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11591B1 - 멀티 시스템의 입출력 라인 자동절환회로 - Google Patents

멀티 시스템의 입출력 라인 자동절환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11591B1
KR930011591B1 KR1019910010554A KR910010554A KR930011591B1 KR 930011591 B1 KR930011591 B1 KR 930011591B1 KR 1019910010554 A KR1019910010554 A KR 1019910010554A KR 910010554 A KR910010554 A KR 910010554A KR 930011591 B1 KR930011591 B1 KR 9300115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video
output
signal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05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1706A (ko
Inventor
김용원
Original Assignee
대우전자 주식회사
배순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전자 주식회사, 배순훈 filed Critical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100105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11591B1/ko
Priority to GB9117730A priority patent/GB2249656B/en
Priority to JP3249260A priority patent/JPH087893B2/ja
Priority to DE19914134861 priority patent/DE4134861C3/de
Publication of KR9300017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17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115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1591B1/ko
Priority to US08/580,236 priority patent/US5796538A/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8Signal distribution or switch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1/00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 G11B31/006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with video camera or receiver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03K19/2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characterised by logic function, e.g. AND, OR, NOR, NOT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Studio Circuit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멀티 시스템의 입출력 라인 자동절환회로
제1도 및 제2도는 종래 멀티 시스템의 입출력 라인 자동절환회로의 블록도.
제3도는 종래 멀티 시스템 유니트 A의 영상 출력잭과 시스템의 영상 입력잭에 케이블을 연결한 블럭 구성도.
제4도는 종래 멀티 시스템의 영상 신호 흐름을 나타낸 도면.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시스템의 입출력 라인 자동절환 회로를 나타낸 도면.
제6도는 본 발명에 채용된 뮤팅 회로를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VIJ : 영상 입력잭 AIJ : 음성 입력잭
VOJ : 영상 출력잭 AOJ : 음성 출력잭
10 :복사 모우드 선택부 20 : 입력라인 선택부
30 : 출력라인 선택부 40 : 뮤팅 제어신호 발생부
50 : 뮤팅부
본 발명은 멀티 시스템의 입출력 라인 자동절환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멀티 시스템(MULTI STSTEM)의 유니트(영상기록 재생기) A의 영상/음성 재생신호를 유니트 B,C에 자동적으로 기록되게 영상(Video), 음성(Audio) 신호의 입출력 라인을 절환하는 멀티 시스템의 입출력 라인 자동절환 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 멀티 시스템의 입출력 라인 자동절환 회로의 블럭 구성도는 제1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영상 입력잭(VIJ)을 영상 신호 EE 처리부를 통해 스위치(SW1)의 접점단자(A) 및 영상신호 기록처리부에 연결하고, 스위치 (SW1)의 고정단자(C)를 버퍼 1을 통해 영상 출력잭(VOJ)에 연결하며, 상기 스위치(SW1)의 접점 단자(B)에 접속된 영상신호재생처리부와 영상신호 기록처리부를 스위치(SW3)의 접점단자(C), (D)에 각각 접속하고, 스위치 (SW3)의 고정단자(A)를 영상헤드에 연결하고, 상호 접속된 상기 스위치(SW1)와 스위치(SW2) 사이에 마이컴을 접속하며, 마이컴은 상호 접속된 스위치(SW3)와 스위치(SW4) 사이에 접속하고, 음성 입력잭(AIJ)을 음성신호 EE 처리부를 통해 스위치 (SW2)의 접점단자(A) 및 음성신호 기록처리부에 연결하고, 스위치(SW2)의 고정단자(C)를 버퍼 2을 통해 음성 출력잭(AOJ)에 연결하며, 상기 스위치 (SW2)의 접점단자(B)에 접속된 음성신호 재생처리부와 음성신호 기록처리부를 스위치(SW4)의 접점단자 (C), (D)에 각각 접속하고, 스위치(SW4)의 고정단자(A)를 음성혜드 연결하여서 구성한 것이다.
