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1413B1 - 파쇄기 - Google Patents

파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1413B1
KR940001413B1 KR1019890009048A KR890009048A KR940001413B1 KR 940001413 B1 KR940001413 B1 KR 940001413B1 KR 1019890009048 A KR1019890009048 A KR 1019890009048A KR 890009048 A KR890009048 A KR 890009048A KR 940001413 B1 KR940001413 B1 KR 9400014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body
rotating
crusher
crushed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9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0231A (ko
Inventor
도시오 아게사까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이세끼가이하쯔고오기
스즈끼 유끼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이세끼가이하쯔고오기, 스즈끼 유끼오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이세끼가이하쯔고오기
Priority to KR10198900090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1413B1/ko
Publication of KR910000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02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14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14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7/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disc mills
    • B02C7/02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disc mills with coaxial discs
    • B02C7/08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disc mills with coaxial discs with vertica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7/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disc mills
    • B02C7/11Details
    • B02C7/12Shape or construction of dis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7/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disc mills
    • B02C7/11Details
    • B02C7/16Driving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rushing And Grinding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파쇄기
제1도는 본 발명의 파쇄기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파쇄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
제3도는 제2도 3-3선의 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파쇄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
제5도는 제4도 5-5선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00,140 : 파쇄기 12,108 : 본체
26 : 제1회전체 36 : 케이싱
48,116 : 출구간격조정용링 56 : 제2회전체
62 : 호퍼 68 : 돌출면
72 : 요입면 76 : 파쇄실
78 : 출구 86,118 : 구동기구
82,84,102,104,134 : 축선 114 : 지지링
152 : 나선스프링 154 : 지침(암)
156 : 스톱퍼
본 발명은 돌, 석탄등을 파쇄하는 파쇄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괴형의 피파쇄물을 압착파괴하는데 적합한 파쇄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피파쇄물을 압착파괴하는 파쇄기의 하나로서, 선회파쇄기, 원뿔파쇄기와 같은 파쇄기가 있다. 이들 파쇄기는 콘 케이브(con cave)와 이 콘케이브내에 편심선회운동 가능하게 배치된 원뿔형 회전체와, 이 회전체를 회전시키는 구동기구를 포함한다. 파쇄시 회전체는 콘 케이브에 대하여 소정의 속도로 선회운동을 하는 것에 의하여 피파쇄물을 콘 케이브내면에 압착한다. 이렇게 하여 피파쇄물은 압축파괴된다.
그러나, 종래의 상기 파쇄기는 회전체를 강제적으로 선회운동을 시키고 있으므로 진동이 크다.
본 발명은 파쇄수단에 선회운동을 시킬 필요가 없는 파쇄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파쇄기는 제1축선(82,102)을 중심으로 회전할수 있는 제1회전체(26) 및 제1회전체(26)와 공동으로 피파쇄물을 파쇄하는 제2회전체(56)을 구비하며, 상기 2회전체(56)는 제2축선(84,104)을 중심으로 회전할수 있고 상기 제1회전체(26)와 공동으로 피파쇄물을 파쇄하는 파쇄실(76)을 규정하며, 피파쇄물을 수용하는 이것을 제2회전체(56)를 통해 파쇄실(76)로 안내하기 위한 호퍼(62,128) 및 상기 제1 및 제2 회전체(26,56)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기구(86,118)를 구비하는파쇄기에 있어서,상기 제1 및 제2축선(82,102,84,104)은 서로 평행하며, 제1 및 제2회전체(25,56)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축선(82,102,84,104) 주위를 서로 궤도운동하지 않고 회전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는 각 회전체는 로터를 포함하고 안내수단은 호퍼(hopper)를 포함한다. 또 바람직한 실시예의 하나로서는 회전체는 상하방향으로 뻗는 축선주위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된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회전체는 수평방향으로 뻗는 축선주위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된다.
