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11206B1 - 사설교환기에서의 예약 서비스방법 - Google Patents

사설교환기에서의 예약 서비스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11206B1
KR930011206B1 KR1019900017750A KR900017750A KR930011206B1 KR 930011206 B1 KR930011206 B1 KR 930011206B1 KR 1019900017750 A KR1019900017750 A KR 1019900017750A KR 900017750 A KR900017750 A KR 900017750A KR 930011206 B1 KR930011206 B1 KR 9300112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subscriber
call
extension
op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7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1180A (ko
Inventor
박현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용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용문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000177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11206B1/ko
Publication of KR9200111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11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112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12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ub-Exchange Stations And Push- Button Telephone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사설교환기에서의 예약 서비스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시스템 구성도.
제2a도는 본 발명의 수행을 위한 예약테이블의 구성도.
제2b도는 본 발명의 수행을 위한 메세지버퍼의 구성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메세지 처리 흐름도.
제4도는 제3도에 따른 내선가입자 메세지 처리 흐름도.
제5도는 제3도에 따른 오퍼레이터 메세지 처리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국설교환기 200 : 사설교환기
STA : 국선가입자 STB : 내선가입자
본 발명은 사설교환기의 통화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입(incoming)된 국선을 오퍼레이터(operater)가 내선과 연결시키고자 할때 해당 내선이 이 통화중인 경우에 통화 서비스를 하는 예약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국선가입자가 사설교환기의 내선가입자를 호출하는 경우에 사설교환기에서 통화 서비스를 하는 방법은 크게 두가지로 대별된다. 하나는 국선가입자가 직접 내선가입자의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하여 호출하는 DID(Direct Inward Dialing) 방법이고, 다른 하나는 사설교환기의 오퍼레이터를 통해 서비스를 받는 방법이다. 이때 오퍼레이터의 주요 역할은 인입된 국선을 해당 내선에서 연결시켜 주는데 있으며 국선 인입이 폭주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더욱 오퍼레이터는 신속한 서비스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종래에는 인입된 국선이 있을 경우 오퍼레이터는 우선 국선가입자와 통화를 하여 국선가입자가 원하는 내선가입자를 확인하고 국선가입자의 호를 분류(hold)시킨 후, 해당 내선가입자의 통화상태를 확인한다. 이때 해당 내선가입자가 휴지(free)인 경우는 해당 내선가입자의 번호를 다이얼링함으로써 통화 연결을 시켜준다. 이와 달리 해당 내선가입자가 통화중(busy) 상태인 경우는 통화를 연결시켜줄 수 없는 상태이므로 다시 국선가입자를 부른다. 그러면 국선가입자는 보류상태에서 보류음악을 듣고 있다가 다시 오퍼레이터와 통화상태로 된다. 여기서 오퍼레이터는 국선가입자에게 해당 내선이 통화중임을 알려주는 서비스를 행하였다.
