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0737B1 - 안구상에서 움직임이 개선되게 되는 유연성을 지닌 콘택트 렌즈와 그 렌즈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안구상에서 움직임이 개선되게 되는 유연성을 지닌 콘택트 렌즈와 그 렌즈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0737B1
KR940000737B1 KR1019890001919A KR890001919A KR940000737B1 KR 940000737 B1 KR940000737 B1 KR 940000737B1 KR 1019890001919 A KR1019890001919 A KR 1019890001919A KR 890001919 A KR890001919 A KR 890001919A KR 940000737 B1 KR940000737 B1 KR 9400007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peripheral
convex
eye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1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3501A (ko
Inventor
에스. 에임스 케이스
에이. 크놀 헨리
지. 잔토스 스테븐
Original Assignee
바슈 앤드 롬 인코오포레이티드
스티븐 에이. 헬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슈 앤드 롬 인코오포레이티드, 스티븐 에이. 헬렁 filed Critical 바슈 앤드 롬 인코오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8900135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35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07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07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4Contact lenses for the eye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안구상에서 움직임이 개선되게 되는 유연성을 지닌 콘택트 렌즈와 그 렌즈의 제조방법.
제1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통상적인 렌즈의 수직 단면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렌즈의 일부분을 확대한 도면.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유연성을 지닌 렌즈의 수직 단면도.
제4도는 제3도에 도시한 렌즈의 일부분을 확대한 도면.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유연성을 지닌 렌즈의 수직 단면도.
제6도는 제5도에 도시한 렌즈 일부분을 확대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렌즈 11,21,41 : 전면
12,22,42 : 배면 24,44 : 중심 확대부
29,49 : 주변 에지 27,47 : 주변 플랜지부
26,45,46 : 변이부
본 발명은 유연성을 지닌 콘택트 렌즈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안구 위에서 렌즈 움직임이 개선되게 되는 렌즈 형상에 관한 것이다.
콘택트 렌즈의 착용시에, 그 렌즈는 각막 표면의 눈물층위에 놓인다. 콘택트 렌즈 아래에서 신진 대사물 및 이물질의 유출과 눈물 순환을 촉진하도록, 콘택트 렌즈는 한 예로써 눈깜짝임과 관련하여, 안구위에서 움직일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의 소프트렌즈는 통상적으로 약 0.1mm에서 0.4mm 범위내에서, 눈을 깜짝임으로써 안구위를 움직인다. 매일 콘택트 렌즈를 제거하는 환자에게 있어서, 렌즈의 그러한 한정된 움직임은 필요한 분비액 교환이 가능하도록 충분해야 한다. 그러나 연속착용에 대해서, 분비액 교환을 증가하도록 눈을 깜짝일 동안에 렌즈 움직임이 증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당한 렌즈 움직임은 통상적으로 소프트 렌즈가 알맞게 착용되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척도로서 가장 널리 사용된다. 이제까지, 렌즈 움직임은 배면의 굴곡 및 렌즈 직경과 같은 어떤 매개 변수를 변화시킴으로써 제어되어 왔다. 그러나, 연속 착용가능한 얇고 저 수분함유의 하이드로겔과 같은 신형 소프트 콘택트 렌즈는 이러한 통상적인 매개변수의 변화에 대해 민감하지 못하다.
본 발명은 중심 확대부, 주변 플랜지부 및 그 중심부와 플랜지부를 연결하는 외부로 오목한 변이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플랜지부가 모자 차양과 같이 중심부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각막에서 유연성을 지니 렌즈를 제공하는 것으로 요약될 수 있다.
