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8910B1 - 신발 굽의 마모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신발 굽의 마모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8910B1
KR100798910B1 KR1020060118991A KR20060118991A KR100798910B1 KR 100798910 B1 KR100798910 B1 KR 100798910B1 KR 1020060118991 A KR1020060118991 A KR 1020060118991A KR 20060118991 A KR20060118991 A KR 20060118991A KR 100798910 B1 KR100798910 B1 KR 1007989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vention
shoe
heel
housing
w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8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72358A (ko
Inventor
박동윤
Original Assignee
박동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동윤 filed Critical 박동윤
Priority to PCT/KR2006/005439 priority Critical patent/WO2007074982A1/en
Publication of KR200700723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23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89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89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1/00Heels; Top-pieces or top-lifts
    • A43B21/24Heels; Top-pieces or top-lif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21/30Heels with metal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1/00Heels; Top-pieces or top-lifts
    • A43B21/02Heels; Top-pieces or top-lif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21/025Metal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1/00Heels; Top-pieces or top-lifts
    • A43B21/24Heels; Top-pieces or top-lif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21/26Resilient heel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발 굽의 마모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신발의 하부에 부착되도록 상부로 부착면(112)을 형성하고 하부에 바닥과 접촉되는 바닥면(113)을 구비한 일정 높이에 신발 굽(111)을 형성하며, 신발 굽(111)의 일측으로 복수의 관통공 형상의 설치공(114)을 복수로 형성하며, 설치공(114)의 하부에 바닥면(113) 측으로 직경이 감소되는 턱형상의 이탈방지턱(115)을 형성한 신발결합부(110)와, 상기 신발결합부(110)의 설치공(114)에 삽입되어 하부 형성된 이탈방지턱(115)에 안치되도록 하측으로 방지구안치부(122)를 구비한 방지하우징(121)의 내부에 구형상의 방지구(125)를 형성하고, 방지하우징(121)의 내부에 방지구(125)의 상부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스프링(126)을 형성하며, 방지하우징(121)의 상단부에 체결구(124)를 체결하도록 체결부(123)를 형성하여 방지구(125)를 탄성스프링(126)의 탄성력으로 지지시켜 마모를 최소화 하도록 형성한 방지부(120)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신발 굽, 설치공, 이탈방지턱, 방지부, 방지구, 탄성스프링

Description

신발 굽의 마모방지장치 {Attrition Preventive Device for Foot Wear Heel}
도 1은 일반적인 신발 굽 마모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일반적인 신발 굽 마모상태를 나타내는 저면 사시도.
도 3는 종래기술의 운동화 뒷굽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 굽의 마모방지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신발 굽의 마모방지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신발 굽의 마모방지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 굽의 마모방지장치에 다른 실시예인 복수의 고정볼을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 굽의 마모방지장치에 또 다른 실시예인 회전축을 형성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 굽의 마모방지장치를 운동화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는 본 발명에 따른 신발 굽의 마모방지장치를 하이힐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 굽의 마모방지장치를 등산화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방지장치 110 : 신발결합부
111 : 신발 굽 112 : 부착면
113 : 바닥면 114 : 설치공
115 : 이탈방지턱 120 : 방지부
121 : 방지하우징 122 : 방지구안치부
123 : 체결부 124 : 체결구
125 : 방지구 126 : 탄성스프링
127 : 고정구 128 : 회동구
129 : 회전축
본 발명은 신발 굽의 마모방지장치는 신발의 뒤축 부분에 형성된 신발 굽에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신발 굽의 마모를 방지하는 복수의 방지구를 형성하여 신발에 사용 따른 충격량을 탄성스프링으로 고정된 방지구에서 흡수하여 신발 굽의 마모를 방지하는 신발 굽의 마모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은 발에 신는 물건의 총칭을 말하는 것으로, 발 부분의 보호와 장식을 위해서 사용되지만, 특히 해변 빙설(氷雪), 진흙, 모래땅 등에서 보 행, 작업할 때 매몰되거나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도 있다. 신의 재료는 고대로부터 짚, 목재, 가죽을 썼고, 오늘날에는 고무, 플라스틱 또는 이런 재료를 함께 혼합해서 쓰는 경우가 많다. 신의 구조는 발생지의 기후 풍토의 영향을 받으며, 의례적(儀禮的), 계급적 성격이 신을 통해 나타나기도 한다.
