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10944B1 - 바이씨모스 로직의 다중 입력 낸드회로 - Google Patents

바이씨모스 로직의 다중 입력 낸드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10944B1
KR930010944B1 KR1019910004138A KR910004138A KR930010944B1 KR 930010944 B1 KR930010944 B1 KR 930010944B1 KR 1019910004138 A KR1019910004138 A KR 1019910004138A KR 910004138 A KR910004138 A KR 910004138A KR 930010944 B1 KR930010944 B1 KR 9300109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istor
schottky
nmos
diode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4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9093A (ko
Inventor
함윤석
Original Assignee
금성일렉트론 주식회사
문정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성일렉트론 주식회사, 문정환 filed Critical 금성일렉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100041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10944B1/ko
Publication of KR9200190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90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109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09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03K19/2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characterised by logic function, e.g. AND, OR, NOR, NOT circuit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바이씨모스 로직의 다중 입력 낸드회로
제1도는 종래의 회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노이즈제거부 20 : 스위칭부
30 : 반전부
본 발명은 낸드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중 입력시 동작 특성을 개선시킨 바이씨모스(BiCMOS)로직의 다중 입력 낸드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대표적인 낸드회로로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특허 공보 89-4451호에 개시된 토템폴형 바이씨모스 낸드회로가 있다.
이 회로는 콜렉터가 전원단자(VDD)에, 에미터가 출력단자(V0)에 접속되는 NPN 트랜지스터(Q11)와, 콜렉터가 출력단자(V0)에, 에미터가 접지전위에 접속되는 NPN 트랜지스터(Q12)와, 소오스가 전원단자(VDD)에 연결되고, 드레인은 NPN 트랜지스터(Q11)의 베이스에 입력되는 PMOS 트랜지스터(N13,N14)와, PMOS 트랜지스터(P11) 및 NMOS 트랜지스터(N13)의 게이트에 입력되는 입력단자(Vina)와, PMOS 트랜지스터(P11) 및 NMOS 트랜지스터(N14)의 게이트에 입력되는 입력단자와, 저항(R11,R12)으로 구성된다.
[표 1]
Figure kpo00001
제1도의 회로의 논리동작을 나타낸 표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입력단자(Vina, Vinb)에 모두 "0"레벨이 인가될때 PMOS 트랜지스터(P11,P12)가 온으로 되고, NMOS 트랜지스터(N13,N14)가 오프로 되어 NPN 트랜지스터(Q11)는 온이되고 NPN 트랜지스터(Q12)는 오프된다.
따라서 출력단자(V0)에는 "1"이 출력된다. 또한, 입력단자(Vina, Vinb)의 한쪽에 "0"이 인가 될때는 PMOS 트랜지스터(P11,P12)중 "0"이 인가되는 쪽이 온으로 되며, NMOS 트랜지스터(N13,N14)중 "1"이 인가되는 쪽이 온으로 된다.
따라서 NPN 트랜지스터(Q11)의 베이스 전위가 상승하게 되어 NPN 트랜지스터(Q11)는 온이되며, NPN 트랜지스터(Q12)는 저항(R12)을 통해 단락되어 오프로 되므로 출력단자(V0)에는 "1"레벨이 출력된다.
