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5503Y1 - 교체 및 충격흡수가 가능한 신발 밑창 - Google Patents

교체 및 충격흡수가 가능한 신발 밑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5503Y1
KR200265503Y1 KR2020010035154U KR20010035154U KR200265503Y1 KR 200265503 Y1 KR200265503 Y1 KR 200265503Y1 KR 2020010035154 U KR2020010035154 U KR 2020010035154U KR 20010035154 U KR20010035154 U KR 20010035154U KR 200265503 Y1 KR200265503 Y1 KR 2002655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e
shoe
shock
replaceable
shoe s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51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국
Original Assignee
김현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국 filed Critical 김현국
Priority to KR20200100351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550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55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5503Y1/ko

Link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신발밑창에 관한 것으로서, 마모된 신발밑창을 교체하거나 다용도로 신발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교체가능한 신발밑창이 교체 후 장기간 사용함에 따라 신발밑창과 신발몸체의 결합부분이 헐구어져 망가지는 것을 방지하고 여기에 충격흡수 및 미끄럼방지기능을 부가한 신발밑창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신발밑창의 결합부에 벨크로테입(Velcro Tape : 성긴 실코로 서로 달라붙게 된 나일론제의 접착포)의 접착부가 형성되어 있고 신발밑창의 바닥부의 바닥면 외부 또는 바닥부 내부에는 다수 개의 완충 스프링(spring)이 부착되어 있거나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교체 및 충격흡수가 가능한 신발밑창{The exchangeable bottom piece of a shoe capable of absorbing the shock on a foot}
본 고안은 신발밑창에 관한 것으로서, 마모된 신발밑창을 교체하거나 다용도로 신발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교체가능한 신발밑창에 있어서 신발밑창을 교체한 후 사용함에 따라 신발밑창과 신발몸체의 결합부분이 헐구어져 망가지는 것을 방지하고 여기에 충격흡수 및 미끄럼방지기능을 부가한 신발밑창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의 구조는 갑피(甲皮 : 창을 대지 않은 상태의 구두의 울)와 중간창 그리고 밑창으로 구분할 수 있다. 신발의 갑피는 발을 수용하여 발 전체를 감싸면서 보호하는 부분으로서 주로 기능성 보다는 장식성이 강조되는 곳이다. 신발 중간창은 발바닥을 받쳐서 체중을 지지해주는 부분으로서 주로 보행시 발과 다리의 충격을 감소시키기 위한 수 개의 충격흡수층으로 형성되어 있다. 신발밑창은 중간창을 통해서 전해지는 체중을 지면과 접촉된 면으로 분산시키고 외부의 위험물로부터 발바닥을 보호하는 작용을 한다. 