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1651Y1 - 멀티 체인저의 픽업모듈 상하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멀티 체인저의 픽업모듈 상하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1651Y1
KR940001651Y1 KR2019910024844U KR910024844U KR940001651Y1 KR 940001651 Y1 KR940001651 Y1 KR 940001651Y1 KR 2019910024844 U KR2019910024844 U KR 2019910024844U KR 910024844 U KR910024844 U KR 910024844U KR 940001651 Y1 KR940001651 Y1 KR 9400016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er
support
changer
module
r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248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7462U (ko
Inventor
이순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이헌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이헌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20199100248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1651Y1/ko
Publication of KR93001746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746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16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165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04Pick-and-place heads or apparatus, e.g. with jaws
    • H05K13/0408Incorporating a pick-up tool
    • H05K13/041Incorporating a pick-up tool having multiple pick-up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utomatic Disk Chang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멀티 체인저의 픽업모듈 상하 구동장치
제1도는 종래 멀티 체인저의 픽업 모듈 상하 구동장치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에서 트레이를 인출하는 상태를 보인 구성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대략적인 정면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구동부 110 : 전동부
120 : 베이스 200 : 연동수단
210 : 연동기어 220, 230 : 제1, 2리프터부
232, 230 : 리프터 300 : 픽업모듈
400 : 직진이동수단 410 : 제1랙
430 : 제2랙 500 : 교차이동수단
510 : 레버 513 : 힌지
본 고안은 멀티 체인저의 픽업 모듈 상하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구조를 간소화하여 조립을 용이하게한 멀티 체인저(Multi Changer)의 픽업 모듈(Pickup Module) 상하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1도에는 종래 멀티 체인저의 픽업 모듈 상하 구동장치를 사시도로 도시한다.
본체(1) 내부에는 세트 보텀 케이스(21)상에 데크부(22)가 설치되어 있고 데크부(22)의 전방부에는 메거진 하우징(23)이 설치되어 있으며, 메거진 하우징(23)의 양 내측벽에는 제2도에 도시한 보와 같은 트레이(24)가 안내될 수 있는 다수개의 안내홈 (25)을 갖는다.
트레이(24)는 제1도의 화살표방향으로 삽입된다.
또한, 일측에 돌출부(28)를 구비한 록킹레버(29)는 샤프트(30)에 삽입되고 그 샤프트(30)의 나사공(도시되지 않음)에는 나사(31)가 체결되어 샤프트(30)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되어있다.
상기 록킹레버(29)의 타측에 형성된 걸림돌기(32)의 메거진 하우징(23)의 하면에 형성된 걸림돌기(33)에는 코일 스프링(34)의 양단부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록킹레버(29)의상면 중간부에는 지지돌기(35)가 입설되어 이에 다수개의 판스프링(36)이 고정되어 있으며, 그 판스프링 (36)의 중간부에는 탄성절곡부(36a)가 형성되어 트레이 (24)의 일측면에 형성된 록킹홈(37)에 걸림으로써 트레이(24)의 유동을 방지하게 된다.
기어샤프트(38)의 중간부에는 종동기어(39)가 고정되어 모터(40)의 구동기어 (41)와 교합되어 있으며, 기어 샤프트(38)의 양측단에 고정된 피니언(39)에는 래크(40)가 각각 교합되어 있다.
래크(40)의 외측 전, 후방부에는 워엄(41)의 하단부에 기어(42)가 일체로 형성된 리프트기어(43)가 각각 설치되어 그 리프트기어(43)의 기어(42)에는 래크(40)가 교합되어 있다.
클램퍼홀더샤시(44)의 양측 전, 후방에 고정설치된 리프트(45)의 중간부에는 내치차를 구비한 나사공(45a)이 리프트기어(43)의 워엄(41)과 교합되어 있다.
리프트기어(43)의 하부에는 스토퍼(미도시)가 형성되어 있고, 상측에는 캡 (47)이 복개되어 리프터(45)의 승강동작을 규제하게 된다.
