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0771B1 - 전자섬광장치를 내장한 카메라 - Google Patents

전자섬광장치를 내장한 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0771B1
KR940000771B1 KR1019840008164A KR840008164A KR940000771B1 KR 940000771 B1 KR940000771 B1 KR 940000771B1 KR 1019840008164 A KR1019840008164 A KR 1019840008164A KR 840008164 A KR840008164 A KR 840008164A KR 940000771 B1 KR940000771 B1 KR 9400007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camera
control circuit
boosting
photograp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81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5629A (ko
Inventor
고우지 야마모또
신지 도미나가
마기 야마시다
도시노리 이무라
Original Assignee
미놀타 카메라 가부시끼가이샤
다시마 히데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놀타 카메라 가부시끼가이샤, 다시마 히데오 filed Critical 미놀타 카메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500056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56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07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0771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Stroboscope Apparatuses (AREA)
  • Exposure Control For Cameras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자섬광장치를 내장한 카메라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회로구성을 나타낸 도면.
제3도 및 제4도는 제2도에 도시된 회로(2,3)의 구체적인 구현예를 나타낸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모우터제어회로 2 : 승압제어회로
3 : 전자섬광장치 4 : 촬영실행회로
10 : 승압회로 11 : 충전완료검지회로
12 : 트리거회로 OR3: 작동검지회로
A : 수동조작부재 B : 셔터릴리이즈버튼
C1: 주콘덴서 Xe : 섬광방전관
E : 전원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전자섬광장치(電子閃光裝置)를 내장한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자섬광장치의 승압회로를 작동시켜서 승압에너지를 주콘덴서에 충전시키는 승압동작과 섬광방전관을 트리거시켜 섬광을 발광시키는 발광동작을 제어하는 장치를 구비하여서 된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과 그 문제점]
종래, 전자섬광장치가 내장된 카메라로 섬광촬영을 수행할 때에는, 먼저 피사체휘도가 낮은지의 여부가 측광회로에서 검출되고, 피사체휘도가 낮은 경우(섬광발광이 필요한 경우) 발광체라던지 발음체로 경고가 이루어지게 되므로, 촬영자가 전자섬광장치의 전원스위치를 닫거나 또는 상기 저휘도의 검출에 응답하여 전원스위치가 자동적으로 닫히도록 함으로써, 승압동작이 개시되도록 되어 있었다.
이 경우, 상기 검출은 종종 촬영직전, 예컨대 촬영자가 셔터릴리이즈버튼을 눌러서 측광회로를 작동시킨 때에 얻어지는 경우가 많고, 또 승압동작이 개시되고 나서 섬광발광이 가능한 상태로 될 때까지 수초(예를들어 5초 전후)의 충전시간이 필요하므로, 그 기간 동안에는 섬광촬영이 실행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카메라로는, 틀히 움직이는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즉시 섬광촬영을 할 수 없게 되어 순간적인 장면의 촬영기회를 놓칠 확률이 많다는 결점이 있었다.
이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1회의 촬영동작이 종료하면 자동적으로 승압동작을 개시시키도록 되어 있는 전자섬광기를 내장한 카메라가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소58-142321호에 제안되어 있다.
그런데, 주콘덴서의 방전전하는 수신간에 걸쳐 자연적으로 방전되어 버리므로, 전회(前回)의 촬영으로부터 긴 시간이 경과한 후에 다음 촬영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즉시 촬영을 하고자 해도 충전시간의 경과후가 아니면 섬광쵤영을 할 수 없으므로 촬영기회를 놓치게 된다. 또, 이 경우에는 전회의 충전동작에서 소비된 에너지가 쓸모없게 되는 결점도 있었다.
