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0542Y1 - 케이블 종단 접속함 및 부싱(bushing)의 아킹혼(arcing horn) - Google Patents

케이블 종단 접속함 및 부싱(bushing)의 아킹혼(arcing hor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0542Y1
KR940000542Y1 KR2019910004046U KR910004046U KR940000542Y1 KR 940000542 Y1 KR940000542 Y1 KR 940000542Y1 KR 2019910004046 U KR2019910004046 U KR 2019910004046U KR 910004046 U KR910004046 U KR 910004046U KR 940000542 Y1 KR940000542 Y1 KR 9400005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cing horn
charging
arcing
horn
curv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040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8715U (ko
Inventor
이광철
유광식
Original Assignee
금성전선 주식회사
박원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성전선 주식회사, 박원근 filed Critical 금성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100040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0542Y1/ko
Publication of KR92001871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871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05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054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42Means for obtaining improved distribution of voltage; Protection against arc discharges
    • H01B17/46Means for providing an external arc-discharge pa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26Lead-in insulators; Lead-through insulators
    • H01B17/30Sealing
    • H01B17/303Sealing of leads to lead-through insul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sulat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케이블 종단 접속함 및 부싱(bushing)의 아킹혼(arcing horn)
제1도는 종래의 아킹 혼이 설치된 상태를 보인 실시 예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아킹 혼이 설치된 상태를 보인 실시 예시도.
제3도는 본 고안 충전측 아킹 혼을 일부절결한 상태의 저면도.
제4도는 본 고안 충전측 아킹 혼의 요부 종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 접지측 아킹 혼의 일부절결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케이블 종단 접속함 및 부싱 1 : 충전전극
2 : 충전측 아킹 혼(arcing horn) 2' : 접지측 아킹 혼(arcing horn)
3, 3' : 실드 링(shield ring)몸체 4 : 충전측 아킹 혼의 침전극
4' : 접지측 아킹 혼의 침전극 5 : 절연부
본 고안은 변압기 및 차단기의 부싱 또는 케이블의 종단 접속함에 이상전압이 발생하였을 경우 그 이상전압을 섬락 시키므로써 기기를 보호하는 아킹 혼(arcing horn)에 관한 것으로, 특히 충전측 침적극의 곡률 반경을 접지측 침전극의 곡률 반경보다 작게 구성함에 따라 케이블 종단 접속함 및 부싱에 설치시 반드시 방수가 된 충전측 아킹 혼 으로부터 방전이 개시 되도록 함으로써 정확한 섬락 전압을 이룰 수 있도록 한 케이블 종단 접속함 및 부싱(bushing)의 아킹 혼(arcing horn)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제1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블 종단 접속함 및 부싱(11)의 충전전극(12)에 충전측 아킹 혼(13)을 접속하며 이의 하방에 소정간격을 두고 접지측 아킹 혼(14)을 마주보게 설치함에 있어, 상기 충전측 아킹 혼(13) 및 접지측 아킹 혼(14)의 구성을 양측 공히 비교적 길이가 긴 침 형태를 취하도록 하는 한편 그 종단부위를 각기 상, 하향으로 대향 절곡 시킴으로써 양 아킹 혼에서 이상전압을 방전토록 하여 왔던 바, 이는 아킹 혼의 설계시 내부 절연 특성을 전혀 고려하지 않아 실제 과전압이 걸렸을 경우 내부 절연파괴의 발생이 우려되었으며, 시간 경과와 더불어 아킹 혼의 동작 특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주변온도 및 습도의 변화에 따라 그 성능이 좌우되는 등의 문제점이 야기 되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구조에 있어서는, 충전측 아킹 혼(13)과 접지측 아킹 혼(14)이 전계분포에 영향을 주게 되고 주변의 전계가 각각 다르게 됨에 따라 어느 한 부분만을 중점적으로 설계할 수 없음으로 인하여 설계여유를 많이 둘 수 밖에 없었으며, 이로 말미암아 대형화를 피할 수 없게 되고 충전측 아킹 혼(13)과 접지측 아킹 혼(14) 사이의 공기상태에 따라 섬락 전압차가 심화되어 결국 확실한 보호기능을 발휘할 수 없는 등의 많은 폐단을 안고 있었다.
따라서 이 같은 종래의 제반결점을 완전 해소키 위한 본 고안은 충전측 침전극의 곡률 반경을 접지측 침전극의 곡률 반경에 비해 작게 구성함으로써 설치시 스트리머(streamer)발생이 항상 충전측으로부터 접지측에 이루어지도록 한 케이블 종단 접속함 및 부싱의 아킹 혼을 제공키 위한 것으로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케이블의 종단 접속함 및 부싱(A)의 아킹 혼을 구성함에 있어, 충전전극(1)에 접속되는 충전측 아킹 혼(arcing horn)(2)은 실드 링(shield ring)몸체 (3)의 저면 일측에 곡률 반경 약 7-30μ의 침전극(4)을 하향돌설하되 이의 주연에는 소정높이를 갖는 절연부(5)를 형성, 방수구조로 된 일체화로 구성하는 한편, 상기 충전측 아킹 혼(2)의 침전극(4)과 대향되는 위치의 하방에 설치되는 접지측 아킹 혼(2')은 실드 링 몸체(3')의 상면 일측에 곡률 반경약 100-200μ의 침전극(4')을 상향 돌설하여서 된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6은 가대를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고안 아킹 혼을 케이블의 종단 접속함 및 부싱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실시 예시도이며, 제3도 및 제4도는 본 고안 충전측 아킹 혼의 구성을 보인 일부 절결 상태의 저면도 및 요부 종단면도이고, 제5도는 본 고안 접지측 아킹 혼의 구성을 보인 일부절결 정면도인 바, 충전측 아킹 혼(2)의 경우 실드링 몸체(3)의 저면 일측에 하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침전극(4)은 그 곡률 반경이 7-30μ이고 길이 또한 극소치의 값을 갖음에 따라 공간 전하 효과(spacecharge effect)가 배제되는 한편, 상기 침전극(4)을 중심으로 하여 소정 간격을 두고 절연 피복시킨 절연부(5)에 의하여 방수구조가 조성됨에 따라 일정한 섬락 전압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며, 접지측 아킹 혼(2')에 있어서는 실드 링 몸체(3')의 상면 일측에 상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침전극(4')의 곡률 반경이 100-200μ의 값을 갖음에 따라 상기 양 아킹 혼(2), (2')을 설치한 실시 상태에서의 스트리머(streamer)발생은 항상 상부의 충전측 아킹 혼(2)으로부터 하부의 접지측 아킹 혼(2')으로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바람직한 절연대책을 강구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아킹 혼에 있어서는 침전극의 곡률 반경 및 길이를 적절히 조정함으로써 섬락 전압의 조정이 가능케 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고안에 의하면, 케이블의 종단 접속함 및 부싱에 설치되는 아킹 혼을 구성함에 있어 충전측 아킹 혼은 실드 링 몸체의 저면 일측에 작은 값의 곡률 반경을 갖는 침전극을 하향 돌설하되 이의 주연을 절연 피복시키는 한편, 상기 충전측 아킹 혼의 침전극과 대향 설치되는 하방의 접지측 아킹 혼의 실드 링 몸체 상면 일측에는 상기 충전측 침전극에 비해 다소 큰 값의 곡률 반경을 갖는 침전극을 상향으로 돌출되게 구성하므로써 각기 다른 곡률 반경차에 의해 반드시 방수가 된 충전측 아킹 혼으로부터 방전이 시작됨에 따라 정확한 섬락 전압을 이룰 수 있는 탁월한 성능의 아킹 혼(arcing horn)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케이블의 종단 접속함 및 부싱(A)의 아킹 혼을 구성함에 있어, 충전전극(1)에 접속되는 충전측 아킹 혼(arcing horn)(2)은 실드 링(shield ring)몸체 (3)의 저면 일측에 곡률 반경 7-30μ의 침전극(4)을 하향 돌설하고 이의 주연에는 소정높이를 갖는 절연부(5)를 형성, 방수구조로 된 일체화로 구성하는 한편, 상기 충전측 아킹 혼(2)과 대향되는 위치의 하방에 설치되는 접지측 아킹 혼(2')은 실드 링 몸체(3')의 상면 일측에 곡률 반경 100-200μ의 침전극(4')을 상향 돌설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종단 접속함 및 부싱(bushing)의 아킹 혼(arcing horn).
KR2019910004046U 1991-03-27 1991-03-27 케이블 종단 접속함 및 부싱(bushing)의 아킹혼(arcing horn) KR9400005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4046U KR940000542Y1 (ko) 1991-03-27 1991-03-27 케이블 종단 접속함 및 부싱(bushing)의 아킹혼(arcing hor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4046U KR940000542Y1 (ko) 1991-03-27 1991-03-27 케이블 종단 접속함 및 부싱(bushing)의 아킹혼(arcing hor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8715U KR920018715U (ko) 1992-10-19
KR940000542Y1 true KR940000542Y1 (ko) 1994-01-29