제1도는 국설교환기(100)와 사설교환기(200)간의 연결 및 구성을 나타낸 블럭구성도이다. 제1도에서 사설교환기는 사설교환기의 교환기능을 포함한 전반적인 동작 제어를 수행하는 중앙처리장치(10)와, 중앙처리장치(10)의 제어 동작 수행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으며 프로그램 수행중에 발생하는 데이타를 일시 저장하는 메모리부(12)와, 중앙처리장치(10)와 교환기의 각 구성 요소간에 입출력되는 데이타를 인터페이싱하는 인터페이스회로(14)와, 중앙처리장치(10)의 제어하에 각종 신호 데이타 및 음성 데이타를 스위칭하여 통화로를 형성하는 스위칭회로(16)와, 중앙처리장치(10)의 제어하에 내선가입자 전화기의 교환기간의 통화접속을 인터페이싱하는 내선가입자회로(18)와, 링신호를 발생하여 내선가입자회로(18)에 공급하는 링발생기(20)와, 중앙처리장치(10)의 제어하에 각종 톤(tone)신호를 발생하여 스위칭회로(16)로 출력하는 통공급기(22)와, 중앙처리장치(10)의 제어하에 휴지상태의 국선을 시져(seizure)하여 국선 통화 루프(loop)를 형성하며 국선과의 통화 접속을 인퍼페이싱하는 국선회로(24)와, 중앙처리장치(10)로부터 입력되는 국선 디지트 데이타에 따라 DTMF신호를 발생하여 스위칭회로(16)로 출력하는 DTMF송신기(26)와, 내선가입자 전화기에서 발생되어 스위칭회로(16)를 통해 수신되는 DTMF(Dual Tone Multi-Frequency) 신호를 디코우딩(decoding)하여 중앙처리장치(10)로 출력하는 DTMF수신기(28)와, 중앙처리장치(10)의 제어하에 중계 통화 접속을 수행하기 위한 중계대(3)로 구성된다. 상기 제1도는 일반적으로 공지된 기술이므로 상세한 동작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한 종래 기술을 제1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국설교환기(100)의 국선가입자(STA)가 사설교환기(200)의 내선가입자(STB)와 통화를 하고자 사설교환기(200)의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하게 되면, 국설교환기(100)를 통하여 사설교환기(200)의 국선회로(24)에 호가 인입되어 스위칭회로(16)를 통해 중계대(30)에 착신된다. 이때 중계대(30)의 LPS(loop select)(도시하지 않았음)중 하나의 램프가 점멸한다. LPS는 오퍼레이터가 사용하는 인입호 응답키임과 동시에 출중계호(outgoing call)키이다.
그러면 중계대(30)의 오퍼레이터는 해당 LPS를 눌러서 인입호에 응답한다. 이에 따라 국선가입자(STA)와 오퍼레이터는 통화로가 형성되어 통화상태로 된다. 통화상태에서 오퍼레이터는 국선가입자(STA)가 통화를 원하는 내선가입자(STB)의 내선 전화번호를 듣고나서 해당되는 내선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한다. 이때 국선가입자(STA)의 인입호는 자동으로 보류상태가 된다.
이때 만일 해당 내선가입자(STB)가 통화중이라고 가정하면, 오퍼레이터는 화중음(busy tone)을 듣게된다. 그러면 오퍼레이터는 릴리이즈키를 입력시켜 내선가입자(STB)와의 통화를 포기하고, 다시 국선가입자(STA)와 통화를 한다. 이때 오포레이터는 해당 내선가입자(STB)가 현재 통화중임을 국선가입자(STA)에게 알린후 서비스를 완료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해당 내선가입자의 통화중인 경우에는 통화 연결을 해주지 못하고 다시 국선가입자와 오퍼레이터가 통화를 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인입 국선이 폭주할 경우에는 더욱 서비스의 질이 저하되는 심각한 문제점을 종종 초래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통화 서비스를 개선시킬 수 있는 사설교환기에서의 예약 서비스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시스템은 구성되는 전술한 제1도와 같으며, 참조부호도 동일하다.
제2a도는 본 발명의 수행을 위해 메모리부(12)에 구성하는 예약테이블의 구성도로서, 사설교환기(200)의 다수의 내선가입자 0~n마다에 대응하여 포트번호를 저장하는 영역으로 구성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포트번호는 하이웨이(highway) 번호와 채널번호로 이루어지며 1워드(word)의 크기를 가진다.
