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12116B1 - 경구용 백신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경구용 백신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12116B1
KR930012116B1 KR1019850008092A KR850008092A KR930012116B1 KR 930012116 B1 KR930012116 B1 KR 930012116B1 KR 1019850008092 A KR1019850008092 A KR 1019850008092A KR 850008092 A KR850008092 A KR 850008092A KR 930012116 B1 KR930012116 B1 KR 9300121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enovirus
virus
type
hepatitis
dn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80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4146A (ko
Inventor
로버트 데이비스 알란
포웬 헝 풀
Original Assignee
아메리칸 홈 프로덕츠 코포레이션
죠오지 디모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메리칸 홈 프로덕츠 코포레이션, 죠오지 디모드 filed Critical 아메리칸 홈 프로덕츠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8600041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41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121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21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7/00Viruses; Bacteriophages; Compositions thereof; Preparation or purification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63Introduction of foreign genetic material using vectors; Vectors; Use of hosts therefor; Regulation of expression
    • C12N15/79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 C12N15/85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for animal cells
    • C12N15/86Viral v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710/00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dsDNA viruses
    • C12N2710/00011Details
    • C12N2710/10011Adenoviridae
    • C12N2710/10211Aviadenovirus, e.g. fowl adenovirus A
    • C12N2710/10241Use of virus, viral particle or viral elements as a vector
    • C12N2710/10243Use of virus, viral particle or viral elements as a vector viral genome or elements thereof as genetic vect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710/00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dsDNA viruses
    • C12N2710/00011Details
    • C12N2710/10011Adenoviridae
    • C12N2710/10211Aviadenovirus, e.g. fowl adenovirus A
    • C12N2710/10251Methods of production or purification of viral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710/00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dsDNA viruses
    • C12N2710/00011Details
    • C12N2710/10011Adenoviridae
    • C12N2710/10311Mastadenovirus, e.g. human or simian adenoviruses
    • C12N2710/10322New viral proteins or individual genes, new structural or functional aspects of known viral proteins or g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710/00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dsDNA viruses
    • C12N2710/00011Details
    • C12N2710/10011Adenoviridae
    • C12N2710/10311Mastadenovirus, e.g. human or simian adenoviruses
    • C12N2710/10341Use of virus, viral particle or viral elements as a vector
    • C12N2710/10343Use of virus, viral particle or viral elements as a vector viral genome or elements thereof as genetic vect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720/00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dsRNA viruses
    • C12N2720/00011Details
    • C12N2720/12011Reoviridae
    • C12N2720/12311Rotavirus, e.g. rotavirus A
    • C12N2720/12322New viral proteins or individual genes, new structural or functional aspects of known viral proteins or g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720/00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dsRNA viruses
    • C12N2720/00011Details
    • C12N2720/12011Reoviridae
    • C12N2720/12311Rotavirus, e.g. rotavirus A
    • C12N2720/12334Use of virus or viral component as vaccine, e.g. live-attenuated or inactivated virus, VLP, viral protei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730/00Reverse transcribing DNA viruses
    • C12N2730/00011Details
    • C12N2730/10011Hepadnaviridae
    • C12N2730/10111Orthohepadnavirus, e.g. hepatitis B virus
    • C12N2730/10134Use of virus or viral component as vaccine, e.g. live-attenuated or inactivated virus, VLP, viral protei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740/00Reverse transcribing RNA viruses
    • C12N2740/00011Details
    • C12N2740/10011Retroviridae
    • C12N2740/16011Human Immunodeficiency Virus, HIV
    • C12N2740/16311Human Immunodeficiency Virus, HIV concerning HIV regulatory proteins
    • C12N2740/16322New viral proteins or individual genes, new structural or functional aspects of known viral proteins or g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740/00Reverse transcribing RNA viruses
    • C12N2740/00011Details
    • C12N2740/10011Retroviridae
    • C12N2740/16011Human Immunodeficiency Virus, HIV
    • C12N2740/16311Human Immunodeficiency Virus, HIV concerning HIV regulatory proteins
    • C12N2740/16334Use of virus or viral component as vaccine, e.g. live-attenuated or inactivated virus, VLP, viral prote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Virology (AREA)
  • Immu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경구용 백신의 제조방법
생의학 연구의 주요 목적은 면역을 통해 비루스성 질병의 예방을 기도하는데 있다. 그 시도로서 죽은 (killed: 발명능력을 잃은) 백신을 이용한 시도가 있었다. 그러나, 충분한 항체량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죽은 백신이 대량 요구된다. 게다가, 죽은 백신이 그의 제조도중 자주 원치 않는 생성물로 오염된다. 적절하게 처리한 아데노비루스를 사용하여 그 자체가 백신인 이종성 생(live) 백신은 우수한 임무노겐(immunogen)으로 보인다. [참조:chanock, R.M et al., JAMA. 195, 151(1996)]. 본 발명은 벡터로서 아데노비루스를 사용한 생백신에 관한 것이다.