Family

ID=19312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04046U KR940000542Y1 (ko) 1991-03-27 1991-03-27 케이블 종단 접속함 및 부싱(bushing)의 아킹혼(arcing hor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054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6491B1 (ko) * 2005-03-03 2007-04-10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3상 일괄형 초전도 케이블용 종단 접속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8715U (ko) 1992-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639681A (en) Bushing terminal guard
US4540968A (en) Open fuse cutout
JPH017968Y2 (ko)
TR28592A (tr) Bir dielektrik boyunca elektrik bosalmasinin kaydirilmasini kullanan bir baslatma cihazina sahip olan bir yildirim iletkeni.
KR940000542Y1 (ko) 케이블 종단 접속함 및 부싱(bushing)의 아킹혼(arcing horn)
US3192311A (en) Conductively coated bushing terminal guard
US4461264A (en) Ignition transformer and spark plug cover assembly
JPH0210767Y2 (ko)
JPS5911433Y2 (ja) ア−キングホ−ン
JPH0212712Y2 (ko)
JP2529335Y2 (ja) L型コネクタプラグ
JPH07176235A (ja) 送電線用避雷器
JPS6219044Y2 (ko)
JPS5930993Y2 (ja) 筒形カツトアウト
JPS6019317Y2 (ja) 限流素子内蔵円筒形カツトアウト
US2648796A (en) Birdproof spark gap for distribution lines
JPH08288893A (ja) 通信用結合装置
JPH019290Y2 (ko)
SU1120432A1 (ru) Узел электрического соединени
JPH08264330A (ja) 高圧結合器
JPS6326912Y2 (ko)
JPH0340462B2 (ko)
JPH0235160Y2 (ko)
JP2660025B2 (ja) ケーブル終端部導体接続装置
JPS5943700Y2 (ja) ダクト内のリ−ド接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1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