신발의 기능은 발의 보호, 보행 또는 일의 능률 증진, 복장과의 조화 등 여러 가지가 있으나 기원적으로 보면 우선 발의 보호가 가장 중요한 것이었다.
신발의 굽(heel)은 기원전 4세기경에 만들어진 그리스의 분묘(墳墓)에 있는 그림을 보면 도살자 같은 남자가 발에 피가 묻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굽이 높은 신을 신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신발 굽은 키가 크게 보이도록 하는 수단으로 붙인 힐은 그리스시대에 무대 배우가 신은 코토르노스에서 기원을 찾을 수 있다. 그러나 그것은 현재의 힐과는 달라 구두의 앞과 뒤축 부분의 높이가 같았고, 높은 굽의 구두가 생긴 것은 근세 이후인데, 그것은 바닥 가죽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또 키가 크게 보이도록 하기 위한 필요 외에 승마용 장화에서는 박차를 가할 수 있게 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신의 기능은 발의 기능을 잘 살려 보행과 노동의 능률을 높이는 것이다. 다섯 개의 발가락이 붙어 있는 관절을 중족지절관절(中足趾節關節)이라 하는데, 걸을 때는 이 관절만이 굴곡하고 다른 관절은 전혀 움직이지 않는다. 따라서 신도 이 관절에 해당하는 부분이 잘 굴곡되도록 만들어야 한다.
나무로 만든 신은 발바닥의 굴곡이 불가능하므로 발끝에 힘이 들어가 피로가 쉬 온다. 짚신 등은 바닥은 굴곡되어 좋지만 너무 부드러워 긴 보행에는 역시 부적당하다.
발바닥은 원래 보행에 알맞도록 아치형으로 약간 만곡되어 있는데, 이 오목한 데가 없이 편평한 발을 편평발이라 하며, 오래 걸으면 쉬 피로를 느낀다. 발바닥이 만곡되어 있는 것은 걸을 때 발의 반동, 착지시(着地時)의 충격 완화, 발바닥의 신경 보호 등의 기능을 한다.
이와 같은 점에서 구두 바닥도 발의 아치에 맞는 형으로 만들어야 편안한 보행을 할 수 있다. 그러나 한 장의 바닥 가죽에 아치 모양과 같은 복잡한 기능을 주기는 어렵기 때문에 굽을 붙여 효과를 도모하게 되었다.
굽이 없는 구두는 보행의 준비 자세가 제대로 되지 않으며 발의 내디딤에 힘이 들고 완충효과가 좋지 않다. 힐을 신다가 낮은 구두를 신으면 뒤로 자빠지는 느낌이 드는 것이 바로 이 때문이다. 따라서 어린학생은 물론 성인들에게도 적당한 높이의 굽을 붙인 신발이 좋은데, 적당한 높이가 얼마인가는 규정하기 어려우나 경험을 토대로 한 실험을 통해 대강의 결론을 얻을 수 있다.
이미 실시된 많은 실험 결과에 따르면 굽이 있는 구두를 신었을 때는 하지근(下肢筋) 즉, 둔부,대퇴부, 하퇴부의 근육상태가 긴장해서 위로 올라가기 때문에 스타일이 바르게 되며, 또 바른 자세로 걷게 되는데 이것은 매우 바람직한 효과로 알려져 있다. 실험 결과에 의하면 굽 높이가 3 cm까지는 적당하고 그 이상이 되면 근육의 작용이 강해져 무리가 오고 7 cm를 넘으면 위험하다는 결론이 나왔다.
