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1760B1 - 지면 부착 기능을 강화한 신발 - Google Patents

지면 부착 기능을 강화한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1760B1
KR101481760B1 KR20130059492A KR20130059492A KR101481760B1 KR 101481760 B1 KR101481760 B1 KR 101481760B1 KR 20130059492 A KR20130059492 A KR 20130059492A KR 20130059492 A KR20130059492 A KR 20130059492A KR 101481760 B1 KR101481760 B1 KR 1014817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
sole
support member
ground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59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39193A (ko
Inventor
백주헌
Original Assignee
백주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주헌 filed Critical 백주헌
Priority to KR201300594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1760B1/ko
Priority to PCT/KR2014/002964 priority patent/WO2014193078A1/ko
Publication of KR201401391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91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17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17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28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ir attachment, also attachment of combined soles and heels
    • A43B13/36Easily-exchangeable sol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41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with a part of the sole being flexible, e.g. permitting articulation or torsion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6Pieced soles

Abstract

본 발명은 지면 부착 기능을 강화한 신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밑창을 밑창 본체와 지지부재로 구성하고, 지지부재는 밑창 본체와 탈부착되게 하면서, 밑창의 상부가 흔들려도 신발의 바닥면과 지면의 접촉 상태에는 영향이 없는 지면 부착 기능이 강화된 신발을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지면과의 부착 기능을 강화한 밑창을 갖는 신발에 있어서, 상기 밑창은 후반부에 길이 방향으로 핑거부를 갖는 밑창 본체와, 상기 핑거부와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결합홈이 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지지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지면 부착 기능을 강화한 신발{SHOES WITH IMPROVED GROUND-ATTACH FUNCTION}
본 발명은 지면 부착 기능을 강화한 신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밑창을 밑창 본체와 지지부재로 구성하고, 지지부재는 밑창 본체와 탈부착되게 하면서, 밑창의 상부가 흔들려도 신발의 바닥면과 지면의 접촉 상태에는 영향이 없는 지면 부착 기능이 강화된 신발에 관한 것이다.
신발은 갑피와 밑창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밑창에 갑피를 재봉하거나 또는 접착제로 접착하여 신발을 제조하였다. 통상, 정장용 구두를 제외한 대부분의 신발은 뒷굽 마모시 교체하여 다시 착용할 수 없는 것이 대부분이므로, 신발 갑피는 마모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새것을 구매하여야 하는 비효율적인 측면이 있었다.
또한, 밑창을 교체하는 경우라도, 신발 내부에 족형을 삽입하고 압력이 가해진 상태에서 밑창을 교체하는 공정을 거치므로, 교체 후에는 신발 내부의 구조가 변경되어 종전 착용감이 변질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정장용 구두외의 신발 중에서도 밑창 중 뒷굽 부분만 탈부착되는 신발이 있으나, 부착력을 강화하기 위해 부품의 수가 늘어나게 되므로 제조 비용 상승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뒷굽 부분이 탈부착되는 신발의 경우 그 결합력이 약하여, 발뒤꿈치를 접지하여 방향 전환하는 등의 격렬한 동작을 행할 시에는 부착되어 있는 뒷굽 부분이 잘 분리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종래 신발은 높이 방향을 따라 평단면적이 동일하기 때문에, 신발 밑창의 상부가 흔들릴 경우 신발 바닥면도 흔들리게 되어, 신발 바닥면이 지면과 쉽게 이격 되었다. 