한편, 입력단자(Vina,Vinb)에 모드 "1"이 인가될 경우에는 PMOS 트랜지스터(P11,P12)가 오프되고 NMOS 트랜지스터(N13,N14)가 온이되어 NPN 트랜지스터(Q11)가 베이스, 에미터 간의 저항(R11)을 통해 단락되어 오프되며 NPN 트랜지스터(Q12)는 베이스, 콜렉터 간의 NMOS 트랜지스터(N13,N14)를 통해 단락되므로 NPN 트랜지스터(Q12)의 베이스에는 출력단자(V0)에서 전류가 공급되고 NPN 트랜지스터(Q12)가 온으로 되어, 출력단자(V0)에는 "0"레벨이 출력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회로는 사용범위가 제한되고 입력단의 노이즈가 출력단에 그대로 전달되기 쉬운 결점이 있으며 다중입력 로직을 구성할 경우 트랜지스터가 많이 사용되어 속도가 저하됨과 아울러 원가가 상승되는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노이즈 제거를 위해 입력측에 노이즈 제거부를 마련하고 동작속도 개선을 위해 쇼트키 소자를 사용한 바이씨모스 로직의 다중입력낸드 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회로도로서, 다수의 입력단(Vin1-Vinn-1)의 각각에 트랜지스터(X1-Xn-1)를 연결하여 입력신호의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노이즈제거부(10)와, 전원전압(VDD)이 저항(R1)을 통해 다수개의 PNP 트랜지스터(Q1~Qn-1)의 에미터에 병렬 접속됨과 아울러 앤모드 트랜지스터(N1) 게이트에 접속되고, 상기 다수의 PNP 트랜지스터(Q1~Qn-1)의 베이스는 상기 다수 입력단의 각각에 하나씩 연결되고, 상기 PNP 다수의 트랜지스터(Q1~Qn-1)의 콜렉터는 그라운트에 접속되며, 상기 앤모스 트랜지스터(N1)의 소오스는 전원전압에 연결되고, 앤모스 트랜지스터(N1)의 드레인은 다수의 다이오드(SD1~SDn-1) 애노드에 연결되고, 상기 다수의 다이오드(SD1~SDn-1)의 캐소우드는 각 입력단에 하나씩 상기 다수의 PNP 트랜지스터(Q1~Qn-1)와 병렬로 연결되어 노이즈가 제거된 입력신호의 전체가 하이레벨일 경우 하이레벨을 출력시키고 적어도 하나가 로우레벨일 경우 로우레벨을 출력시키는 스위칭부(20)와, 스위칭부(20)의 출력단이 피모스(P1) 및 앤모스(N2)의 게이트와 다이오드(SDb)의 캐소드에 접속되고, 피모스(P1)의 소오스는 전원단(VDD)에, 앤모스(N2)의 소오스는 접지되며, 또한 전원전압(VDD)의 저항을 통해 NPN 트랜지스터(Qa)와 쇼트키 NPN 트랜지스터(SQ1)의 콜렉터에 접속되고, 상기 쇼트키 NPN 트랜지스터(SQ1)의 베이스는 상기 피모스(P1) 및 앤모스(N2)의 드레인과 다이오드(SDa)의 캐소드에 공통으로 연결되며, 쇼트키 NPN 트랜지스터(SQ1)의 에미터는 상기 트랜지스터(Qa)의 베이스와 다이오드(SDa,SDb)의 애노드에 병령 연결됨과 동시에 저항(R6)을 통해 접지되고, 또한 스위칭부(20)의 출력단은 앤모스(N3)의 게이트에 접속되고, 상기 트랜지스터(Qa)에 에미터는 앤모스(N3)의 소오스와 쇼트키 NPN 트랜지스터(SQ2)의 콜렉터에 접속되며, 앤모스(N3)의 드레인은 게이트가 전원단(VDD)에 접속되고 소오스가 접지된 앤모스(N4)의 드레인과 접속됨과 동시에 쇼트키 NPN 트랜지스터(SQ2)의 베이스에 연결되며, 쇼트키 NPN 트랜지스터(SQ2)에 베이스는 두개의 저항(R7,R8)을 통해 쇼트키 NPN 트랜지스터(SQ3)의 콜렉터 및 베이스에 접속되고 쇼트키 NPN 트랜지스터의 에미터는 접지된 구성으로 스위칭부(20)의 출력을 반전시키기 위한 반전부(30)로 구성된다.
여기서, 스위칭부(20)와 반전부(30)의 다이오드(SD1~SDn-1,SDa,SDb) 및 쇼트키 트랜지스터(SQ1-SQ3)는 동작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구성된 것이다.
