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0164B1 - 두유 및 두부 제조 공정중 대두 올리고당의 추출방법 - Google Patents

두유 및 두부 제조 공정중 대두 올리고당의 추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0164B1
KR940000164B1 KR1019910013943A KR910013943A KR940000164B1 KR 940000164 B1 KR940000164 B1 KR 940000164B1 KR 1019910013943 A KR1019910013943 A KR 1019910013943A KR 910013943 A KR910013943 A KR 910013943A KR 940000164 B1 KR940000164 B1 KR 9400001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ivated carbon
soybean
oligosaccharide
hot water
ethan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3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4323A (ko
Inventor
정형근
김강성
손헌수
정재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정 · 식품
김경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정 · 식품, 김경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정 · 식품
Priority to KR10199100139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0164B1/ko
Publication of KR9300043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43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01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01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3/00Compounds containing only hydrogen atoms and saccharide radicals hav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ato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eans For Foods Or Fodder (AREA)
  • Polysaccharides And Polysaccharide Derivativ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두유 및 두부 제조 공정중 대두 올리고당의 추출방법
본 발명은 대두를 사용한 두유 및 두부제조 공정중 부산물로 폐기되는 대두의 침지열수로부터 활성탄을 이용하여 간단하게 올리고당을 분리, 추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올리고당은 새로운 감미료로 각광을 받고 있는데 보통 대두에 약 9% 정도가 함유되어 있다. 대두를 사용하는 두유나 두부의 제조공정중에는 열수침지 공정이 포함되어 있어서 대두내에 함유되어 있는 항영양 인자인 트립신저해제 (Trypsin inhibitor), 적혈구 응집소(Hemagglutinin) 및 콩비린내의 원인인 리폭시게나제(Lipoxygenase)의 불활성 등에 큰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이 공정중 대두에 함유되어 있는 수용성 단백질 등의 물질들이 용해되는데 대두의 올리고당도 그러한 물질의 하나이다. 이 공정중에서 대두에 함유된 올리고당중 약 30% 가량이 손실된다. 이 대두 올리고당은 대두중에 소량 존재하므로 추출시 여러가지 어려움이 있다.
현재 이용되는 대두 올리고당의 생산방법은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표 1]
