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1503Y1 - 쿠숀기능을 갖는 운동화 - Google Patents

쿠숀기능을 갖는 운동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1503Y1
KR940001503Y1 KR2019910009830U KR910009830U KR940001503Y1 KR 940001503 Y1 KR940001503 Y1 KR 940001503Y1 KR 2019910009830 U KR2019910009830 U KR 2019910009830U KR 910009830 U KR910009830 U KR 910009830U KR 940001503 Y1 KR940001503 Y1 KR 9400015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member
sneaker
fixing
cushion
s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098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0108U (ko
Inventor
김삼호
Original Assignee
김삼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삼호 filed Critical 김삼호
Priority to KR20199100098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1503Y1/ko
Publication of KR93000010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010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15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150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22Soles made slip-preventing or wear-resisting, e.g. by impregnation or spreading a wear-resisting lay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20Nails, pegs, pins, clamps, or tacks, for footwear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쿠숀기능을 갖는 운동화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예의 조립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일실시예의 분해사시도.
제4도 (a)(b)는 본 고안에 따른 또다른 일실시예의 조립단면도로서, (a)는 쿠숀기능을 갖는 운동화로서 사용상태이고, (b)는 일반적인 운동화로서 사용상태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밑창 2 : 고정편
3 : 탄력부재 3a : 곡면부
3b : 구멍 4 : 고정부재
4a : 삽입부 4b : 결합부
5 : 나사캡 6 : 고정핀
S : 운동화 X : 연결수단
Y : 미끄럼방지수단
본 고안은 쿠숀기능을 갖는 운동화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운동화 바닥면에 쿠숀기능을 발휘하는 탄력부재를 부설구비하여 쿠숀기능을 부가함으로서 놀이나 운동을 할수있어 어린이들의 성장 발육 및 성인의 건강증진을 돕고, 또, 이동거리시간을 단출시킬 수 있도록함을 목적으로 개발된 쿠숀기능을 갖는 운동화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쿠숀기능을 갖는 운동화는 대부분 보행시 인체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보행자의 피로도를 경감시킴을 목적으로 개발사용되고 있다.
다시말하자면 종래의 쿠숀기능을 갖는 운동화는 놀이나 운동수단으로서 사용이 불가능한 결함이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결함을 해소시키기 위해서 운동화의 밑창에 탄력성이 양호한 판스프링으로 제작된 탄력부재를 고정식 또는 착탈식으로 부설구비하여 놀이 및 운동 수단과 이동수단으로서 사용할 수 있도록 안출된 것으로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그 구성과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쿠숀기능을 갖는 운동화(S)에 있어서, 상기 운동화 밑창(1)에 고정편(2)으로된 연결수단(X)을 매개로 탄력성이 양호한 부재로된 탄력부재(3)를 부설구비하되, 상기 탄력부재(3)의 전후방에는 곡면부(3a)를 형성하고, 지면과 접촉되는 면에는 고무부재로된 미끄러짐방지수단(Y)을 부착시켜 구성된 것이다.
도면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운동화(S)의 밑창(1)에 고정된 삽입구(4a) 및 결합부(4b)을 갖는 고정부재(4)와, 나사캡(5)이 일체로 되어, 곡면부 (3a), 구명(3b) 및 미끄러짐방지수단(Y)이 구비되어 상기 고정부재(4)의 결합부 (4b)에 나사캡(5)을 매개로 결합되는 탄력부재(3)와, 상기 탄력부재(3)의 구멍(3b)와, 고정부재(4)의 사입구(4a)내로 삽입되어 탄력부재(3)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핀(6)과, 일반적인 운동화로서 사용시 고정부재(4)의 결합부(4b)에 결합되어지는 밀폐부재(7)를 조합하여서된 연결수단(X)을 구비하여 상기 탄력부재를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착탈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여기서, 연결수단(X)인 고정편(2)과 탄력부재(3)는 용착 또는 그 밖의 여러수단(볼트, 리베트 등)으로 연결 고정한다.