또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시스템의 영상 입력젝(AIJ)과 유니트 A의 영상 출력잭(AOJ) 사이애 케이블이 연결된 상기 영상 입력잭(AIJ)을 유니트 A의 영상신호 EE 처리부를 통해 스위치(SWI)의 접점단자(A) 및 유니트 A의 영상신호 기록처리부에 연결하고, 스위치(SWI)의 고정단자(C)를 버퍼 1을 통해 유니트 A의 영상 출력적(VOJ)에 연결하며, 상기 스위치 (SWI)의 접점단자(B)와 스위치 (SWI)에는 유니트 A의 영상재생처리부 및 유니트 A의 마이컴을 연결하고, 상기 시스템의 영상 입력잭(AIJ)을 유너트 B의 영상신호 EE 처리부를 통해 스위치(SW2)의 접점단자(A) 및 유니트 B의 영상신호 기록처리부에 연결하고, 스위치(SW2)의 고정단자(C)를 버퍼 2및 유니트 B의 영상 출력잭(VOJ)을 통해 모니터에 연결하며, 상기 스위치(SW2)의 접점단자(B)와 스위치(SW1)에는 유니트 B의 영상신호 재생처리부 및 유니트 B의 마이컴을 연결하여서 구성한 것이고, 유니트 C는 상기한 바와같이 유니트 B의 마이컴을 연결하여서 구성한 것이고, 유니트 C는 상기한 바와같이 유니트 B와 구성이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제3도는 종래 멀티 시스템의 유니트 A의 영상 출력잭과 시스템의 영상 입력잭에 케이블을 연결한 구성도이고, 제4도는 종래 멀티 시스템의 영상신호 흐름을 나타낸 것이다.
종래의 멀티 시스템에서 EE(Electric To Electric) 모우드는 STOP과 REC와 FF와 REW와 로딩이 완료되고 SERVO가 안정되기 전까지를 의미한 것으로서, EE 모우드가 해제되는 경우는 플레이 버튼을 눌러 로딩이 완료되고 서어보(Seho)가 록(Lock)되는 시점이 된다.
우선 EE 모우드 상태에서의 스위치(SW1), (SW2)는 마이컴의 EE 신호에 의해 접점단자(A)에 각각 접속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영상 입력잭(VIJ)으로 입력된 영상(Video) 신호는 영상신호 EE 처리부와 스위치 (SW1)의 접점단자(A) 및 버퍼 1을 통하여 비디오 출력잭(VOJ)으로 출력된다.
만일 REC 상태라면 스위치(SW3)와 (SW4)는 마이컴의 REC 신호에 의해 접점단자(C), (D)어 각각 접수되므로 비디오 입력잭(VIJ)으로 입력된 영상신호는 영상신호 EE 처리부와 영상신호 기록처리부 및 스위치(SW3), 영상헤드를 거쳐 테이프에 기록된다.
이 상태에서 EE가 해제되면, 즉 재생 상태에서 로딩이 완료되고 서어보가 록되면 스위치(SW1)와 스위치(SW2)는 접점단자(B)어 각각 접속되고 스위치(SW3), (SW4)는 접점단자(D)에 각각 접속되므로 테이프에 기록되어 있는 영상신호는 영상헤드와 스위치(SW3) 및 영상신호 재생처리부, 스위치(SW1), 버퍼 1를 거쳐 비디오 출력잭(VOJ)으로 출력된다.
여기서 음성신호의 경우도 영상신호와 동작 과정이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시스템의 영상 입력잭(VIJ)과 유니트 A의 비디오 출력잭(VOJ) 사이에 케이블(Cable)을 연결한 상태에서의 영상신호의 흐름도는 제2도에 나타낸 바와같다.
제7도에서와 같은 유니트 A,B,C의 마이컴은 EE 상태이므로 스위치(SW1)과 (SW2)는 접점단자(A)에 각각 접속되므로 영상신호는 제3도에서와 같이 폐회로가 형성되어 발진하게 된다.
이 발진된 신호는 유니트 B의 영상신호 EE 처리부와 스위치(SW2) 및 버퍼 2, 유니트 B의 영상 출력잭(VOJ)을 거쳐 모니터 상에 노이즈가 나타나게 되고, 음성신호의 경우도 폐회로에 의한 발진음이 발생하여 모니터 상으로 출력된다.