제2b도는 본 발명의 수행을 위해 메모리부(12)에 구성하는 메세지버퍼의 구성도로서, 각각의 메세지는 메세지임을 나타내는 메세지 헤드와, 메세지의 크기를 나타내는 메세지 크기와, 메세지의 발생장소를 나타내는 메세지 ID와, 메세지의 종류를 나타내는 메세지 종류와, 메세지의 발생 포트를 나타내는 포트번호와, 실제적인 메세지 내용으로 이루어진다. 메세지버퍼는 내선가입자 및 오퍼레이터의 각종 메세지를 순차적으로 저장하는 버퍼로서, 본 발명에서는 FIFO(First In-First Out) 메모리를 사용한다. 내선가입자 메세지의 종류로는 내선가입자가 다이얼링하는 디지트, 훅크-온/오프 상태등이 되고, 오퍼레이터 메세지의 종류로는 오퍼레이터의 각종 키입력이 된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메세지 처리 흐름도로서, 내선가입자회로(18) 및 중계대(30)로부터 각각 발생되는 오퍼레이터 및 내선가입자 메세지를 메모리부(12)의 메세지버퍼에 저장하고 저장된 메세지를 분석하는 메세지 분석과정과, 메세지 분석과정에서 메세지가 내선가입자 메세지일시 해당 내선가입자 메세지에 따른 이벤트를 분석하여 처리하는 내선가입자 메세지 처리과정과, 메세지 분석과정에서 메세지가 오퍼레이터 메세지일시 해당 오퍼레이터 메세지에 따른 키입력을 분석하여 처리하는 오퍼레이터 메세지 처리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제4도는 제3도의 내선가입자 메세지 처리 흐름도로서, 내선가입자 메세지가 훅크-온 메세지일시 메모리부(12)의 예약테이블에서 해당 내선가입자의 영역에 포트번호가 저장되어 있는가를 검사하는 예약 검사과정과 예약 검사과정에서 포트번호가 저장되어 있을시 스위칭회로(16)를 통해 톤공급기(22)의 발신음을 해당 포트번호에 공급하여 국선가입자에게 들려주고 해당 내선에 링발생기(20)의 링신호를 공급하여 해당 포트번호의 국선가입자와 해당 내선가입자간의 통화를 연결하는 예약통화 연결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제5도는 제3도의 오퍼레이터 메세지 처리 흐름도로서, 오퍼레이터 메세지가 오퍼레이터의 릴리즈키 메세지일시 스위칭회로(16)를 통해 보류상태의 국선가입자와 오퍼레이터간 통화로를 연결하는 중계통화 연결과정과, 오퍼레이터 메세지가 오퍼레이터의 연결키 메세지일시 내선가입자회로(18)를 통해 해당 내선가입자의 통화상태를 검사하는 통화상태 검사과정과, 통화상태 검사과정에서 해당 내선가입자가 통화중일시 예약 테이블에서 해당 내선가입자의 영역에 해당 국선의 포트번호를 저장하는 포트번호 저장과정과, 통화상태 검사과정에서 해당 내선가입자가 통화중이 아닐시 스위칭회로(16)를 통해 국선과 내선간 통화로를 연결하는 통화 연결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동작예를 첨부한 제1도 내지 제5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만일 국선 인입호가 있을시 오퍼레이터가 국선 인입호를 통화중상태인 내선가입자와 연결하고자 한다면, 오퍼레이터는 해당 국선 인입호를 보류시킨 상태에서 연결키(connect key)를 입력한다. 연결키는 오퍼레이터가 국선과 내선을 연결시킬 때 입력하는 키이다. 그러면 오퍼레이터의 역할을 끝이 나며 사설교환기(200)의 중앙처리장치(10)는 연결키의 입력에 응답하여 메모리부(12)의 제2a도와 같은 예약테이블에서 통화중인 내선가입자의 영역에 국선의 포트번호를 저장한다. 