주변 플랜지의 내부 에지(edge)는 안구의 가장자리 영역에 걸쳐 렌즈의 움직임을 용이하게 하도록 안구면에서 상승되어 있다. 연구면에서 부터의 주변 플랜지 연장은 안구위에서 렌즈의 움직임을 개선하도록 눈꺼풀 접촉을 향상시킨다. 제2실시예에서, 렌즈를 용이하게 다룰 수 있도록 렌즈는 중심 확대부 및 외부로 오목한 변이부를 연결하는 외부로 볼록한 변이부를 추가로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유연성을 지닌 콘택트 렌즈 같은 것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중심 확대부, 주변 플랜지부 및 그 중심과 주변부를 연결하는 변이부를 포함하며, 주변 플랜지부는 모자 차양과 같이 중심부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하는 오목한 표면을 툴(tool)상에서 성형시키는 단계와, b) 툴의 오목한 표면에서 음각 패턴이 되도록 플라스틱 형틀을 형성시키는 단계와, c) 그 형틀에 비중합 유체물을 배치시키는 단계와, d) 그 형틀의 내부면에 소정의 두께로 유체물이 덮이도록 그 형틀을 회전시키는 단계와 e) 열 또는 자외선 복사 같은 적절한 방법으로 유체물을 중합시키는 단계와, f) 중합된 물질의 대향면을 소정의 렌즈 형상으로 가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도 및 제2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통상적인 치수성 소프트 콘택트 렌즈(10)을 도시한 도면이다. 통상적인 렌즈(10)은 완전히 볼록한 전면(11) 및 완전히 오목한 배면(12)로 구성되어 있다. 렌즈(10)은 환자의 안구위에 놓여지고 눈물의 표면 장력 및 렌즈의 흡각효과(suction cup)로 점착한다. 이러한 렌즈는 통상적으로 약 0.1mm에서 0.4mm 범위에 걸쳐 눈을 깜짝일 대 각막위에서 움직인다.
전술된 바와 같이, 임상 실험으로 부터 통상적인 렌즈의 움직임 정도가 동일 환자에서도 매번 다르게 나타남이 밝혀 졌다. 이러한 것은 환자가 때때로 부주의하여 뒤집힌 렌즈를 안구위에 착용하거나 렌즈를 뒤집어서 착용하기 때문에 전기의 결과와 상이한 결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가정되고 실험 검증되었다. 이러한 실험에서, 렌즈의 재료 또는 제작법과는 관계없이 뒤집힌 렌즈는 더 큰 움직임을 나타낸다. 뒤집힌 상태에서는 눈을 자극하는 렌즈상에 에지 리프트(edge lift : 가장자리가 들어 올려지는 현상) 또는 "컬업(crled up)"에지가 어느 정도 존재하기 때문에 뒤집힌 렌즈는 다소 편안하지 않음이 또한 입증되었다. 이러한 임상 관찰 및 실험으로부터, 전술한 뒤집힌 렌즈와 유사하게 안구위에서 움직임을 나타내며, 또한 훨씬 더 큰 편안함을 제공하는 렌즈가 고안되었다. 제3도 및 제4도는 본 발명의 그러한 렌즈의 하나를 도시한다. 제5도 및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라 수정된 렌즈를 도시한다.
제3도 및 제4도에서, 소프트 렌즈(20)은 볼록-오목 중심 확대부(24)를 형성하는 전면(21) 및 배면(22), 환상의 오목-볼록 변이부(26) 및 주변 플랜지부(27)을 포함한다. 전면(21) 및 배면(22)는 얇은 원통형의 주변 에지(29)로 연장한다. 렌즈의 중심 확대부(24)는 소정의 렌즈 확대력을 제공하며, 또한 소정의 세로 깊이를 갖는다. 주변 플랜지(27)의 전면 및 배면은 소정의 에지 리프트를 제공하도록 중심부로 부터 바깥쪽으로 연장한다.