일반적으로, 촬영조작을 개시할 때에는, 먼저 촬영렌즈의 전방을 덮고 있는 보호커버를 벗기거나, 셔터릴리이즈버튼이 눌려지는 것을 방지하고 있는 릴리이즈부재의 계지(係止)를 해제하는 등의 촬영준비조작이 수행됨으로써, 그 때까지 금지되어 있던 카메라의 촬영동작이 허용된다. 다음에는 사진을 만들고자 하는 의도에 따른 구도로 되도록 피사체에 대한 카메라의 방향을 결정하고, 그후 셔터릴리이즈버튼을 눌러서 측광이라던지 노출을 실행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촬영동작을 허용하는 조작이 이루어지고 나서 실제로 촬영동작이 이루어질때까지 적어도 수초의 시간이 필요하다는 점에 착안해서, 실제의 촬영동작에 앞서서 이루어지는 촬영준비조작에 응답하여 전자섬광장치의 승압동작을 개시시켜 상술한 바와 같은 결점을 해소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런데, 승압동작의 제어를 촬영준비조작에 연동시킨 경우에는, 섬광발광이 필요(즉, 피사체의 휘도가 소정치 이하)한지의 여부에 관계없이 촬영준비조작에 응답하여 항상 승압동작이 개시되므로, 촬영시에 충전동작이 완료되어 있으면 전자섬광장치가 섬광발광이 불필요한 경우에는, 섬광발광에 의해 그 때까지 충전된 섬광용 에너지가 헛되이 소비됨과 더불어 피사체로의 노광이 과다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발명의 목적]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필요한 경우에 신속하게 섬광촬영을 수행할 수 있고, 충전에너지의 낭비도 적은 전자섬광장치를 내장한 카메라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발명의 요지]
본 발명은, 전자섬광장치를 내장한 카메라에 있어서, 촬영조작에 앞서 조작되는 수동조작부재를 카메라의 불필요한 촬영동작을 금지하는 위치로부터 허용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등의 촬영준비조작에 응답하여 전자섬광장치의 승압동작을 개시시킴과 더불어 승압동작이 완료되더라도 피사체휘도가 낮은 경우에만 전자섬광장치가 발광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이때 구성요소의 간소화를 위하여 카메라의 측광회로라던지 노출제어회로용 전원으로부터 전저섬광장치에도 전원이 공급되도록 카메라의 전원회로를 구성한 경우, 전자섬광장치의 승압동작이 이루어지고 있는 기간에는 전원전압이 대폭적으로 변동하게 되므로, 승압동작이 종료하지 않은 기간중에 셔터릴리이즈버튼이 눌려지면 측광회로라던지 노출제어회로 등의 촬영실행회로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게 되어 부적정한 노출의 사진이 얻어지게 되는 불합리함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불합리는 카메라가 촬영에 관련한 동작(예컨대, 측광이라던지 노출제어 등)을 실행하고 있는 경우 그 기간동안 승압동작을 중단시킴으로써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
이하, 자동촛점조절장치와 전자섬광장치 및 전동필름이송장치를 내장한 카메라를 예로들어 본 발명의 1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도면에서 카메라 전면의 우측상단에는 전자섬광장치의 발광부(F)가 설치되어 있고, 촬영렌즈(L)의 근방에는 자동촛점조절장치의 초점검출부, 예컨대 소정거리의 간격을 두고 2개의 거리측정용 창(W1,W2)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카메라에는, 촬영을 하지 않는 경우에 촬영렌즈(L)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커버(도시하지 않음)가 내장되어 있는 바, 이 보호커버는 절환부재(A)의 수동조작에 응답하여 촬영렌즈(L)의 전면을 덮는 차폐위치와 전면으로부터 퇴피시키는 개방위치로 택일적으로 이동시켜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이 수동조작에 응답하여 소위 카메라의 전원스위치로서의 스위치(S0)가 후술되는 바와 같이 절환된다. 이 보호커버는 촬영조작에 앞서 촬영자에 의해 조작되어 카메라의 부주의한 촬영조작을 금지하는 위치로부터 허용하는 위치로 촬영준비를 위하여 수동조작되는 수동조작부재로서 설치되어 있다.