따라서, 신발 바닥면과 지면과의 부착부위가 줄어들면서 몸의 균형이 무너지거나 미끄러지게 되어 부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상기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신발의 밑창을 밑창 본체와 지지부재로 구성하고, 지지부재는 밑창 본체와 간편한 방법으로 탈부착 되게 하는 신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신발 밑창의 상부의 흔들림이 신발 바닥면에 전달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지면 부착 기능이 향상된 기능성 신발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면과의 부착 기능을 강화한 밑창을 갖는 신발에 있어서, 상기 밑창은 후반부에 길이 방향으로 핑거부를 갖는 밑창 본체와, 상기 핑거부와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 되는 결합홈이 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신발은,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결합홈의 주변이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신발은, 상기 지지부재는 전방에 길이 방향으로 돌출된 끼움부를 포함하며, 상기 밑창 본체는 중앙부에 상기 끼움부가 삽입되는 고정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신발은, 상기 핑거부는 좌우 직경이 하단부로 갈수록 점차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신발은, 상기 지지부재는 좌우 직경이 하단부에서 상기 결합홈까지 점차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신발은, 상기 지지부재는 지면과 접촉하여 충격 흡수 기능과 제동 기능을 하는 바닥부재와, 상기 바닥부재의 상부에 적층되는 보호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신발은,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바닥부재와 상기 보호부재의 사이에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마모 정도가 빠른 지지부재만을 교체하여 신발을 계속 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 신발의 사용 수명 연장에 따른 경제적 이점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양한 스포츠 및 용도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재질의 지지부재를 교체하여 착용함으로써 별도 신발의 구매가 필요없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밑창의 중간부의 좌우 직경을 감소시켜 밑창 본체의 흔들림이 지지부재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게 하여, 경사면에서도 지면과 신발바닥의 접촉면적을 그대로 유지시켜 착용자에게 최적의 안정감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면 부착 기능을 강화한 신발의 지지부재(200)가 밑창 본체(100)에 체결되기 전의 측면도.
도 2a는 도 1에서의 A-A'방향의 단면도.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지면 부착 기능을 강화한 신발의 지지부재(200)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면 부착 기능을 강화한 신발의 지지부재(200)가 밑창 본체(100)에 체결된 후의 측면도.
도 4는 도 1에서의 B-B'방향의 단면도.
도 5는 도 3에서의 C-C'방향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의 지면 부착 강화 기능의 설명도.
도 7은 종래 신발의 지면 부착 기능의 설명도.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명확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함께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면 부착 기능을 강화한 신발의 지지부재(200)가 밑창 본체(100)에서 탈착된 상태의 측면도이고, 도 2a는 도 1에서의 A-A'방향 단면도이고, 도 2b는 지지부재(200)의 사시도이고, 도 3은 지지부재(200)가 밑창 본체(100)에 부착된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면과의 부착 기능을 강화한 밑창을 갖는 신발에 있어서, 밑창(300)은 후반부에 길이 방향으로 핑거부(101)를 갖는 밑창 본체(100)와, 밑창 본체(100)의 핑거부(101)와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결합홈(260)이 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지지부재(200)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지지부재(200)는 전방에 길이 방향으로 돌출된 끼움부(210)를 포함하며, 밑창 본체(100)는 중앙부에 지지부재(200)의 끼움부(210)가 삽입되는 고정홀(110)을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지지부재(200)가 밑창 본체(100)에 결합되는 방법을 설명해 본다.
사용자는 지지부재(200)를 밑창 본체(100)의 저면 중앙부분에 위치시킨 다음, 밑창 본체(100)의 후방부를 향해 지지부재(200)를 밀면서 밑창 본체(100)의 핑거부(101)의 하단이 지지부재(200)의 결합홈(260)에 체결되도록 한다.
그러면, 지지부재(200)의 결합홈(260)의 상부인 결합부(220)가 밑창 본체(100)의 핑거부(101)로 둘러싸인 끼움공간(120)에 삽입되게 된다.
그 다음, 지지부재(200)가 앞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지지부재(200)의 끼움부(210)를 밑창 본체(100)의 고정홀(110)에 넣어서 결합시킨다.
이렇게 함으로써, 별도 체결수단이 없이 지지부재(200)를 밑창 본체(100)에 간단하게 부착시킬 수 있고, 탈착하는 방법은 위 부착하는 방법을 역순으로 하면 된다.
도 3은 지지부재(200)가 밑창 본체(100)에 체결된 후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3에서의 C-C'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3과 도 5를 이용하여 밑창 본체(100)와 지지부재(200)의 결합 후의 상태를 설명해 본다.