이하에서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입력단(Vin1-Vinn-1)으로 모두 하이레벨이 입력될 경우에 트랜지스터(X1-Xn-1)로 구성된 노이즈 제거부(10)에 의해 노이즈가 제거되고, 스위칭부(20)에서는 PNP 트랜지스터(Q1~Qn-1)가 모두 오프되어 전원(VDD)이 저항(R1)을 통해 NMOS 트랜지스터(N1)에 인가되므로 이 NMOS 트랜지스터(N1)가 온되어 하이레벨을 출력하고 이때, 다이오드(SD1-DSn-1)는 모두 오프된다.
따라서, 반전부(30)에서는 스위칭부(20) 출력이 하이레벨이므로 PMOS 트랜지스터(P1)는 오프됨과 동시에 NMOS 트랜지스터(N2)(N3)는 온된다.
이때, NMOS 트랜지스터(N4)는 게이트에 전원(VDD)이 인가되어 항상 온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결국 쇼트키 트랜지스터(SQ1)의 베이스에 로우레벨이 인가되어 쇼트키 트랜지스터(SQ1)와 트랜지스터(Qa)가 모두 오프되고 다이오드(SDa)(SDb)가 오프된 상태에서 쇼트키 트랜지스터(SQ2)(SQ3)는 온되므로 출력단(V0)으로는 로우레벨이 출력된다.
즉, 입력이 모두 하이레벨일때는 로우레벨이 출력되어 낸드게이트의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입력단(Vin1-Vinn-1)으로 하나의 로우레벨이 입력될 경우 일례로 입력단(Vinn-1)으로 로우레벨 입력시 동작을 살펴보면, 트랜지스터(Qn-1)가 온되어 NMOS 트랜지스터(N1)의 게이트에 로우레벨이 인가되므로 이 NMOS 트랜지스터(N1)가 오프되고, 이에따라 스위칭부(20)의 출력은 로우레벨이 된다. 따라서, PMOS 트랜지스터(P1)가 온됨과 동시에 앤-모스 트랜지스터(N2)(N3)가 오프되어 쇼트키 트랜지스트(SQ1)와 트랜지스터(Qa)는 온되는 반면에 쇼트키 트랜지스터(SQ2)(SQ3)가 오프되므로 결국 출력단(V0)으로는 하이레벨이 출력된다.
이때, 다이오드(SDa)(SDb)는 온된다.
만일, 모든 입력이 로우레벨일 경우에도 상술한 동작원리에 의하여 스위칭부(20)의 출력이 로우레벨이 되어 출력단(V0)으로 하이레벨이 출력됨으로써 결국 제2도의 회로는 낸드게이트의 역할을 하게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를 사용하여 입력으로 들어오는 펄스의 하이와 로우 상태를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기생적으로 형성되는 트랜지스터를 감소할 수 있으며 출력구 동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출력단에 쇼트키 트랜지스터를 사용하여 트랜지스터가 동작할때 전류를 빠르게 통하게 하여 고속 동작이 가능하며, 더우이 다수의 입력 신호를 갖는 낸드회로에 적용해서 칩면적을 최소로 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2)

  1. 다수의 입력단(Vin1-Vinn-1)의 각각에 트랜지스터(X1-Xn-1)를 연결하여 입력신호의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노이즈제거부(10)와, 상기 입력단(Vin1-Vinn-1) 각각에 트랜지스터(Q1~Qn-1)의 베이스를 연결하고 각 트랜지스터(Q1~Qn-1)의 콜렉터는 접지되고, 에미터는 공통으로 전원단(VDD) 및 앤모스(N1)의 게이트에 연결되며, 앤모스(N1)의 소오스는 전원단(VDD)에 접속되고 드레인은 각 입력단(Vin1-Vinn-1)쪽으로 순방향인 다이오드(SD1~SDn-1)에 연결되어 각 입력단의 신호를 논리곱 연산하여 출력하는 스위칭부(20)와, 스위칭부(20)의 출력단이 피모스(P1),앤모스(N2,N3)의 게이트 및 다이오드(SD2)의 캐소드에 연결되고, 피모스(P1) 및 앤모스(N2)의 소오스는 각각 전원단 및 그라운트에 접지되며 전원단(VDD)이 저항(R5)을 통해 트랜지스터(Qa)와 쇼트키 트랜지스터(SQ1)의 콜렉터에 연결되며 쇼트키 트랜지스터(SQ1)의 에미터는 트랜지스터(Qa)의 베이스와 다이오드(SDa,SDb)의 애노드에 연결됨과 동시에 저항(R6)을 통해 접지되고, 상기 피모스(P1) 및 앤모스(N2)의 드레인은 공통으로 쇼트키 트랜지스터(SQ1)의 베이스 및 다이오드(SDa)의 캐소드와 연결되며, 상기 트랜지스터(Qa)의 에미터는 출력단, 다이오드(SDb)의 애노드, 에미터가 접지된 쇼트키 트랜지스터(SQ2)의 콜렉터 및 앤모스(N3)의 소오스와 연결되고, 앤모스(N3)의 드레인은 게이트 및 소오스가 전원단(VDD) 및 그라운트에 접지된 앤모스(N4)의 드레인과 공통으로 쇼트키 트랜지스터(SQ2)의 베이스에 접속되며, 쇼트키 트랜지스터(SQ2)의 베이스는 저항(R7,R8)을 통해 에미터가 접지된 쇼트키 트랜지스터(SQ3)의 콜렉터와 베이스에 접속되어 스위칭부(20)의 출력을 반전시키는 반전부(30)를 구비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씨 모스 로직의 다중 입력 낸드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20)와 상기 반전부(30)의 다이오드(SD1~SDn-1, SDa,SDb)는 동작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쇼트키 소자로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씨모스 로직의 다중 입력 낸드회로.
