미도시)가 설치되어 급수/배수되는 물 또는 양액의 이송을 개폐하는데, 상기 솔레노이드밸브는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제어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베드 본체(10)의 외부면 또는 외부에 형성되어 수위센서(13)에서 측정되어 보내온 신호에 의해 급수구(11) 또는 배수구(12)의 솔레노이드밸브를 개폐시켜 물 또는 양액의 양과 농도를 조절한다.
그리고, 상기 베드 본체(10)의 내부 측면에는 내부에 채워지는 물 또는 양액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센서(13)가 더 형성되고, 상기 수위센서(13)는 베드 본체(10)의 내부 측면 중 상부측에 설치되는데, 상기 수위센서(13)는 배지판(40)이 물 또는 양액에 일정부분 잠길 수 있도록 배지판(40)의 수직 높이 중 중단부쯤에 설치되어 물 또는 양액이 수위센서(13)까지 채워지면 제어부에 신호를 보내고, 상기 제어부에서는 급수구(11)의 솔레노이드밸브를 차단하여 더 이상 물 또는 양액이 급수되는 것을 차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배지판(40)의 재배공(41)에 식재된 식물이 물 또는 양액 내의 영양소를 흡수한 것으로 판단하여 배수구(12)의 솔레노이드밸브를 개방시켜 베드 본체 내의 물 또는 양액을 배수시키고, 배수가 완료되면 배수구(12)의 솔레노이드밸브를 차단한 뒤, 급수구(11)의 솔레노이드밸브를 개방하여 새로운 물 또는 양액을 베드 본체(10) 내에 투입하여 채워준다.
여기서, 상기 베드 본체(10)의 상부 일측에는 스프링 돌출블럭(30)의 탄성력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되는 배지판(40)을 지지하여 고정시키는 고정대(14)가 수평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베드 본체(10)의 상부 타측(고정대(14)의 대칭되는 반대측)에는 스프링 돌출블럭(30)의 탄성력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되는 배지판(40)을 지지하여 고정시키는 여닫이 고정대(15)가 형성되며, 상기 여닫이 고정대(15)는 베드 본체(10)의 상부 타측에 힌지결합되어 회동됨으로써, 배지판(40)을 고정/분리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여닫이 고정대(15)는 베드 본체(10)의 상부 타측에 힌지결합됨으로써, 수평으로 회동되는데, 상기 배지판(40)을 베드 본체(10)의 내부에 설치시, 여닫이 고정대(15)를 회동시켜 베드 본체(10)의 외부로 위치시킨 뒤, 배지판(40)을 베드 본체(10) 내에 설치한 후, 여닫이 고정대(15)를 다시 회동시켜 베드 본체(10)의 내부로 위치시켜 배지판(40)의 상부를 눌러서 고정시킨다.
그리고, 상기 여닫이 고정대(15)와 베드 본체(10)의 상부 타측 사이에는 여닫이 고정대(15)를 베드 본체(10)의 상부 타측에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부(미도시)가 더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는 벨크로 찍찍이, 똑딱이 단추, 홈과 돌기로 형성된 요철부 결합 등 다양한 방식으로 여닫이 고정대가 베드 본체의 상부면에 고정될 수 있게 하고, 탈부착이 가능하게 해준다.
상기 바닥판(2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드 본체(10)의 바닥면에 형성되는데, 상기 베드 본체(10)의 배수구(12)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즉, 상기 바닥판(20)은 베드 본체(10)의 배수구(12) 측이 낮고 반대측이 높게 형성되어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베드 본체(10) 내에 채워진 물 또는 양액을 배수시 모든 물 또는 양액이 배수구(12) 측으로 이송되어 원활하게 배수가 가능하다.
상기 스프링 돌출블럭(3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판(20)에 설치되어 탄성력에 의해 상측으로 구동되고, 상기 스프링 돌출블럭(30)은 상부에 배지판(40)이 구비되어 배지판(40)을 상부로 올려주도록 받쳐준다.
여기서, 상기 스프링 돌출블럭(30)은 내부에 탄성부재가 설치되어 상측으로 항시 구동되고, 상기 스프링 돌출블럭(30)은 바닥판(20)의 길이방향으로 다수개가 상호 이격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 돌출블럭(30)과 바닥판 사이에는 고무재질의 밀폐패킹이 더 설치되어 스프링 돌출블럭(30)과 바닥판(20) 사이 틈새로 물 또는 양액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스프링 돌출블럭(30)의 구동은 원활하게 한다.
상기 배지판(4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프링 돌출블럭(30)의 상부에 구비되는데, 상기 베드 본체(10)의 개방된 상부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배지판(40)은 스티로폼, 우레탄 스펀지 등의 가벼우면서 제작이 손쉬운 재질로 형성된다. 이에 통상적으로 상기 배지판(40)은 물 또는 양액의 부력에 의해 물 또는 양액의 수면 위로 떠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배지판(40)은 스프링 돌출블럭(30)에 탄성력에 의해 베드 본체(10)의 개방된 상부로 이동되는데, 상기 배지판(40)이 물 또는 양액의 부력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베드 본체(10)의 고정대(14)와 여닫이 고정대(15)가 배지판(40)의 상부측을 눌러주어 배지판(40)이 물 또는 양액의 수면 위에 위치하지 않게 한다.
그리고, 상기 배지판(40)의 일면에는 육묘 식물을 식재할 수 있는 재배공(41)이 형성되고, 상기 재배공(41)은 다수개로 횡과 종 방향으로 배열되어 많은 양의 식물을 재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재배공(41)은 배지판(40)을 수직으로 관통하는데, 상기 배지판(40)의 상부와 하부를 관통하여 식재된 식물의 뿌리가 배지판(40)의 하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고, 그로 인해 물 또는 양액의 영양소를 흡수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배지판(40)은 베드 본체(10)의 고정대(14), 여닫이 고정대(15), 수위센서(13)에 의해 일정간격으로 물 또는 양액에 잠겨진 상태를 유지하기에 식물에 원활한 물 또는 양액을 공급할 수 있다.
10 : 베드 본체 11 : 급수구
12 : 배수구 13 : 수위센서
14 : 고정대 15 : 여닫이 고정대
20 : 바닥판 30 : 스프링 돌출블럭
40 : 배지판 41 : 재배공