제1 및 제2회전체는 각각 서로 공동으로 파쇄실을 규정하는 제1 및 제2파쇄면을 가지며, 제1 및 제2파쇄면은 각각 이들사이의 거리가 피파쇄물용 수입구로부터 파쇄된 입상물용 출구를 향하여 점차감소하도록 돌출면 및 요입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1 및 제2파쇄물을 반구형 또는 원뿔형으로 할 수가 있다.
파쇄기는 또 제1회전체 및 호퍼를 지지하며, 파쇄된 입상물을 파쇄실로부터 받아 들이기 위한 공간을 규정하는 지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지지수단은 제1회전체를 지지하는 제1지지부재와 이 제1지지부재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 제2지지부재와 제1 및 제2지지부재사이에 교환가능하게 배치된 링을 포함하고 제2회전체는 호퍼 또는 제2지지부재에 지지시키면 적합한 것이다.
파쇄기는 또 호퍼를 지지하는 제1지지수단과 환상의 제2지지수단이 제1축선에서 편심된 제3축선을 중심으로 각도적으로 회전할수 있도록 제1회전체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고 제1지지수단에 의해 지지된 환상의 제2지지수단과 제1지지수단에 대한 제2지지수단의 각도적 회전위치를 조정하는 조정수단을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조정수단은 제2지지수단에 제1회전체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힘을 작용하는 나선스프링과, 제2지지수단에 부착된 지침과, 제1지지수단에 부착되어 지침과 결합가능한 스톱퍼를 포함하면 적합한 것이다.
파쇄기는 제1 및 제2축선이 서로 평행하게 연장하며 제1 및 제2회전체의 입상물용 출구를 규정하는 부위는 서로 평행한 평면으로 하면 적합한 것이다. 이 경우 입상물 출구를 규정하는 평면은 제1 및 제2축선과 직교하는 면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및 제2회전체의 한쪽은 구동수단에 의하여 강제적으로 회전되며, 다른쪽은 파쇄실에 안내된 피파쇄물이 양회전체에 결합하는 것에 의하여 한쪽의 회전체의 회전에 종동하여 회전된다. 이때 제1 및 제2의 축선이 서로 편심되어 있는 것에 의하여 양 회전체는 서로 변위된 상태에서 회전된다.
또한 양회전체를 공통의 구동수단 또는 다른 구동수단에 의하여 강제적으로 회전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양 회전체의 적어도 한쪽이 회전되면, 제1 및 제2회전체가 제1 및 제2축선주위의 어느 부위에서는 접근하고 다른 어느 부위에서는 분리되는 상대적인 운동이 양 회전체사이에 발생한다. 이 결과 피파쇄물은 제1 및 제2회전체사이에 끼워진 다음 양 회전체의 상대적인 운동에 의하여 파쇄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및 제2회전체가 각각 제1 및 제2축선주위에 회전되는 것만으로서 선회운동을 하지 않으므로, 회전체에 선회운동을 하게 하는 종래의 파쇄기에 비하여 진동이 현저하게 적다.