도 3과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지부재(200)의 결합홈(260)과 밑창 본체(100)의 핑거부(101)의 결합으로, 지지부재(200)의 좌우 및 후방 측면과 바닥면 방향이 지지되고, 밑창 본체(100)의 고정홀(110)과 지지부재(200)의 끼움부(210)의 결합으로 지지부재(200)의 전방 측면이 지지된다.
따라서, 지지부재(200)는 밑창 본체(100)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견고한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위 결합 상태를 더 견고하게 하기 위하여, 밑창 본체와 지지부재가 결합된 부위를 따라 결합수단을 추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는 도 1에서의 B-B'방향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에서의 C-C'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신발의 지면 부착 강화 기능을 설명해 본다.
도 4를 참조하면, 밑창 본체(100)의 핑거부(101)는 좌우 직경이 하단부로 갈수록 점차 감소하고, 지지부재(200)의 좌우 직경은 하단부에서 상부의 결합홈(260)까지 갈수록 점차 감소한다.
따라서, 도 5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밑창 본체(100)와 지지부재(200)가 체결된 후에는, 신발 밑창(300)은 상단 부분에서부터 높이 방향 중간 부분까지 직경이 점차 감소한 후 중간부에서부터 하단부까지 직경이 다시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장구모양을 형성한다.
따라서, 신발밑창(300)은 신발밑창(300)의 상부를 형성하는 밑창 본체(100)의 흔들림이 신발밑창(300)의 하부를 형성하는 지지부재(200)에 전달되지 않게 되는 기능을 갖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신발은 밑창 본체(100)가 좌우로 흔들려도 밑창 본체(100)는 시소운동만 하게 되고 지지부재(200)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신발밑창(300)의 지지부재(200)는 지면과의 부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위 지면 부착 강화 기능의 목적 달성을 위하여 지지부재(200)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홈(260)의 주변은 탄성체로 이루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를 참조하면, 지지부재(200)는 지면과 접촉하여 충격 흡수 기능과 제동 기능을 하는 바닥부재(250)와 바닥부재(250)의 상부에 적층되는 보호부재(230)를 포함할 수 있고, 바닥부재(250)와 상기 보호부재(230)의 사이에는 탄성부재(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지부재(200)의 끼움부(210)는 지지부재(200)의 몸체(201)가 전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고, 지지부재(200)의 결합부(220)도 몸체(201)의 일부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끼움부(210)와 결합부(220)는 지지부재(200)와 일체형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신발은 지지부재(200)가 밑창 본체(100)에 체결시 별도의 체결도구가 필요하지가 않는다.
한편, 지지부재(200)는 고무재질, 우레탄수지 또는 에티렌비닐아세테이트 등과 같은 일반적인 신발창 제조에 사용되는 합성수지재 재료로 성형하면 족하다. 또한, 지지부재(200)의 보호부재(230)는 우레탄(thermoplastic polyurethane,TPU), 탄성부재(240)는 파일론(phylon), 바닥부재(250)는 고무(rubber)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의 지면 부착 기능이 강화되었음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본 발명의 이해를 도모하고자 종래기술에 의한 신발을 도 7에 도시하였다.
도 6과 도 7을 참조하여, 같은 정도의 밑창 상부의 흔들림(M)에 대하여 본 발명과 종래 기술에 따른 신발의 밑창 바닥이 지면과 이격되는 거리(H)를 비교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신발의 지면 부착 기능이 강화되었음을 설명해 본다.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의한 신발을 신고 경사면을 보행하는 경우에는 경사면의 아래 방향으로 몸의 무게 중심이 쏠리면서 신발 바닥의 일부가 지면과 이격 되면서 지면과 부착되는 면적이 줄어든다. 따라서, 마찰면적도 줄어들면서 미끄러지거나, 균형을 잃게 되면서 원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지 못하고 급작스럽게 착지하다가 부상을 입을 수 있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지면 부착 기능을 강화한 신발을 신고 경사면을 보행하는 경우에는 경사면 아래 방향으로 무게 중심이 기울더라도 밑창 본체(100)만 흔들릴 뿐이고, 신발의 바닥면은 지면과 부착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신발의 경우, 지지부재(200)의 바닥면은 지면과 부착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신발 밑창의 일측 측면의 바닥부분과 지면과의 이격거리(H)는 거의 없어, 종래기술에 의한 신발의 경우보다 지면 부착 기능이 강화되었다.
따라서, 디딤발이 미끄러져 넘어지거나, 또는 무게 중심이 무너지면서 급격히 다음 착지 동작을 하다가 부상을 입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디딤발이 지면과 부착 상태를 유지하므로 경사면에서도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00 : 밑창 본체 101 : 핑거부
110 : 고정홀 120 : 끼움공간
200 : 지지부재 201 : 몸체
210 : 끼움부 220 : 결합부
230 : 보호부재 240 : 탄성부재
250 : 바닥부재 260 : 결합홈
300 : 밑창