신발밑창의 결합부는 중간창과 부합하는 크기로서 중간창과 결합하며 바닥부는 보행 시 지면과 접촉하는 부분으로서 보통 지면과의 마찰력을 크게 하여 미끄러지지 않도록 다양한 형상으로 홈을 형성하고 쉽게 마모되지 않도록 내구력이 좋은 재질로 이루어져 있다. 종래에는 신발의 장기간 착용이나 보행자 걸음걸이 습관 등의 이유로 인하여 신발밑창 바닥부의 한쪽 부분이 마모되어 물이나 흙먼지가 침투하거나 신발밑창과 지면의 접촉면의 불균형이 초래되고 걸음걸이가 불편해짐에 따라 신발을 계속해서 신을 수 없게되어 수명이 다 되지 않은 신발 전체를 버리고 새로 구입하거나 사용자가 기존의 신발을 더 오래 신기 위하여 밑창을 교체하고 싶은 경우에는 신발 대리점이나 수리점에 의존할 수밖에 없어 시간적으로나 경제적으로 낭비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신발밑창의 종류에 따라 신발의 용도가 결정되는 도보화, 조깅화. 등산화. 미끄럼방지화, 충격방지화, 키높이화 등을 사용자가 용도에 따라 착용하기 위해서는 용도별로 제작된 신발을 각각 구매하여야 한다는 불편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신발밑창만을 교체하여 신발의 수명을 높이고 하나의 신발을 다용도로 사용 할 수 있도록 하는 신발이 고안(공개번호 실1999-0023574, 실1999-0033748)되었다. 상기 고안들은 밑창의 발뒤꿈치 부분에 통공과 걸림턱을 형성하고 여기에 고정핀을 삽입하여 고정시켜 신발 뒷겉창을 교체하거나 밑창의 걸림부재가 중가창의 걸림홈부에 분리, 결합되어 교체가 이루어지는 방식이다. 그러나 상기 교체방식들은 뒷겉창이나 밑창의 극히 일부분만을 앞겉창이나 중간창에 고정하는 것으로서 교체방식이 다소 복잡하고 밑창과 중간창 사이의 결합력이 약하여 보행이나 주행시 체중이 실린 발을 지탱하지 못해 고정핀 또는 걸림부재가 부러지거나 홈 사이가 헐구어지게 되어 쉽게 망가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신발밑창만을 교체하여 신발의 수명을 높이고 하나의 신발을 다용도로 사용 할 수 있도록 하는 신발밑창에 있어서 밑창의 교체가 용이하고 신발 착용시 밑창과 중간창의 결합력이 강해 걷거나 달리는 체중에도 결합부분이 헐구어져 망가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교체 가능한 신발밑창과 여기에 충격흡수 및 미끄럼방지기능을 부가한 교체 및 충격흡수가 가능한 신발밑창을 제공하는 데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신발밑창과 중간창의 접착면을 넓히고 접착력을 강하게 하기 위하여 신발밑창 상부결합부 전체에 벨크로테입을 형성하여 이와 부합하는 중간창 바닥부에 형성되어 있는 벨크로테입과 접착함으로써 벨크로테입의 수백 개 암수 루프가 결합하도록 하여 접착력을 강하게 하는 한편 신발밑창의 바닥부 또는 결합부와 바닥부 사이에 다수 개의 완충 스프링이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A는 신발밑창 바닥부의 바닥면에서 바라본 본 고안의 교체가능한 신발밑창 실시예의 사시도
B는 신발밑창 상부결합부에서 바라본 본 고안의 교체가능한 신발밑창 실시예의 사시도
도 2A는 신발밑창 바닥부의 바닥면에서 바라본 본 고안의 신발밑창 바닥부 내부에 다수 개의 스프링이 삽입되어 있어 교체 및 충격흡수가 가능한 신발밑창의 사시도
B는 신발밑창 상부결합부에서 바라본 본 고안의 신발밑창 바닥부 내부에 다수 개의 스프링이 삽입되어 있어 교체 및 충격흡수가 가능한 신발밑창의 사시도
도 3A는 신발밑창 바닥부의 바닥면에서 바라본 본 고안의 신발밑창 바닥부에 다수 개의 스프링이 부착되어 있어 신발밑창 바닥부의 바닥면 외부로 다수 개의 스프링이 일부 돌출되어 있는 교체 및 충격흡수가 가능한 신발밑창의 사시도
B는 신발밑창 상부결합부에서 바라본 본 고안의 신발밑창 바닥부에 다수 개의 스프링이 고정부착되어 있어 신발밑창 바닥부의 바닥면 외부로 다수 개의스프링이 일부 돌출되어 있는 교체 및 충격흡수가 가능한 신발밑창의 사시도