셔터릴리이즈버튼(B)은 그 누름조작에 의해 측광 및 노출제어를 수행시키는 공지의 수단이다. 그리고 스위치(S1)는 셔터릴리이즈버튼(B)이 눌려져 있는 기간 및 그 셔터릴리이즈버튼(B)의 누름이 즉시 해제되더라도 노출이 완료될 때까지의 기간중에서 긴 쪽의 기간동안 계속하여 닫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카메라 좌측부분의 그립부 (grip 部)에는 누름버튼(G)이 설치되어 있고, 후에 상세히 설명되는 스위치(S3)는 이 누름버튼(G)이 눌려지면 닫혀 전자섬광장치의 승압동작을 수동적으로 개시시키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제2도는 상기한 카메라의 회로구성을 나타낸 블록도로, 도면에서 전원(E)은 예컨대 단3형 전지라던지 리튬전지 등의 비교적 전류용량이 큰 소형전지이다. 전동필름이송장치(W)는 모우터(M)와 모우터구동용 트랜지스터(Q1), 모우터제어회로(1) 및 스위치(S2) 등의 회로요소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전원(E)으로부터 전압이 직접 공급되고 있다. 또 스위치(S2) 등의 회로요소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전원(E)으로부터 전압이 직접 공급되고 있다. 또 스위치(S2)는, 정상적으로 필름감기동작이 이루어지고 있는 경우에는 노출이 완료되면 단자(b)측으로, 필름감기가 완료되면 단자(a)측으로 절환되는 동작을 반복함과 더불어, 필름의 되감기가 수행되고 있는 경우에는 단자(c)측으로 절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모우터제어회로(1)는, 스위치(S2)가 단자(b)로 절환되어 있는 기간동안 트랜지스터(Q1)를 도통상태로하여 모우터(M)를 구동시켜 필름감기동작이 실시되도록 함과 더불어, 모우터(M)가 구동중이라는 것을 나타내는 모우터구동중신호를 단자((P2)로부터 후술되는 승압제어회로(2)로 출력한다. 또, 모우터제어회로(1)는 스위치 (S2)가 단자(a)로부터 단자(b)로 절환되는데 응답하여 계시동작(計時動作)을 개시하는 타이머회로를 내장하고 있다. 이 타이머회로는 계시시간이 소정치에 도달했는데도 필름감기동작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에 계시종료신호를 단자(P3)로부터 승압제어회로(2)로 출력함과 더불어, 모우터구동중신호를 리셋트시키고 트랜지스터(Q1)를 차단상태로하여 모우터(M)에 의한 필름감기동작을 정지시킨다. 여기서, 상기 소정시간은 정상적인 필름감기에 필요한 시간보다도 약간 긴 시간으로 그 값이 결정되고 있다.
승압제어회로(2) 및 전자섬광장치(3)는 병렬접속되어 있고, 스위치(S0)를 매개하여 전원(E)이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스위치(S0)는, 상기 제1도의 수동조작부재 (A)의 조작에 의해 보호커버가 차폐위치로부터 개방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병렬접속된 승압제어회로(2) 및 전자섬광장치(3)에 전원(E)을 접속시키는 전원공급단자(d)로 절환되고, 보호커버가 개방위치로부터 차폐위치로 이동하면 저항(R0)을 매개해서 상기 병렬접속된 승압제어회로(2) 및 전자섬광장치(3)를 단락시키는 단락단자(e)로 절환된다. 여기서, 상기 저항(R0)은 보호커버의 개페조작을 반복할 때 발생하는 잡음에 의해 상기 승압제어회로(2)가 오동작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그 저항값은 상기 병렬접속된 승압제어회로(2) 및 전자섬광장치(3)의 회로용량성분을 단시간에 방전시킬 수 있는 값으로 결정되고 있다.
상기 승압제어회로(2)에는 상술한 모우터작동중신호와 계시종료신호외에 스위치(S3)의 온(접속)신호, 전자섬광장치(3)로부터의 후술되는 충전완료신호, 촬영실행회로(4)로부터의 후술되는 카메라작동중신호 등이 입력되는 바, 이 승압제어회로 (2)는 이들 입력신호에 응답하여 전자섬광장치(3)의 승압회로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승압제어회로를 단자(P7)로부터 전자섬광장치(3)로 출력한다.
촬영실행회로(4)는 상기 스위치(S0,S1)를 매개하여 전원(E)으로부터 전압이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보호커버가 차폐위치로부터 개방위치로 이동하여 촬영이 가능한 상태로 되고, 또 셔터릴리이즈버튼(B)이 눌려져 있는 기간동안만 촬영실행회로(4)가 동작하게 된다. 이 촬영실행회로(4)는, 공지의 축광회로와 자동촛점조절회로 및 자동노출제어회로 등으로 이루어져 있고, 이들 회로중 어느 하나가 동작하고 있는 동안 카메라작동신호를 단자(P6)로부터 승압제어회로(2)로 출력하게 된다. 여기서, 측광회로는 피사체의 밝기가 예컨대 1/30초보다 긴 셔터속도를 필요로 하는 저휘도영역에 있는 경우, 하이("H")레벨의 저휘도신호를 단자(P8)로부터 전자섬광장치(3)의 후술되는 트리거회로에 공급한다.
제3도는 제2도에 도시된 전자섬광장치(3)의 회로구성을 나타낸 회로도로, 도면에서 승압회로(10)는 승압용 트랜스(T1) 및 승압용 트랜지스터(Q2)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가 승압제어회로(2)의 출력단(P7)에, 에미터가 스위치(S0)의 일단(P1)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또, 이 트랜지스터(Q2)는 단자(P7)의 전위, 즉 베이스전위가 로우("L")레벨로 되면 도통되어 승압트랜스(T1)에 의한 승압동작을 개시시키고, 베이스전위가 하이레벨로 되면 차단되어 승압동작을 정지시키게 된다. 상기 승압트랜스(T1)에의해 승압된 고압에너지는 다이오드(D)를 매개하여 주콘덴서 (C1)에 충전된다. 그리고, 네온관(Ne)과 저항(R1,R2)이 직렬로 접속되어 구성된 회로부(11)는 충전완료검지회로로서, 주콘덴서(C1)에 병렬고 접속되어 있다.