복사 모우드일 때 유니트 A의 EE 신호가 해제되면, 영상신호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유니트 A의 테이프와 유니트 A의 영상헤드를 거쳐 유니트 A의 영상신호 재생처리부에서 처리한 후 스위치(SW1)와 버퍼를 거쳐 유니트 A의 영상 출력잭(VOJ)으로 출력되고, 출력된 영상신호는 다시 케이블을 통해 영상 입력잭(VIJ)으로 입력됨과 동시에 유니트 B/C의 영상신호 EE 처리부에서 처리한 후 처리된 영상신호는 다시 유니트 B/C의 영상신호가 기록처리부와 유니트 B/C의 영상헤드를 거쳐 테이프 기록된다.
따라서 유니트 A의 재생신호는 유니트 B/C에 기록되고 기록된 재생신호는 유니트 B 또는 유니트 C의 영상 출력잭(VOJ)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이와같이 종래의 복사 모우드에서 유니트 A의 재생신호를 유니트 B 또는 C에 기록하기 위해 세트(SET) 뒷면에 있는 유니트 A의 영상/음성 출력잭과 시스템의 영상/음성 입력잭을 케이블로 연결해야 하고, 케이블을 연결할 경우에 발생하는 노이즈 현상을 막기 위해 EE 모우드에서 신호를 뮤팅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출한 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복사 모우드에서 유니트(영상기록 재생기) A의 영상/음성 헤드에 의해 픽업된 영상/음성 재생신호가 유니트 B 또는 유니트 C의 데크부에 안착된 기록 매체에 자동으로 기입되게 하는 멀티 시스템의 입출력 라인 자동절환 회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통상의 영상 및 음성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먼티 시스1템에 있어서, 복사 전환하고자 입력라인을 선택하기 위한 소정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복사모우드 선택부와 상기 복사모우드 선택부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유니트의 영상 및 음성신호 재생처리부에서 출력되는 신호와 입력잭을 통과한 신호를 선택하여 제2,3유니트의 영상 및 음성신호처리부에 공급하는 입력라인 선택부와, 상기 제1,2,3유니트의 영상 및 음성신호처리부의 출력라인을 각 유니트에 채용된 마이컴에서 출력된 제어신호에 의해 선택하는 출력라인 선택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예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시스템의 입출력 라인 자동절환회로를 입력라인 선택부(20)의 스위치 (SW2) 접점단자(A)와 유니트 A의 영상신호 EE 처리부(1)에 공급되도륵 연결하고, 상기 유니트 A의 영상신호 처리부(1)를 유니트 A의 영상신호 기록처리부(2)와 출력라인 선택부(30)스위치(SW4)의 접점단자 (A)에 접속한다.
한편, 스위치(SW4)의 접점단자(B)는 유니트 A의 영상신호 재생처리부(3)에 연결되고, 스위치(SW4)의 고정단자(C)는 버퍼 3을 통하여 스위치(SW2)의 접점단자(B)와 유니트 A의 영상 출력잭(VOJ)에 연결된다. 그리고 음성 입력잭(AIJ)에 입력된 신호가 버퍼 2를 통하여 입력라인 선택부(20) 스위치 (SW3)의 접점단자(A)와 유니트 A의 음성신호 EE 처리부(6)에 공급되도록 연결하고, 상기 유니트 A의 음성신호 EE 처리부(6)를 유니트 A의 음성신호 기록처리부(5)와 출력 라인 선택부(30) 스위치(SW5)의 접점단자(A)에 접속한다.
상기 스위치(SW5)의 접점단자(B)는 유니트 A의 음성신호 재생처리부(4)에 연결되어 재생신호를 스위치(SW5)의 고정단자(C)와 버퍼 4를 통하여 스위치(SW3)의 접점단자(B)와 유니트 A의 음성 출력잭(AOJ)에 공급되도를 연결한다.
한켠, 상기 입력 라인 선택부(20) 스위치(SW2)의 고정단자(C)에 공급된 영상신호는 유니트 B 또는 유니트 C의 영상신호 EE 처리부(7),(13)에 공급되도록 연결하며, 상기 유니트 B,C의 영상신호 EE 처리부(7),(13)는 유니트 B,C의 영상신호 기록처리부(8),(14)와 스위치(SW6), (SW8)의 접점단자(A)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상기 스위치(SW6), (SW8)의 접속단자(B)는 유니트 B,C의 영상신호 재생처리부(9). (15)에 연결되어 재생된 신호를 출력 라인 선택부(30)의 스위치(SW6), (SW8)의 고정단자(C)와 버퍼 5, 7을 통하여 유니트 B, C의 영상 출력잭(VOJ)에 각각 공급되도록 연결되어 있다.