이와 같이, 적당한 높이로 형성된 신발 굽은 바른 보행을 돕는 것으로, 운동 화, 하이힐, 구두, 등산화 등 여러 종류의 신발에 적용되어 왔으나, 잘못된 보행습관과 신체조건에 따라 일반적인 신발 굽의 마모상태를 도 1과 도 2를 통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신발을 사용하다 보면 신발의 뒤굽부분의 신발 밑창의 바깥쪽이 달아 편마모(偏磨耗) 현상이 발생한다. 이는 신발의 바닥면에 가해지는 부하가 균일하지 않음으로써, 일어나는 현상으로 특히, 오자형 다리가 많은 동양인들의 경우에는 이러한 편마모 현상이 두드러진다. 이러한 편마모 현상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지레의 원리에 의해 뒷굽의 뾰족한 부분은 받침점 역할을 하고 반대편(마모된 부분)은 힘점과 작용점 역할을 하여 인체의 중량이 더욱더 상기 반대편(마모된 부분, 바깥쪽)으로 힘을 미침으로써, 편마모현상은 가속화되게 되고 신발 몸체 뒷축에도 힘이 바깥쪽으로 쏠려 씰그러짐 현상이 발생된다.
이렇게, 뒤굽의 편마모 현상 및 신발 몸체 뒷축의 씰그러짐 형상이 심해지면 착화감이 매우 불쾌해 질 뿐만 아니라 격렬한 활동 시에는 발목에 골절상을 입는 등의 부상을 당하기 쉽다. 특히 신체활동이 왕성한 청소년들의 경우에는 발목인대부상을 입는 경우가 많다.
이에, 최근에는 마모된 신발 굽을 용이하게 교환하여 사용하도록 형성한 대한실용신안 출원번호 실1993-71116호가 안출되어 개시된 바, 이를 도 3를 참조하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운동화 뒷굽의 분리부(6)를 형성하여 상기 분리부(6)가 운동화 밑창 본체(4)와, 요홈(8)과 결합 돌출부(20)가 스냅결합되는 방식으로 결합되고, 분리시에는 탄 성을 가진 탄성부재(18)에 의해 밑창 본체 측면에 부착된 수용부재(16)을 안쪽으로 밀어 넣어 스냅결합을 해체하는 방식으로 간단한 조작으로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형성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운동화 뒷굽은 요홈이 형성된 분리부를 스냅결합하여 교환하면서 탈착하는 것으로, 운동화 뒷굽이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지연시키지 않고 마모된 운동화의 뒷굽교환 만을 용이하게 한 것으로 신발 굽이 마모되어 교환 주기에 이르기 까지 마모된 굽을 그대로 사용하여야 함으로써, 부상의 위험에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의 운동화 뒷굽은 운동화 뒷굽이 마모된 상태로 뒷굽을 교환하는 것을 용이하도록 형성하는 것으로 신발 굽이 마모되는 것을 예상한 상태로 일정기간이 지나면 마모된 굽을 버리고 새로운 굽으로 교환하는 것으로, 자원의 낭비가 심하고 비용도 많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기술의 운동화 뒷굽은 운동화에 결합돌출부를 형성하고 요홈을 형성한 분리부를 삽입한 상태로 탄성부재로 스냅결합된 뒷굽을 결합 및 해체하도록 형성하여 뒷굽부분에 홈과 탄성부재를 결합부에 형성함으로써, 가공비용이 증대되고 여분의 뒷굽을 항상 구비하여야 교환이 가능함에 따라 가공과 유통 및 판매가 원활하지 못하면 뒷굽이 마모되어도 교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종래기술의 운동화 뒷굽은 다수의 돌출부와 요홈을 복수로 형성하여 결합 고정되는 것으로 보행이나 운동 시에 강한 충격이 전달되는 뒷굽 부분에 결합 틈 사이로 유동이 발생하거나 결합부분에 휨현상이 발생하여 마모 전에 결합부분에 뒤틀려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본 발명의 주목적은 신발 굽의 복수의 설치공을 형성하고 방지하우징의 내부에 내마모성이 강한 쇠구슬 형태로 형성된 방지구를 탄성스프링으로 탄성고정시켜 방지구안치부에 안치시킨 상태로 상부에 체결구로 체결부에 체결한 상태로 설치공의 내부에 형성함으로써, 신발 굽의 외측으로 돌출된 방지구가 탄성에 의해 내외로 돌출되면서 신발 굽이 바닥에 접촉되면서 발생되는 마모를 최소화 하여 수명을 증대시키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자 안출된 본 발명의 신발 굽의 마모방지장치는 신발의 하부에 부착되도록 상부로 부착면을 형성하고 하부에 바닥과 접촉되는 바닥면을 구비한 일정 높이에 신발 굽을 형성하며, 