Claims (7)

  1. 지면과의 부착 기능을 강화한 밑창을 갖는 신발에 있어서,
    상기 밑창은
    후반부에 길이 방향으로 핑거부를 갖는 밑창 본체와,
    상기 핑거부와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결합홈이 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밑창은 상기 핑거부의 좌우 직경이 하단부로 갈수록 점차 감소하며, 상기 핑거부와 결합되는 상기 지지부재의 결함홈에서 하단부로 갈수록 좌우 직경이 점차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결합홈의 주변이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전방에 길이 방향으로 돌출된 끼움부를 포함하며,
    상기 밑창 본체는 중앙부에 상기 끼움부가 삽입되는 고정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지면과 접촉하여 충격 흡수 기능과 제동 기능을 하는 바닥부재와,
    상기 바닥부재의 상부에 적층되는 보호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바닥부재와 상기 보호부재의 사이에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KR20130059492A 2013-05-27 2013-05-27 지면 부착 기능을 강화한 신발 KR1014817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59492A KR101481760B1 (ko) 2013-05-27 2013-05-27 지면 부착 기능을 강화한 신발
PCT/KR2014/002964 WO2014193078A1 (ko) 2013-05-27 2014-04-07 지면 부착 기능을 강화한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59492A KR101481760B1 (ko) 2013-05-27 2013-05-27 지면 부착 기능을 강화한 신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9193A KR20140139193A (ko) 2014-12-05
KR101481760B1 true KR101481760B1 (ko) 2015-01-12

Family

ID=51989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59492A KR101481760B1 (ko) 2013-05-27 2013-05-27 지면 부착 기능을 강화한 신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81760B1 (ko)
WO (1) WO201419307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17412B2 (en) 2020-05-21 2023-04-04 Nike, Inc. Foot support systems including tiltable forefoot component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51445A (en) * 1985-09-03 1987-03-24 Hannibal Alan J Composite sole for a shoe
KR200428437Y1 (ko) * 2006-07-14 2006-10-12 이태성 탈부착 가능한 뒷굽을 가지는 신발밑창
KR100797029B1 (ko) * 2007-09-07 2008-01-22 주식회사 엠에스존 보조밑창의 교체가 가능한 신발
KR20090108783A (ko) * 2008-04-14 2009-10-19 최중기 탈부착형 뒷굽이 장착된 뒷굽이 없는 마사이워킹용도전문신발의 밑창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51445A (en) * 1985-09-03 1987-03-24 Hannibal Alan J Composite sole for a shoe
KR200428437Y1 (ko) * 2006-07-14 2006-10-12 이태성 탈부착 가능한 뒷굽을 가지는 신발밑창
KR100797029B1 (ko) * 2007-09-07 2008-01-22 주식회사 엠에스존 보조밑창의 교체가 가능한 신발
KR20090108783A (ko) * 2008-04-14 2009-10-19 최중기 탈부착형 뒷굽이 장착된 뒷굽이 없는 마사이워킹용도전문신발의 밑창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9193A (ko) 2014-12-05
WO2014193078A1 (ko) 2014-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95956B2 (en) Footwear with elastic footbed cover and soft foam footbed
KR101991168B1 (ko) 신발
JP6306319B2 (ja) 靴、及び靴底部品
US6925732B1 (en) Footwear with separated upper and sole structure
US7523566B2 (en) Shoe sole
US8151484B2 (en) Three-piece footwear
US8533976B2 (en) Footwear having an enclosed toe
US7254909B2 (en) Article of footwear with retractable protrusion
TW201927184A (zh) 具有插入於鞋面和舒適鞋底之間的殼體的運動鞋
CA2548506A1 (en) Insole assembly for increasing weight of footwear and heavy footwear having weight-increasing midsole/outsole
JP2008523882A (ja) 煽り運動健康靴に装着されるミッドソール及びその製法
US20100186263A1 (en) Structure of shoes uppers, a manufacturing method of shoes and a structure of shoes
KR20190003004U (ko) 신발 바닥 구조
US8539697B2 (en) Suspension heel
KR101481760B1 (ko) 지면 부착 기능을 강화한 신발
KR101075787B1 (ko) 충격분산기능과 구름보행기능을 가지는 신발중창
US20200383429A1 (en) Shoe with replaceable heel
CA2814514C (en) Suspension heel
KR200489122Y1 (ko) 등산화 밑창
KR200418392Y1 (ko) 보조신발창
KR102049408B1 (ko) 쿠션기능을 갖는 신발
KR200471407Y1 (ko) 미끄럼 방지용 신발
KR101333729B1 (ko) 구두용 아웃솔
KR200238256Y1 (ko) 신발의 미끄러짐 방지용 마찰 패드
KR200395002Y1 (ko) 평상화 겸용 체력단련 운동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