이후 해당 내선가입자의 훅크-온될 때 예약테이블에 저장된 포트번호의 국선가입자와 해당 내선가입자간의 통화로를 연결하는 서비스를 수행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제1도의 중앙처리장치(10)는 내선가입자회로(18) 및 중계대(30)로부터 각각 발생되어 제2b도와 같은 포맷으로 입력되는 내선가입자 메세지 또는 오퍼레이터 메세지를 제3도의 (3A)단계에서 메모리부(12)의 제2b도와 같은 메세지버퍼에 순차적으로 저장한다. 다음에 (3B)단계에서 메세지버퍼에 저장된 메세지를 분석하여 (3C)단계에서 메세지가 내선가입자 메세지인가를 검산한다. 만일 내선가입자 메세지일 경우에는 (3D)단계를 수행하고 내선가입자 메세지가 아닐 경우에는 (3E)단계에서 메세지가 오퍼레이터 메세지인가를 검사한다. 이때 메세지가 오퍼레이터 메세지일 경우에는 (3F)단계를 수행하며 오퍼레이터 메세지가 아닐 경우에는 (3B)단계로 루핑(iooping)한다. 상기 (3C),(3E)단계에서는 메세지의 메세지 ID를 확인함으로써 메세지가 내선가입자 메세지 또는 오퍼레이터 메세지인가를 검사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만일 국선가입자(STA)로 부터 발신된 호가 사설교환기(200)의 국선회로(24)에 인입되면, 스위칭회로(16)를 통해 중계대(30)에 착신됨으로써 오퍼레이터가 인입호에 응답하게 된다. 여기서 국선가입자(STA)가 통화를 원하는 내선가입자(STB)가 통화중상태라고 가정한다. 이때 오퍼레이터가 중계대(30)의 국선가입자(STA)와 내선가입자(STB)간의 통화로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키를 입력하게되면 이는 오퍼레이터 메세지에 해당되므로 중앙처리장치(10)는 상기 (3E)단계에서 (3F)단계로 진행하여 제5도의 오퍼레이터 메세지 처리과정을 수행한다. 이때 국선가입자(STA)의 인입호는 자동적으로 보류상태가 된다.
제5도의 (5A)단계에서는 오퍼레이터 메세지가 릴리이즈키 메세지인가를 검사하여 릴리이즈키 메세지이면(5B)단계를 수행하고, 릴리이즈키 메세지가 아니면 (5C)단계에서 연결키 메세지인가를 검사하여 연결키 메세지가 아니면(3B)단계로 리턴하며 연결키이면 (5D)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5A), (5C)단계에서는 제2b도와 같은 포맷의 메세지에서 메세지 종류를 확인함으로써 릴리이즈키 메세지인가를 검사한다. 이때 지금은 오포레이터가 연결키를 입력한 상태이므로 (5D)단계를 수행하여 해당 내선가입자(STB)가 통화중인가를 검사한다. 만일 내선가입자(STB)가 통화중이 아닌 경우에는 통화연결이 가능한 상태이므로 (5F)단계에서 링 발생기(20)의 링신호를 내선가입자회로(18)를 통해 내선가입자(STB)에게 공급하고 내선가입자(STB)가 훅크-오프하면 스위칭회로(16)를 통해 국선과 내선간 통화로를 연결시킨 후 (3B)단계로 리턴한다. 이에따라 국선가입자(STA)와 내선가입자(STB)간에 통화를 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내선가입자(STB)의 훅크-온/오프상태는 내선가입자회로(18)로 부터 발생되는 내선가입자 메세지로 부터 확인한다. 상기 (5D)단계에서 만일 해당 내선가입자(STB)가 통화중인 경우에는 통화연결이 불가능한 상태이므로 (5E)단계에서 메로부(12)에 있는 제2a도와 같은 예약테이블에서 해당 내선가입자(STB)에 해당하는 영역에 국선가입자(STA)의 인입호에 대한 포트번호 즉, 하이웨이번호 및 채널번호를 저장한 후 (3B)단계로 리턴한다. 이때 국선회로(24)의 국선가입자(STA)의 포트에는 스위칭회로(16)를 통해 톤공급기(22)의 링백톤(ringback tone)을 들려준다. 이에따라 해당 내선가입자(STB)에 대한 통화가 예약이 된다.