본 발명의 파쇄기에 있어서, 양 회전체를 고속도로 동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이 하면, 피파쇄물 및 파쇄된 입상물도 고속으로 회전되므로, 피파쇄물 및 입상물에 큰 원심력이 작용하여 이결과 피파쇄물 및 입상물이 강제적으로 이동된다. 이 때문에 파쇄물을 중력에 의하여 파쇄실에서 낙하시키는 종래의 장치에 비하여 처리능력이 높아지며 또 파쇄실의 입상물용 출구를 작게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일면에 의하면, 피파쇄물이 제1 및 제2파쇄면 사이에 용이하게 들어감으로 피파쇄물을 확실하게 파쇄할수 있어 처리능력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의하면, 파쇄된 입상물이 지지수단에 받쳐지므로 입상물이 비산하는 것을 자 또는 입상물의 배출구를 파쇄실주의 임의의 방향에 배치할수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의하면, 적합한 두께의 스페이서를 이용하는 것에 의하여 제1 및 제2파쇄면의 간격 및 파쇄실의 입상물용 출구의 간격 및 제1 및 제2회전체의 상대적 위치관계를 변경할수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의하면, 제2지지수단을 제3축선주의에 회전시키면 제1지지수단에 대한 제2지지수단의 각도적 회전위치가 변화하며 그 결과 제1 및 제2회전체의 변위량이 변화하기 때문에 양 회전체의 변위량을 용이하게 조정할수 있으므로, 처리능력을 피파쇄물의 종류에 따라 조정할수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의하면, 구동수단에 작용하는 부하가 크면 제1 및 제2회전체의 변위량이 적게되며, 부하가 적으면 변위량이 커지게 되므로, 피파쇄물의 종류, 크기, 량등에 따라 처리능력이 자동적으로 조절되며 향상 가장 적합한 처리능률로 유지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의하면, 입상물용 출구의 제1 및 제2의 축선 주위에서의 각 부위의 간격이 일정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의하면, 제1 및 제2회전체의 변위량을 변경하여도 입상물용 출구의 제1 및 제2의 축선주위의 각부위의 간격이 변화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하여 설명한다.
제1도에 도시한 종형 파쇄기(10)는 통형의 본체(12)를 포함한다. 본체(12)는 원통형의 주체부(14)와 이 주체부의 축선방향의 양단부에 설치된 플랜지부(16), (18)를 포함한다. 또 주체부(14)의 축선이 상하방향으로 뻗도록 아래쪽 플랜지부(16)에서 다수의 볼트에 의하여 가대(frame bad)(20)위에 부착되어 있다.
본체(12)에는 주체부(14)의 내면에서 안쪽으로 뻗는 다수의 암(22)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암에는 보스(24)가 고정되어 있으며, 보스(24)에는 제1회전체(26)가 베어링(28)을 개재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보스(24)와 제1회전체(26)는 이들의 축선이 상하방향으로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보스(24) 및 제1회전체(26)에는 각각 베어링(28)의 받침(30), (32)이 부착되어 있다. 베어링(28)은 도시예에서는 크로스롤러 베어링이다.
아래쪽 플랜지부(16)에는 파쇄된 입상물을 수용하는 슈우트(34)가 부착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위쪽 플랜지(18)에는 통형의 케이싱(36)이 상하방향으로 뻗도록 배치되어 있다.
케이싱(36)은 상하방향으로 뻗는 원통형의 주체부(38)와 이 주체부의 하단부에 설치된 프랜지(40)와 주체부(38)의 상단부에 안쪽방향으로 설치된 플랜지부(42)와 주체부(38)의 하단부에서 아래쪽 및 안쪽으로 돌출하는 환상돌출부(44)를 가지며, 또 아래쪽 플랜지부(40)가 본체(12)의 플랜지부(18)에 링(48)을 개재하여 대향하고 또한 케이싱(36)의 축선과 본체(12)의 축선이 일치하도록 다수의 볼트에 의하여 본체(12)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돌출부(44)는 본체(12)의 상부에 끼워져 있다.
케이싱(36)의 상부에는 베어링받침(50)이 다수의 볼트에 의하여 부착되어 있다. 베어링받침(50)은 보수부(52)와 이 보스부에서 외측으로 뻗는 플랜지부(54)를 비치하고, 또 보스부(52)의 축선이 상하방향으로 되도록 플랜지부(54)에서 케이싱(36)에 부착되어 있다.
보스부(52)에는 통형의 제2회전체(56)가 베어링(58)을 개재하여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동시에 베어링(58)을 보호하는 커버(60)와 괴상의 피파쇄물을 수용하는 호퍼(62) 다수의 볼트에 의하여 부착되어 있다. 베어링(58)은 도시예에서는 크로스롤러베어링이며, 보스부(52)에 부착된 베어링받침(64) 및 제2회전체(56)에 부착된 베어링받침(66)에 의하여 보스부(52) 및 제2회전체(56)에서의 이탈을 방지시키고 있다.