도 4A는 벨크로테입이 형성되어 있는 교체가능한 신발밑창과 결합되도록 벨크로테입이 형성되어 있는 신발몸체의 사시도
B는 본 고안의 신발밑창 바닥부 내부에 다수 개의 스프링이 삽입되어 있어 교체 및 충격흡수가 가능한 신발밑창이 벨크로테입에 의해 신발몸체와 결합되어 있는 상태도
C는 본 고안의 신발밑창 바닥부에 다수 개의 스프링이 고정부착되어 있어 신발밑창 바닥부의 바닥면 외부로 다수 개의 스프링이 일부 돌출되어 있는 교체 및 충격흡수가 가능한 신발밑창이 벨크로테입에 의해 신발몸체와 결합되어 있는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교체가능한 신발밑창 2, 2', 2". 신발밑창 바닥부
2a, 2'a, 2"a. 바닥면 3, 3', 3". 신발밑창 상부결합부
4, 4', 4". 벨크로테입 5, 5', 5". 테두리
6, 6', 6". 교체 및 충격흡수가 가능한 신발밑창
7. 앞 스프링 8. 뒷 스프링
9. 신발몸체 10. 갑피
11. 중간창 12. 신발몸체 하부결합부
13. 몸체 벨크로테입 14. 신발몸체 테두리
본 고안의 교체가능한 신발밑창(1)의 구성 및 작용을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교체가능한 신발밑창(1)은 신발밑창 바닥부(2)와 벨크로테입(4)이 형성되어 있는 신발밑창 상부결합부(3) 그리고 테두리(5)로 구성되어 있어, 교체가능한 신발밑창(1)을 신발몸체(9)에 필요에 따라 결합하거나 분리함으로써 착탈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신발밑창(1)의 형상과 재질은 도보화, 조깅화. 등산화. 미끄럼방지화,충격방지화, 키높이화 등과 같이 신발의 다양한 용도에 따라 각각 다르게 할 수 있다.
도 1B와 같이 신발밑창 상부결합부(3)는 신발몸체 하부결합부(12)의 크기와 부합하는 형상으로 여기에는 벨크로테입(4)이 형성되어 있어 신발몸체 하부결합부(12)에 형성되어 있는 몸체 벨크로테입(13)과 접착함으로써 벨크로테입(4)(13)의 수백 개 암수 루프가 단단히 결합하도록 하여 신발몸체(9)와 교체가능한 신발밑창(1)을 일체로 강하게 접착시켜 착탈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도 1A와 같이 신발밑창 바닥부(2)는 지면과 직접 접촉하는 부위로서 신발의 용도에 따라 다양한 두께와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신발밑창 바닥부(2)의 바닥면(2a)에는 미끄럼방지용 홈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1B와 같이 테두리(5)는 벨크로테입(4)이 형성되어 있지 않고 교체가능한 신발밑창(1)의 형상을 따라 홈이 형성되어 있어 신발몸체(9)에 형성되어 있는 신발몸체 테두리(14) 부분이 여기에 끼워지도록 되어 있다.
본 고안의 교체 및 충격흡수가 가능한 신발밑창(6)의 구성 및 작용을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교체 및 충격흡수가 가능한 신발밑창(6)은 신발밑창 바닥부(2')와 벨크로테입(4')이 형성되어 있는 신발밑창 상부결합부(3') 그리고 테두리(5')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수 개 스프링(7)(8)이 신발밑창 바닥부(2') 내부에 고르게 고정삽입되어 있어 스프링(7)(8)의 탄성변형을 이용한 보행 시 체중에 의한 충격에너지를 흡수·축적시켜 완충하는 작용을 한다.
도 2B와 같이 신발밑창 상부결합부(3')는 신발몸체 하부결합부(12)와 부합하는 형상으로 여기에는 벨크로테입(4')이 형성되어 있어, 신발몸체 하부결합부(12)에 형성되어 있는 몸체 벨크로테입(13)과 접착함으로써 신발몸체(9)와 교체 및 충격흡수가 가능한 신발밑창(6)을 일체로 강하게 결합시켜 착탈이 가능하도록 되어있다.