상기 네온관(Ne)은 주콘덴서(C1)의 충전전압이 예컨대 300V에 도달하면 도통되도록 되어 있는 바, 이 도통에 의해 저항(R1,R2)의 접속점(P5)에 생기는 전압이 충전완료신호로서 승압제어회로(2)로 출력된다. 이 충전완료신호에 응답해서 승압제어회로 (2)는 단자(P7)를 하이레벨로하여 승압회로(10)에서의 그 이상의 승압동작을 중지시키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저항(R1,R2)의 직렬접속회로에는 오동작방지용 콘덴서 (C2)가 병렬로 접속되어 있는데, 이 콘덴서(C2)는 잡음에 의해 양저항의 접속점(P5)으로부터 부주의하게 하이레벨의 신호가 출력되어 승압동작이 정지되는 불합리함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된 것이다.
트리거회로(12)는 저항(R3)과 트리거용 콘덴서(C3), 상시개방스위치(S4), 스위칭소자(SCR) 및 트리거용트랜스(T2)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스위치(S4)는 셔터가 완전히 열릴 때 온(접속)되는 공지의 싱크로스위치이고, 다이리스터로 이루어진 스위칭소자(SCR)는 제2도에 도시된 촬영실행회로(4)의 단자(P8)의 전위, 즉 게이트전위가 하이레벌로 되면 도통가능상태로 되고, 그 상태에서 스위치(S4)가 닫히면 도통되어 트리거용 트랜스(T2)를 매개로 섬광방전관(Xe)의 발광을 개시시키게 된다. 즉, 이 트리거회로(12)는 측광회로로부터 저휘도신호가 공급되는 경우에만 섬광방전관(Xe)의 발광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2도의 구성에 따른 카메라의 동작을 제3도에 도시된 전자섬광기내의 승압회로(10)의 승압동작을 중심으로하여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면저, 초기상태로서 카메라의 보호커버가 차폐위치에 있고, 스위치(S0)가 단자 (e)측에 있으며, 필름감기가 완료되어 스위치(S2)가 단자(a)측에 있고, 전자섬광장치 (3)의 주콘덴서(C1)가 방전되어 충전완료신호가 출력되고 있지 않은 것으로 가정한다.
이 상태에서 촬영자가 제1도의 수동조작부재(A)를 수동조작하여 보호커버를 차폐위치로부터 개방위치로 이동시키면, 스위치(S0)가 전원공급단자(d)측으로 절환된다. 이에 따라, 전원(E)으로부터 승압제어회로(2) 및 전자섬광장치(3)로의 전원공급이 개시되어 승압제어회로(2)의 단자(P7)가 로우레벨로 된다. 제3도의 승압회로 (10)에 있어서, 승압용 트랜지스터(Q2)는 이 로우레벨의 신호에 의해 도통되고, 승압트랜스(T1)는 전원(E)의 저압에너지를 고압에너지로 변환하는 승압동작을 개시한다. 이 고압에너지는 다이오드(D)를 매개하여 주콘덴서(C1)에 충전되기 시작한다.
이러한 승압동작중에 제1도의 셔터릴리이즈버튼(B)이 예컨대 1스트로크까지 눌려지면, 스위치(S1)가 닫히고, 제2도의 촬영실행회로(4)에 있는 측광회로가 동작을 개시하게 된다. 측광회로는 측광치에 기초한 촬영정보를 예컨대 화인더내에 표시한다. 이 작동개시에 응답하여 하이레벨의 카메라작동중신호가 단자(P6)로부터 승압제어회로 (2)로 인가되고, 단자(P7)가 하이레벨로 된다. 그 결과, 제3도에 도시된 승압용 트랜지스터(Q2)가 차단상태로 되어 승압회로(10)의 승압동작이 정지되고, 이에 따라 전원 (E)의 전원전압이 안정화되고 촬영정보가 정상적으로 화인더내에 표시된다. 여기서, 촬영정보에 대한 확인이 끝나서 촬영자가 셔터리릴이즈버튼(B)을 놓으면, 스위치(S1)가 개방되고, 그와 동시에 카메라작동중신호도 출력되지 않게 된다. 이 경우, 승압제어회러 (2)의 단자(P7)는 로우레벨로 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전자섬광장치(3)의 승압회로 (10)는 다시 승압동작을 개시하게 된다.