제2회전체(56)는 제1회전체(26)의 위쪽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제1회전체(26)는 원뿔형의 돌출면(68)과 이 돌출면의 가장자리에 이어지는 평탄한 상향면(70)을 제2회전체(56)와 대향하는 측에 가진다. 이에 대하여 제2회전체(56)는 원뿔형의 요입면(72)과 이 요입면의 하단에 이어지는 평탄한 하향면(74)를 제1회전체(26)와 대향하는 측에 가진다.
제1 및 제2회전체(26),(56)는 돌출면(68)과 요입면(72)에 의하여 환상의 파쇄실(76)을 규정하고, 면(70),(74)에 의하여 입상물용 출구(78)를 규정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돌출면(68)의 정상각은 요입면(72)의 그것보다 크기때문에 돌출면(68)과 요입면(72) 사이의 간격은 파쇄실(76)의 피파쇄물 수용부에서 출구로 향하여 점차감소한다.
면(70),(74)은 본체(12)와 케이싱(36)의 축선 즉, 양자의 끼움부의 축선(80)에 대하여 직각으로 된다. 이 때문에 축선(80) 주위에서의 출구(78)의 각 부위의 간격은 일정하다. 그러나, 출구(78)의 간격(L)은 적당한 두께의 링(48을 본체(12)와 케이싱(36) 사이에 배치하는 것에 의하여 변경할 수가 있다.
제1회전체(26)는 축선(80)에 대하여 거리 1/2e만큼 한쪽으로 변위된 축선(82) 주위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제2회전체(56)는 축선(80)에 대하여 상기와 반대방향을 거리 1/2e 만큼 변위된 축선(84) 주위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케이싱(36)을 본체(12)에 대하여 축선(80)의 주위로 회전이동시키면, 제1 및 제2회전체(26),(56)의 편심량이 변화하므로, 축선(80)의 주위에 있어서 본체(12)에 대한 케이싱(36)의 취부위치를 변경하는 것에 의해 제1 및 제2회전체(26),(56)의 편심량을 0에서 e까지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축선(80),(82),(84)은 서로 약간 바람직하기는 등각도로 경사되어도 좋다.
구동기구(86)는 모터 및 감속기를 비치한 회전기구(88)와 이 회전기구의 출력축에 고정된 풀리(90)와 제2회전체(56)에 고정된 풀리(92)와 양 풀리(90),(92)에 감겨진 다수의 벨트(94)를 포함한다. 구동기구(86)는 케이싱(36)에 다수의 볼트에 의하여 고정된 대(96)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제2회전체(56)를 회전시키는 대신 제2회전체(26)를 회전시켜도 좋으며, 양 회전체(26),(56)를 동일한 구동기구에 의하여 또는 다른 구동기구에 의하여 회전시켜도 좋다.
사용시, 제2회전체(56)는 구동기구(86)에 의하여 축선(84) 주위를 고속도로 회전하며, 또 피파쇄물은 호퍼(62)에 투입된다. 피파쇄물이 돌출면(68)과 요입면(72)에 결합하지 않는 동안은 제1회전체(26)는 회전되지 않는다. 그러나 피파쇄물이 제1 및 제2회전체(26),(56) 사이에 끼워지면, 제1회전체(26)는 제2회전체(56)의 회전에 따라 회전된다.
양 회전체(26),(56)가 회전되면, 제1 및 제2회전체(26),(56)가 거리 e만큼 편심되어 회전하기 때문에 양회전체(26),(56)가 축선(82),(84) 주위의 어는 부분에서는 서로 접근하고 다른 어느 부위에서는 서로 분리되는 상대적인 운동이 양 회전체(26),(56) 사이에 발생한다. 이 결과 양 회전체(26),(56) 사이에 끼워진 피파쇄물은 양 회전체(26),(56)의 간격이 좁혀지는 과정에 있을 때 양 회전체(26),(56)에 의하여 파쇄된다.