신발 굽의 일측으로 복수의 관통공 형상의 설치공을 복수로 형성하며, 설치공의 하부에 바닥면 측으로 직경이 감소되는 턱형상의 이탈방지턱을 형성한 신발결합부와, 상기 신발결합부의 설치공에 삽입되어 하부 형성된 이탈방지턱에 안치되도록 하측으로 방지구안치부를 구비한 방지하우징의 내부에 구형상의 방지구를 형성하고, 방지하우징의 내부에 방지구의 상부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스프링을 형성하며, 방지하우징의 상단부에 체결구를 체결하도록 체결부를 형성하여 방지구를 탄성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지지시켜 마모를 최소 화 하도록 형성한 방지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지부는 방지하우징의 내측으로 형성된 방지구의 상부에 접촉 회동되도록 구형상의 회동구를 복수로 형성하고, 회동구의 상부에 고정구를 형성한 상태로 체결구로 체결부에 체결하도록 형성하여 방지구가 바닥면 측으로 노출되어 보행 시나 운동 시에 마모를 발생하는 마찰력을 방지구가 회동구와 접촉하면서 회전되는 회전력으로 감소시켜 수명을 증대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방지부는 방지하우징의 하부에 방지구를 중앙으로 지지하여 회전하는 회전축을 형성하여 방지구가 바닥면 측으로 노출되어 보행 시나 운동 시에 마모를 발생하는 마찰력을 회전축에 고정되어 회전되는 방지구의 회전력으로 감소시켜 수명을 증대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신발 굽의 마모방지장치에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 굽의 마모방지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신발 굽의 마모방지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신발 굽의 마모방지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 굽의 마모방지장치에 다른 실시예인 복수의 고정볼을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 굽의 마모방지장치에 또 다른 실시예인 회전축을 형성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 굽의 마모방지장치를 운동화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10는 본 발명에 따른 신발 굽의 마모방지장치를 하이힐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 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 굽의 마모방지장치를 등산화에 설치한 상태르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신발 굽의 마모방지장치는 신발의 뒷굽을 형성하는 신발 굽(111)에 일정한 크기의 관통공인 설치공(114)을 형성하여 신발에 부착되도록 형성한 설치결합부(110)와, 상기 설치결합부(110)의 설치공(114)에 구형상의 방지구(125)를 형성하여 신발 굽(111)에 마모를 방지하도록 형성한 방지부(12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신발결합부(110)는 신발의 하부에 부착되도록 상부로 부착면(112)을 형성하고 하부에 바닥과 접촉되는 바닥면(113)을 구비한 일정 높이에 신발 굽(111)을 형성하며, 신발 굽(111)의 일측으로 복수의 관통공 형상의 설치공(114)을 복수로 형성하며, 설치공(114)의 하부에 바닥면(113) 측으로 직경이 감소되는 턱형상의 이탈방지턱(115)을 형성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방지부(120)는 신발결합부(110)의 설치공(114)에 삽입되어 하부 형성된 이탈방지턱(115)에 안치되도록 하측으로 방지구안치부(122)를 구비한 방지하우징(121)의 내부에 구형상의 방지구(125)를 형성하고, 방지하우징(121)의 내부에 방지구(125)의 상부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스프링(126)을 형성하며, 방지하우징(121)의 상단부에 체결구(124)를 체결하도록 체결부(123)를 형성하여 방지구(125)를 탄성스프링(126)의 탄성력으로 지지시켜 마모를 최소화 하도록 구성한다.
