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0424Y1 - 스피커 출력 차단회로 - Google Patents

스피커 출력 차단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0424Y1
KR940000424Y1 KR2019910020450U KR910020450U KR940000424Y1 KR 940000424 Y1 KR940000424 Y1 KR 940000424Y1 KR 2019910020450 U KR2019910020450 U KR 2019910020450U KR 910020450 U KR910020450 U KR 910020450U KR 940000424 Y1 KR940000424 Y1 KR 9400004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aker
resistor
transistor
protection integrated
capaci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204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2590U (ko
Inventor
박영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이헌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이헌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20199100204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0424Y1/ko
Publication of KR93001259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259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04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0424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007Protection circuits for transduc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스피커 출력 차단회로
제1도는 종래의 스피커 출력 회로도.
제2도는 제1도의 각부 파형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스피커 출력 차단 회로도.
제4도는 제3도의 각부 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B : 헤드폰 잭의 스위치 IC1 : 보호집적소자
RY1 : 스피커차단용 릴레이
본 고안은 오디오 기기에 있어서, 헤드폰 플러그 삽입시의 스피커 차단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헤드폰 플러그 탈거시 스피커 차단 릴레이의 복귀시간을 최소화하는데 적당하도록 한 스피커 출력 차단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스피커 출력회로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교류입력이 다이오드(D1 및 콘댄서(C1)와 저항(R1)을 통해 보호집적소자(IC1)의 전원단자(P8)에 연결되고, 상기 접속점을 저항(R2) 및 콘덴서(C2)를 통해 상기 보호집적소자(IC1)의 전원접지단자(P7)에 연결되며, 상기 보호집적소자(IC1)의 전원단자(P8)의 접속선이 릴레이(RY1) 및 저항(R3)을 통해 상기 보호집적소자(IC1)의 핀(P6)에 연결되고, 상기 전원접지단자(P7)와 핀(P6)은 가상접지 트랜지스터(Q2)에 의해 접지되고, 상기 교류입력이 저항(R4) 및 다이오드(D2)를 통해 상기 보호집적소자(IC1)의 핀(P4)에 연결되고, 그 접속점이 2개의 컨넥터를 통해 헤드폰 잭(JK1)의 스위치단자(B)에 연결되어 구성된 것으로, 도면중 미설명 부호 C3-C8는 콘덴서이고, D3는 다이오드, A는 헤드폰 잭(JK1)의 스위치 단자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의 스피커 출력회로는 먼저 제2a도와 같이 전원을 턴-온시키면 교류전원이 다이오드(D1)를 통해 정류되고, 콘텐서(C1)에서 평활되어 보호집적소자(IC1)의 전원단자(P8)에 인가되고, 이때 상기 보호 집적소자(IC1)의 전원단자(P8)로 공급된 전압은 저항(R2)을 통해 제2b도와 같이 콘덴서(C2)에 서서히 충전되고 이후 일정시간(t1)이 경과되어 콘덴서(C2)에 충전이 완료되면 보호집적소자(IC1)의 핀(P7)이 고전위(0.6V)가 되어 가상 트랜지스터(Q2)가 턴-온되므로 이때 제2도의 (다)와 같이 릴레이(RY1)가 구동되어 스피커에 출력을 내게 되는데 이러한 정상동작중 헤드폰 플러그를 제2d도와 같이 헤드폰 잭(JK1)에 삽입하게 되면, 헤드폰 잭(JK1)에 있는 스위치단자(A), (B)가 서로 단락되어 스위치단자(B)에 연결되어 있는 보호집적소자(IC1)의 핀(P4)이 접지된다.
여기서 상기 보호집적소자(IC1)의 핀(P4)은 교류 턴-오프 검출단자로서 평소 교류전압이 가해지면 보호집적소자(IC1)가 정상 동작을 하고, 교류전압이 차단되면 즉 헤드폰 플러그를 삽입하면 보호집적소자(IC1)의 핀(P4)이 접지가 되어, 제2b도와 같이 보호집적소자(IC1)의 핀(P7) 전압이 "0"이 되므로 릴레이(RY1)는 차단되게 된다.
다시 헤드폰 플러그를 빼면 보호집적소자(IC1)의 핀(P7) 전압은 제2b도와 같이 저항(R2) 및 콘덴서(C2)의 시정수에 의해 서서히 상승하여 일정시간(t2) 후에 고전위가 되어 가상 접지 트랜지스터(Q2)를 턴-온시킴으로써 제2c도와 같이 릴레이(RY1)가 다시 턴-온 된다.
즉, 헤드폰 플러그를 삽입후 빼면 음성신호가 일정시간(t2)이 경과된 후에 스피커로 출력되게 되며, 따라서 헤드폰 플러그를 뺄 때 전원인가시 콘덴서(C2) 및 저항(R2)의 시정수, 즉 일정시간(t2) 만큼의 시간 지연이 생기는 바, 이는 얼마 안되는 시간이지만 기존의 관습에 비교하면 매우 답답하고 지루한 시간이 되고, 그렇다고 저항(R2) 및 콘덴서(C2)의 시정수를 무작정 줄이게 되면 전원인가시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보호집적소자의 내부에 의한 제어가 아닌 주변회로의 추가에 의해 릴레이를 제어하도록 스피커 출력 차단회로를 안출한 것으로,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는 본 고안 스피커 출력 차단회로도서,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교류입력단(AC)은 다이오드(D1) 및 콘덴서(C1)와 저항(R1)을 통해 보호집적소자(IC1)의 전원단자(P8)에 연결하고, 상기 접속점을 저항(R2) 및 콘덴서(C2)를 통해 상기 보호집적소자(IC1)의 전원접지단자(P7)에 연결하며, 상기 전원단자(P8)의 접속선을 릴레이(RYl) 및 저항(R3)을 통해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에 연결하고, 헤드폰 잭(JK1)의 스위치단자(B)를 상기 트랜지스터(Q1)를 통해 보호집적소자(IC1)의 핀(P6)에 연결하고, 상기 핀(P7)과 핀(P6)을 가상 접지 트랜지스터(Q2)에 의해 접지시키고, 상기 교류입력을 저항(R4)및 다이오드(D2)를 통해 보호집적소자(IC1)의 핀(P4)에 연결하고, 상기 트랜지스터(Q1)와 헤드폰 잭(JK1)의 스위치단자(B)와의 접속점에 저항(R5), (R6)을 연결하여 구성한 것으로, 도면중 미설명 부호 C3-C8은 콘덴서이고, D3는 다이오드, A는 헤드폰 잭(JK1)의 스위치 단자이다.
이와같이 구성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4a도와 같이 전원을 턴-온시키면 교류전원이 다이오드(D1)를 통해 정류되고, 콘덴서(C1)에서 평활되어 보호집적소자(IC1)의 전원단자(P8)에 인가되고, 상기 보호집적소자(IC1)의 전원단자(P8)로 공급된 전압은 저항(R2)을 통해 제4b도와 같이 콘덴서(C2)에 서서히 충전되고, 이후 일정시간(t1)이 경과되어 콘덴서(C2)에 충전이 완료되면, 보호집적소자(IC1)의 핀(P7)이 고전위(0.6V)가 되어 가상 트랜지스터(Q2)가 턴-온될 때, 다이오드(D1)에 의해 정류된 직류전압이 저항(R5), (R6)에 의하여 분압된 후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가해져 제4e도와 같이 트랜지스터(Q1)가 턴-온 되어 렬레이(RY1)가 제4c도와 같이 구동된다.
이러한 정상동작중 헤드폰 플러그를 제4d도와 같이 헤드폰 잭(JK1)에 삽입하게 되면, 헤드폰 잭(JK1)의 스위치단자(A), (B)가 단락되어,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가 접지되므로 상기 트랜지스터(Q1)는 턴-오프되고, 따라서 릴레이(RY1)도 오프상태가 된다.
그러나. 보호집적소자(IC1)의 내부에서 릴레이(RY1)를 차단한 것이 아니라 보호집적소자(IC1)의 외부에서 트랜지스터(Q1)로 릴레이(RY1)의 동작을 제어하였기 때문 제4b도와 같이 보호집적소자(IC1)의 7번핀 전압은 "0V"로 떨어지지 않고 계속 0.6V의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다시 헤드폰 플러그를 빼면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 전압은 즉시 상승하여 제4e도와 같이 턴-온되고, 이때의 지연시간(t3)은 거의 "0"이 되며, 이 턴-온된 트랜지스터(Q1)에 의해 릴레이(RY1)도 다시 구동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헤드폰 플러그 탈거시 지연시간 없이 즉시 스피커에 출력이 전달되므로 오디오 기기의 청취시 음의 끊김 현상이 없이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스피커보호릴레이(RY1) 및 집적소자(IC1)를 구동하여 스피커의 출력을 제어하는 스피커 출력회로에 있어서, 교류전원(AC)은 다이오드(D1) 및 콘덴서(C3)에 병렬 접속하고 그 공통 접점을 접지콘덴서(C1)를 통해 저항(R5) 및 접지저항(R)에 접속하며 상기 저항(R5), (R6)의 접속점을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접속함과 아울러 헤드폰 잭(JK1)의 스위치단자(B)에 접속하고 상기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는 저항(R3)을 통해 스피커보호용 릴레이(RY1)에 접속하며, 그 에미터는 보호집적소자(IC1)의 스위칭단자(P6)에 연결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출력 차단회로.
KR2019910020450U 1991-11-26 1991-11-26 스피커 출력 차단회로 KR9400004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20450U KR940000424Y1 (ko) 1991-11-26 1991-11-26 스피커 출력 차단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20450U KR940000424Y1 (ko) 1991-11-26 1991-11-26 스피커 출력 차단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2590U KR930012590U (ko) 1993-06-25
KR940000424Y1 true KR940000424Y1 (ko) 1994-01-24