그리고, 승압동작이 진행되어 제3도의 주콘덴서(C1)의 충전전압이 예컨대 300 V에 도달하면, 네온관(Ne)이 점등되고, 저항(R1,R2)의 접속단자(P5)로부터 하이레벨의 충전완료신호가 출력되는데, 이 충전완료신호에 의해 승압제어회로(2)의 단자(P7)가 하이레벨로 되어 그 이상의 승압동작이 정지된다. 그 후, 셔터릴리이즈버튼(B)이 눌려져 제2스트로크까지 깊게 밀려 들어가면, 우선 자동촛점조절회로가 동작하여 초점조절이 이루어지고, 계속해서 셔터릴리이즈동작이 실시되어 자동노출제어회로가 동작을 개시하게 된다.
이어, 셔터가 완전히 열리면 제3도의 스위치(S4)가 닫히고, 이에 따라 섬광방전관(Xe)의 발광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피사체가 어두운 경우, 예컨대 1/30초보다도 긴 셔터속도를 필요로 하는 저휘도영역에 있는 경우, 하이레벨의 저휘도신호가 촬영실행회로(4)의 단자(P8)로부터 출력된다. 이 하이레벨의 출력에의해 트리거회로(12)의 다이리스터(SCR)는 도통가능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상기 스위치(S4)가 닫힘에 따라 다이리스터(SCR)가 도통되고, 이에 따라 트리거용 트랜스(T2)를 매개로 섬광방전관(Xe)이 발광하게 된다. 이 발광에 의해 주콘덴서(C1)의 충전전압이 300V이하로 되면 충전완료신호가 소멸되지만, 노출기간중에는 단자(P6)로부터 카메라작동중신호가 출력되고 있으므로, 승압제어회로(2)의 단자(P7)는 하이레벨로 유지되어 승압회로(10)는 승압동작을 실행하지 않게된다.
노출이 종료하면, 스위치(S2)가 단자(a)로부터 단자(b)로 절환된다. 여기서, 모우터제어회로(1)는 셔터릴리이즈버튼(B)의 조작에 의한 스위치(S1)의 닫힘과는 무관하게 전원(E)으로부터 직접 전원을 공급받고 있다. 따라서, 이 스위치(S2)의 절환에 응답해서 모우터구동 트랜지스터(Q1)가 도통되어 모추터(M)에 의한 필름감기가 개시된다. 이와 동시에 모우터제어회로(1)의 단자(P2)로부터 모우터구동중신호가 출력되므로, 승압제어회로(2)는 계속해서 승압회로(10)의 승압동작을 수행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필름감기가 완료되어 스위치(S2)가 단자(b)로부터 단자(a)로 절환됨으로써, 트랜지스터(Q21가 차단되어 모우터구동이 정지됨과 더불어, 모우터구동중신호가 소멸된다. 이때, 셔털릴리이즈버튼(B)을 놓으면, 승압제어회로(2)는 즉시 단자 (P7)를 로우레벨로하여 승압회로(10)의 승압동작을 개시시키게 된다.한편, 1/30초보다도 짧은 셔터속도를 필요로 하는 밝은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 촬영실행회로(4)의 단자(P3)는 로우레벨로 된다. 이 경우, 제3도의 다이리스터(SCR)는 차단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셔터가 완전히 열릴 때에 스위치(S4)가 닫히더라도 트리거회로(12)는 동작하지 않게 되어 섬광방전관(Xe)이 발광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충전완료신호가 출력된 상태로 유지되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피사체가 어두워져 섬광방전관 (Xe)이 발광하던가, 주콘덴서(C1)의 자기방전에 의해 충전 전압이 300V이하로 된 다음에 스위치(Se)가 수동조작되어 닫히던가 하지 않는 한, 승압회로(10)의 승압동작은 개시되지 않게 된다. 여기서, 주콘덴서 (C1)의 자기방전에 의해 충전전압이 300V이하로 되었는지의 여부는 네온관(Ne)의 점등유무에 따라 검지된다.
다음에는 필름의 최종면의 촬영이 완료된 경우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노출이 종료하면 스위치(S2)가 단자(a)로 절환되고, 상술한 정상적이 필름감기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필름감기가 개시된다. 그러나, 도중에서 그 이상의 필름감기가 불가능하게 되더라도 트랜지스터(Q1)가 도통상태로 유지되어 모우터(M)가 계속 구동되게 된다. 이 경우에는 모우터제어회로(1)에 내장된 타이머회로가 필름감기개시로 부터의 경과시간을 계시하고 있는 바, 그 계시시간이 소정치에 도달할 때 계시종료 신호가 출력된다. 이 신호의 발생에 의해 모우터구동중신호가 리셋트되어 트랜지스터(Q1)가 차단되므로 모우터(M)의 구동이 정지되게 된다.