여기서, 방지부(120)는 방지하우징(121)의 내측으로 형성된 방지구(125)의 상부에 접촉 회동되도록 구형상의 회동구(128)를 복수로 형성하고, 회동구(128)의 상부에 고정구(127)를 형성한 상태로 체결구(124)로 체결부(123)에 체결하도록 형성하여 방지구(125)가 바닥면 측으로 노출되어 보행 시나 운동 시에 마모를 발생하는 마찰력을 방지구(125)가 회동구(128)와 접촉하면서 회전되는 회전력으로 감소시켜 수명을 증대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방지부(120)는 방지하우징(121)의 하부에 방지구(125)를 중앙으로 지지하여 회전하는 회전축을 형성하여 방지구(125)가 바닥면 측으로 노출되어 보행 시나 운동 시에 마모를 발생하는 마찰력을 회전축(129)에 고정되어 회전되는 방지구(125)의 회전력으로 감소시켜 수명을 증대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신발 굽의 마모방지장치에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신발에 하부 뒷부분에 부착되도록 상부에 부착면(112)을 형성하고 하측으로 바닥에 접촉되는 바닥면(113)을 형성한 신발 굽(111)에 신발이 접촉되어 마모가 심한 부분으로 복수의 통공형태인 설치공(114)을 형성하고, 설치공(114)의 하부에 바닥면(113) 측으로 직경을 축소시키도록 턱형상의 이탈방지턱(115)을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하부에 이탈방지턱(115)을 형성한 복수의 설치공(114)에 안치되도록 형성된 방지하우징의 하부에 방지구안치부 측으로 구형상으로 내마모성이 강한 쇠구슬 형태의 방지구(125)를 삽입시키고, 방지구(125)의 상부로 탄성스프링(126)을 형성한 상태로 방지하우징(121)의 상단부에 구비된 체결부에 체결구로 체결하여 방지하우징의 하부에 방지구가 노출되도록 구비한 상태에서 신발의 설치 공에 안치되어 이탈방지턱 측으로 방지구가 노출되도록 형성한 상태에서 신발결합구의 부착면으로 신발 굽을 부착시켜 신발에 마모방지장치(100)를 설치시킨다.
이때, 상기 방지부(120)는 방지하우징(121)의 내측으로 형성된 방지구(125)의 상부에 접촉 회동되도록 구형상의 회동구(128)를 복수로 형성하고, 회동구(128)의 상부에 고정구(127)를 형성한 상태로 체결구(124)로 체결부(123)에 체결하도록 형성하여 방지구(125)가 바닥면 측으로 노출되어 보행 시나 운동 시에 마모를 발생하는 마찰력을 방지구(125)가 회동구(128)와 접촉하면서 회전되는 회전력으로 감소시키도록 마모방지장치(100)를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방지부(120)는 방지하우징(121)의 하부에 방지구(125)를 중앙으로 지지하여 회전하는 회전축을 형성하여 방지구(125)가 바닥면 측으로 노출되어 보행 시나 운동 시에 마모를 발생하는 마찰력을 회전축(129)에 고정되어 회전되는 방지구(125)의 회전력으로 감소시키도록 마모방지장치(100)를 설치할 수도 있다.