만일 중계대(30)의 오퍼레이터가 릴리이즈키를 입력하였을 경우에도 역시 오퍼레이터 메세지에 해당하므로 중앙처리장치(10)는 (3A)-(3C), (3E)단계를 수행하여 (3F)단계에서 오퍼레이터 메세지 처리를 수행한다. 그러므로 오퍼레이터가 릴리이즈키를 입력하였을 경우에는 (5A)-(5B)단계에서 보류상태의 국선가입자(STA)와 중계대(30)의 오퍼레이터간의 통화로를 스위칭회로(16)를 통해 연결한 후 리턴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통화 예약된 내선가입자(STB)가 통화를 종료하고 훅크-온하면, 훅크-온에 대한 정보는 내선가입자 메세지로서 내선가입자회로(18)로 부터 중앙처리장치(10)에 인가된다. 그러면 중앙처리장치(10)는 제3도의 (3A)-(3B)단계에서 해당 내선가입자 메세지를 제2b도의 메세지 버퍼에 저장 및 분석한 후 (3C)단계에서 내선가입자 메세지임을 확인한다. 이에따라 중앙처리장치(10)는 (3D)단계로 진행하여 제4도의 내선가입자 메세지 처리과정을 수행한다. 제4도의 (4A)단계에서는 내선가입자 메세지의 메세지종류를 확인하여 훅크-온 메세지인가를 검사한다. 이때 지금은 내선가입자(STB)가 훅크-온한 상태이므로(4B)단계에서 메모리부(12)의 제2a도와 같은 예약테이블에서 훅크-온한 내선가입자(STB)에 해당하는 영역에 포트번호가 저장되어 있는가를 검사한다. 만일 훅크-온 메세지가 아니면(3B)단계로 리턴한다. (4B)단계에서 포트번호가 저장되어 있을 경우에는 (4C)단계에서 스위칭회로(16)를 통해 통공급기(22)의 발신음을 국선회로(24)의 해당 포트번호에 공급하여 국선가입자(STA)에게 들려주고 내선가입자회로(18)의 해당 내선에 링발생기(20)의 링신호를 공급한후 (3B)단계로 리턴한다. 이후 내선가입자(STB)가 훅크-오프하면 해당 포트번호의 국선가입자(STA)와 해당 내선가입자간(STB)간의 통화로를 연결함으로써 예약된 통화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국선가입자(STA)가 원하는 내선가입자(STB)가 통화중인 경우에 통화 예약을 함으로써 해당 내선가입자(STB)가 훅크-온할 경우 신속하게 통화 서비스를 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국선가입자가 통화를 원하는 내선가입자가 통화중인 경우에도 해당 국선 인입호를 신속하게 서비스할 수 있으므로써 사설교환기에서의 통화서비스를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퍼레이터의 서비스업무를 줄일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2)

  1. 중앙처리장치와, 다수의 내선가입자마다에 대응하여 예약 포트번호를 저장하기 위한 예약테이블영역과 내선가입자와 오퍼레이터의 메세지를 저장하기 위한 메세지버퍼를 가지는 메모리수단과, 스위칭회로와, 내선가입자회로와, 링 발생기와, 통공급기와, 국선회로, 중계대를 구비한 사설교환기에서의 예약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내선가입자 및 오퍼레이터의 메세지를 상기 메세지버퍼에 저장하고 저장된 메세지를 분석하는 메세지 분석과정과, 상기 메세지 분석과정에서 상기 메세지가 오퍼레이터의 릴리즈키 메세지일시 상기 스위칭회로를 통해 보류상태의 국선가입자와 오퍼레이터간 통화로를 연결하는 중계통화 연결과정과, 상기 메세지 분석과정에서 상기 메세지가 오퍼레이터의 연결키 메세지일시 상기 내선가입자회로를 통해 해당 내선가입자의 통화상태를 검사하는 통화상태 검사과정과, 상기 통화상태 검사과정에서 상기 해당 내선가입자가 통화중일시 상기 예약 테이블에서 해당 내선가입자의 영역에 해당 국선의 포트번호를 저장하는 포트번호 저장과정과, 상기 통화상태 검사과정에서 상기 해당 내선가입자가 통화중이 아닐시 상기 스위칭회로를 통해 국선과 내선간 통화로를 연결하는 통화 연결과정과, 상기 메세지 분석과정에서 상기 메세지가 내선가입자의 훅크-온 메세지일시 상기 예약테이블에서 해당 내선가입자의 영역에 포트번호가 저장되어 있는가를 검사하는 예약 검사과정과, 상기 예약 검사과정에서 포트번호가 저장되어 있을시 상기 스위칭회로를 통해 해당 포트번호의 국선가입자와 해당 내선가입자간의 통화로를 연결하는 예약통화 연결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설교환기에서의 예약 서비스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예약통화 연결과정이 상기 스위칭회로를 통해 상기 톤공급기의 발신음을 상기 해당 포트번호에 공급하여 국선가입자에게 들려주고 해당 내선에 상기 링 발생기의 링신호를 공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설교환기에서의 예약 서비스 방법.