좌측의 리프터(45)는 샤프트(48)로 연결되어 있고, 그 샤프트(48)에는 캐리어 (49)의 안내관(50)이 삽입되어 있으며, 그 캐리어(49)의 일측면에는 걸림편(51)이 형성되어 트레이(24)의 걸림홈(52)에 걸리게되어 있고 캐리어(49)에는 래크(53)가 형성되어 이에 교합되는 기어(54)의 회전으로 캐리어(49)가 이동되면서 캐리어(49)의 돌출부(55)가 록킹레버(29)의 돌출부(28)를 밀어주는 구성으로 되어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기술에 의한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가다.
먼저, 메거진하우징(23)에 다수개 트레이(24)를 적층시킨 상태에서 플레이 명령을 내리게 되면, 모터(40)로 부터 동력을 받은 종동기어(39)의 회전에 따라 기어샤프트(38)가 회전되어, 양 래크(40)는 이동을 하게된다.
이와같이 래크(40)가 이동하게되므로 이에 교합된 리프트기어(43)가 회전되고, 리프트기어(43)의 워엄(41)에 교합된 클램퍼 홀더샤시(44)의 리프터(45)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공(45a)에 내치차에 의하여 클램퍼 홀더샤시(44)는 상기 또는 하측으로 승강된다.
따라서 클램퍼 홀더샤시(44)가 소정의 위치에 놓이게 되면 별도의 동력으로 회전되는 기어(54)가 작동되어 회전을 하게되어, 캐리어(49)의 이동이 시작된다.
따라서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록킹레버(29)의 판스프링(36)에 형성된 탄성절곡부(36a)가 트레이(24)의 록킹홈(37)에 물려있는 상태에서 캐리어(49)가 전방으로 이동되면서 캐리어(49)의 돌출부(55)가 록킹레버(29)의 돌출부(28)를 밀게되므로 록킹레버(28)는 샤프트(30)를 중심으로 화살표모양()으로 회동되어 트레이(24)의 록킹홈(37)에서 판스프링(36)의 탄성절곡부(36a)가 벗어나게되며, 이와같은 상태에서 캐리어(49)의 걸림편(51)이 트레이(24)의 걸림홈(52)을 물고 원래의 위치대로 이동을 하게된다.
또한 플레이모드 도중에 재생대기중인 디스크를 교환한 후에는 트레이(24)를 잡아당기게되어 스프링(36)의 탄성을 이기면서 트레이(24)가 용이하게 이탈되며 디스크를 교환한 트레이(24)를 메거진하우징(23)의 안내홈(25)을 통해 밀어넣으면 판스프링(36)의 탄성을 이기면서 트레이(24)의 록킹흠(37)에 판스프링(36)의 탄성절곡부 (36a)가 걸리게 된다.
또한 스톱명령이 내려지면 전술한 동작의 역으로 진행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의 장치는 구조가 복잡하여 조립이 어려웠고 제품의 슬림화와 경량화에 역행하는 요인이 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 부품수를 감소하여 구조가 단순하며 조립이 용이할 뿐만아니라 제품을 슬림화하는 멀티체인저의 픽업모듈 상하 구동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하에서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에는 본고안에 따른 멀티 체인저의 픽업 모듈 상하 구동장치를 분해사시도로 도시한다.
본체(1) 내부의 보텀케이스상에 설치된 구동부(100)와, 상기 구동부(100)에 연동설치되어 구동력을 부여받는 연동수단(200)과, 상기 연동수단(200)에 지지설치되어 연동수단(200)의 연동시 상하승강이동하는 픽업 모듈(300)과, 상기연동수단 (200)에 치합되어 연동수단(200)의 회동력을 부여받아 직진이동되는 직진이동수단 (400)과, 상기 직진이동수단(400)에 연결설치되어 직진이동수단(400)을 교차 이동시키는 교차 이동수단(500)으로 구성된다.