이렇게, 방지장치(100)를 신발에 부착시킨 상태에서 보행이나 운동 시에 신발 굽(111) 부분이 마찰되는 마찰부분에 돌출된 구형의 방지구(125)가 먼저 접촉되면서, 탄성스프링(126)의 완충력으로 충격과 마찰률을 흡수한 상태로 신발 굽(111)이 접촉하도록 형성하여 수명을 증대시킨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신발 굽의 마모방지장치는 신발에 결합되도록 부착면을 상부에 형성하고 바닥에 접촉되는 바닥면을 하부에 형성한 신발굽의 일측 으로 일정한 간격에 통공형태의 설치공을 복수로 형성하며, 설치공의 하부에 바닥면 측으로 직경을 축소하는 턱형상의 이탈방지턱을 형성하고, 설치공의 내측으로 쇠구슬 형태의 방지구를 이탈방지턱에 거치되어 외부로 일부분 돌출되도록 방지하우징의 내측에 방지구안치부에 설치하며, 방지구의 상부에 탄성스프링을 형성한 상태로 신발에 신발 굽의 내부에 방지하우징을 설치하여 형성함으로써, 격렬한 운동이나 보행 시에도 내마모성이 강한 구형상의 쇠구슬 형태로 복수로 형성된 방지구가 먼저 접촉되면서 탄성스프링으로 충격을 흡수한 상태로 신발 굽이 접촉함에 따라 신발 굽에 충격량의 전달을 최소화하여 마모를 방지하여 수명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신발 굽의 마모방지장치는 방지하우징의 내부에 방지구안치부에 안치된 방지구의 상부로 작은 쇠구슬 형태의 회동구를 고정구로 고정 형성하여 방지구가 바닥에 접촉되면 구형상의 방지구와 회동구가 서로 마찰하면서 회전되어 충격량을 흡수한 상태로 신발 굽이 접촉함에 따라 신발 굽에 충격량의 전달을 최소화하여 마모를 방지하여 수명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신발 굽의 마모방지장치는 쇠구슬 형태의 방지구를 이탈이 방지되면서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한 상태로 방지하우징의 내부에 회전축을 형성하여 방지구를 회전축에 결합시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충격량을 흡수한 상태로 신발 굽이 접촉함에 따라 신발 굽에 충격량의 전달을 최소화하여 마모를 방지하여 수명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신발 굽의 마모방지장치는 신발 굽이 편마모되어 외측으로 마모가 심화되는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복수의 쇠구슬 형태의 구형의 방지구를 탄성력과 회전력에 의해 마모면을 보호하고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신발 굽 자체를 보호하여 신발의 수명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신발 굽의 마모방지장치는 일반적인 신발 굽에 통공형태의 설치공과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을 형성하여 내부에 방지부를 설치하는 것으로, 구조가 간단하고 일반적인 신발 굽에 구멍을 형성하여 사용하는 것이므로, 특수한 형태의 신발 굽을 제조하지 않고 범용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며 제작비와 생산비를 크게 감소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3)

  1. 신발의 하부에 부착되도록 상부로 부착면(112)을 형성하고 하부에 바닥과 접촉되는 바닥면(113)을 구비한 일정 높이에 신발 굽(111)을 형성하며, 신발 굽(111)의 일측으로 복수의 관통공 형상의 설치공(114)을 복수로 형성하며, 설치공(114)의 하부에 바닥면(113) 측으로 직경이 감소되는 턱형상의 이탈방지턱(115)을 형성한 신발결합부(110)와,
    상기 신발결합부(110)의 설치공(114)에 삽입되어 하부 형성된 이탈방지턱(115)에 안치되도록 하측으로 방지구안치부(122)를 구비한 방지하우징(121)의 내부에 구형상의 방지구(125)를 형성하고, 방지하우징(121)의 내부에 방지구(125)의 상부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스프링(126)을 형성하며, 방지하우징(121)의 상단부에 체결구(124)를 체결하도록 체결부(123)를 형성하여 방지구(125)를 탄성스프링(126)의 탄성력으로 지지시켜 마모를 최소화 하도록 형성한 방지부(120)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굽의 마모방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지부(120)는 방지하우징(121)의 내측으로 형성된 방지구(125)의 상부에 접촉 회동되도록 구형상의 회동구(128)를 복수로 형성하고, 회동구(128)의 상부에 고정구(127)를 형성한 상태로 체결구(124)로 체결부(123)에 체결하도록 형성하 여 방지구(125)가 바닥면 측으로 노출되어 보행 시나 운동 시에 마모를 발생하는 마찰력을 방지구(125)가 회동구(128)와 접촉하면서 회전되는 회전력으로 감소시켜 수명을 증대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굽의 마모방지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지부(120)는 방지하우징(121)의 하부에 방지구(125)를 중앙으로 지지하여 회전하는 회전축을 형성하여 방지구(125)가 바닥면 측으로 노출되어 보행 시나 운동 시에 마모를 발생하는 마찰력을 회전축(129)에 고정되어 회전되는 방지구(125)의 회전력으로 감소시켜 수명을 증대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굽의 마모방지장치.