한편, 상기 스위치(SW3)의 고정단자(C)는 유니트 B 또는 C의 음성신호 EE 처리부(12), (18)에 각각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유니트 B.C의 음성신호 EE 처리부(12), (18)는 유니트 B,C의 음성신호 기록처리부(11), (17)와 출력 라인 선택부(30), 스위치 (SW7), (SW9)의 접점단자(A)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스위치(SW7), (SW9)의 접속단자(B)는 유니트 B,C의 음성신호 재생처리부(10), (16)에 연결되어 재생된 신호를 출력라인 선택부(30)의 고정단자(C)와 버퍼 6,8을 통하여 유니트 B,C의 음성 출력잭에 각각 공급되도록 연결되어 있다.
상기 입력 라인 선택부(20)의 스위치(SW2)와 (SW3)의 콘트롤 단자에는 저항(R1)과 스위치(SW1)로 구성된 복사 모우드 선택부(10)에서 출력된 제어신호가 공급되도록 연결하며, 상기 스위치(SW4), (SW5)와, 스위치(SW6), (SW7) 및 스위치(SW8), (SW9)의 콘트롤 단자에는 유니트 A,B,C의 마이컴에서 출력된 제어신호가 각각 공급되도륵 연결되어 있다.
제6도는 노이즈 현상을 제거하기 위한 뮤팅 회로 구성도로서, 복사 모우드 선택부(10)의 스위치(SW) 작동에 따라 공급되는 제어신호가 뮤팅 제어신호 발생부(40)의 인버터 (INT)을 통해 앤드게이트(AND)의 타측 입력단자에 공급되도록 연결하고, 상기 앤드게이트(AND)의 일측입력단자에는 유니트 A의 마이컴에서 출력된 제어신호가 공급되도록 연결되어 있다.
한편, 뮤팅부(50)는 상기 뮤팅 제어신호 발생부(40)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되어 버퍼 1, 2에 입력되는 영상 및 음성 신호를 뮤팅하는 스위치(SW10)(SW11)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위치 (SWIO), (SW11)는 트랜지스터나 기타 스위칭 소자를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작동을 상세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제5도에 있어서, 입력라인 선택부(20)의 스위치 (SW2)와 (SW3)는 복사 모우드 선택부(10)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의 레벨에 따라 작동하는데, 상기 제어신호의 레벨이 하이(H)이면 가동절환 단자가 접점단자(A)에 접속되고, 로우(L)이면 접점단자(B)에 각각 접속되도륵 구성되어 있는데, 상기 스위치(SW2), (SW3)는 멀티 플렉서를 대치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복사 모우드 선택부(10)의 복사 모우드 선택 스위치(SW)가 오프(Open)상태이면, 입력 선택부(20)의 스위치(SW2)와 스위치(SW3)는 접점단자(A)에 각각 접속되므로 영상 및 음성(VIJ), (AIJ)으로 입력된 신호중에서 즉 영상신호는 버퍼 1과 스위치(SW2)의 접점단자(A)를 통해 유니트 B,C의 영상신호 EE 처리부(7), (13)에서 각각 처리한 후 스위치(SW6), (SW8)의 접속단자(A)와 버퍼 5, 버퍼 버퍼 7를 통하여 유니트 B 또는 유니트 C의 영상 출력잭(VOJ)으로 EE 신호가 기록되고, 음성신호는 버퍼 2와 스위치(SW3)의 접점단자(A)를 통해 유니트 B,C의 음성신호 EE 처리부(12), (18)에서 각각 처리한 후 스위치(SW7), (SW9)의 접점단자(A)와, 버퍼 6, 버퍼 8를 통하여 유니트 B또는 유니트 C의 음성 출력잭(AOJ)으로 EE 신호가 출력된다.