현재 시판되는 아데노백신은 장용성(腸溶性) 투약형의 생, 감염성 아데노비루스로 구성되어 있다. 백신주사를 놓아야 할 환자에게 투여하면, 비루스는 상부-호흡계(여기에서 발병 감염이 일어나는 것으로 생각됨)을 지나 운반되어 장에서 방출된다. 장에서, 비루스는 소화관 벽에 재증식하고, 비록 거기에서 아데노비루스성 질병을 유발시킬수는 없지만 아데노비루스 항체의 형성을 유도함으로써 아데노비루스성 질병에 대한 면역성을 부여한다. 본 발명에서, 다른 발명 유기체에 의해 생성된 항원을 암호화한 유전자를 함유하도록 처리된 생, 감염성 아데노비루소는 장용성 투약형으로 투여한다. 장에서 방출되면 비루스는 소화관벽에 재증식하여 아데노비루스 및 다른 발병 유기체에 대한 항체의 형성을 유도하거나 또는 세포성 면역을 유도할 것이다. "죽은" 백신과 대비하여 "생 백신"은 그 자체 또는 부가적 유전물질과의 협력에 의하여 동일한 프로게니(progany)를 생성할 수 있는 비루스를 의미한다. "감염성"이란 비루스성 게놈(gemone)을 세포에 전달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약 200,000명의 미합중국인들이 매년 헤파티티스(Hepatitis) B 비루스에 감염되고 있다. 게다가, 헤파티티스 B 감염과 간암사이에는 밀접한 연관이 있다. 현재 시판되는 헤파티티스 B 백신은 몇몇 환원 단계를 포함하여 장황한 방법에 의해 건강한 담체의 혈장으로부터 제조한 주사용 제품이다.
2가지 주요한 헤파티티스 B 비루스성 항원이 있다: 표면항원(surface antigen: HBsAg) 및 핵항원(core antigen: HBcAg). HBsAg의 항원 구조는 다소 복잡하다. 공통 그룹-특이성 결정소(common group-specific determinant), a가 있다. 더불어 2개의 상호 배타형-특이성 결정소(exclusive type-specific determinant) d 또는 y 및 w 또는 r이 있다. HBcAg는 단일 항원형이다. HBsAg 또는 HBcAg에 대한 항체 생성은 헤파티티스 B 감염에 대한 면역성을 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몇몇 그룹이 미생물로 HBsAg를 합성하기 위한 재조합 DNA 기술에 사용되어 왔다. HBsAg는 에스케리치아 콜라이(Escherichia coil)에서 융합 단백질의 형태로 합성된다.[참조:Edman, J.C. et al., Nature, 291, 503(1981)]. 또한 효모에서 ADH 프로모터(promoter)[참조:Valenzuela et al., Nature 298,347(1982)] 또는 산 포스파타제 프로모터[참조:Miyanohara et al., Proc, Natl, Acad, SC:USA, 80,1(1983)]를 사용하여 합성된다.결국 우두 비루스가 헤파티티스 비루소에 대한 생비루스 백신을 제조하기 위하여 벡터로서 사용되었다[참조:smith et al., Nature, 302, 490(1983)].
로타비루스(Rotavirusec)는 소아들에게서 볼 수 있는 급성 위장염의 주요인이다. 이 비루스는 캡시드(capsid)로 둘러싸인 2분쇄 RNA 단편 11개의 게놈을 소유하고 있다. 캡시드는 내피 및 외피를 함유한다. 외피 단백질의 하나인 VP 7은 혈청형-특이성 중화항체(serotype-specific neutralizing antibadies)와 반응하는 당단백질이다.[참조:kalica, A.R. et al., Virology, 112, 385(1981)]. 이 단백질은 사람타이프 1(Wa)로타비루스의 유전자 9에 의해 암호화된다. 타이프 1사람 로타비루스의 유전자 9는 최근 에스케리치아 콜라이에 클론화되고 그의 서열도 밝혀졌다[참도:Richardson, M.et al., J. Virol., 51, 860(1984)]. 지금까지 어느 다른 시스템에서 이 단백질의 발현에 관한 보고는 없었다.
아데노비루스는 20 내지 30개의 폴리펩티드를 암호화하는 선형 2중 DNA 분자(분자량(20×106-25×10)를 함유한다. 이들중 다수가 형태학적으로 복잡하고 정교한 조립공정을 갖는 비루스성 입자에 혼합된다. 이미 SV 40T 항원이 아데노비루스 재조합을 사용하여 발현된 바 있다. [참조:Solnick, D. cell, 24, 135(1981), Thummel, C. et al., cell, 23, 825(1981), Gluzman, Y. et al., im Eukaryotic Viral Vectors. P. 187, cold spring Harbor(1982)] 또한 마우스의 디하이드로폴레이트 환원제가 아데노비루스 재조합체를 사용하여 발현된 바 있다. [참조:Berkner, K. and Sharp. P.A., Nucleic Acids Research, 12, 1925(1984)].
본 발명은, 항체에 상응 또는 세포성 면역 유발항원을 암호화한 유전자를 함유하는 생재조합 아데노비루스를 감염된 온혈동물에게 장용성 투약형으로 경구 투여함을 특징으로 하여 상기 온혈동물에서 감염성 유기체에 대한 항체 또는 세포성 면역을 생성시키는 방법으로 구성된 치료상의 방법을 특허청구하고 있다.
본 발명은 헤파티티스-B 항원 또는 로타비루스 항원을 암호화한 유전자를 함유하는 생재조합 아데노비루스를 온혈동물에 경구 투여함을 특징으로 하여 상기 온혈동물에서 상대적으로 헤파티티스-B 비루스 또는 로타비루스에 대한 항체 생성방법으로 구성된 치료상 아속(亞屬)의 방법을 특허청구하고 있다.