제5도 및 제6도에서, 소프트 렌즈(40)은 볼록-오목 중심 확대부(44)를 형성하는 것과 함께, 전면(41) 및 배면(42), 환상의 볼록-오목 변이부(45), 환상의 오목-볼록 변이부(46) 및 주변 플랜지부(47)을 포함한다. 전면(41) 및 배면(42)는 얇은 원통형의 주변 에지(49)로 연장한다. 렌즈 중심 확대부(44)는 소정의 렌즈 확대력을 제공하며, 또한, 소정의 세로 깊이를 갖는다. 주변 플랜지(47)의 전면 및 배면은 소정의 에지리프트를 제공하도록 중심부로 부터 바깥쪽으로 연장한다.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한 이러한 형상에서, 변이부(45),(46)은 렌즈 중심표면과 주변 에지 플랜지를 연결할 뿐만 아니라 그 변이부는 또한 렌즈 취급을 용이하게 하도록 렌즈의 중간-주변 두께를 증가시킨다.
본 발명에서 에지 형상의 주된 임상의 중요성은 이러한 것의 제공으로 인해 렌즈의 움직임을 증가시킨다는 것이다. 이것은 두가지 효과가 결합된 결과라고 생각된다. 첫째로, 주변 플랜지(27),(47)의 굴곡된 내부면에 의해 생기는 에지 리프트는 안구의 가장자리 영역을 가로지르는 렌즈의 다소 적은 저항을 제공한다. 이 렌즈는 더 작은 굴곡 반경을 가지는 각막 경계에 걸쳐 더욱 쉽게 "겹침"을 하며, 공막과 접한다. 둘째로, 주변 플랜지의 굴곡된 외측면이 전방으로 연장하여 눈꺼풀과 렌즈간의 상호 작용을 촉진시킴으로써 렌즈의 움직임을 향상시키며, 그리고 안구위에 작용된 렌즈의 불편함을 느끼지 못하게 해준다.
본 발명에 따라 렌즈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스틸 툴(steel tool)이 렌즈 전면에-대해 양각 패턴으로 형성되는데, 그러한 툴은 제3도 또는 제5도에서와 같이 렌즈의 전면에 따라 배치되는 볼록 중심부, 변이부(들) 및 주변부를 포함한다. 플라스틱 형틀은 이러한 축 또는 패턴상에서 성형되며, 그 형틀은 렌즈 전면의 음각이 된다. 비중합된 물질이 그 형틀에 주입되고, 그 형틀 및 유체물을 회전시킴으로써, 원심력에 의해 유체물은 소정의 두께를 갖춘 형틀의 내부면을 따라 펼쳐진다. 이 형틀이 회전되는 동안에, 그 유체물은 자외선광 혹은 열의 적용과 그리고 중합화시키는 다른 적절한 수단에 의해서 중합된다. 중합된 플라스틱 렌즈 물질은 형틀안에서 소정의 렌즈 형상으로 렌즈 배면을 형성하도록 깍기게 된다(렌즈 전면은 형틀에 의해 형성됨). 렌즈를 최종 형상으로 가공한 다음 렌즈 및 형틀에 렌즈를 부드럽게 하고 팽창시키는 물을 뿌려줌으로써 렌즈는 그 형틀에서 분리된다.
전술한 공정은 또한, 렌즈의 배면에 대해 양각 패턴이 되는 툴과 렌즈의 배면의 음각에 따라 툴상에 형성된 형틀을 사용함으로써 실행되고, 수정될 수도 있다. 다라서 렌즈의 배면 대신에 전면위에서 필요한 공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한 공정은 렌즈의 양측면에 직접적으로 가해지는 여러가지 단계를 제외하고는, 전술한 공정과-본질적으로 동일하다.
본 발명의 개념은 실리콘 엘라스토머(silicone elastomer) 및 다른 비하이드로겔(non-hydrogel) 유연성 렌즈를 포함하는 어떠한 유연성을 지닌 렌즈 물질에도 적용되며, 또한 본 발명의 콘택트 렌즈는 예를 들어, 스핀 캐스팅(spin-casting), 캐스팅 몰딩(cast molding) 또는 이들간의 래이씽(lathing) 공정에 의해 제조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부분은 첨부된 특허청구 범위에 따르지만, 본 발명의 기술 정신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발명은 여러가지로 수정 및 변형될 수 있다.