상기 구동부(100)는 본체(1) 내부의 베이스(120)상에 수직 대향설치된 판상의 지지간(101)과, 상기 지지간(101)에 안착되어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102)와, 상기 구동모터(102)의 상측에 설치되어 구동력을 부여받는 전동부(110)와, 상기 전동부(110)에 연결 지지간(101)에 축설되어 전동부(110)의 동력 전달하게 회동하는 웜(114)으로 구성된다.
상기 전동부(110)는 상기 구동모터(102)에 축설된 풀리(111)와, 일측이 상기 지지간(101)에 축설되며 타측에 축지된 풀리(112)와, 상기 풀리(111) (112)를 연결하는 벨트(113)로 구성된다.
상기 연동수단(200)은 상기 구동부(100)의 웜(114)과 치합회동하는 연동기어 (210)와, 상기 연동기어(210)의 타측에 치합되어 회동하는 제1리프터부(220)와, 상기 제1리프터부(220)의 타측에 대향설치된 2개의 제2리프터부(230)로 구성된다.
상기 제1, 제2리프터부(220) (230)는 하단에 설치된 기어(221) (231)와, 상기 기어(221) (231) 상측에 설치되며 외주연에 캠 형상의 경사홈(222') (232')을 각각 갖는 원통상의 리프터(222) (232)로 구성된다.
상기 픽업모듈(300)은 상기 연동수단(200)의 제1, 제2리프터부(220) (23)에 지지설치되며, 일측벽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구동부(100)와 연동되도록 제1리프터부 (200)의 경사홈(222')에 지지되는 안내돌기(301)와, 타측벽에 돌출 형성되어 타측에 형성된 상기 제2리프터부(230)의 경사홈(232')에 지지설치되는 2개의 지지돌기 (302)로 구성된다.
상기 직진 이동수단(400)은 상기 제1리프터부(220)의 하단에 설치된 기어 (221)와 치합되어 직진이동하는 제1랙(410)과, 상기 제1랙(410)의 전방 상면에 연장설치되며 하면에 지지공(411)을 갖는 지지편(412)과, 상기 제2리프터부(230)의 하단에 설치된 기어(231)와 치합되는 제2랙(420)과, 상기 제2랙(420)의 후방상면에 연장 설치되며 하면에 지지공(421)을 갖는 지지편(422)으로 구성된다.
상기 교차이동수단(500)은 상기 제1, 제2랙(410) (420)에 지지되며, 일측 상면에 돌출되어 상기 제1랙(410)의 지지공(411)에 삽입되는 지지핀(511)과, 타측 상면에 돌출되어 상기 제2랙(420)의 지지공(421)에 삽입되는 지지핀(512)과, 중앙에 연통 돌출되어 상기 베이스(120)상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513)를 갖는 절곡레버(510)로 구성된다.
제4도에는 본고안의 결합상태를 보인 정면도를 도시한다.
베이스(120) 상면 양측에는 제1, 제2리프터부(220) (23)가 회동가능하게 축설된다.
제1, 제2리프터부(220) (230)의 리프터(222) (232)에 형성된 경사홈(222') (232')에는 하측에 클램핑장치와 턴테이블을 갖춘 픽업모듈(300)의 양측벽에 형성된 안내돌기(301)와 지지돌기(302)가 지지설치된다. 상기 제1, 제2리프터부(220) (23) 하단의 기어 (221) (231)에는 외측면에 각각 치차를 갖는 제1, 제2랙(410) (420)이 치합되며 상기 제1, 제2랙(410) (420)의 지지편(412) (422)에 형성된 지지공(도시되지 않음)에는 상기 절곡레버 (510)의 지지핀(511) (512)이 각각 삽입되어 있다.
이하에서 상기한 구성의 본고안의 작용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최초 구동부(100)에 전원을 인가하면 구동모터(102)는 구동하며 벨트 전동에 의해 상기 웜(114)으로 동력을 전달한다.