Claims (6)

  1. 욕묘용 베드에 있어서,
    물 또는 양액이 채워지도록 내부가 중공되면서 상부가 개방되고, 측면 상부에 물 또는 양액이 급수되는 급수구(11)가 형성되며, 바닥면 일측에 채워진 물 또는 양액이 배수되는 배수구(12)가 형성되는 베드 본체(10)와;
    상기 베드 본체(10)의 바닥면에 형성되되, 상기 베드 본체(10)의 배수구(12)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바닥판(20)과;
    상기 바닥판(20)에 설치되어 탄성력에 의해 상측으로 구동되는 스프링 돌출블럭(30)과;
    상기 스프링 돌출블럭(30)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스프링 돌출블럭(30)에 탄성력에 의해 베드 본체(10)의 개방된 상부로 이동되어 물 또는 양액의 부력에 영향을 받지 않으며, 일면에 다수개의 재배공(41)이 배열 형성되는 배지판(4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용 베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드 본체(10)의 상부 일측에는 스프링 돌출블럭(30)의 탄성력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되는 배지판(40)을 지지하여 고정시키는 고정대(14)가 수평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용 베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베드 본체(10)의 상부 타측에는 스프링 돌출블럭(30)의 탄성력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되는 배지판(40)을 지지하여 고정시키는 여닫이 고정대(15)가 형성되고, 상기 여닫이 고정대(15)는 베드 본체(10)의 상부 타측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됨으로써, 배지판(40)을 고정/분리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용 베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여닫이 고정대(15)와 베드 본체(10)의 상부 타측 사이에는 여닫이 고정대(15)를 베드 본체(10)의 상부 타측에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용 베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드 본체(10)의 내부 측면에는 내부에 채워지는 물 또는 양액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센서(13)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용 베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돌출블럭(30)은 내부에 탄성부재가 설치되어 상측으로 항시 구동되고, 상기 스프링 돌출블럭(30)은 바닥판(20)의 길이방향으로 다수개가 상호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용 베드.
KR1020210178210A 2021-12-14 2021-12-14 육묘용 베드 KR202300896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8210A KR20230089653A (ko) 2021-12-14 2021-12-14 육묘용 베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8210A KR20230089653A (ko) 2021-12-14 2021-12-14 육묘용 베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9653A true KR20230089653A (ko) 2023-06-21

Family

ID=86989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8210A KR20230089653A (ko) 2021-12-14 2021-12-14 육묘용 베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8965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814047A (zh) * 2024-03-04 2024-04-05 黑龙江省农业科学院经济作物研究所 一种工业大麻漂浮式自动供水育苗穴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814047A (zh) * 2024-03-04 2024-04-05 黑龙江省农业科学院经济作物研究所 一种工业大麻漂浮式自动供水育苗穴盘
CN117814047B (zh) * 2024-03-04 2024-05-14 黑龙江省农业科学院经济作物研究所 一种工业大麻漂浮式自动供水育苗穴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85453A (ko) 인삼재배용 수경재배 화분
KR20230089653A (ko) 육묘용 베드
CN214676989U (zh) 一种有机茶叶幼苗培育装置
CN210054004U (zh) 一种可自动浇灌的花苗培育装置
CN208387518U (zh) 一种便捷式无土栽培育苗装置
JP2010068735A (ja) 自動給水プランター
JP2015039321A (ja) 植物栽培装置
KR101232189B1 (ko) 재배 베드 및 이를 구비한 수경재배 시스템
KR20100127144A (ko) 모종 재배용 급수장치
CN210298895U (zh) 一种便于水肥控制的辣椒育苗床
CN209845780U (zh) 一种新型花盆
CN210579951U (zh) 一种辣椒穴盘育苗催芽箱
KR102034639B1 (ko) 식물재배용 단위 유니트를 이용한 조적식 식물재배장치
CN110651706A (zh) 一种室内植物培育器
CN220108752U (zh) 一种便于添加培养液的马铃薯育苗器
CN210298913U (zh) 一种新型水培蔬菜育苗种植盆
CN213343534U (zh) 一种作物移栽的种子育苗装置
KR102300685B1 (ko) 식물재배용 물 공급장치
CN209030704U (zh) 一种用于移栽的穴盘
KR200329599Y1 (ko) 점적관수 화분
CN210928789U (zh) 一种育苗装置
KR20020025754A (ko) 화분의 자동수분공급장치
CN210328852U (zh) 一种兼具育苗功能的水培蔬菜种植盆
CN218353612U (zh) 一种家庭育苗工具
CN219182361U (zh) 一种用于组培苗生根和炼苗移栽的植物种植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