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0514Y1 - 자동차용 쇽업소오버의 저속감쇠력조정을 위한 변위제어식 서브밸브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쇽업소오버의 저속감쇠력조정을 위한 변위제어식 서브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0514Y1
KR940000514Y1 KR2019910013186U KR910013186U KR940000514Y1 KR 940000514 Y1 KR940000514 Y1 KR 940000514Y1 KR 2019910013186 U KR2019910013186 U KR 2019910013186U KR 910013186 U KR910013186 U KR 910013186U KR 940000514 Y1 KR940000514 Y1 KR 9400005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ping force
orifice
shock absorber
speed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131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4677U (ko
Inventor
조기행
Original Assignee
만도기계 주식회사
정몽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만도기계 주식회사, 정몽원 filed Critical 만도기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100131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0514Y1/ko
Publication of KR93000467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467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05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0514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4Special valve constructions; Shape or construction of throttling passages
    • F16F9/3405Throttling passages in or on piston body, e.g. slo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44Means on or in the damper for manual or non-automatic adjustment; such means combined with temperature correction
    • F16F9/46Means on or in the damper for manual or non-automatic adjustment; such means combined with temperature correction allowing control from a distance, i.e. location of means for control input being remote from site of valves, e.g. on damper external wall
    • F16F9/464Control of valve bias or pre-stress, e.g. electromagnetic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용 쇽업소오버의 저속감쇠력조정을 위한 변위제어식 서브밸브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서브밸브를 가진 쇽업소오버 어셈블리의 단면예시도.
제2도는 쇽업소어버 어셈블리의 리바운드시 오일의 흐름을 보인 단면예시도.
제3a도, 제3b도는 유체속도 변환에 따른 감쇠력선도.
제4도는 쇽업소어버 어셈블리의 피스턴작동속도가 낮은 경우 유량과 저항계수에 따른 피스턴밸브와 감쇠력의 관계를 설명하는 개략도.
제5도는 오리피스의 단면적 변화에 따른 감쇠력 편차를 나타낸 선도.
제6도는 동일한 속도에서의 오리피스 단면적변화에 따른 감쇠력변화를 나타낸 선도.
제7도는 고속과 저속에서의 감쇠력편차가 상이하게 일어나고 있음을 나타낸 감쇠력편차선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1압축실 11 : 제2압축실
12 : 폐쇄부재 13 : 오일통과구멍
14 : 폐쇄부재 15 : 오일토출구멍
본 고안은 자동차용 쇽업소어버의 저속에서의 감쇠력조정을 위한 변위제어식 서브밸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일반적으로 수동 및 자동감쇠력조정식 쇽업소어버 어셈블리를 개발함에 있어서 감쇠력에 미치는 오리피스의 영향 및 그 정도를 추정, 규명하는 것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본 출원고안자는 감쇠력에 미치는 오리피스의 영향력 및 그 정도를 추정하기 위하여 각기 다른 오리피스 구멍 크기에서 피스턴속도별로 감쇠력을 관찰한 결과 본 고안에 이르렀다.
제2도에는 쇽업소어버의 리바운드시 오일의 흐름이 표현되어 있다.
제2도에서 감쇠력조정식 쇽업소오버 어셈블리(이하 S/A라고 한다)의 소프트모드(저속)에서의 오일흐름은 유로 1과 유로 2에서 동시에 발생하고, 유로 1과 유로 2를 통과하는 오일이 발생시키는 힘 f1과 f2는 1차적으로 피스톤속도와 2차적으로 유로 2의 크기(오리피스구멍의 단면적크기)에 따라 결정된다.
이때 오리피스가 없거나 오리피스구멍크기가 작아 유로 2를 통한 오일유량 Q2를 상대적으로 무시할 수 있는 중, 고속의 피스턴 속도영역에서의 힘 F1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또, 오리피스를 통하는 유로2가 발생시키는 힘 f2는 대부분 마찰력에 의한 것으로,
따라서, 힘 f2는 전체유량(Q1+Q2)에 대한 Q2의 상대비가 큰 저속구간에서 감쇠력에 큰 영향을 주게된다.
결과적으로 유로 1, 2를 통하여 오일흐름을 형성하는 일반적인 상황하에서의 전체힘(감쇠력)(F)은 다음과 같은 나타낼수 있다.