파쇄된 입상물은 제2회전체(56) 또는 양 회전체(26),(56)의 회전에 따르는 원심력에 의하여 파쇄실(78)내에서 출구(78)로 이동하고 출구(78)에서 본체(12)내로 이동하여 최종적으로 슈우트(34)에 낙하한다.
파쇄기(10)에 의하면 제1 및 제2회전체(26),(56)가 각각 축선(82),(84) 주위에서만 회전될 뿐이므로, 회전체에 선회운동을 시키는 종래의 파쇄기에 비하여 진동이 적으며, 진동감쇄용 카운터 웨이트(counter weight)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또 파쇄된 입상물이 원심력에 의하여 파쇄실(76)에서 강제적으로 유출되므로, 입상물을 중력에 의하여 파쇄실에서 낙하시키고 있는 종래의 파쇄기에 비하여 처리능력이 현저하게 높다. 또한 출구(78)의 간격이 일정하므로 회전체에 선회운동을 시키는 종래의 파쇄기에 비하여 출구(78)의 간격을 작게 할수 있다.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한 파쇄기(100)는 제1 및 제2회전체(26),(56)를 수평방향으로 뻗는 축선(102),(104)주위에 회전시키도록 횡형으로 조립되어 있다.
파쇄기(100)는 양 회전체(26),(56)에 의하여 규정되는 파쇄실(76)에서 비산하는 입상물을 수용하는 공간(106)을 규정하는 본체(108)를 포함한다. 본체(108)는 공간(106)을 규정하는 부위에서 아래쪽으로 뻗는 다수의 지주부에서 가대(110)위에 설치되어 있다.
본체(108)는 수평방향의 양단에 개구부를 가진다. 본체(108)의 한쪽 개구부에는 제1회전체(26)를 베어링(112)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링(114)이 끼워져 있다. 지지링(114)은 다수의 볼트에 의하여 본체(108)에 링(116)을 개재하여 착탈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지지링(114)에는 제1회전체(26)를 축선(102) 주위에 회전시키는 구동기구(118)가 지지되어 있다.
또한 제1회전체(26)를 구동기구(118)에 의하여 회전시키는 대신 제2회전체(56)를 회전시켜도 좋으며, 양 회전체를 공통 또는 다른 구동기구에 의하여 회전시켜도 좋다.
베어링(112)는 도시예에서는 크로스롤베어링이며, 또 지지링(114)에 부착된 베어링받침(120) 및 제1회전체(26)에 부착된 베어링받침(122)에 의해 지지링(114) 및 제1회전체(26)에서의 이탈을 방지시키고 있다.
본체(108)의 다른쪽 개구부에는 제2회전체(56)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동시에 베어링(124)을 보호하는 커버(126) 및 피파쇄물을 수용하는 호퍼(128)가 다수의 볼트에 의하여 부착되어 있다. 호퍼(128)는 피파쇄물을 위쪽에서 수용하도록 위쪽으로 개구되어 있으며, 또 수용된 피파쇄물을 파쇄실(76)에 안내한다.
베어링(124)도 크로스톨러베어링이며, 또 본체(108)에 부착된 베어링받침(130) 및 제2회전체(56)에 부착된 베어링받침(132)에 의하여 본체(108) 및 제2회전체(56)에서의 이탈을 방지시키고 있다.