상기 웜(114)은 치합된 연동기어(210)와 제1리프터부(220)의 기어(221)를 통해 회동력을 전달하면 제1리프터부(220)와 치합된 제1랙(410)은 제3도의 도면상 화사표 방향으로 이동된다.
제1랙(410)이 절곡레버(510)의 지지핀(511)을 지지한 상태에서 이동되면 힌지(513)로 축설된 절곡레버(510)의 타측은 반대방향으로 회동되며 이에 지지된 제2랙(420)은 상기 1랙(410)의 이동반대방향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제2랙(420)에 치합된 제2리프터부(230)는 상기 제1리프터부(220)와 반대방향으로 회동하며 상기 리프터부에 지지된 픽업모듈(300)을 상하 승강시키는 것이다.
별도의 설명은 안했지만 구동부(100)의 구동모터(102)의 좌, 우 회전에 따라 픽업모듈(300)도 선택적으로 승강된다.
이상과 같은 본고안은 종래 기어 샤프트(38)의 중간부에 형성된 종동기어(30)가 모터(40)의 구동기어(61)와 치합되며, 양측단의 피니언(39)이 랙크(40) 상축과 치합되어 랙크(40)의 외측 전, 후방에는 워엄(41)과, 하단부에 기어(42)가 형성된 리프터기어(43)의 기어(42)가 교합되며, 상기 리프터(45)의 중간부에 구비된 내치차를 상기 리프트기어(43)의 워엄(41)과 교합시키며, 캡(47)이 복개된 리프터(45)에 의해 승강운동을 하던 종래의 구조에 비해 구조가 단순하다.
따라서 조립이 용이할 뿐만아니라 제품의 슬림화, 경량화를 기대할 수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서는 부품수를 감소하여 구조가 단순하며 조립이 수월하며 제품의 슬림화, 경량화를 가져오는등의 특징이 있다.

Claims (8)

  1. 본체(1)내부의 보텀케이스상에 설치된 구동부(100)와, 상기 구동부(100)에 연동설치되어 구동력을 부여받는 연동수단(200)과, 상기 연동수단(200)에 지지설치되어 연동수단(200)의 연동시 상하승강이동하는 픽업모듈(300)과, 상기 연동수단(200)에 치합되어 연동수단(200)의 회동력을 부여받아 직진이동되는 직진이동수단(400)과, 상기 진진이동수단(400)에 연결설치되어 직진이동수단(400)을 교차 이동시키는 교차 이동수단(50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체인저의 픽업 모듈 상하 구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100)는 본체(1) 내부의 베이스(120)상에 수직대향설치된 판상의 지지간(101)과, 상기 지지간(101)에 안착되어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102)와, 상기 구동모터(102)의 상측에 설치되어 구동력을 부여받는 전동부 (110)와, 상기 전동부(110)에 연결 지지간(101)에 축설되어 전동부(110)의 동력 전달하게 회동하는 웜(114)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체인저의 픽어 모듈 상하 구동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부(110)는 상기 구동모터(102)에 축설된 풀리 (111)와, 일측이 상기 지지간(101)에 축설되며 타측에 찾지된 풀리(112)와, 상기 풀리(111) (112)를 연결하는 벨트(113)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체인저의 픽업 모듈 상하 구동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수단(200)은 상기 구동부(100)의 웜(114)과 치합회동하는 연동기어(210)와, 상기 연동기어(210)의 타측에 치합되어 회동하는 제1리프터부(220)와, 상기 제1리프터부(220)의 타측에 대향 설치된 2개의 제2리프터부 (23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체인저의 픽업 모듈 상하 구동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리프터부(220) (230)는 하단에 설치된 기어 (221) (231)와, 상기 기어(221) (231) 상측에 치되며 외주연에 캠 형상의 경사 홈(222') (232')을 각각 갖는 원통상의 리프터(222) (232)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체인저의 픽업 모듈 상하 구동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모듈(300)은 상기 연동수단(200)의 제1, 제2리프터부(220) (230)에 지지설치되며, 일측벽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구동부(100)와 연동되도록 제1리프터부(200)의 경사홈(222')에 지지되는 안내돌기(301)와, 타측벽에 돌출 형성되어 타측에 형성된 상기 제2리프터부(230)의 경사홈(232')에 지지설치되는 2개의 지지돌기(302)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체인저의 