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0352Y1 - 조립식 사다리 - Google Patents

조립식 사다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0352Y1
KR940000352Y1 KR888814497U KR920000521U KR940000352Y1 KR 940000352 Y1 KR940000352 Y1 KR 940000352Y1 KR 888814497 U KR888814497 U KR 888814497U KR 920000521 U KR920000521 U KR 920000521U KR 940000352 Y1 KR940000352 Y1 KR 9400003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dder
present
assembly
hole
connec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8888144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8305U (ko
Inventor
안영남
Original Assignee
안영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영남 filed Critical 안영남
Priority to KR8888144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0352Y1/ko
Publication of KR93001830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830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03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035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1/00Ladders in general
    • E06C1/02Ladders in general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 or members
    • E06C1/38Special constructions of ladders, e.g. ladders with more or less than two longitudinal members, ladders with movable rungs or other treads, longitudinally-foldable lad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50Joints or other connecting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조립식 사다리
제1도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조립 상태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도.
제6도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도로서 제6a도는 사시도.
제6b도는 조립상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사다리 1a : 통공
1b : 요입홈 2 : 연결부재
2a : 통공 3 : 연결부재
3a : 통공 3b : 나사공
4 : 고정볼트 5 : 긴체볼트
6 : 스패너
본 고안은 분해 조립이 간편한 조립식 사다리에 관한 것으로서 사다리 연결부위의 견고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종래에도 원터치식(삽설식)으로 분해 조립이 가능한 사다리가 안춤되어 실용화 되고 있었으나 종래의 조립식 사다리는 분해와 조립이 간편한 것일수록 사다리 연결부위의 흔들 거림이 심하였기 때문에 3단 이상의 고가 사다리는 조립 부위의 견고성 향상을 위하여 원터치식(삽설식) 조립방식을 지양하고 볼트 조립식 연결방식을 이용하였으며, 2단 내지 3단의 낮은 사다리는 사다리 조립 부위에 다소의 흔들 거림이 있지만 조립의 신속성을 위하여 원터치식(삽설식)조립 사다리를 이용하였다.
따라서 고가 사다리의 경우 조립 부위의 견고성과 흔들 거림 방지라는 장점은 있지만 사다리의 분해 조립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불평이 있었고. 2단 내지 3단의 낮은 사다리는 분해 조립의 신속성은 있지만 사다리 조립부위가 흔들거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다리의 조립을 원터치식(삽설식)으로하여 사다리의 분해 조립을 간편하게 하되 필요에 따라 3단 이상을 연결하여 고가 사다리로 이용할때에는 보조볼트에 의하여 사다리 연결부위를 견고하게 고정시킴으로써 사다리의 용도 사용환경등에 따라 사다리의 조립을 신속하게 또는 견고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의 구성과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디딤판(1c)을 갖는 동상의 사다리를 형성함에 있어서, 사다리 지지간(1b)을 사각관체로 형성하고 지지간(1b)의 양단부에 대향으로 마주 보는 한쌍의 요입홈(1b)과 한쌍의 통공(1a)을 각각 형성하여 사다리 지지간(1b)의 일측 선단에 상하측에 통공(2a), (2a')을 갖는 연결부재(2)와 상하측에 통공(3a), (3a')이 천설되고 중간부의 나사공(3b)에 볼트(5)가 나합된 연결부재(3)를 한쌍으로하여 내입한 후 사다리(1)와 연결부재(2), (3)의 통공(1a), (2a), (3a)을 통하여 볼트(4) 체결하여 사다리(1)와 연결부재(2), (3)를 긴체시켜서된 것이다.
제5도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도로서 연결부재(2), (3)를 ㄱ형으로 형성하여 사다리(1), (1')를 ㄱ형 ㄴ형 등과 같이 굽어진 형태로 연결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제6도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도로서 연결부재(2), (3)의 상단에 쇄기와 같은 경사면(Taper)을 형성하고 사다리(1), (1') 하단 내주면에 상기 연결부재(2), (3)가 상상 사다리(1), (1') 내주면에 견고하게 협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사다리(1)의 일측 선단에 체결된 한쌍의 연결부재(2), (3)에 다른 사다리(1')를 삽입하여 각 사다리(1), (1')를 연결시키는 것으로 사다리(1)를 2단 내지 3단으로 낮게 사용할 때에는 연결부재(2), (3)에 다른 사다리(1)를 삽설한 상태로 그냥 사용하고, 사다리(1)를 3단 이상 연결하여 고가사다리로 사용할때에는 각 사다리(1), (1')들을 연결시킨 후 연결부재(3)에 나합된 긴체볼트(5)를 연결부재(2)측으로 전진시켜 연결부재(2), (3)의 볼트(4) 반대측 선단부가 상호 벌어지게 함으로써 연결부재(2), (3)의 고정볼트(4) 반대측 선단부가 사다리(1) 지지간(1b)내에서 긴밀히 협지되게하여 각 사다리(1), (1') 연결부위의 흔걸 거림을 방지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사다리(1)의 연결부재(2), (3)에 의하여 사다리(1)를 원터치식으로 분해 조립할 수 있음뿐만 아니라 연결부재(2), (3)에 나합된 긴체볼트(5)에 의하여 연결부재(2), (3) 선단부가 사다리(1) 내주면에 협지되게 함으로써 사다리 연결 부위의 흔들거림을 방지할 수 있는 매우 실용적인 고안이다.