제1회전체(26)의 회전축선(102)는 본체(108)와 지지링(114)의 끼움부의 축선(134)에 대하여 1/2e만큼 한쪽으로 변위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제2회전체(56)는 축선(134)에 대하여 거리 1/2e만큼 다른쪽으로 변위되어 있다. 그러나 축선(134) 주위에서의 본체(108)의 지지링(114)의 부착위치를 변경하는 것에 의하여 제1 및 제2회전체(26),(56)의 편심량을 0에서 e사이에서 변경할수가 있다. 또한 파쇄기(100)의 경우도 축선(102),(104),(134)을 서로 약간, 바람직하게는 등각도로 경사시켜도 좋다. 제1 및 제2회전체(26),(56)의 면(70),(74)은 축선(134)에 대하여 직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축선(134) 주위에서의 출구(78)의 각부위의 간격은 일정하다, 그러나, 출구(78)의 간격(L)은 적합한 두께의 링(116)을 본체(108)와 지지링(114) 사이에 배치하는 것으로 변경할 수가 있다.
사용시, 제1회전체(26)는 구동기구(118)에 의해 축선(102) 주위를 고속도로 회전하며, 또 피파쇄물은 호퍼(128)에 투입된다. 피파쇄물이 돌출면(68)과 요입면(72)에 결합하지 않는 동안은 제2회전체(56)는 회전되지 않는다. 그러나 피파쇄물이 제1 및 제2회전체(26),(56) 사이에 끼워지면, 제2회전체는 제1회전체(26)의 회전에 종동하여 회전된다.
양 회전체(26),(56)가 회전되면, 제1 및 제2회전체(26),(56)가 거리 e만큼 편심되어 회전하기 때문에 양 회전체(26),(56)가 축선(102),(104) 주위의 어느부위에서는 서로 접근하고 다른 어느부위에서는 서로 분리되는 상대적인 운동이 양 회전체(26),(56) 사이에 발생한다. 이 결과 양 회전체(26),(56) 사이에 끼워진 피파쇄물은 양 회전체(26),(56)의 간격이 좁혀지는 과정에 있을 때 양 회전체(26),(56)에 의하여 파쇄된다.
파쇄된 입상물은 제1회전체(26)의 회전에 따르는 원심력에 의하여 파쇄실(76)내에서 출구(78)로 이동하여 출구(78)에서 본체(108)로 이동하고 최종적으로 공간(106)에서 배출된다.
파쇄기(100)도 파쇄기(10)과 동일한 효과를 가질뿐만 아니라, 양 회전체(26),(56)의 회전축이 수평방향으로 뻗어있으므로, 파쇄기의 높이가 작게되며, 또 축선(102),(104)의 편심량 및 출구(78)의 간격의 조정이 용이하게 되는 효과를 가진다.
제4도 및 제5도는 제1 및 제2회전체(26),(56)의 편심량을 자동적으로 조정하도록 한 횡형 파쇄기(140)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파쇄기(140)의 본체(108)는 지지링(114)을 축선(134) 주위에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본체부(142)와 제1회전체(56)를 축선(104) 주위에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본체부(144)로 분할되어 있다. 양 본체부(142),(144)는 다수의 볼트에 의하여 분해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양 본체부(142),(144) 사이에는 출구(78)의 간격을 변경할수 있게 링(116)이 배치되어 있다.
지지링(114)은 베어링(146)을 개재하여 제1본체부(142)에 지지되어 있다. 베어링(146)은 크로스 롤러베어링이며, 또 제1본체부(142)에 부착된 베어링받침(148) 및 지지링(114)에 부착된 베어링 받침(150)에 의하여 제1본체부(142) 및 지지링(114)에서의 이탈을 방지시키고 있다.
제1본체부(142)와 지지링(114) 사이에는 나선스프링(152)이 배치되어 있다. 나선스프링(152)의 중심부측의 단부는 다수의 나사에 의하여 지지링(114)에 고정되어 있으며, 외주측의 단부는 다수의 나사에 의하여 제1본체부에 고정되어 있다. 지지링(114)에는 양 회전체(26),(56)의 변위량을 지시하는 지침(154)이 고정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제1본체부(142)에 고정된 베어링받침(148)에는 지침(154)이 접촉가능한 스톱퍼(156)가 부착되어 있는 동시에 지침(154)의 눈금(158)이 설치되어 있다. 나선스프링(152)은 미리 소정량으로 감격져 있다.