본 발명은 항체에 상응 또는 세포성 면역 유발 항원을 암호화한 유전자를 함유하는 생재조합 아데노비루스를 장용성 투약형으로 제형함을 특징으로 하여 온혈동물에서 감염성 유기체에 대한 항체 또는 세포성 면역을 생성시키는 백신으로 구성된 그의 조성면에서 특허청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헤파티티스-B 항원 또는 로타비루스 항원을 암호화한 유전자를 생재조합 아데노비루스를 장용성 투약형으로 제형함을 특징으로 하여 온혈동물에서 상대적으로 헤파티티스-B 또는 로타비루스에 대한 항체를 생성시키는 백신으로 구성된 아속의 조성면에서 특허청구되고 있다.
1.아데노비루스 벡터
3가지 아데노비루스 벡터(참조:Gluzman, Y. et al., in Eukaryotic Viral Vectors p. 187, cold spring Harbor Laboratories, 1982)가 쉽게 구성될 수 있다. 삽입될 수 있는 외래 DNA의 길이를 최대로 하기 위해 아데노비루스 타이프 5 비루스성 게놈의 두 연장(expendable) 부분인, 초기부분(early trgions) 1 또는 초기부분 3(E1 및 E3), 또는 둘다 결실시킬 수 있다. △E1은 플라스미드와 변형 아데노비루스 DNA 사이에 생체내의 재조합 조작으로 창조된다.(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모든 플라스미드는 에스케리치아 콜라이에서 증식된다). 아데노비루스 DNA 서열 0과 17 사이의 지도 단위를 pBR 322에 삽입하여 플라스미드를 형성하고, 다음에 제한효소 절단 및 연결을 이용하며, 1.4와 9.1 지도 단위 사이의 서열을 결실시키고, 접합점에 XbaI 제한부위를 위치시킨다. 이 플라스미드는 당 분야에서 pAC로 표기한다. 4.0 지도 좌표에 단일 XbaI 제한부위를 함유하는 변형된 아데노비루스 DNA를 하기와 같이 형성한다. XbaI은 야생형 Ad 5 DNA를 4 부위에서 절단한다:4,29,79 및 85 지도단위.
XbaI로 Ad 5 DNA를 절단하고 DNA를 전이하며 위치 29 및/또는 79에서 XbaI 부위를 결핍하는 변형된 아데노비루스를 분리함으로써, 29,79 및 85에서의 변형된 DNA 결핍부위를 분리한다. 이 공정을 다시 반복하고 단지 위치 4에 XbaI 부위를 갖는 변형된 아데노비루스를 분리한다. 그와 같이 변형된 아데노비루스는 또한 올리고누클레오티드-유도 돌연변이 기술을 사용하여 쉽게 구성할 수 있다. [참조:Smith, M., and Gillam, S, (1981) in Gemetic Engineering, Setlow, J.K. and Hollaender, A., Eds., Vol, 3, pp. 1-32, Plenum, New York]. 이 기술에서 XbaI 제한 부위는 제각기 XbaI 제한 효소부위에 의해 결정되는 아미노산 암호화 부분에서 사일런트(silent) 변화를 일으키도록 고안된 화학적 합성 올리고누클레오티드를 사용하여 파괴한다. 벡터 △E3는 E3 부분 서열을 결실시켜 구성한다. 2개의 변형된 아데노비루스(타이프 5)를 상술한 방법으로 형성한다. 하나는 XbaI 부위를 전혀 함유하지 않으며, 다른 하나는 지도 좌표 29, 79 및 85에 XbaI 부위를 함유한다. XbaI 부위를 함유하지 않는 돌연변이체 DNA의 좌측 절반을 79 및 85에 XbaI 부위를 함유하는 돌연변이체 DNA의 우측 절반을 연결시켜 단지 79 및 85 지도 좌표에 XbaI 부위를 함유하는 변형 아데노비루스를 형성한다. 이 DNA를 XbaI로 절단한 다음, 79 및 85 지도 좌표 사이의 E3 부분을 결실시키고 접합점에 단일 XbaI 클로닝 부위를 위치시켜 △E3 비루스 DNA형태로 재연결한다. △E1 △E3는 유사한 바업ㅂ으로 양쪽 부분에 결실시킴으로써 구성할 수 있다.
아데노비루스 타이프 5의 △E1, △E3 및 △E1 △E3 벡터의 구성과 유사한 방법으로 아데노비루스 타이프 4 및 7의 벡터를 형성한다. 예를 들면, 아데노비루스 타이프 7에서는 E3 부분이 80.5 지도 좌표의 XbaI 부위와 85 지도 좌표의 EcoRl 부위 사이에서 결핍된다.
2. 6X 시리즈 플라스미드(HbsAg 및 로타비루스 VP 7에 대한)
헤파티티스 B 표면 항원 또는 로타비루스 VP7을 암호화한 DNA상부의 아데노비루스 그 후기(lare)프로모터 다음에 SV40 접합신호(signals)를 위치시키는 플라스미드를 구성할 수 있다. 이들 각각의 측면에 아데노비루스 △E1, △E3, EH는 △E1 △E3 벡터속에 삽입되기 위한 XbaI 부위가 있다.
a. p6XH
플라스미드 6XH는 Ad 2 주요 후기 프로모터의 -400bp에 XbaI 링커(linker) 및 제1아데노비루스 후기 리이더(leader)의 말단 8bp 앞인, +33bp에 EcoRI부위를 함유한다. 이 다음 HBsAg의 ATG에 선행하는 26bp에 EcoRI링커가 뒤따르고, 8096p에 또다른 EcoRI 링커 다음에 오는 HBsAg 서열이 뒤따른다. 그다음 SV 40 지도상 2753-2516bp로부터 연장된 SV 40 서열이 뒤따른다. 이들 서열은 모두 XbaI링커를 통해 대형 pBR 322BamHI 내지 EcoRI 단편에 삽입된다.