한편, 복사 모우드 선택부(10)의 스위치(SW)가 "온"되면, 입력 라인 선택부(20)의 스위치 (SW2)와 스위치(SW3)은 접점단자(B)로 접속되고, 출력라인 선택부(30)의 스위치(SW4)와 스위치(SW5)는 유니트 A의 마이컴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해서 접점단자(A)로 접속되므로 영상 및 음성 입력잭(VIJ), (AIJ)으로 각각 압력된 영상신호는 버퍼 1을 통하여 유니트 A의 영상신호 EE 처리부(1)에서 처리된 후 스위치(SW4)의 접점단자(A)와 버퍼 3 및 스위치(SW2)의 접점단자(B)를 통하여 다시 유니트 B 토는 유니트 C의 영상 신호 EE 처리부(7), (13)에서 처리된 후 스위치(SW6),(SW8)의 접점단자(A) 및 버퍼 5, 버퍼 7을 통해 유니트 B 또는 유니트 C의 영상 출력잭(VOJ)으로 EE 신호가 출력되고, 음성신호는 버퍼 2을 통하여 유니트 A의 음성신호 EE 처리부(6)에서 처리된 후 스위치(SW5)의 접점단자(A)와 버퍼 4 및 스위치 (SW3)의 접점단자(B)를 통하여 다시 유니트 B 또는 유니트 C의 음성신호 EE 처리부(12), (18)에서 처리된 후 스위치(SW7), (SW9)의 접점단자(A) 및 버퍼 6, 버퍼 8을 통해 유니트 B 또는 유니트 C의 음성 출력잭(AOJ)으로 EE 신호가 출력되어 기록된다.
다음에 복사 모우드 상태에서 유니트 A가 EE 해제 상태일 경우, 스위치(SW4)와 스위치(SW5)는 접점단자(B)에 접속되므로 유니트 A의 영상/음성 헤드에 의해 픽업(Pick Up)된 신호 중에서, 영상 재생신호는 유니트 A의 영상신호 재생처리부(3)에서 처리된 후 스위치(SW4)의 접점단자(B)의 버퍼 3 및 스위치(SW2O)의 접점단자(B)를 통해 유니트 B 또는 유니트 C의 영상신호 EE 처리부(7), (13)에서 다시 처리하여 스위치(SW6), (SW8)의 접점단자(A)와 버퍼 5, 버퍼 7을 통해 유니트 8 또는 유니트 C의 영상 출력잭(VOJ)으로 EE 신호가 기록되고, 음성신호는 유니트 A의 음성신호 재생처리부(4)에서 처리된 후 스위치(SW5)의 접점단자(B)와 버퍼 4 및 스위치(SW3)의 접점단자(B)를 통해 유니트 B 또는 유니트 C의 음성 신호 EE 처리부(12), (18)에서 다시 처리하여 스위치(SW7), (SW9)의 접점단자(A)와 버퍼 6, 버퍼 8을 통해 유터트 B 또는 유니트 C의 음성 출력잭(AOJ)으로 EE 신호가 기록된다.
그리고 모니터링(Monitoring)은 어느 유니트의 영상/음성 출력잭을 이용하여도 동일한 신호가 얻어진다.
다음은 EE모우드에서 유니트 A에서 출력되는 영상 및 음성신호를 뮤팅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되어 있는 복사 모우드 선택부(10)의 스위치(SW) "온"되면, 뮤팅 제어신호 발생부(40)의 앤드게이트(AND) 일측 단자에는 인버터(INT)에서 출력되는 "하이"가 공급되며, 타측 단자에는 EE 모우드가 해제되는 소정시간 동안 유니트 A 마이컴에서 출력되는 "하이"신호가 공급되므로 뮤팅 제어신호 발생부(40)에서는 소정시간 동안 "온"신호가 공급되어 뮤팅부(50)의 스위치(SW10), (SW11)를 작동 시키므로 출력 라인 선택부(30)의 스위치(SW4), (SW5)를 통과한 영상 및 음성신호가 접지단으로 바이패스 되어 뮤팅된다.