이러한 통상의 방법에서는 대두 올리고당을 추출하기 위하여, 분리 대두 단백을 이용하거나 농축 대두 단백을 이용하는데, 전자의 경우 염산 및 인산사용으로 올리고당 함량이 낮으며 후자의 경우 에탄올을 사용하여 농축하므로 올리고당 함량이 높지만 두가지 방법 모두 막처리 및 이온교화 수지의 사용으로 제품 생산비가 높아진다.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연구한 결과, 대두를 사용한 두유 및 두부의 제조공정중 부산물로 폐기되는 대두의 침지 열수로부터 활성탄을 이용하여 간편하고 저렴하게 대두 올리고당을 추출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두유나 두부의 제조중에 부산물로 얻어지는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대두의 침지 열수는 98%의 수분, 약 1%의 당과 1%의 단백질 및 지방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하기 표 2는 현재 대두 올리고당의 생산에 이용되는 분리대두 단백유청 및 농축 대두 단백 유청, 그리고 침지 열수의 당 조성을 나타내고 있는데,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침지 열수는 약 1%의 올리고당을 함유하고 있어 분리 대두 단백과 거의 같은 조성을 갖는다.
[표 2]
본 발명의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대두 침지 열수에 함유된 단백질을 분리하기 위하여 pH가 6.0-6.5인 침지열수를 pH 4.2-4.3으로 조절한다. 침지된 단백질은 원심분리나 필터를 사용하여 제거한다. 이렇게하여 얻어진 청정액을 다시 초기 상태인 pH 6.0-6.5로 조절한 후 활성탄을 사용하여 올리고당을 분리하는데 활성탄을 사용하여 회분식과 연속식 방법을 행하였다.
활성탄은 목재, 갈탄, 무연탄 및 야자껍질 등을 원료로 하여 제조되는데 미세세공이 잘 발달되어 표면적이 큰 흡착제이며, 표면에 존재하는 탄소원자의 관능기가 피흡착질의 분자를 흡착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또한 공정상에서 취급이 간편하고 가격이 저렴하기 때문에 매우 큰 잇점을 가진다.
이러한 활성탄으로 대두올리고당을 추출하는 경우, 회분식의 경우에는 사용에 앞서 조제된 청정액에 분말상 활성탄(입도 : 200mesh 이하)을 유액양의 약 8-15%이상 첨가하여 잘 혼합하며 1분 이상의 반응시간을 주면 원하는 올리고당은 모두 흡착하게 된다. 이 올리고당이 흡착된 활성탄을 필터에 의하여 채취하여 20-100% 농도의 에탄올로 올리고당을 탈착시킨다.
연속식의 경우 이온교화수지 탑에 입상 활성탄(입도 : 150mesh~50mesh)을 채워 흡착탑을 제작한 후 활성탄의 약 10배 정도의 청정액을 흘려보내 올리고당이 흡착되게 한다. 흐름의 방향은 상·하의 양방향에서 가능하며 하측에서의 흐름이 상측에서의 흐름보다 흡차이 잘된다.
그 다음 흡착탑 부피만큼의 세척수를 통과시켜 미흡착 물질을 씻어낸다. 이 흡착탑에 20-100% 농도의 에탄올을 흘려 올리고당을 탈착시킨다. 이 탈착된 올리고당액을 진공 농축하여 대두 올리고당을 얻어내며, 진공농축의 정도에 따라 순도를 결정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에탄올의 순도에 따라 탈색정도가 좌우되며 흡착속도는 느릴수록 많은 올리고당이 흡착되며, 탈착 속도는 올리고당 추출에 큰 영향이 없었다.
이렇게 하여 사용된 활성탄은 에탄올이 흡착되어 있어 재사용이 어려운데, 이 활성탄을 재사용하기 위하여 먼저 100% 에탄올을 흡착탑에 흘려보재 활성탄에 붙어 있는 불순물을 제거한 후 물로 씻어낸다. 그 다음, 흡착탑에 1-3기압의 고압증기를 붙어넣어 에탄올을 제거한 후 에탄올을 제거한 후 재사용이 가능하다.
이하, 비제한적인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설명한다.
[실시예 1]
pH를 조절하여 단백질을 제거한 침지 열수 100ml에 활성탄 8-15g을 첨가하여 1분 30초간 반응 시킨 후, 부흐너 깔대기로 활성탄을 채취하여 활성탄에 40%의 에탄올을 첨가하여 탈착시킨 후 다시 부흐너 깔대기로 시료액을 분리시켰다. 분리시킨 시료액을 회전증발 농축기로 진공 농축하여 대두 올리고당을 얻었다.
[실시예 2]
활성탄 충진높이 1m, 직경 6.6cm 탑에 ph를 조절한 침지열수 10ℓ를 1.5ℓ/ hr의 속도를 흘려 올리고당을 흡착시킨 후 충진탑의 부피와 같은 약 2ℓ의 tcjr수를 흘려보내 흡착이 안된 물질을 씻어 주었다. 40%의 에탄올을 2.5ℓ/hr의 속도로 탈착을 시켰다. 약 1.8ℓ 정도의 에탄올을 흘린 후 400ml 정도의 시료액을 채취하여 회전 증발 농축기에서 농축을 행하여 대두 올리고당을 얻었다.
[실시예 3]
(1) 탑 높이 1m, 탑 직경 16cm의 흡착탑에 활성탄을 채운 후 단백질을 제거하고 pH를 조절한 침지열수 약 200ℓ를 60ℓ/hr의 속도를 흘려보내 흡착시킨 후 세척수로 씻어주고 100%의 에탄올을 사용하여 60ℓ/hr 속도로 흘려보내 탈착하여 10℃의 시료액을 채취하여 회전증발농축기에서 농축시켜 대두 올리고당을 얻었다.
(2) 상기(1)에서 대두 올리고당을 추출, 분리한 후 활성탄을 재 사용하기 위하여 상기 (1)의 탑에 100% 에탄올을 흘려보내 활성탄을 씻어주고 다시 세척수를 통과시킨 후 1-3기압의 고압증기를 약 10분간 주입시켜 에탄올을 제거한다. 이렇게 하여 재생시킨 활성탄을 실시예 1), 2), 3)의 (1) 실시방법에 재 사용하여 대두 올리고당을 얻었다.