이 계시종료신호는 단자(P3)로부터 승압제어회로(2)에 인가되고, 이 신호에 의해 승압회로(10)의 승압동작이 계속해서 정지된다. 여기서, 이 계시종료신호에 의해 승압동작의 정지를 지속시키도록 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즉, 계시종료신호를 승압제어회로(2)에 인가하지 않는 경우, 모우터구동중 신호의 소멸에 의해 승압회로(10)의 승압동작이 재개되고, 이 승압동작에 의해 전원(E)의 전압이 변동하여 모우터제어회로(2)의 타이머회로가 작동하지 않게 되므로 단자(P3)가 로우레벨로 되어 재차 모우터(M)가 회전하기 시작한다. 즉, 승압동작과 모우터회전이 반복되어 소위 발진이 생기기 때문이다.
이 계시종료신호는 필름의 되감기가 완료될 때까지 출력된다. 한편, 필름되감기는 도시되지 않은 되감기회로 또는 수동조작에 의해 실시된다. 필름되감기의 완료에 의해 개시종료신호가 소멸되면, 승압제어회로(2)의 단자(P7)가 로우레벨로 되어 다시 승압회로(10)의 승압동작이 개시된다.
제4도는 제2도에 도시된 승압제어회로(2)의 구체적인 회로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도면에서 원셧트(one-shut)회로(일명 단안정멀티바이브레이터라 한다)(OS1)는 스위치(S0)의 일단(P1)에 입력단이 접속되어 있고, 입력신호의 상승(즉, 보호커버의 차폐위치로부터 개방위치로의 변위)에 응답하여 펄스를 출력한다. 또 원셧트회로 (OS1)는 모우터제어회러(1)의 단자(P2) 및 촬영실행회로(4)의 단자(P6)에 오아게이트 (OR1)를 매개하여 그 입력단이 접속되어 있고, 입력신호의 하강(즉, 모우터구동중신호 또는 카메라작동중 신호의 소멸)에 응답하여 펄스를 출력한다. 이들 원셧트회로 (OS1,OS2)로 부터의 각 펄스와 인버터(IN1)를 매개한 스위치(S3)의 일단(P4)의 신호는, 오아게이트 (OR2)를 매개하여 앤드게이트(AN1)의 일단에 인가되고 있다. 모우터제어회로(1)의 단자(P2) 및 단자(P3), 전자섬광장치(3)의 단자(P5), 촬영실행회로 (4)의 단자(P6)는, 오아게이트(OR3)를 매개하여 플립플롭(FF)의 리셋트단자(R)에 접속됨과 더불어 인버터 (IN2)를 매개하여 앤드게이트(AN2)의 다른단에 접속되어 있다. 플립플롭(FF)은 셋트단자(S)가 앤드세이트(AN1)의 출력단에, Q 출력단자가 단자(P7)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플립플롭(FF)은 소위 리셋트우선형의 랫치회로로서 형성되어 있다. 즉, 모우터구동중 신호와 계시종료신호, 충전완료신호 및 카메라작동중 신호중 어느 하나의 신호가 입력되면 리셋트되고, 또 그신호가 발생되고 있는 기간동안은 앤드게이트(AN1)를 닫아서 승압동작의 정지를 지속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이 승압제어회로(2)에 의해 전자섬광장치(3)의 승압동작이 이루어지는 것은 상기한 4가지의 신호가 모두 발생되지 않는 경우이고, 또 보호커버가 차폐위치로부터 개방위치로 변위되던가 스위치(S3)가 수동조작되던가 카메라의 작동중신호 또는 모우터구동중신호가 소멸되던가 어느 하나의 경우만이다.