KR1020060118991A 2005-12-29 2006-11-29 신발 굽의 마모방지장치 KR1007989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06/005439 WO2007074982A1 (en) 2005-12-29 2006-12-13 Attrition preventive device for foot wear he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2888 2005-12-29
KR1020050132888 2005-12-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2358A KR20070072358A (ko) 2007-07-04
KR100798910B1 true KR100798910B1 (ko) 2008-02-01

Family

ID=38507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8991A KR100798910B1 (ko) 2005-12-29 2006-11-29 신발 굽의 마모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89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9735B1 (ko) * 2012-10-05 2015-02-04 장명호 하이힐 슈즈의 패션형 쿠션 악세사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33808U (ko) 1979-03-17 1980-09-22
JPS5915305U (ja) 1982-07-21 1984-01-30 伊佐山 観樹 靴底の形状
KR20010027854A (ko) * 1999-09-16 2001-04-06 김영수 걸음걸이 교정신발
KR200238222Y1 (ko) 2001-03-15 2001-10-26 천병선 구두 뒷굽의 결합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33808U (ko) 1979-03-17 1980-09-22
JPS5915305U (ja) 1982-07-21 1984-01-30 伊佐山 観樹 靴底の形状
KR20010027854A (ko) * 1999-09-16 2001-04-06 김영수 걸음걸이 교정신발
KR200238222Y1 (ko) 2001-03-15 2001-10-26 천병선 구두 뒷굽의 결합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2358A (ko) 2007-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16582Y1 (ko) 건강신발
EP2566361B1 (en) High foot mobility shoe
AU2010352681B2 (en) High foot mobility shoe
AU2010352681A1 (en) High foot mobility shoe
KR100887625B1 (ko) 충격흡수와 반발탄성이 이루어지는 탄성바닥재 및 이를구비한 신발
KR101426154B1 (ko) 신발
KR100798910B1 (ko) 신발 굽의 마모방지장치
KR200412048Y1 (ko) 신발 굽의 마모방지장치
KR101166572B1 (ko) 신발창
KR101659498B1 (ko) 바른자세걷기용 신발
KR20180099169A (ko) 아웃솔 교체형 신발
KR20220122014A (ko) 기능성 헬쓰 슈즈
KR101068228B1 (ko) 착탈 가능한 이동형 지압기구를 구비하는 기능성 신발
WO2007074982A1 (en) Attrition preventive device for foot wear heel
KR20100133329A (ko) 충격분산기능과 구름보행기능을 가지는 신발중창
KR100907386B1 (ko) 다기능 건강 신발
KR200426108Y1 (ko) 고형패드가 부착된 신발 깔창
CN217565076U (zh) 减震防滑的运动鞋
KR200417572Y1 (ko) 탄력체가 구비된 운동화.
KR20150062930A (ko) 교체형 스파이크가 형성된 미끄럼 방지 건강 신발
KR200183143Y1 (ko) 신발 밑창
KR200301651Y1 (ko) 미끄럼 방지 구조를 가지는 신발
KR200429906Y1 (ko) 신발의 충격흡수패드
KR101537470B1 (ko) 신발 고정용 어셈블리
KR20240081477A (ko) 관절 안전 신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