b. p6XR
플라스미드 p6XR은 누클레오티드 6 및 1036에 EcoRI 링커를 갖는 로타비루스 VP 7을, -400bp에 XbaI 부위 및 +331에 EcoRI 링커를 함유하는 Ad 그 주요 후기 프로모터에 결합하고, 2753-2516의 SV 40서열을 VP 7 유전자 뒤에 2753(SV 40 지도 좌표)의 EcoRI 링커 및 2516bp의 XbaI 부위로 부착시켜 제조한다. 이 카세트(cassette)를 pBR 322의 대형 EcoRI 내지 BamH 단편에 삽입한다.
c. 플라스미드 서열의 비루스 DNA로의 전달 및 재조합 아데노비루스의 생성
프로모터-외래 유전자-종결자(terminator)의 카세트를 아데노비루스 벡터에 전달하는 것은 하기와 같이 또는 생체내의 재조합에 의해 수행한다.(참조:하기의 상세한 실시예). 정제한 아데노비루스 벡터 DNA을 제한 효소로 절단하고 송아지의 장 알카리성 포스파타제로 처리하여 자체 연결을 방지한다. 플라스미드 유래의 서열은 XbaI를 p6XH 또는 p6XR을 절단하여 수득한다. 이어서 이들을 아데노비루스 벡터 DNA에 연결시킨다. 293세포[참조:Geahm, et al., Gen, Virol., 86 10(1978)], 헬라 세포, 또는 Wi 38 세포를 연결 혼합물로 전이하고 한천으로 씌운다. 7 내지 10일 후 플라그(plagues)를 채취하여 비루스 균주를 준비한다.
3. 발현 시험
헤파티티스 B 표면 항원 및 로타비루스 VP7을 발현시키기 위해 3가지 형의 시험을 사용한다:
a. 간접 면역형광법
HNsAg 또는 VP 7 DNA 서열을 함유하는 재조합 △E1 및 △E3 비루스 균주의 발현을 검출하기 위해서 마우스의 모노클론 항체 또는 토끼의 항혈청을 사용한다. 염소의 항-마우스 또는 항-토끼 FIFC로 대비염색한다.
b. 면역 침전법 재조합 아데노비루스로 감염된 세포에서 HBsAg 또는 로타비루스 VP 7의 면역침전은 HBsAg 또는 로타비루스 Vp 7에 대한 마우스의 모노클론 항체 또는 토끼의 폴리클론 항혈청 및 단백질 A 세파로스(sepharose) CL4B를 사용하여 수행한다.
c. RIA
HBsAg의 발현은 또한 상업적으로 가능한 방사성 면역측정법(Austria, Abbott Labs)에 의해 수행된다.
4. 재조합 아데노비루스의 면역원적 성질.
장용성 캡슐에 함유된 생, 동결 재조합 아데노비루스를 햄스터 또는 침팬지에 투여(104-10550% 감염성 용량/정제)하고 항체수 및 공격에 대한 방어력을 시험함으로써 면역원성을 시험한다.
현재 시판되는 아데노비루스 백신은 불활성 성분과 혼합하여 장용성 정제로 제조된 타이프 4 또는 타이프 7의 살아있는 동결 아데노비루스를 함유한다. 정제의 투여(비루스의 약 104TCID50)는 질병없이 선택적인 위장감염을 유발한다. 백신은 안전하다:유도된 감염은 장관에 특별히 제한되고, 백신 비루스는 백신 투여자로부터 감수성 있는 근점 접촉자에게 전이되지 않는다. 특수 중화 항체가 면역후 21일 뒤에 백신 투여자의 95% 이상에서 검출된다. 특별히 기술되는 본 발명의 신규 백신은 헤파티티스 B 표면 항원 및 로타비루스 VP 7을 발현하는 재조합 아데노비루스로 구성되고 제형되며 아데노비루스에 대한 항체뿐만 아니라 헤파티티스 B 표면 항원 또는 로타비루스 VP 7에 대한 항체로 생성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본 아데노비루스 백신과 동일한 유형으로 작용한다. 본 발명의 어느 태양에서건, 재조합 비루스의 약 104TCID50의 투여는, 또는 비록 적다고 생각되는 양이라도 물론 원하는 면역원성 반응을 생성한다. 최적용량의 결정은 사용되는 특정의 재조합 아데노비루스에 따라 다양할 것이며; 이 최적용량의 결정은 당 분야의 기술로 해결할 수 있다.
5. 확실한 HBsAg를 발현하는 재조합체의 상세한 실시예.