(위식에서 VP : 피스턴측 오일속도
Vo : 오리피스측 오일속도
n1 : 2/3(스프링타입밸브)
n2 : 2(오리피스)
K1 : 유로 1의 피스턴구멍과 판스프링을 통과하는 단위유량저항계수
K2 : 유로 2의 오리피스구멍에서 발생되는 단위유량 저항계수이고
K1>K2이다.)
그리고 피스턴속도별 오리피스의 영향을 살펴본바, 제4도에 개략적으로 표현된 바와같이 피스턴 작동속도가 낮은 경우 실린더내의 "가"측으로 부터 "나"측으로 이동하는 절대유량이 고속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적고〔(Q1+Q2)low<(Q1+Q2)high〕, 피스턴밸브측에 주어진 저항계수 K1이 K2에 비해 상대적으로 매우 크므로 피스턴밸브가 작동하지 않거나 또는 상대적으로 영향이 적은 저속구간에서는 오리피스단면적이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주요메카니즘으로 작용하게 되고 유체속도변화에 따른 감쇠력의 발생은 제3a도, 제3b도에 예시된 바와같이 오리피스타입(제3b도)과 판스프링타입(제3a도)이 각각 다른 특성을 가짐을 알게되었다.
또 피스턴작동속도가 빠를 경우, 오리피스를 통한 오일의 흐름만으로 순간평형이 불가능하며 "나"측에 부압이 발생하게 되고, 이 부압의 크기가 피스턴측의 작동한계저항치에 접근하게 되면 피스턴측으로의 오일흐름이 발생하고, 속도의 증가에 따라 이미 제한된 크기를 갖는 오리피스보다 현저하게 증가한다.
따라서, 고속에서는 Q2에 비해 Q1이 월등하게 크므로 K1의 특성이 감쇠력루우프의 형상을 지배하게 됨을 알았다.
그리고 오리피스가 감쇠력에 미치는 영향을 더욱 상세히 살펴본바, 제5도에 예시된 바와같이 저속구간에서의 감쇠력(F)은 F=C*V2으로부터이므로 a-b의 편차는 크지만 오리피스크기가 클수록 그 편차(c-d)는 작아지고, 고속구간에서의 감쇠력(F)은 상기식(3)과 실험결과를 토대로할때 선형적으로 변화하므로 F=K1*Q1으로 표현할 수 있었다.
따라서, 오리피스크기 변화에 따른 감쇠력의 변화는 결국 오리피스 단면적의 증가에 의한 Q1의 감소분만큼 선형적으로 나타남을 알게 되었다.
또 동일속도에서의 오리피스단면적에 따른 감쇠력변화를 살펴본바, 제6도에 예시된 바와같이 실제적으로 제품구성부품의 간격에 의하여 비정상유로가 조재하므로 오리피스가 없는 상태에서의 감쇠력이 하향적으로 나타나게 되고, 추가적으로 오리피스크기가 증가할수록 간격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아져 정상곡선 C로 접근하는 C'의 커브를 갖는다고 보여진다(감쇠력이 면적(A)의 제곱에 반비례하므로 초길 오리피스에는 현저한 감쇠력 감소현상을 보이지만 면적이 증가할수록 그 영향은 둔화된다).
상술한 바와같은 감쇠력에 미치는 오리피스의 영향을 고려할때, 본 출원고안자가 실험하여 얻은 제7도에 예시된 바와같은 현상, 즉 고속에서의 감쇠력편차(Δh)와 저속에서의 감쇠력편차(Δl)가 상이하게 나타나는 현상을 예측하는데 무리가 없다.
또, 오리피스를 이용하여 감쇠력의 선도를 변화시키는 현재의 감쇠력 조정식 S/A에서는 고속에서보다 저속에서 현저한 감쇠력 감소현상을 발견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현상은 감쇠력조정식 S/A의 제작에 있어 중요한 장애요인이므로 감쇠력조정식 S/A의 감쇠력 특성을 중, 저속에서 원활하게 제어하기 위해서는 대형 오리피스를 이용하여 고속의 감쇠력을 목적점(b)까지 낮추고, 저속의 소프트감쇠력을 제어하여 a점에서 c점으로 조정할 수 있는 서브밸브가 필요함을 알게되어 본 고안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고안에 따른 서브밸브의 구조는 제1도에 표현되어 있다.