Claims (7)

  1. 볼록-오목 중심부(24), 주변 플랜지부(27) 및 상기 중심부와 상기 주변 플랜지부를 연결하는 오목-볼록 변이부(26)을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부가 상기 중심부의 바깥쪽으로 연장하게되는 유연성을 지닌 콘택트 렌즈(20)에 있어서, 상기 주변 플랜지의 내부 에지는 안구의 가장자리 영역에 걸쳐 상기 렌즈의 움직임을 용이하게 하도록 안구면으로부터 상승되어 있으며; 안구면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하는 상기 주변 플랜지의 연장부는 안구 위에서 상기 렌즈의 움직임을 향상시키기 위해 안구면의 눈거풀 접촉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성을 지닌 콘택트 렌즈(20).
  2. 전면(21) 및 배면(22)를 포함하는 유연성을 지닌 콘택트 렌즈(20)으로서, 상기 전면(21)은 볼록 중심부(24), 주변부(27) 및 상기 전면의 중심과 주변부를 연결하는 오목 변이부(26)을 포함하고 ; 상기 배면(22)는 오목 중심부(24), 주변부(27) 및 상기 배면의 중심과 주변부를 연결하는 볼록 변이부(26)을 포함하며 ; 상기 전방 및 후방의 주변부는 함께 주변 에지 플랜지(29)를 형성하고, 상기 주변 플랜지의 내부 에지는 안구의 가장자리 영역에 걸쳐 상기 렌즈의 움직임을 용이하게 하도록 안구면으로부터 상승되어 있으며; 안구면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하는 상기 주변 플랜지의 연장부는 안구위에서 상기 렌즈의 움직임을 향상시키기 위해 안구면의 눈꺼풀 접촉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성을 지닌 콘택트 렌즈(20).
  3. 전면(21)과 배면(22)을 포함하는 유연성을 지닌 콘택트 렌즈로서, 상기 전면(21)은 그 정점으로부터 일련으로 형성된 볼록 중심부(24), 오목 변이부(26) 및 주변부(27)을 포함하고; 상기 배면(22)는 그 정점으로부터 일련으로 형성된 오목 중심부(24), 볼록 변이부(26), 및 주변부(27)을 포함하며; 상기 전방 및 후방의 주변부는 함께 주변 에지 플랜지(29)를 형성하며; 상기 주변 플랜지의 내부 에지는 안구의 가장자리 영역에 걸쳐 상기 렌즈의 움직임을 용이하게 하도록 안구면으로부터 상승되어 있으며; 안구면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하는 상기 주변 플랜지의 연장부는 안구위에서 상기 렌즈의 움직임을 향상시키기 위해 안구면의 눈꺼풀 접촉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성을 지닌 콘택트 렌즈(20).
  4. 전면(41)과 배면(42)를 포함하는 유연성을 지닌 콘택트 렌즈(40)으로서, 상기 전면(41)은 그 정점으로부터 일련으로 형성된 볼록 중심부(44), 볼록 변이부(45), 오목부 벼이부(46) 및 주변부(47)을 포함하고; 상기 배면(42)는 그 정점으로부터 일련으로 형성된 오목 중심부(44), 볼록 변이부(46), 및 주변부(47)을 포함하며; 상기 전방 및 후방의 주변부는 함께 주변 에지 플랜지(49)를 형성하며; 상기 주변 플랜지의 내부 에지는 안구의 가장자리 영역에 걸쳐 상기 렌즈의 움직임을 용이하게 하도록 안구면으로부터 상승되어 있으며; 안구면으로 부터 전방으로 연장하는 상기 주변 플랜지의 연장부는 안구위에서 상기 렌즈의 움직임을 향상시키기 위해 안구면의 눈꺼풀 접촉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성을 지닌 콘택트 렌즈(20).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의 취급을 용이하게 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볼록 변이부(45)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성을 지닌 콘택트 렌즈(40).