이와같이 븐 발명은 케이블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복사 모우드에서 유니트 A의 영상/음성 헤드에 픽업된 영상/음성 제생신호가 유니트 B 또는 유니트 C에 자동으로 기록되게 하였으며, 또 기존과 같이 케이블을 연결할 경우 발생하는 노이즈 현상을 제거시켜 주므로써 사용상의 편리함을 제공해 주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1. 통상의 영상 및 음성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멀티 시스템에 있어서, 복사 전환하고자 입력라인을 선택하기 위한 소정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복사모우드 선택부(10)와, 상기 복사모우드 선택부(10)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유니트의 영상 및 음성신호 재생처리부에서 출력되는 신호와 입력잭을 통과한 신호를 선택하여 제2,3유니트(B), (C)의 영상 및 음성 신호처리부에 공급하는 입력라인 선택부(20)와, 상기 제1,2,3유니트(A), (B), (C)의 영상 및 음성신호 처리부의 출력라인을 각 유니트에 채용된 마이큼에서 출력된 제어신호에 의해 선택하는 출력라인선택부(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시스템의 입출력라인 자동절환 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사모우드 선택부(10)와 제1유니트(A)의 마이큼에서 출력되는 출력라인선택 제어신호를 조합하여 소정시간동안 뮤팅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뮤팅제어신호 발생부(40)와, 상기 뮤팅제어신호발생부(40)에서 출력되는 뮤팅제어신호에 따라 제2,3유니트(B) (C)에 공급되는 영상 및 음성신호를 접지단으로 바이패스하는 뮤팅부(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시스템의 입출력라인 자동 절환회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뮤팅부(50)는 복사모우드선택부(10)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와 제1유니트(A)에서 재생된 영상 및 음성신호의 출력라인을 제어하는 유니트(A) 마이콤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유니트(A)에서 출력되는 영상 및 음성신호를 뮤팅하는 스위치(SW10)(SW11)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시스템의 입출력라인 자동절환회로.
KR1019910010554A 1990-11-12 1991-06-25 멀티 시스템의 입출력 라인 자동절환회로 KR9300115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0554A KR930011591B1 (ko) 1991-06-25 1991-06-25 멀티 시스템의 입출력 라인 자동절환회로
GB9117730A GB2249656B (en) 1990-11-12 1991-08-16 A multi-deck video cassette recorder system
JP3249260A JPH087893B2 (ja) 1990-11-12 1991-09-27 マルチデッキvcrシステム
DE19914134861 DE4134861C3 (de) 1990-11-12 1991-10-22 Mehrfachdeck-Video-Kassettenrecorder-System
US08/580,236 US5796538A (en) 1990-11-12 1995-12-28 Multi-deck video cassette recorder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0554A KR930011591B1 (ko) 1991-06-25 1991-06-25 멀티 시스템의 입출력 라인 자동절환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1706A KR930001706A (ko) 1993-01-16
KR930011591B1 true KR930011591B1 (ko) 1993-12-13

Family

ID=19316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0554A KR930011591B1 (ko) 1990-11-12 1991-06-25 멀티 시스템의 입출력 라인 자동절환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1159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1706A (ko) 1993-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41254A (en) Tape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US8548306B2 (en) Audio and video recording and reproduction apparatus for reproducing audio signals having different volume levels
JPS6333979A (ja) 映像信号切換装置
KR930011591B1 (ko) 멀티 시스템의 입출력 라인 자동절환회로
US5790500A (en) Apparatus for recording/reproducing converted four-channel audio signals
US5303094A (en) Apparatus for recording and/or reproducing digital and analog magnetic tape signals with A/D and D/A converters
JPH0219534B2 (ko)
KR940007471B1 (ko) 더블데크 캠코더
KR940005792B1 (ko) 더블데크 vcr의 스위칭 회로 및 스위칭 방법
KR940006720Y1 (ko) 외부 음성 자동 편집 장치
EP0529733B1 (en) Arrangement for receiving a magnetic tape accomodated in a cassette
JP3935293B2 (ja) 信号入出力装置
KR960005645B1 (ko) 음성신호 기록재생장치
JP2735624B2 (ja) デイジタル音声記録再生装置
KR960005644B1 (ko) 영상신호 기록재생장치
JP2563815Y2 (ja) ビデオテープレコーダの信号切換回路
KR930003175B1 (ko) 디지틀 신호재생및 녹음장치
KR0162212B1 (ko) 음성신호편집기능을 갖는 하이-파이 브이티알
JPH0210588Y2 (ko)
JP2735482B2 (ja) セレクター装置
JPS61216147A (ja) オ−デイオ装置
KR0156847B1 (ko) 디지탈신호 기록/재생 장치
KR960007535B1 (ko) 복합 영상 기록 재생 장치
JPS6231405B2 (ko)
KR100257509B1 (ko) 브이씨알의 스틸모드시 음성송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203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