한편, 이제까지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승압회로의 동작을 개시시키기 위한 수동조작부재로서 촬영렌즈 보호커버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 수동조작부재는 셔터릴리이즈버튼의 조작에 앞서서 촬영준비를 위해 조작되고, 카메라의 부주의한 촬영동작을 금지하는 위치로부터 촬영을 허용하는 위치로 이동시켜지는 부재이면 좋다. 예컨대, 수동조작에 의해 제1도의 좌우방향으로 이동하여 촬영렌즈(L)와 거리 측정용 창 (W1,W2), 피사체확인용 채광창(W3)의 전면을 덮거나 열거나 하는 보호커버부재, 혹은 이들 렌즈라던지 창의 개폐와 더불어 비사용시에 셔터릴리이즈버튼도 덮는 보호커버부재여도 좋다. 또, 셔터릴리이즈버튼의 누름조작을 기구적으로 계지(係止)하는 위치와 계지를 해제하는 위치에 선택적으로 수동설정되는 릴리이즈로크 부재여도 좋다. 또, 셔터릴리이즈버튼과는 별개의 수동조작부재의 조작에 의해 주스위치가 닫혀져 촬영준비 상태로 되고, 그후 셔터릴리이즈버튼에 연동하는 스위치에 닫힘에 의해 촬영동작이 개시되는 카메라인 경우에는, 이 수동조작부재의 조작에 응답하여 승압회로의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해도 좋다.
[발명의 효과]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셔터리릴이즈버튼의 조작에 앞서서 촬영준비를 위해 조작되어 카메라의 부주의한 촬영동작을 금지하는 위치로부터 허용위치로 이동시켜지는 수동조작부재의 조작에 응답하여 전자섬광장치의 승압회로의 승압동작을 개시시켜 촬영조각 전에 미리 승압동작을 실시하도록 카메라에 내장된 전자성광장치의 승압동작을 제어하므로, 종래예와 같은 승압동작의 개시를 위한 특정한 조작이 필요치 않을 뿐만 아니라, 섬광촬영시의 촬영기회를 놓치는 확률을 작게 할 수 있고, 또 측광회로에 의해 피사체휘도가 낮은 것이 검출될 때에만 섬광발광을 허용하게 되므로, 피사체휘도가 높은 경우에는 섬광발광이 금지되어 발광용 에너지가 헛되이 소비되는 것(즉, 불필요한 발광)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발명의 실시태양에 의하면, 카메라의 전원으로부터 전자섬광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게 되는데, 그때 측광회로라던지 자동노출제어회로, 자동촛점조절회로등과 같은 카메라촬영실행회로가 동작하도록 하는 촬영에 관련된 동작이 이루어지고 있을때는 그 동작기간만큼 승압회로의 승압동작을 중단시키도록 되어 있으므로, 승압동작시의 전원전압변동에 기인하여 촬영실행회로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게 되는 불합리를 해소할 수 있게 된다.

Claims (5)

  1. 측광이라던지 도출 등과 같은 촬영동작을 실행시키기 위해 조작되는 셔터릴리이즈버튼(B)과, 승압회로(10)와 주콘덴서(C1 ), 트리거회로(12) 및 섬광방전관(Xe) 등을 포함하고 있는 전자섬광장치(3) 및, 상기 셔터릴리이즈버튼(B)의 제1동작스트로크에 응답해서 측광을 개시하는 측광회로와 이 측광회로에 의해 측정된 피사체휘도가 소정치이하일 때 섬광방전관(Xe)의 발광을 허용하는 발광허가신호을 상기 트리거회로 (12)에 공급하는 발광허가회로, 상기 셔터릴리이즈버튼(B)의 제1동작스트로크보다도 큰 제2동작스트로크에 응답해서 피사체휘도에 기초하여 노출제어를 수행하는 자동노출제어회로 및 노출중의 소정의 타이밍에서 섬광방전을 수행시키기 위해 트리거신호를 발생시키는 트리거 신호 발생회로로 이루어진 촬영실행회로(4)를 구비한 카메라에 있어서, 상기 셔터릴리이즈버튼(B)의 작동에 앞서 촬영준비를 위해 조작되어 카메라의 동작상태를 부주의한 촬영동작을 금지하는 제1상태로부터 카메라의 촬영동작을 허용하는 제2상태로 변화시키기 위한 수동조작부재(A)와, 상기 수동조작부재(A)가 제2상태로 설정되면 상기 승압회로(10)의 충전동작을 실행시키기 위한 승압명령신호를 상기 승압회로(10)에 인가하고, 상기 셔터릴리이즈버튼 (B)의 제1동작스트로크에 응답해서 상기 승압회로(10)의 승압을 정지시키는 승압제어회로(2)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섬광장치를 내장한 카메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조작부재(A)는 촬영렌즈의 전면을 덮는 차폐위치와 개방하는 개방위치로 선택적으로 이동시켜지는 보호커버이고, 상기 승압제어회로(2)는 상기 보호커버의 차폐위치로부터 개방위치로의 이동에 응답하여 승압회로 (10)의 작동을 개시시키고, 개방위치로부터 차폐위치로의 이동에 응답하여 승압회로(10)의 작동을 정지시키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을 하는 전자 섬광장치를 내장한 카메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상기 승압회로(10)와 측광회로 및 자동노출제어회로에 전원을 공급하는 공통전원(E)을 더 포함하고 있고, 상기 승압제어회로 (2)는, 상기 수동조작부재(A)의 작동을 검지하는 제1작동검지회로(OS1 )와, 상기 측광회로의 작동을 검지하는 작동검지회로(OR3</SB )를 포함하고서, 상기 수동조작부재(A)의 촬영준비를 위한 수동조작에 응답해서 승압회로(10)의 승압동작을 개시시키고, 상기 측광회로의 작동이 검지되면 그 작동기간동안에만 승압동작을 중단시키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섬광장치를 내장한 카메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상기 공통전원(E)으로부터 급전되어 촬영렌즈에 의한 피사체상의 결상(結像)위치를 예정촉점위치로 자동조절하는 자동촛점조절회로를 더 포함하고 있고, 상기 작동검지회로(OR3)는 상기 자동촛점 조절회로의 작동을 더 검지하며, 상기 승압제어회로(2)는 상기 자동촛점조절회로의 작동기간에 승압회로 (10)의 승압동작을 중단시키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섬광장치를 내장한 카메라.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공통전원(E)으로부터 급전되어 필름을 자동이송하는 전동필름이송장치(W)를 더 포함하고 있고, 상기 작동검지회로 (OR3</SB )는 이 진동필름이송장치(W)의 작동을 더 검지하며, 상기 승압제어회로(2)는 상기 전동필름이송장치(W)의 작동기간에 상기 승압회로(10)의 승압동작을 중단시키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섬광장치를 내장한 카메라.