하나의 아데노비루스 재조합체를 구성하는 상세한 실시예로서, HBsAg 번역 개시 코돈의 상향 26bp 및 번역 종결 코돈의 하향 131bp으로부터의 adw 아형(subtype) HBsAg 유전자를 Ad2 주요 후기 프로모터의 상향 서열 [+33 내지 400bp: Solnick, D., Cell, 24, 135-143(1981)] 및 SV 40의 하향 서열[2753 내지 2516bp: Tooze, J.(Ed.) Molecular Biology of Tumor Viruses, Cold Spring Harbor Laboratory pp. 801-829(1980)]로 측면 공격을 한다. 이 플라스미드는 p6×H로 명명된다(상기 참조). 이들 서열을 아데노비루스 게놈의 좌측 말단에 있는 EcoRI 링커로부터 Ad5 지도 좌표 17.0에 있는 Hind HI 부위로 연장된 삽입 Ad5 DNA를 함유하는 독특한 XbaI 부위 플라스미드 pAC에 삽입시킨다. [참조:Gulzman, Y., Reichl, H., and Solnick, D., 1982, in(Y.Gluzman, Ed) Eukaryotic Viral Vectors, Cold Spring Harbor Laboratories, p 187-192). 어느 한 방향에 Ad2 주요 후기 프로모터-HBsAg 유전자-SV 40 진행(processing) 신호를 함유하는 카세트의 신규 플라스미드(pACH-2 및 pACH-9)를 Hind Ⅲ로 절단한다. 각각의 Hind Ⅲ 절단 생성물을 지도 좌표 9.1 내지 100으로부터 연장한 아데노비루스 돌연변이체 △E1의 대형 XbaI 단편과 결합시킨다[참조:Gulzman, Y., Reichl, H., and Solnik, D., 1982, in(Y. Gluzman, ED.) Eukaryotic Viral Vectors, Cold spring Harbor Laboratories, pp 187-192). 이 DNA 혼합물을 293 세포 [참조:Graham, F.L., Smiley, J., Russell, W.C., and Nairn, R., J.Gen.Virol., 36, 59-72(1977)]상에 전달 [참조:Graham.F.L. and ven der Eb. A.J. Virology 52, 456-467(1973)]하고, 플라그 검출을 위해서 세포를 한천으로 씌운다. 약 10 내지 14일후, 54개의 플라그가 채취되며 각각으로부터 비루스 균주를 생성한다. 이들 비루스를32p-표지된 HBsAg DNA탐침(probe)에 잡종화(hybridization)시켜 HBsAg DNA의 존재를 스크린(screen)한다.
양성 플라그(54개중 49개)를 293세포의 단일층상에 감염시키고 확실한 HBsAg의 발현을 방사성 면역측정법(AUSRIA, Abbott Laboratories, Inc. 또는 NML- HBsAg RIA, Nuclear-Medical Laboratories) 및 HBsAg에 대한 모노클론 항체를 사용한35S-방사성 표지된 HBsAg의 면역침전법(anti-a subtype, Boehringer Mannheim Biochemicals)으로 세포 용해물에서 검출한다.
6. 상기 특수 실시예에서는, 전사 개시 부위로터 하향으로 33 누클레오티드만을 연장하는 Ad2 주요 후기 프로모터를 사용하여 제1연결부위가 포함되지 않는다. 이 프로모터는 아데노비루스의 주요 후기 프로모터의 3부(tripartite)리이더중 제1부분만을 함유한다. 그러나, 다른 아데노비루스 특히 타이프 3,4,5 또는 7로부터의 주요 후기 프로모터를 사용할 수 있고 이 프로모터의 총괄 3부 리이더를 사용할 수 있다. 하기 실시예에서는 HBsAg 유전자 및 SV 40 비루스로부커의 진행 및 폴리아데닐화 신호가 뒤따르는 200bp Ad23부 레이더의 극좌 1686p와 Ad 2 주요 후기 프로모터로 구성된 카세트를 함유하는 2개의 세균성 플라스미드, pHM1및 pHM2의 구성이 기술되고 있다. 이들 플라스미드로 카세트를 측면 공격하는 아네노비루스 서열을 함유하여 동형 재조합이 카세트를 아데노비루스 게놈에 삽입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카세트는 좌측에서 Ad 5 게놈의 극좌 353bp에 의해 측면 공격을 받고, 우측에서 아데노비루스의 5의 지도 좌표 8-15.5에 의해 측면 공격을 받는다. 플라스미드 pHM 1은 HBsAg 유전자에 선행하는 SV 40 비루스 서열(SV 40 누클레오티드 5173-5174)의 196p를 함유한다. 플라스미드 pHM2는 이 서열을 함유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pHM1과 동일하다.
pHM 1 및 pHM 2로부터 카세트를 상술한 바와같이, 동형 재조합 기술로 아데노비루스 5 게놈의 E 1 부분에 위치시킨다. 각 플라스미드를 선형화하고 지도 좌표 9.1 내지 100으로부커 연장한 아데노비루스 돌연변이체 △E1의 대형 XbaI 단편과 결합시킨다. [참조:Gulzman, Y., Reichl, H., and Solnick, D., 1982, in(Y.Gluzman, Ed.) Eukaryotic Viral Vectors, Cold Spring Harbor Laboratories, pp 187-192]. 플라그를 채취하여 각각으로부터 원균주 비루스를 생성한다.
이들 원균주 비루스(HM 1 및 HM 2)를 사람 태아의 신장(293)세포 계통에 감염시킨 경우 [참조:Graham, F.L., Smiley, J., Russell, W.C. and Nairn, R.(1977) J.Gen.Virol. 36, 59-72], 감염 40 시간후 감염 세포 5×106당 HBsAg 약 1μg[방사성 면역 측정법 및 NML-HBsAg 키트(kit) 양성 조절에 대한 Cpm의 비교에 근거]이 HM 2 감염 세포의 배양 부유물에서 관찰되었다. HM 1비루스는 이 양의 약 60%를 산출한다. 이 비루스에 의해 생성된 HBsAg 폴리펩티드는 글리코실화(glycosylated)(p2) 및 비-글리코실화(p1) 형태임을 발견하였다[참조:Marion, P.L., Salazar, F.H., Alexander, J.J and Robinson, W(1979) J.Virol. 32, 796-802: Peterson D.L.(1981) J.Biol.Chem. 256 6975-6983]. 감염 40시간후 대부분의 HBsAg(78%)가 세포로부터 사람 혈청에서 관찰되는 22nm 입자[참조: Gerin, J.1., Purcell, R.H., Hoggan, M.D., Holland P.V. and Chanock, R.M(1969) J.Virol.4, 763-768: Gerin, J.L., Holland, P.V., and Purcell, R.H.(1971) J.Virol. 7, 569-576]와 동일 또는 거의 동일한 입자(밀도=1.20g/ml)로서 세포로 분비된다. HM 2 또는 HM 1보다 약 40% 많은 HBsAg를 산출하였다. 그러나, HM 2를 상술한 잡종 아데노비루스, △E1H와 비교하면 HBsAg 폴리펩티드 상 70배의 증가가 HM 2 비루스에 의해 기록된다.