픽업 모듈 상하구동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진 이동수단(400)은 상기 제1리프터부(220)의하단에 설치된 기어(221)와 치합되어 이동하는 제1랙(410)과, 상기 제1랙(410)의 전방 상면에 연장설치되며 하면에 지지공(411)을 갖는 지지편(412)과, 상기 제2리프터부(230)의 하단에 설치된 기어(231)와 치합되는 제2랙(420)과, 상기 제2랙(420)의 후방상면에 연장설치되며 하면에 지지공(421)을 갖는 지지편(422)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체인저의 픽업 모듈 상하 구동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차이동수단(500)은 상기 제1, 제2랙(410) (42O)에 지지되며, 일측 상면에 돌출되어 상기 제1랙(410)의 지지공(411)에 삽입되는 지지핀 (511)과, 타측 상면에 돌출되어 상기 제2랙(420)의 지지공(421)에 삽입되는 지지핀 (512)과, 중앙에 연통 돌출되어 상기 베이스(120)상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 (513)를 갖는 절곡레버(51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체인저의 픽업 모듈 상하 구동장치.
KR2019910024844U 1991-12-30 1991-12-30 멀티 체인저의 픽업모듈 상하 구동장치 KR9400016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24844U KR940001651Y1 (ko) 1991-12-30 1991-12-30 멀티 체인저의 픽업모듈 상하 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24844U KR940001651Y1 (ko) 1991-12-30 1991-12-30 멀티 체인저의 픽업모듈 상하 구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7462U KR930017462U (ko) 1993-07-29
KR940001651Y1 true KR940001651Y1 (ko) 1994-03-21

Family

ID=19326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24844U KR940001651Y1 (ko) 1991-12-30 1991-12-30 멀티 체인저의 픽업모듈 상하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165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7462U (ko) 1993-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92194B1 (ko) 디스크 플레이어
EP0820058B1 (en) Disc drive
JPS63140450A (ja) デイスクプレ−ヤ−のデイスクセツト機構
KR940001651Y1 (ko) 멀티 체인저의 픽업모듈 상하 구동장치
JPH06215469A (ja) マルチディスクプレイヤのディスクチェンジャ駆動装置
US5822290A (en) Disk player having ascending/descending structure for a deck
US7437744B2 (en) Loading apparatus for disc drive
CN1081823C (zh) 具有能够上下枢转的卡盘架的盘片播放机
US5828647A (en) Disk changer with reduced driving time
KR970000915B1 (ko) 광 디스크 드라이버의 디스크 로딩장치
KR100333606B1 (ko) 디스크 드라이버의 클램핑동력전달장치
KR920005109Y1 (ko) 카 오디오의 픽업조립체 로딩장치
JP2523644B2 (ja) ディスク装置
KR920007426Y1 (ko) 테이프 레코더의 하우징 장치
KR950020604A (ko) 미니디스크플레이어
GB2213979A (en) Disk-type record medium loading device
KR940004337Y1 (ko) Cdp의 로딩장치
KR930003872B1 (ko) 디스크의 자동반송 재생장치
JPH07272383A (ja) ディスクチェンジャー
KR910002033Y1 (ko)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픽업구동 모터를 이용한 로딩장치
KR940005010Y1 (ko) 멀티 콤팩트 디스크 플레이어의 매거진 및 트레이 로딩장치
KR900000044Y1 (ko) 디스크의 로딩장치
KR0141276B1 (ko) 콤팩트디스크체인저의 디스크척킹장치
US6233216B1 (en) Device for loading a tray down into a pick up disk player
KR920008983B1 (ko) 광 디스크 드라이브의 디스크 로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22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