  6. 유연성을 지닌 콘택트 렌즈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a. 렌즈 전면의 양각 패턴이 되는 하나의 툴상에 플라스틱 형틀을 성형하는 단계로, 상기 툴은 그 정점으로부터 일련으로 형성된 볼록 중심부, 오목 변이부 및 모자 차양과 같이 그 중심부로부터 연장하는 주변부를 포함하고, 상기 성형된 형틀이 상기 렌즈전면의 음각 패턴이 되게 하는 단계와; b. 유체 상태의 비중합 물질을 상기 형틀내로 주입하는 단계와; c. 소정의 두께로 상기 형틀의 내부면에 걸쳐 상기 유체 물질이 덮이도록 상기 형틀 및 유체 물질을 회전시키는 단계와; d. 상기 물질에 적합한 중합화 수단을 적용하여 상기 유체 물질의 중합화를 효과적으로 실시하는 단계와; e. 소정의 렌즈 형상으로 상기 중합 물질의 배면을 가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성을 지닌 콘택트 렌즈의 제조방법.
  7. 유연성 콘택트 렌즈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a. 렌즈 전면의 양각 패턴이 되는 하나의 툴상에 플라스틱 형틀을 성형하는 단계로, 상기 툴은 그 정점으로부터 일련으로 형성된 볼록 중심부, 볼록 변이부, 오목 변이부 및 모자 차양과 같이 그 중심부로부터 연장하는 주변부를 포함하고, 상기 성형된 형틀이 상기 렌즈 전면의 음각 패턴이 되는 단계와; b. 유체 상태의 비중합 물질을 상기 형틀내로 주입하는 단계와; c. 소정의 두께로 상기 형틀이 내부면에 걸쳐 상기 유체 물질이 덮이도록 상기 형틀 및 유체 물질을 회전시키는 단계와; d. 상기 물질에 적합한 중합화 수단을 적용하여 상기 유체 물질의 중합화를 효과적으로 실시하는 단계와; e. 소정의 렌즈 형상으로 상기 중합 물질의 배면을 가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성을 지닌 콘택트 렌즈의 제조방법.
KR1019890001919A 1988-02-18 1989-02-18 안구상에서 움직임이 개선되게 되는 유연성을 지닌 콘택트 렌즈와 그 렌즈의 제조방법 KR9400007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7/157,014 US4896958A (en) 1988-02-18 1988-02-18 Flexible contact lens for enhanced movement on the eye
US157,014 1988-02-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3501A KR890013501A (ko) 1989-09-23
KR940000737B1 true KR940000737B1 (ko) 1994-01-28

Family

ID=22562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1919A KR940000737B1 (ko) 1988-02-18 1989-02-18 안구상에서 움직임이 개선되게 되는 유연성을 지닌 콘택트 렌즈와 그 렌즈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4896958A (ko)
EP (1) EP0329598A3 (ko)
JP (1) JPH01315722A (ko)
KR (1) KR940000737B1 (ko)
CN (1) CN1036840A (ko)
AR (1) AR244002A1 (ko)
AU (1) AU624112B2 (ko)
BR (1) BR8900693A (ko)
CA (1) CA1313960C (ko)
MX (1) MX16374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34133B2 (ja) * 1992-10-27 1999-08-16 株式会社メニコン ソフトコンタクトレンズ
AUPR276601A0 (en) * 2001-01-31 2001-02-22 Newman, Steve A contact lens for refractive correction and capable of engagement with an eye either inside out or right way out
JP2005031307A (ja) * 2003-07-10 2005-02-03 Menicon Co Ltd 低含水型ソフトコンタクトレンズ
US7438411B2 (en) * 2005-05-07 2008-10-21 Nanospectra Biosciences, Inc. Plasmon resonant based eye protection
US7625598B2 (en) * 2006-12-15 2009-12-01 Bausch & Lomb Incorporated Silicone contact lenses with wrinkled surface
GB2453993A (en) * 2007-10-25 2009-04-29 Contact Lens Prec Lab Ltd Soft contact lens for correcting abnormal corneal topography
US8113653B2 (en) * 2009-04-22 2012-02-14 Crt Technology, Inc. Scleral contact lens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the same
US10191302B2 (en) 2015-09-23 2019-01-29 Ohio State Innovation Foundation Contact lens comprising lenticular-like curve