사용시, 제1회전체(26)는 구동기구(118)에 의해 축선(102) 주위에서 고속도로 회전하며, 또 피파쇄물은 호퍼(128)에 투입된다. 피파쇄물이 돌출면(68)과 요입면(72)에 결합하지 않는 동안은 제2회전체(56)는 회전되지 않는다. 이때 지침(154)은 나선스프링(152)의 힘에 의하여 스톱퍼(156)에 접촉되어 있다.
그러나, 피파쇄물이 제1 및 제2회전체(26),(56) 사이에 끼워지면, 제2회전체(56)는 제1회전체(26)의 회전에 종동하여 회전된다.
양 회전체(26),(56)가 회전되면, 제1 및 제2회전체(26),(56)가 거리 e만큼 편심되어 회전되기 때문에 양 회전체(25),(56)가 축선(102),(104) 주위의 어느 부위에서는 서로 접근하고 다른 어느부위에서는 서로 분리되는 상대적인 운동이 양 회전체(26),(56) 사이에 발생한다. 이 결과 양 회전체(26),(56) 사이에 끼워진 피파쇄물은 양 회전체(26),(56)의 간격이 좁혀지는 과정에 있을 때 양 회전체(26),(56)에 의하여 파쇄된다.
피파쇄물이 파쇄될 때 제1회전체(26)에 큰 부하가 작용하면, 구동기구(118)를 제1회전체(26)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제5도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반력이 구동기구(118)에 작용한다. 이때, 구동기구(118)는 상기 반력과 나선스프링(152)의 힘이 균형을 이루는 위치까지 제1회전체(26)의 회전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이동된다. 이것에 의해 나선스프링(152)이 제1회전체(26)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감기기 때문에, 제1본체부(142)에 대한 지지링(114)의 위치가 변화한다. 이것에 의해 제1 및 제2회전체(26),(56)의 편심량이 작아져서 제1회전체(26)에 작용하는 부하가 감소한다. 이때의 편심량은 지침(154)에 의해 지시된 눈금(158)의 값을 읽음으로써 알수가 있다.
파쇄된 입상물은 제1회전체(26)과 함께 회전되므로, 이때의 원심력에 의해 파쇄실(76)내에서 출구(78)로 이동하고, 출구(78)에서 파쇄실(76)의 바깥으로 이동하여 최종적으로는 공간(106)에서 배출된다.
파쇄기(140)는 파쇄기(100)와 동일한 효과를 발생시키는 외에, 나선스프링(152)를 갖는 것에 기인하여 제1 및 제2회전체(26),(56)의 편심량을 제1회전체(26)에 작용하는 부하에 따라 자동적으로 조절할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나선스프링(152)을 설치하는 대신 지침(154)을 암으로하여 제1 및 제2회전체(26),(56)의 편심량이 소정의 값으로 되는 위치에 지지링(114)을 수동으로 회전시켜 그 위치를 유지하도록 지침(154)을 베어링받침(148)에 해제가능하게 고정하여도 좋다. 이때 지침(154)을 암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laims (8)

  1. 제1축선(82,102)을 중심으로 회전할수 있는 제1회전체(26) 및 제1회전체(26)와 공동으로 피파쇄물을 파쇄하는 제2회전체(56)을 구비하며, 상기 제2회전체(456)는 제2축선(84,104)을 중심으로 회전할수 있고 상기 제1회전체(26)와 공동으로 피파쇄물을 파쇄하는 파쇄실(76)을 규정하며, 피파쇄물을 수용하여 이것을 제2회전체(56)를 통해 파쇄실(76)로 안내하기 위한 호퍼(62,128) 및 상기 제1 및 제2회전체(26,56)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기구(86,118)를 구비하는 파쇄기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축선(82,102,84,104)은 서로 평행하며, 제1 및 제2회전체(26,56)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축선(82,102,84,104) 주위를 서로 궤도운동하지 않고 회전하도록 구성된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회전체(26,56)는 각각 서로 공동으로 파쇄실(76)을 규정하는 제1 및 제2파쇄면(68,72)을 가지며 제1 및 제2파쇄면은 각각 그들사이의 거리가 파쇄실(76)의 피파쇄물 수입구로부터 파쇄된 입상물용 출구(78)를 향하여 점차 감소하도록 돌출면(68) 및 요입면(72)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체(26) 및 호퍼(62,128)를 지지하며, 파쇄된 입상물을 파쇄실(76)로부터 받아들이기 위한 공간(78,106)을 규정하는 지지수단(12,36,108,114)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제1회전체(26)를 지지하는 제1지지부재(12,114)와 이 제1지지부재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 제2지지부재(36,108)와 제1 및 제2지지부재 사이에 교환가능하게 배치된 링(48,116)을 포함하며, 제2회전체(56)는 호퍼(62,128) 또는 