아데노비루스 주요 후기 프로모터대신에, 사람 메탈로티오네인(metallothinonein) 프로모터 또는 사람 디하이드로플레이트 환원제 프로모터와 같이 다른 적당한 진핵 프로모터를 사용할 수 있다. 더불어 본 실시예에서는 외래 유전자 발현을 위해 벡터로서 아데노비루스 타이프 5DNA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다른 아데노비루스 타이프를 벡터로서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유용한 것은 현재 백신으로 사용중인 타이프 3,4 및 7이다.
또한, 본 명세서는 SV 40 DNA로부터의 진행 및 폴리아데닐화 신호의 사용을 기술하고 있다; 그러나, 어느 진행 및 폴리아데닐화 신호든지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은 아데노비루스의 DNA, 특히 타이프 3,4 및 7에서 유래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 수행시, 외래 유전자가 아데노비루스의 결핍된 초기 부분 3에 삽입될 경우 재조합 비루스는 감염성을 유지하며, 백신화에는 재조합 비루스를 소화관에 전달하는 것이상 아무것도 필요로 하지 않는다. 한편 초기 부분 1이 아데노비루스 감염성에 필수적이다. 그러므로 외래 유전자가 결핍된 초기 부분 1에 삽입되는 경우 조력자(helper)비루스가 공동-투여되어야 한다. 이 조력자 비루스는 용이하게 변형되지 않는 감염성 비루스이다. 또한 조력자 비루스는 그 자신은 재조합 비루스에 보충적일 수 있는 결실소지의 결핍(defective)비루스가 될 수 있다. 이 방식에서 비루스 성장 및 외래 항원 생성은 양쪽 비루스로 감염된 세포에서만 일어날 것이다. 이 결핍 조력자 비루스는 재조합 비루스와 동일 또는 다른 아형일 수 있다. 다른 아형일 경우(예를 들면 재조합 비루스가 Ad 4 아형, 및 Ad 7아형의 결핍 비루스인 경우), 재조합을 통한 야생형 비루스의 형성은 최소화되어야 한다. 백신 제조용 비루스의 증식은 사람의 배수체 섬유아세포에 상기 두 비루스를 공동 배양 또는 각 결핍 비루스에 보충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는 세포 계통에 분리 배양함으로써 수행할 수 있다.
E1 및 E3 부분외에, 프로모터, 3부 리이더, 외래 유전자를 함유하는 카세트, 및 진행 및 폴리아데닐화 신호가 삽입될 수 있는 비루스 게놈의 몇몇 다른 부분이 있다. 이들은 E la 및 E1b 사이의 부분, 게놈의 좌측 및 우측 말단 부분, E4 부분, 및 L5 및 E4 사이의 부분이다. 약간의 실시예가 하기에 기술되고 있다
Ad 5는 지도 좌표 1.4에 E la 프로모터 및 지도 좌표 4.7에 E1 b 프로모터를 함유한다. E la의 폴리아데닐화 부위는 지도 좌표 4.6, 누클레오티드 1631에 있고, 누클레오티드 1671에서 E 1b 프로모터의 TATA 박스(box)가 있다. 누클레오티드 1572에는 특유 부위(GTTAAC)가 있다. 이 부위는 아데노비루스 타이프 2 주요 후기 프로모터 및 헤파티티스 B 표면 항원의 전이 및 E 1a 폴리아데닐화 부위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E 1a의 폴리아데닐화는 E 1a 후미의 SV 40 비루스 DNA로부터 또는 비루스의 L4 부위로부터 폴리아데닐화 신호를 전이함으로써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서 게놈의 부가적 DNA는 E3 부분에서 비-필수적인 것으로 판단되는 DNA의 제거로 보충할 수 있다.
기타 삽입점은 게놈의 극좌 및 극우 말단이다. 좌측말단에서의 위치는 116bp 도립(inverted) 종결 반복점 및 E4 프로모터의 TATA 사이가 될 것이다. Ad 2에서는 99.3지도 단위에 MboII 부위가 있다. 이것은 비루스 DNA의 극우 말단으로부터 191bp이다. Ad5에는 게놈의 좌측 말단으로부터 240bp에 Tha I(Fn U 4 D II)부위가 있다. 이 부분은 ITR 및 E4 TATA 박스의 상향 사이에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추가의 DNA를 수용하기 위해 E3 결실 돌연변이체에 삽입을 수행할 수 있다.