KR1019900017750A 1990-11-02 1990-11-02 사설교환기에서의 예약 서비스방법 KR9300112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17750A KR930011206B1 (ko) 1990-11-02 1990-11-02 사설교환기에서의 예약 서비스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17750A KR930011206B1 (ko) 1990-11-02 1990-11-02 사설교환기에서의 예약 서비스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1180A KR920011180A (ko) 1992-06-27
KR930011206B1 true KR930011206B1 (ko) 1993-11-25

Family

ID=19305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7750A KR930011206B1 (ko) 1990-11-02 1990-11-02 사설교환기에서의 예약 서비스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1120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1180A (ko) 1992-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05353A (ko)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신속한 음성 메일 액세스 시스템 및방법9
KR100369808B1 (ko) 사설교환기의 안내 방송 방법
US5901202A (en) Method for initiating a telephone call on a remote line
KR930011206B1 (ko) 사설교환기에서의 예약 서비스방법
KR0164403B1 (ko) 교환시스템에서 내선번호 번역에 의한 통화방법
KR19990016138A (ko) 교환시스템에서 착신 전환 안내 방법
KR100241730B1 (ko) 키폰 시스템의 보류 메시지 송출 방법
KR910010005B1 (ko) 익스터널 콜 포워딩 방법
KR100251721B1 (ko) 착신서비스를제공하기위한씨티-2착신정합교환시스템및그제어방법
KR100193826B1 (ko) 교환기의 중계대 호 분배방법
KR100212061B1 (ko) 자동응답기능을 구비한 키폰전화기의 자동중계대 구현방법
KR100233462B1 (ko) 교환시스템의 착신거부상태 안내방송 방법
KR19990018360A (ko) 사설교환시스템에서 자동 네트워크 다이얼링 예약방법
KR100229871B1 (ko) 자동 다자 통화 구현방법
KR950004413B1 (ko) 사설 자동 구내 교환기간의 상호 가입자 호출방법
KR19990060596A (ko) 교환시스템에서 무조건 착신전환방법
KR100194418B1 (ko) 사설교환시스템의 국선 착신 응답 방법
KR100201810B1 (ko) 프로세스 다단계층 구조를 갖는 사설교환시스템의중계대발신호의실시간처리방법
KR0181107B1 (ko) 사설교환 시스템의 중계대 호 연결 방법
KR19980076742A (ko) 교환시스템의 그룹 예약 호 서비스방법
KR100299042B1 (ko) 사설교환기에서 아날로그 트렁크를 이용한 네트워킹 시 호 전환방법
KR100208964B1 (ko) 국설 전전자교환기에서의 호예약처리방법
KR0155631B1 (ko) 키폰시스템의 호 서비스방법
FI113828B (fi) A-tilaajanumeron tiedotusmenetelmä
KR930005595B1 (ko) 사설교환기에서 국선 예약시 국선 시저 및 다이얼링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10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