KR1019910004138A 1991-03-15 1991-03-15 바이씨모스 로직의 다중 입력 낸드회로 KR9300109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04138A KR930010944B1 (ko) 1991-03-15 1991-03-15 바이씨모스 로직의 다중 입력 낸드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04138A KR930010944B1 (ko) 1991-03-15 1991-03-15 바이씨모스 로직의 다중 입력 낸드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9093A KR920019093A (ko) 1992-10-22
KR930010944B1 true KR930010944B1 (ko) 1993-11-17

Family

ID=19312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4138A KR930010944B1 (ko) 1991-03-15 1991-03-15 바이씨모스 로직의 다중 입력 낸드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1094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9093A (ko) 1992-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18829B2 (ja) ノイズの影響を受けないリセット優先レベルシフト回路
KR900008801B1 (ko) 논리회로
US4804869A (en) BiMOS logical circuit
JPH0535928B2 (ko)
US4577125A (en) Output voltage driver with transient active pull-down
US4725982A (en) Tri-state buffer circuit
US4804868A (en) BiMOS logical circuit
US4289978A (en) Complementary transistor inverting emitter follower circuit
JPH0583004B2 (ko)
US5075579A (en) Level shift circuit for achieving a high-speed processing and an improved output current capability
US5166551A (en) High speed output circuit without fluctuation for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US5331225A (en) BiCMOS logic circuit with bipolar transistor and MOS transistor formed on the same semiconductor substrate
US5124582A (en) Bi-cmos circuit with high-speed active pull-down output currents
KR940007299B1 (ko) 반도체 집적회로
KR930010944B1 (ko) 바이씨모스 로직의 다중 입력 낸드회로
US5107143A (en) Signal output circuit included in bus driving integrated circuit
US5057714A (en) BiCMOS integrated circuit device utilizing Schottky diodes
US5341042A (en) Low voltage, cascoded NTL based BiCMOS circuit
US4877975A (en) Logic circuit having an output signal with a gentle leading edge
KR940005975B1 (ko) 출력회로
US5097153A (en) TTL compatible BICMOS input circuit
EP0735686A1 (en) Three-state CMOS output buffer circuit
JP2929869B2 (ja) 3ステート・バッファ回路
KR950000352B1 (ko) 반도체 논리회로
US5245225A (en) High performance BiFET complementary emitter follower logic circu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01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