각각의 경우 이들 동일 부분을 현재 시판되는 아데노비루스 백신에 사용되는 아데노비르스 타이프 4 및 타이프 7 균주에서, 아데노비루스 주요 후기 프로모터, 아데노비루스, 3부 리이더, 외래 유전자의 카세트, 및 진행 및 폴리아데닐화 신호를 위한 삽입점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비록 선행 명세서가 타이프 4,5 또는 7의 아데노비루스에 해당한다할지라도, 어느 타이프의 생, 감염성 아데노비루스든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다. 아데노비루스 타이프 4 또는 7이 현재 상업적 아데노비루스 백신에 사용되는 타이프이므로 바람직하다. 이와 마찬가지로, 비록 특별논급이 헤파티티스-B 및 로타비루스의 항체 생성 백신에 대해 이루어졌지만, 본 발명은 온혈 동물이 항체 또는 세포성 면역을 생성할 수 있고, 약 3000 염기쌍 까지로 구성되는 유전자에 의해 암호화되는 항원을 함유하는 어떤 감염성 제제에 대해서도 경구 백신을 제공한다. 따라서, 예를들면, 인플루엔자, 파라인플루엔자, 호흡기 다핵질괴(Syncytial) 비루스 질병, 헤파티티스 A, 후천성 면역 결핍 증후군(AIDS), 콜레라, 에스케리치아 콜라이, 백일해, 디프테리아, 파상풍, 이질, 임질, 폐렴 등과 같은 질병에 대한 면역화가 본 발명의 영역내에 포함된다.

Claims (9)

  1. 감염성 유기체에 대한 항체에 상응 또는 세포성 면역 유도 항원을 암호화한 유전자를 아데노비루스에 삽입시켜 생(live) 재조합 아데노비루스를 산출하고, 상기 생 재조합 아데노비루스를 장용성 복용형으로 제형함을 특징으로 하여 상기 항체 또는 세포성 면역을 생성시키는 경구용 백신을 제조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염성 유기체가 헤파티티스(hepatitis)-B 비루스인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염성 유기체가 헤파티티스-B 비루스이고 유전자가 헤파티티스-B 표면 항원을 암호화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생 재조합 아데노비루스가 결핍된 초기 부분(early region) 3에 위치한 유전자를 갖는 아데노비루스 타이프 4 또는 7인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생 재조합 아데노비루스가 결핍된 초기 부분 1에 위치한 유전자를 갖는 아데노비루스, 타이프 4 또는 7이고; 또한 비변형된 감염성 아데노비루스 타이프 4 또는 7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염성 유기체가 로타비루스(rotavirus)인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염성 유기체가 로타비루스이고 유전자가 로타비루스 외피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생 재조합 아데노비루스가 결핍된 초기 부분에 위치한 유전자를 갖는 아데노비루스 타이프 4 또는 7인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생 재조합 아데노비루스가 결핍된 초기 부분 1에 위치한 유전자를 갖는 아데노비루스 타이프 4 또는 7이고; 또한 비변형된 감염성 아데노비루스 타이프 4 또는 7을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850008092A 1984-11-01 1985-10-31 경구용 백신의 제조방법 KR9300121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6723384A 1984-11-01 1984-11-01
US667233 1984-11-01
US78263885A 1985-10-04 1985-10-04
US782638 1985-10-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4146A KR860004146A (ko) 1986-06-18
KR930012116B1 true KR930012116B1 (ko) 1993-12-24

Family

ID=27099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8092A KR930012116B1 (ko) 1984-11-01 1985-10-31 경구용 백신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4)

Country Link
EP (1) EP0181117B1 (ko)
JP (2) JP2609447B2 (ko)
KR (1) KR930012116B1 (ko)
AT (1) ATE82509T1 (ko)
AU (1) AU576907B2 (ko)
CA (1) CA1263305A (ko)
DD (1) DD244357A5 (ko)
DE (1) DE3586841T2 (ko)
DK (1) DK501785A (ko)
ES (1) ES8900007A1 (ko)
FI (1) FI854257L (ko)
GB (1) GB2166349B (ko)
GR (1) GR852592B (ko)
HK (1) HK5692A (ko)
HU (1) HU195619B (ko)
IE (1) IE58205B1 (ko)
IL (1) IL76751A (ko)
MX (1) MX9203610A (ko)
MY (1) MY101343A (ko)
NO (1) NO854347L (ko)
NZ (1) NZ213920A (ko)
PL (1) PL256049A1 (ko)
PT (1) PT81367B (ko)
SG (1) SG85391G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Z220645A (en) * 1986-06-20 1989-10-27 Merck & Co Inc Modified varicella-zoster virus and its cultivation
EP0251467A3 (en) * 1986-06-20 1988-07-20 Abbott Laboratories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for a major outer capsid protein (vp7) of rotavirus sa-11
US5866136A (en) * 1986-08-01 1999-02-02 Commonwealth Scientific And Industrial Organisation Recombinant vaccine
WO1988000971A1 (en) * 1986-08-01 1988-02-11 Commonwealth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Or Recombinant vaccine
US5032405A (en) * 1989-09-27 1991-07-16 Warner-Lambert Company Oral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acid sensitive proteinaceous agents
US5616326A (en) * 1990-01-25 1997-04-01 The University Court Of The University Of Glasgow Recombinant canine adenovirus 2 (CAV-2)
GB9001766D0 (en) * 1990-01-25 1990-03-28 Univ Court Of The University O Vaccines
FR2681786A1 (fr) * 1991-09-27 1993-04-02 Centre Nat Rech Scient Vecteurs recombinants d'origine virale, leur procede d'obtention et leur utilisation pour l'expression de polypeptides dans des cellules musculaires.