KR1019840008164A 1984-01-23 1984-12-20 전자섬광장치를 내장한 카메라 KR9400007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4008025U JPS60120437U (ja) 1984-01-23 1984-01-23 電子閃光装置を内蔵したカメラ
JP59-8025 1984-01-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5629A KR850005629A (ko) 1985-08-28
KR940000771B1 true KR940000771B1 (ko) 1994-01-29

Family

ID=11681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8164A KR940000771B1 (ko) 1984-01-23 1984-12-20 전자섬광장치를 내장한 카메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60120437U (ko)
KR (1) KR9400007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15820B2 (en) 2005-01-28 2009-04-07 Casio Computer Co., Ltd. Image capture device with automatic focusing functio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15820B2 (en) 2005-01-28 2009-04-07 Casio Computer Co., Ltd. Image capture device with automatic focusing function
KR100914084B1 (ko) * 2005-01-28 2009-08-27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촬상 장치 및 촬상 방법
US7738784B2 (en) 2005-01-28 2010-06-15 Casio Computer Co., Ltd. Image capture device with automatic focusing function
US7822336B2 (en) 2005-01-28 2010-10-26 Casio Computer Co., Ltd. Image capture device with automatic focusing fun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5629A (ko) 1985-08-28
JPS60120437U (ja) 1985-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51081A (en) Flash device
US4194818A (en) Electronic flash unit for fill-flash photography
US4302084A (en) Automatic rangefinding device for use in a camera
US5159381A (en) Electronic flash control circuit
US4426144A (en) Power supply unit shared by camera&#39;s motor drive and electronic flash
US4348087A (en) Photographic system for automatically charging electronic flash
CA1122261A (en) Control system for flash-illuminated automatic focusing camera
JPH04258B2 (ko)
KR940000771B1 (ko) 전자섬광장치를 내장한 카메라
JPS6230412B2 (ko)
US4239361A (en) Camera having electronic strobe flash apparatus chargeable during viewfinder framing of a scene
JP2648754B2 (ja) 写真機の露出制御装置および電子フラッシュ式写真機
JPS5844428A (ja) 電子閃光装置
US4390261A (en) Flash camera with photographic mode selector
CA1112292A (en) Electronic flash inhibit arrangement
US4394079A (en) Photographic flash device operatively responsive to the luminance of an object to be photographed to prevent overexposure
US4344020A (en) Electronic flash device capable of automatic flash duration adjustment
US4676625A (en) Strobe re-actuating device
GB2025078A (en) Photographic exposure control
JPS6230411B2 (ko)
US4190335A (en) Shutter controlling aid means for use with camera
JPH0534577A (ja) オートフオーカスカメラ
US4429971A (en) Apparatus for testing automatic electronic flash
US4331406A (en) Indicating device for computer type electronic flash unit
JPS5924021Y2 (ja) 写真用閃光装置付カメラ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106

Year of fee payment: 11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