도 2A와 같이 신발밑창 바닥부(2')는 지면과 접촉하는 부위로서 다수 개의 앞 스프링(7)과 뒷 스프링(8)이 체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신발밑창 바닥부(2') 내부에 균형 있게 고정삽입되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앞 스프링(7)과 뒷 스프링(8)을 합하여 대략 30~40개가 고르게 삽입되어 있다. 신발밑창 바닥부(2')의 바닥면(2'a)에는 미끄럼방지용 홈을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본 고안의 교체 및 충격흡수가 가능한 신발밑창(6')의 구성 및 작용을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교체 및 충격흡수가 가능한 신발밑창(6')은 신발밑창 바닥부(2")와 벨크로테입(4")이 형성되어 있는 신발밑창 상부결합부(3") 그리고 테두리(5")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수 개의 스프링(7')(8') 상단 일부분이 신발밑창 바닥부(2")에 삽입된 상태로 다수 개의 스프링(7')(8')이 신발밑창 바닥부(2")의 바닥면(2"a) 외부로 일부 돌출되게 고정부착되어 있어, 스프링(7')(8')의 탄성변형을 이용하여 보행 시 체중에 의한 충격에너지를 흡수·축적시켜 완충하고 스프링(7')(8')의 지면접촉면과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겨울철 눈길이나 빙판길에서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작용을 한다.
도 3B와 같이 신발밑창 상부결합부(3")는 신발몸체 하부결합부(12)와 부합하는 형상으로 여기에는 벨크로테입(4")이 형성되어 있어 신발몸체 하부결합부(12)에 형성되어 있는 몸체 벨크로테입(13)과 접착함으로써 신발몸체(9)와 교체 및 충격흡수가 가능한 신발밑창(6')을 일체로 강하게 결합시켜 착탈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도 3A와 같이 신발밑창 바닥부(2")는 지면과 접촉하는 부위로서 다수 개의 스프링(7')(8')이 그 상단 일부분이 신발밑창 바닥부(2")에 삽입된 상태에서 스프링(7')(8')이 접착제에 의하여 바닥면(2"a) 외부로 일부 돌출되게 일체로 고정부착되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앞 스프링(7')과 뒷 스프링(8')을 합하여 대략 30~40개가 고르게 부착되어 있다.
교체 및 충격흡수가 가능한 신발밑창(6)(6')에 사용되는 스프링(7)(7')(8)(8')은 충격을 완화시켜주는 탄성력이 좋은 완충스프링으로 열처리한 강철이나 니켈합금 등의 금속재질로 이루어져 있다. 앞 스프링(7)(7')은 신발밑창 바닥부(2')(2")나 바닥면(2'a)(2"a)의 비교적 넓은 발앞꿈치와 중간부분에 다수 개가 삽입 또는 부착되어 있어 대략 신체하중의 1/3을 지지하며 뒷 스프링(8')은 도 2A와 도 3A의 (a)(a')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신발밑창 바닥부(2')(2")나 바닥면(2'a)(2"a)의 비교적 좁은 발뒤꿈치에 다수 개가 삽입 또는 부착되어 있어 대략 신체하중의 2/3를 지탱한다. 따라서 뒷 스프링(8)(8')은 앞 스프링(7)(7')에 비하여 무거운 체중에 견딜 수 있도록 강하고 내구력이 좋은 재질로 할 수 있다.
교체 및 충격흡수가 가능한 신발밑창(6)(6')에 있어서 신발밑창 바닥부(2')(2")의 바닥면(2'a)(2"a)는 내구력 있는 고무재질로 하고 신발밑창 바닥부(3)(2') 내부는 충격에 대한 완화기능과 복원기능이 우수한 EVA(ethylene vinylacetate copolymer), 실리콘-겔, 우레탄-겔 또는 고무-겔을 재질로 하여 스프링(7)(7')(8)(8')과 상호보완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충격흡수작용을 더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한 교체가능한 신발밑창은 신발밑창이 마모되어 신발 전체를 교체하여야 하는 경우 신발밑창만을 교체하여 신발을 계속하여 신을 수 있도록 하여 신발의 수명을 높이고, 신발용도에 따라 신발밑창을 바꿔줌으로써 하나의 신발을 다용도로 사용 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밑창의 교체작업을 손쉽게 하고 신발 착용 시 밑창과 중간창의 접착력이 강해 걷거나 달리는 체중에도 결합부분이 헐구어져 망가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교체 가능한 신발밑창에 스프링을 부착시키거나 삽입하여 충격흡수 및 미끄럼방지기능을 부가함으로써 걸을 때 마치 구름 위를 사뿐사뿐 걸어다니는 기분을 느끼게 함으로써 보행자의 신체 피로감을 덜어주고 류마티스관절염이나 신경통 등을 치료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교체가능한 신발밑창에 있어서, 신발의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신발밑창 바닥부(2)(2')(2")와, 신발몸체 하부결합부(12)에 형성되어 있는 몸체 벨크로테입(13)과 결합하여 착탈할 수 있도록하는 벨크로테입(4)(4')(4")이 형성되어 있는 신발밑창 상부결합부(3)(3')(3")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가능한 신발밑창.