US5643578A (en) 1992-03-23 1997-07-01 University Of Massachusetts Medical Center Immunization by inoculation of DNA transcription unit
US6165993A (en) * 1992-03-23 2000-12-26 University Of Massachusetts Medical Center DNA vaccines against rotavirus infections
US5620896A (en) * 1992-03-23 1997-04-15 University Of Massachusetts Medical Center DNA vaccines against rotavirus infections
US6511845B1 (en) 1992-08-07 2003-01-28 Alan R. Davis Methods for producing an immune response against HIV-1
AU676042B2 (en) * 1993-04-14 1997-02-27 Commonwealth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Organisation Recombinant avian adenovirus vector
DE69435081T2 (de) * 1993-04-14 2008-06-12 Commonwealth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Organisation Rekombinanter adenovirusvektor für geflügel
US6296852B1 (en) 1993-04-14 2001-10-02 Commonwealth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Organisation Recombinant avian adenovirus vector
ES2196018T3 (es) * 1993-08-11 2003-12-16 Wyeth Corp Vacunas de adenovirus recombinantes.
GB2282601B (en) * 1993-09-16 1998-04-15 Solvay Antigenically-active proteins/polypeptides and coronavirus vaccines containing the same
AU4133397A (en) * 1996-10-28 1998-05-22 Pfizer Inc. Oral vaccines for young animals with an enteric coating
DE69838644T2 (de) * 1997-06-23 2009-05-14 The University Of Saskatchewan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rekombinanten rinderadenovirus-vektors
GB0222824D0 (en) 2002-10-02 2002-11-06 Moredun Res Inst Bacteriophage-mediated immunisation II
DK1916995T4 (da) 2005-07-29 2022-10-03 Stichting Groningen Centre For Drug Res Ph-styret, pulserende indgivelsessystem, fremgangsmåder til fremstilling og anvendelse deraf
JP6454630B2 (ja) * 2015-10-30 2019-01-16 スティッチング フローニンゲン セントル フォー ドラッグ リサーチ pH制御パルス送達システム、その調製法及び使用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5371A (en) * 1976-07-02 1978-01-18 Akebono Brake Ind Co Ltd Braking circular plate
EP0062574A3 (en) * 1981-03-31 1982-12-29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Virus protein synthesis
US4593002A (en) * 1982-01-11 1986-06-03 Salk Institute Biotechnology/Industrial Associates, Inc. Viruses with recombinant surface proteins
FR2573436B1 (fr) * 1984-11-20 1989-02-17 Pasteur Institut Adn recombinant comportant une sequence nucleotidique codant pour un polypeptide determine sous le controle d'un promoteur d'adenovirus, vecteurs contenant cet adn recombinant, cellules eucaryotes transformees par cet adn recombinant, produits d'excretion de ces cellules transformees et leurs applications, notamment a la constitution de vacci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O854347L (no) 1986-05-02
DK501785A (da) 1986-05-02
HK5692A (en) 1992-01-17
FI854257A0 (fi) 1985-10-30
KR860004146A (ko) 1986-06-18
MY101343A (en) 1991-09-05
PL256049A1 (en) 1986-10-21
EP0181117A2 (en) 1986-05-14
AU4884085A (en) 1986-05-08
IE852612L (en) 1986-05-01
SG85391G (en) 1991-11-22
GR852592B (ko) 1986-02-17
GB8526156D0 (en) 1985-11-27
MX9203610A (es) 1992-07-01
NZ213920A (en) 1988-03-30
DD244357A5 (de) 1987-04-01
JPH08308575A (ja) 1996-11-26
DK501785D0 (da) 1985-10-31
ATE82509T1 (de) 1992-12-15
EP0181117A3 (en) 1987-01-21
IL76751A (en) 1991-04-15
IL76751A0 (en) 1986-02-28
JPS61118326A (ja) 1986-06-05
JP2609447B2 (ja) 1997-05-14
ES8900007A1 (es) 1988-11-01
DE3586841T2 (de) 1993-04-01
JP2614996B2 (ja) 1997-05-28
CA1263305A (en) 1989-11-28
EP0181117B1 (en) 1992-11-19
GB2166349B (en) 1988-10-12
HUT40704A (en) 1987-01-28
HU195619B (en) 1988-06-28
AU576907B2 (en) 1988-09-08
FI854257L (fi) 1986-05-02
IE58205B1 (en) 1993-07-28
PT81367B (pt) 1987-11-11
PT81367A (en) 1985-11-01
DE3586841D1 (de) 1992-12-24
GB2166349A (en) 1986-05-08
ES548397A0 (es) 1988-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12116B1 (ko) 경구용 백신의 제조방법
US4920209A (en) Oral vaccines
US5643579A (en) Oral vaccines
US11279953B2 (en) Single cycle replicating adenovirus vectors
USRE40930E1 (en) Porcine adenovirus type 3 genome
JP4386971B2 (ja) スプライシング配列を含んでなる組換えアデノウイルスベクター
JP2015051018A (ja) キメラアデノウイルスキャプシドタンパク質
US20050118139A1 (en) Vaccine using papilloma virus e proteins delivered by viral vector
JP2002528128A (ja) 組換えアデノウイルスベクターの増殖のためのアデノウイルス必須機能を発現するウシ細胞
JP3710838B2 (ja) ウマヘルペスウイルス感染からウマを防御するためのワクチン
EP0870047B1 (en) Episomal vector and uses thereof
JP2002541815A (ja) ウシアデノウイルス1型から誘導された組換えアデノウイルスおよび変異アデノウイルス
Zubair et al. Live Recombinant Vaccine Vectors for HPV Antigens Associated with Infection and Malignancy
AU2004200229A1 (en) Porcine adenovirus type 3 geno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018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