탄력부재(3)는 사용자의 체중에 따라 최대의 탄력을 얻을 수 있도록 두께, 폭, 길이등을 조절할 수 있다.
운동화(S)와 탄력부재(3)의 크기는 약 2 : 3 정도의 비율을 갖게 한다.
탄력부재(3)의 상, 하판은 동일 곡선으로 제작한다.
미끄럼방지수단(Y)에는 다수의 구멍을 형성하여 접착상태를 견고하게 한다.
연결수단(X)인 고정편(2)과 운동화밑창(1)은 볼트등 그밖의 고정 수단으로 고정한다.
고정부재(4)는 녹이슬지않은 부재(스텐레스강)로 제작한다.
밀폐부재(7)에는 미끄럼방지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수단을 부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쿠숀기능을 갖는 운동화(S)구조로 도면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본 고안이 적용된 것, 즉, 운동화(S)의 밑창(1)에 연결수단(X)인 고정편(2)을 매개로 단면이 거의 럭비를 형상에 가까운 형상을 갖는 탄력부재(3)가 장착된것을 착화사용하면 다음과 같다.
보행시, 지면으로 부터 받을땐 도면 제2도의 실선도시상태에서, 즉, 지면에서 탄력부재(3)가 떨어진 상태에서 다시 탄력부재(3)를 지면에 접촉시키게되면 탄력부재 (3)의 상판에 가해지는 하중(착용자의 체중)에 의하여 탄력부재(3)의 상,하판이 곡면부(3a)를 중심으로 도면 제2도의 가상선 도시상태로 압압되어 탄력을 보유하게 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지면으로 부터 발을 떼어 주게되면 탄력부재(3)의 원위치되려는 힘 즉, 탄력복원력에 의하여 도면 제2도의 실선도시상태로 탄성복원되어진다.
이와같은 동작의 반복작용에 의해 보행시, 탄력부재의 탄력으로 멀리뛰고, 빨리 달릴수 있어 이동거리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면과의 접촉시에 발생되는 충격이 인체에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것을 완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인 적용된 운동화(S)를 착용한 상태에서 점프를 할 경우, 탄력부재 (3)의 탄력복원성에 의하여 보다 높이 뛸 수 있으므로 놀이기구 또는 운동기구로서 사용할 수 있어 어린이들의 성장발육을 도움은 물론 성인의 건강증진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탄력부재(3)의 하면에는 고무부재된 미끄럼 방지수단(Y)이 접착부설되어 있기때문에 사용시 미끄럼방지와 충격완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탄력부재(3)의 전후방에는 곡면부(3a)가 형성되어 있어 탄력부재(3)의 탄력성을 증대시켜주는 작용효과를 한다.
한편, 도면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운동화(S)에 쿠숀기능을 발휘하는 수단인 탄력부재(3)를 연결수단(X)을 이용하여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착탈토록된 것으로서 즉, 평상시에는 운동화(S)의 밑창(1)에 내설되어진 스텐레스재질로된 고정부재(4)의 결합부(4b)에 밀폐부재(7)를 도면 제4도 (b)에 도시된 바와같이 나사결합하여 고정부재(4)의 결합부(4b) 및 삽입구(4a)내로 이물질이 침입되는 것을 방지토록하여 일반적인 운동화와 같이 사용하게 되는데, 이때, 운동화(S)의 밑창(1)저면이 지면에 닿게되어 보행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게되는 것이다.
또한 쿠숀기능을 갖는 운동화로서 사용하고자 할때는 먼저, 상기된 바와같이 고정부재(4)에 결합된 밀폐부재(7)를 결합해제 시킨 상태에서 탄력부재(3)의 나사캡(5)을 구멍(3b)과 삽입구(4a)가 일치되도록 고정부재(4)의 결합부(4b)에 나사결합하면서 탄력부재 이탈방지수단인 고정핀(6)을 탄력부재(3)의 구멍(3b) 및 고정부재(4)의 삽입구(4a)에 끼워넣어 탄력부재(3)가 이탈되지 못하도록 도면 제4도 (a)와 같이 조립한다.
또, 탄력부재(3)의 분리순서는 상기된 조립과정의 역순에 의하여 작업한다.
이와같이 착탈되는 탄력부재(3)가 구비된 운동화 역시 도면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고정식 탄력부재가 구비된 운동화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갖는것으로 일반운동화와 같이 사용하다가 탄력부재를 조립하여 놀이나 운동을 할 수 있도록 된것이다.
여기서, 착탈식 탄력부재(3)에도 미끄럼 방지수단(Y)과 곡면부(3a)가 부설되어있어 앞에서 설명된 기능을 발휘한다.
이상에서 본 바와같이 본 고안은 운동화 바닥면에 연결수단을 매개로 고정식 또는 착탈식으로 탄력성이 양호한 부재로된 탄력 부재를 부설구비하여 높이 및 운동수단과 이동수단으로서 사용토록 된것으로서 어린이들의 성장발육을 돕고, 성인의 건강증진을 도모함은 물론 이동거리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등 여러장점이 있다.