제2지지부재(36,108)에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128)를 지지하는 제1지지수단(108)과, 환상의 제2지지수단(114)이 제1축선(102)으로부터 편심된 제3축선(134)을 중심으로 각도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제1회전체(26)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며 제1지지수단(108)에 의해 지지된 환상의 제2지지수단(114)과, 제1지지수단(108)에 대한 제2지지수단(114)의 각도적 회전위치를 조정하는 조정수단(152,154,156)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수단는 제2지지수단(114)에 제1회전체(26)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힘을 작용시키는 나선스프링(152)과 제2지지수단에 부착된 지침(154)과, 제1지지수단(108)에 부착되어 지침과 결합가능한 스톱퍼(15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축선(82,84,102,104)은 서로 평행하게 연장하며, 제1 및 제2회전체(26,56)의 입상물용 출구를 규정하는 부위는 서로 평행한 평면(70,74)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기.
  8.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입상물용 출구를 규정하는 평면(70,74)은 제1 및 제2축선(82,84,102,104)과 직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기.
KR1019890009048A 1989-06-29 1989-06-29 파쇄기 KR9400014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09048A KR940001413B1 (ko) 1989-06-29 1989-06-29 파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09048A KR940001413B1 (ko) 1989-06-29 1989-06-29 파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0231A KR910000231A (ko) 1991-01-29
KR940001413B1 true KR940001413B1 (ko) 1994-02-23

Family

ID=19287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9048A KR940001413B1 (ko) 1989-06-29 1989-06-29 파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141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0231A (ko) 1991-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693375B2 (ja) 細分化装置
JPH10137620A (ja) ガラス粉砕機及びそれを用いたガラス粉砕システム
CN212524477U (zh) 一种土石方工程施工用石块破碎装置
US5205499A (en) Planetary grinding apparatus
US4477028A (en) Comminuter with coacting discharge screening device
EP0402545B1 (en) Crushing machine
KR940001413B1 (ko) 파쇄기
US7210642B2 (en) Comminuting apparatus and rotor therefor
US5799885A (en) High reduction ratio crushing in conical/gyratory crushers
JPH0779967B2 (ja) 破砕機
US5836523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material
US392488A (en) Centrifugal pulverizer
JP3644478B2 (ja) 破砕装置
US5975448A (en) Mill
RU2816762C1 (ru) Измельчитель сыпучих материалов
JP2000312832A (ja) 竪型ミル
CN2186603Y (zh) 可随意调控成品粒度的粉碎机
CN110026270B (zh) 一种粉碎机
KR200210700Y1 (ko) 골재 파쇄기
JPH09150068A (ja) 連続粉砕機の粉体捕集機構
CA1313857C (en) Crushing machine
KR200284155Y1 (ko) 분쇄장치
RU2277970C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измельчения сыпучего корма
SU1636041A1 (ru) Дискова мельница
US3698650A (en) Apparatus for grinding gra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20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