Family

ID=19322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20450U KR940000424Y1 (ko) 1991-11-26 1991-11-26 스피커 출력 차단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042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2590U (ko) 1993-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37386A (en) Plug-in module for touch control switching
US4031408A (en) Proximity switching system
US4359649A (en) Monolithically integrable squarewave pulse generator
US4371841A (en) Circuit arrangement for eliminating turn-on and turn-off clicks in an amplifier
EP0169583A2 (en) Power-on reset circuit for contactless switch
GB1409983A (en) Muting circuits
KR940000424Y1 (ko) 스피커 출력 차단회로
US3633050A (en) Time delay circuit with normally conducting fet gated off during time delay period
JPS6339162B2 (ko)
JPH0333947Y2 (ko)
CN212846768U (zh) 一种基于ch340的纯硬件冷启动电路
JPS628569Y2 (ko)
KR890006639Y1 (ko) 음향기기의 뮤팅 회로
JPS6122345Y2 (ko)
JPS6133758Y2 (ko)
KR950002459Y1 (ko) Pop 노이즈 제거회로
JPS5842971B2 (ja) 近接スイッチ
KR890000225Y1 (ko) 뮤팅기능을 겸한 전원제어회로
GB2025180A (en) Transistor electronic switching circuits
JPS647701B2 (ko)
KR860002293Y1 (ko) 뮤팅(Muting)회로
KR950011623B1 (ko) 팝노이즈 제거회로
JPH0270271A (ja) 自励インバータの起動回路
JPH0229117A (ja) リセット回路
JPS633869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