Claims (2)

  1. 운동화(S)의 밑창(1)에 고정편(2)으로된 연결수단(X)을 매개로 곡면부(3a), 미끄럼방지수단(Y)이 일체로된 탄력성이 양호한 탄력부재(3)를 고정식으로 부설구비하여서 된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숀기능을 갖는 운동화.
  2. 제1항에 있어서, 운동화 밑창에 고정되며, 삽입구(4a), 결합부(4b)를 갖는 고정부재(4)와, 구멍(3b)을 갖는 탄력부재(3) 상면에 결합되고 상기 결합부(4b)에 고정되는 나사캡(5)과, 탄력부재 이음부(3b) 및 고정부재 삽입구(4a)내로 끼워져 탄력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핀(6)으로 조합되는 연결 수단(X)을 이용하여 탄력부재(3)를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착,탈 사용할수 있도록된 것을 포함하는 쿠숀기능을 갖는 운동화.
KR2019910009830U 1991-06-28 1991-06-28 쿠숀기능을 갖는 운동화 KR9400015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9830U KR940001503Y1 (ko) 1991-06-28 1991-06-28 쿠숀기능을 갖는 운동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9830U KR940001503Y1 (ko) 1991-06-28 1991-06-28 쿠숀기능을 갖는 운동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0108U KR930000108U (ko) 1993-01-20
KR940001503Y1 true KR940001503Y1 (ko) 1994-03-18

Family

ID=19315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09830U KR940001503Y1 (ko) 1991-06-28 1991-06-28 쿠숀기능을 갖는 운동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150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0108U (ko) 1993-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18641B1 (en) Sport shoe with structural frame
JPH0420246Y2 (ko)
KR200416582Y1 (ko) 건강신발
US5832629A (en) Shock-absorbing device for footwear
KR200335605Y1 (ko) 점프 신발
US4541185A (en) Game shoe
KR940001503Y1 (ko) 쿠숀기능을 갖는 운동화
KR960014893B1 (ko) 운동기능을 갖는 신발밑창구조
KR200381741Y1 (ko) 유희용 스프링 신발
CN212545862U (zh) 一种具有定位功能的童鞋
KR100394918B1 (ko) 등산용 아이젠
KR20180099169A (ko) 아웃솔 교체형 신발
GB2313999A (en) Stud
KR100831742B1 (ko) 다이어트용 쿠션 신발
KR100907386B1 (ko) 다기능 건강 신발
KR200164049Y1 (ko) 점프용신발부재
CN220987779U (zh) 一种防损伤减震运动鞋
JPH06189801A (ja) 翔ッ靴
KR100798910B1 (ko) 신발 굽의 마모방지장치
KR200412048Y1 (ko) 신발 굽의 마모방지장치
KR100711936B1 (ko) 미끄럼방지 및 충격흡수용 신발뒷굽
KR200278488Y1 (ko) 스키 부츠 마모 방지 기구
KR200408605Y1 (ko) 충격흡수용 신발 밑창
KR200265503Y1 (ko) 교체 및 충격흡수가 가능한 신발 밑창
KR200204769Y1 (ko) 도보운동용 쿠션 슬리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