Claims (1)

  1. 조립식 사다리를 형성함에 있어서, 사다리(1)의 양단부에 대향으로 한쌍의 요입홈(1b)과 한쌍의 통공(1a)을 각각 형성하여 사다리(1) 일측 선단에 통공(2a)만을 갖는 연결부재(2)와 통공(3a)과 함께 나사공(3b)에 나합된 긴체볼트(5)를 갖는 연결부재(3)를 한쌍으로하여 삽설한 후 사다리(1)와 연결부재(2), (3)를 볼트(4)로 체결하여서된 것에 특징이 있는 조립식 사다리.
KR888814497U 1992-01-14 1992-01-14 조립식 사다리 KR9400003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888814497U KR940000352Y1 (ko) 1992-01-14 1992-01-14 조립식 사다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888814497U KR940000352Y1 (ko) 1992-01-14 1992-01-14 조립식 사다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8305U KR930018305U (ko) 1993-08-21
KR940000352Y1 true KR940000352Y1 (ko) 1994-01-20

Family

ID=19327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888814497U KR940000352Y1 (ko) 1992-01-14 1992-01-14 조립식 사다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035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8305U (ko) 1993-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24322A (en) Corner fastener
US5799452A (en) Log construction
US6390719B1 (en) Joint of a supporting frame
US4435103A (en) Connection for furniture frame parts, particularly office furniture
IL74479A (en) Connects rods to create a spatial structure
KR940000352Y1 (ko) 조립식 사다리
KR200219509Y1 (ko) 조립식 진열장의 파이프 연결부재
US4626124A (en) Structural corner joints
KR950006770Y1 (ko) 조립식 주택의 벽체부 조립장치
KR200163834Y1 (ko) 조립식 침대
EP1001176B1 (en) Connector device assembly
KR100390201B1 (ko) 조립식 진열구조물의 연결구
KR940006123Y1 (ko) 도어용 손잡이
CA2206290C (en) Log construction
KR900009123Y1 (ko) 조립식 사다리
KR200351043Y1 (ko) 철근의 기계식 커플러
KR200212374Y1 (ko) 테이블
JPH0630972Y2 (ja) 建築用接合金具
KR960001263Y1 (ko) 유리판 받침턱이 형성된 조립식 진열장의 파이프연결구
KR200329705Y1 (ko) 파이프 연결구
KR20050082131A (ko) 철근의 기계식 커플러
KR960006801B1 (ko) 조립식 하우스의 기둥
JPS6214273Y2 (ko)
KR900006025Y1 (ko) 조립식 난간
KR920008790Y1 (ko) 조립식 2중 상여지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