  2. 제 1항에 있어서, 신발밑창 바닥부(2')내부에는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다수 개의 스프링(7)(8)이 삽입되어 있고 신발밑창 바닥부(2') 내부는 충격에 대한 완화기능과 복원기능이 우수한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스프링(7)(7')(8)(8')과 상호보완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충격흡수작용을 더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 및 충격흡수가 가능한 신발밑창.
  3. 제 1항에 있어서, 신발밑창 바닥부(2")에는 충격을 완화하고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다수 개의 스프링(7')(8')의 상단 일부분이 신발밑창 바닥부(2")에 삽입된 상태로 다수 개의 스프링(7')(8')이 신발밑창 바닥부(2")의 바닥면(2"a) 외부로 일부 돌출되게 고정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 및 충격흡수가 가능한 신발밑창.
KR2020010035154U 2001-11-15 2001-11-15 교체 및 충격흡수가 가능한 신발 밑창 KR2002655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5154U KR200265503Y1 (ko) 2001-11-15 2001-11-15 교체 및 충격흡수가 가능한 신발 밑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5154U KR200265503Y1 (ko) 2001-11-15 2001-11-15 교체 및 충격흡수가 가능한 신발 밑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5503Y1 true KR200265503Y1 (ko) 2002-02-21

Family

ID=73112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5154U KR200265503Y1 (ko) 2001-11-15 2001-11-15 교체 및 충격흡수가 가능한 신발 밑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550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16582Y1 (ko) 건강신발
US9220313B2 (en) Spare cleat
JPH0556881B2 (ko)
KR100757206B1 (ko) 충격흡수용 구두
KR100902651B1 (ko) 충격흡수와 반발탄성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기능성 신발
KR100887625B1 (ko) 충격흡수와 반발탄성이 이루어지는 탄성바닥재 및 이를구비한 신발
KR20120063287A (ko) 충격흡수부재, 충격흡수부재를 구비한 밑창 및 충격흡수부재를 구비한 신발
KR200265503Y1 (ko) 교체 및 충격흡수가 가능한 신발 밑창
AU2013100936A4 (en) Sole structure of golf shoes
CN213785688U (zh) 一种能按需更换防滑弹簧减震模块鞋装置
WO2008033811A2 (en) Shoe having a replaceable portion and replacement method
KR101288691B1 (ko) 신발 밑창
KR100394918B1 (ko) 등산용 아이젠
KR101481760B1 (ko) 지면 부착 기능을 강화한 신발
CN217609773U (zh) 一种双密度缓震鞋底
CN203087740U (zh) 一种新型运动鞋鞋底
KR200471407Y1 (ko) 미끄럼 방지용 신발
CN218500096U (zh) 一种减震强度可调节的鞋底
KR200465097Y1 (ko) 빙상 및 암반겸용 등산화
KR200408605Y1 (ko) 충격흡수용 신발 밑창
KR20120063417A (ko) 충격흡수부재, 충격흡수부재를 구비한 밑창 및 충격흡수부재를 구비한 신발
KR200412048Y1 (ko) 신발 굽의 마모방지장치
KR101047067B1 (ko) 충격흡수용 구두 뒷굽의 제조방법
KR200410356Y1 (ko) 충격 흡수 신발
KR102049408B1 (ko) 쿠션기능을 갖는 신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2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