Claims (5)

  1. 두유 및 두부 제조시에 부산물로 생산되는 침지열수에 활성탄을 이용하여 대두 올리당을 흡착 및 탈착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대두 침지 열수로부터 올리고당을 추출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활성탄을 침지 열수량의 8-15% 이상의 양으로 사용하여 회분식으로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활성탄 흡착탑을 이용하여 연속식으로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흡착된 대두 올리고당을 에탄올 농도 20-100%로 하여 탈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사용된 활성탄을 100% 농도의 에탄올로 씻은 후 1-3기압의 고압 증기로 처리하여 재생시킨 재생 활성탄을 이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10013943A 1991-08-13 1991-08-13 두유 및 두부 제조 공정중 대두 올리고당의 추출방법 KR9400001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3943A KR940000164B1 (ko) 1991-08-13 1991-08-13 두유 및 두부 제조 공정중 대두 올리고당의 추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3943A KR940000164B1 (ko) 1991-08-13 1991-08-13 두유 및 두부 제조 공정중 대두 올리고당의 추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4323A KR930004323A (ko) 1993-03-22
KR940000164B1 true KR940000164B1 (ko) 1994-01-08

Family

ID=19318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3943A KR940000164B1 (ko) 1991-08-13 1991-08-13 두유 및 두부 제조 공정중 대두 올리고당의 추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01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5133A (ko) * 1999-02-03 2000-09-05 조대연 두부 폐액으로부터 사포닌과 이소플라본 및 올리고당의 분리방법
JP6504643B2 (ja) * 2014-08-13 2019-04-24 株式会社タイキ パックシート包装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4323A (ko) 1993-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K173642B1 (da) Fremgangsmåde til ekstrahering af rene fraktioner af lactoperoxidase og lactoferrin af mælkeserum
CN1033944C (zh) 可溶咖啡生产中改进二次咖啡萃取物的方法
JPS5946576B2 (ja) 植物原料の水性抽出液の処理方法
CN106282282A (zh) 一种同时提取辣木籽中油脂和蛋白和/或糖苷的方法
CN104311676B (zh) 一种从橡籽仁中提取食用淀粉并副产单宁酸的方法
CN105053952B (zh) 一种无苦涩味的陈皮提取物的加工工艺
JP2019515664A (ja) 亜臨界水脱着技術によるモグロシドvの分離・精製方法
CN106432393A (zh) 一种从55天果龄罗汉果中提取及检测罗汉果苷iv、苷v的方法
KR940000164B1 (ko) 두유 및 두부 제조 공정중 대두 올리고당의 추출방법
CN108497248A (zh) 一种罗汉果浓缩汁及罗汉果果粉的制备方法
CN103992321A (zh) 一种茶碱的制备方法
US3723251A (en) Method for extracting urokinase
CN106008703B (zh) 一种从牛乳中提取与制备高纯度低铁饱和度乳铁蛋白的方法
US5045334A (en) Process for separating and removing caffeine and chlorogenic from raw coffee and from one another
CN100413792C (zh) 大豆乳清废水的处理方法及其所得产物和用途及饮料
CN104829694B (zh) 一种垂体后叶激素的纯化方法
JPH03143351A (ja) ホエーの脱塩時に生ずる陰イオン交換樹脂のアルカリ洗浄廃液からのオリゴ糖結合型シアル酸類の回収方法
CN104945450A (zh) 一种从首乌藤中提取二苯乙烯苷的方法
CN113603742B (zh) 一种罗汉果甜苷v的制备方法
CN114617913A (zh) 一种黄芪茎叶总皂苷的提取分离纯化方法
SU513595A3 (ru) Способ выделени орготеина
JPS5896699A (ja) 芳香物質を抽出または濃縮する方法
CN109824738B (zh) 一种肉苁蓉总寡糖的脱盐脱色方法
CN106433975A (zh) 一种利用分子蒸馏制备低As含量树苔净油的方法
US5489445A (en) Desalted whey containing non-protein nitrogen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1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