서브밸브(SV)는 유로 2를 흐르는 오일에 압력을 더욱 증가시켜줄 목적으로 설치되는 것인바, 오일통과 면적을 변화시켜주어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서브밸브(SV)는 유로 2에 연하면서 유로 1과 차단되는 제1압축실(10)과 제2압축실(11)을 가지고 있으며, 이들을 구획하는 폐쇄부재(12)에는 경사진 오일통과구멍(13)이 형성되어 있고, 제2압축실(11)을 폐쇄시켜주는 부재(14)에는 오일토출구멍(15)이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같은 구조로된 본 고안에 따른 서브밸브(SV)는 유로 2를 통과하는 오일이 제1압축실(10)과 제2압축실 및 경사진 오일통과구멍(13)과 오일토출구멍(15)을 지나면서 유속이 조절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서브밸브(SV)는 제7도에서 쇄선으로 표시된 바와같이 저속에서의 감쇠력편차(Δl)를 상쇄시켜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

  1. 제1압축실(10)과 제2압축실(11)을 가지고 있으며, 이들을 구획하는 폐쇄부재(12)에는 경사진 오일통과구멍(13)이 형성되어 있고, 제2압축실(11)의 폐쇄부재(14)에는 오일토출구멍(15)이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쇽업소어버의 저소감쇠력조정을 위한 변위제어식 서브밸브.
KR2019910013186U 1991-08-20 1991-08-20 자동차용 쇽업소오버의 저속감쇠력조정을 위한 변위제어식 서브밸브 KR9400005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3186U KR940000514Y1 (ko) 1991-08-20 1991-08-20 자동차용 쇽업소오버의 저속감쇠력조정을 위한 변위제어식 서브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3186U KR940000514Y1 (ko) 1991-08-20 1991-08-20 자동차용 쇽업소오버의 저속감쇠력조정을 위한 변위제어식 서브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4677U KR930004677U (ko) 1993-03-20
KR940000514Y1 true KR940000514Y1 (ko) 1994-01-29

Family

ID=19318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13186U KR940000514Y1 (ko) 1991-08-20 1991-08-20 자동차용 쇽업소오버의 저속감쇠력조정을 위한 변위제어식 서브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051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4677U (ko) 1993-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74066A (en) Variable flow shock absorber and method
US5954167A (en) Flow sensitive acceleration sensitive shock absorber with added flow control
JP3524040B2 (ja) ショックアブソーバ
US6474454B2 (en) Damping force control type hydraulic shock absorber
US5833036A (en) Rebound adjustable shock absorber
US6119830A (en) Flow sensitive, acceleration sensitive shock absorber
US4850460A (en) Hydraulic adjustable shock absorber
CN100510462C (zh) 减振器活塞组件、减振器和抑制车辆行驶变形的方法
DE60211231T2 (de) Kolben- und Kolbenstangeneinheit für pneumatisch betätigte, einstellbare Dämpfung
JPH06147252A (ja) 油圧緩衝器
US6311812B1 (en) Device and application involving two parts working away from and towards each other and energy-absorbing device
JPH0257739A (ja) ショックアブソーバ用の調節可能なダンパ手段
US5873437A (en) Shock absorber
US11519476B2 (en) Vibration damper for a vehicle
KR940000514Y1 (ko) 자동차용 쇽업소오버의 저속감쇠력조정을 위한 변위제어식 서브밸브
JPH05178055A (ja) セミアクティブサスペンション
US2309499A (en) Shock absorbing apparatus
US5441133A (en) Hydraulic damper having leaf valve stopper
JPS63270935A (ja) オイルダンパ−
JP2003278819A (ja) 減衰力調整式油圧緩衝器
JPH0727164A (ja) ショックアブソーバのバルブ構造
KR100361297B1 (ko) 차량의 쇽업소버
JP2901640B2 (ja) 変位感応型液圧緩衝器
JPH09151980A (ja) 油圧緩衝器
JPS5872744A (ja) 複筒型油圧緩衝器の減衰力調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30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