IL303151A (en) 2015-09-23 2023-07-01 Ohio State Innovation Foundation A contact lens that includes a lenticular in the upper part of the contact lens
EP3676658A4 (en) 2017-09-01 2021-10-20 The Ohio State Innovation Foundation SOFT CONTACT LENS WITH A LENS GRID IN AN UPPER PART OF THE CONTACT LENS WITH INCREASED TEAR EXCHANGE
CN112684612A (zh) * 2019-10-18 2021-04-20 鸥博科技有限公司 抗转动光学镜片
TWI758731B (zh) * 2020-05-12 2022-03-21 亮點光學股份有限公司 一種隱形眼鏡之定位結構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2059A (en) * 1900-11-12 1903-03-03 Johann F Volle Eyeglass.
FR1170600A (fr) * 1957-04-03 1959-01-15 Verre de contact cornéen
US3187338A (en) * 1962-02-19 1965-06-01 Neefe Hamilton Res Company Corneal contact lens of wide fitting range with sine curve concave surface
US4103992A (en) * 1975-01-20 1978-08-01 Breger-Mueller Welt Corp. Corneal contact len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AU517932B2 (en) * 1978-03-21 1981-09-03 Penrhyn Francis Thomas Contact lenses
US4297008A (en) * 1979-01-16 1981-10-27 Woodford Donald L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a non spherical beveled contact lens
JPS60501426A (ja) * 1983-05-26 1985-08-29 アラーガン・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三曲面親水性コンタクトレンズの金属製種型及び該種型の光学表面の製造法
JPS60113208A (ja) * 1983-11-25 1985-06-19 Japan Synthetic Rubber Co Ltd コンタクトレンズ
CA1265688A (en) * 1984-10-17 1990-02-13 Alain Rainville Bi-focal corneal len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4820038A (en) * 1986-08-14 1989-04-11 Coopervision, Inc. Hydrogel contact le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1313960C (en) 1993-03-02
AR244002A1 (es) 1993-09-30
JPH01315722A (ja) 1989-12-20
AU624112B2 (en) 1992-06-04
EP0329598A2 (en) 1989-08-23
KR890013501A (ko) 1989-09-23
US4896958A (en) 1990-01-30
CN1036840A (zh) 1989-11-01
AU3008689A (en) 1989-08-24
MX163748B (es) 1992-06-18
BR8900693A (pt) 1989-10-10
EP0329598A3 (en) 1990-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29968A (en) Scleral-corneal contact lens
KR100906034B1 (ko) 마이크로채널을 구비한 콘택트 렌즈
EP2876488B1 (en) Contact lenses with improved oxygen transmission
KR940000737B1 (ko) 안구상에서 움직임이 개선되게 되는 유연성을 지닌 콘택트 렌즈와 그 렌즈의 제조방법
US3973838A (en) Contact lenses
EP0614105B1 (en) Contact lens for correcting of astigmatism
CA1118247A (en) Contact lens with improved interior surface
JP2004531746A (ja) コンタクトレンズおよび製造方法
EP2778750B1 (en) Hydrogel lens having raised portions for improved oxygen transmission and tear flow
US4103992A (en) Corneal contact len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2014178685A5 (ko)
US11733544B2 (en) Orthokeratology lens with displaced shaping zone
KR20040066794A (ko) 둥근 에지 형태를 가지는 콘텍트 렌즈를 주형 성형하는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