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10926B1 - 난연 열가소성 폴리올레핀 조성물 - Google Patents

난연 열가소성 폴리올레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10926B1
KR930010926B1 KR1019880011591A KR880011591A KR930010926B1 KR 930010926 B1 KR930010926 B1 KR 930010926B1 KR 1019880011591 A KR1019880011591 A KR 1019880011591A KR 880011591 A KR880011591 A KR 880011591A KR 930010926 B1 KR930010926 B1 KR 9300109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s
ethane
composition
flame retardant
polybromophenox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1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4819A (ko
Inventor
제이. 터민 엔리코
에이. 호오젠 해리
Original Assignee
그레이트 레이크스 케미컬 코포레이션
존 에스. 리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그레이트 레이크스 케미컬 코포레이션, 존 에스. 리틀 filed Critical 그레이트 레이크스 케미컬 코포레이션
Priority to KR10198800115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10926B1/ko
Publication of KR9000048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48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109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09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2Halogenated hydrocarb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난연 열가소성 폴리올레핀 조성물
본 발명은 난연성 및 내변색성을 지는 열가소성 폴리올레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히, 본 발명은 헥사브로모시클로도데칸과 UL-94시험에 의해 V-2 등급을 성취하며 처리온도에서 내변색성을 가지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비스-(폴리브로모페녹시) 에탄의 혼합물을 함께 가지는 폴리스티렌과 폴리프로필렌 열가소성 중합체에 관한 것이다.
폴리스티렌,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 등과 같은 폴리올레핀은 브롬-함유 화합물과 함께 난연시킬 수 있다는 것은 공지되어 있다. 이런 조성물에 사용되는 난연제는 헥사브로모 시클로도데칸,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 A,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 A 비스-(디브로모프로필에테르), 비스-(트리브로모페녹시에틸)테트라 브로모비스페놀 A 에테르, 옥타브로모디페닐 에테르, 데카브로모디페닐 에테르, 비스-(트리브로모페녹시)에탄, 비스-(펜타브로모페녹시)에탄,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 A의 비스-(디브로모프로필 카르보네이트), 등이다. 대부분, 이들 난연제는 UL-94시험에서 V-0의 등급을 얻기에 충분한 양으로 사용된다.
또한 난연폴리올레핀에 있어서, 지방족 또는 지방족 고리형 브롬-함유 화합물들이 방향족 화합물보다 더 효과적이라는 것도 잘 알려져 있다(J. Hoseczy, Soc. Plat. Eng., Tech. Pop., 20 379-81참조). 예를 들면 휴대용 전기장치와 같은 몇몇 적용은 V-2 등급을 필요로 한다. 효과적인 V-2 포뮬레이션(formulation)을 위해서, 브롬 화합물의 안정성과 연소중의 적하정도는 중합체 기판과 브롬함유 화합물의 복잡한 상호작용을 고려하여 신중히 조화되어야 한다(C. Jarvis, Org. Coat. Plast, Chem., 43, 181-8 참고). 낮은 농도의 지방족 또는 지방족 고리형브롬 화합물, 특히 헥사브로모시클로도데칸을 함유하는 폴리올레핀 조성물은 V-2 등급을 성취할 수 있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는 것이다(J. Green, Flame Retardants 중에서, Proc. Int. Symp., 1974, 68-77 참고).
V-2 기준에 충족되어야할 폴리올레핀중에 여러 브롬-함유 화합물, 특히 헥사브로모시클로도데칸과 같은 브롬-함유 화합물을 결합시키는 것이 제의되어 왔지만, 이렇게 해서 얻어진 조성물들은 가열시 또는 처리중에 분해되는 경향을 가진다. 예를 들면, 이런 조성물들이 사출성형되었을 때, 이 분해는 정상적으로 조성물의 심각한 변색을 초래한다.
중합체 분해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브롬-함유 화합물의 분해로부터 또는 중합체와 브롬-함유 화합물간의 상호작용으로부터 발생하는 중합체의 열화를 지연시키기 위해 통상 안정제가 사용되어 왔다. 폴리올레핀중에 이런 안정제를 사용하는 것을 개시하는 종래 기술에는 미국특허 제4,089,912호 : 일본특허 제61-106,641호 : 61-57,636호 : 60-139,734호 : 56,145,939호 : 그리고 독일특허 제3,402,539호 및 기타 다수가 있다.
하지만, 종래 기술에 따라 이런 안정제를 사용하면 V-2포뮬레이션에 필요한 적하/연소 균형을 방해하며 V-2등급의 폴리올레핀 조성물의 단가를 인상시킨다. 그러므로 변색에 대해 저항성을 가지면서도 브롬-함유 난연제 이외의 첨가제를 결합시킬 필요가 없는 V-2난연성 폴리올레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차적인 목적은 UL-94 V-2 열가소성 폴리올레핀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는 난연성 첨가제 혼합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정상적으로 가연성의 폴리스티렌 및 폴리프로필렌을 난연화하는데 특히 유용한 상기한 성격의 난연성 첨가제 혼합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개별적으로 결합되었을 때는 V-2등급의 성취가 허용되지 않는 작용제로 이루어지는 상기한 성격의 난연성 첨가제 혼합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부가적인 안정화제 또는 기타 첨가제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변색에 대해 저항성을 가지는 열가소성 폴리올레핀 조성물의 성공적인 난연화를 허용하는 상기한 성격의 난연성 첨가제 혼합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잇점, 및 특징들을 정상적인 가연성 열가소성 폴리올레핀 조성물에 유효량의, 바람직하게는 2-20중량%의, 헥사브로모시클로도데칸("HBCD") 및 하나 이상의 비스-(폴리브로모페녹시)-에탄으로 이루어지는 난연성 첨가제 혼합물을 결합시킴으로써 성취될 수 있는데, 여기에서 비스-(폴리브로모페녹시)-에탄에 대한 HBCD의 중량비율은 바람직하게 0.1 내지 19사이에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수 있는 비스-(폴리브로모페녹시)에탄에는 비스-(트리브로모페녹시)에탄("BTBPE"), 비스-(테트라브로모페녹시)에탄 ("BTTBPE"), 비스-(펜타브로모페녹시)에탄("BPBPE"), 또는 이들의 혼합물들이 있다. 상기한 방법으로 난연화되는 열가소성 폴리올레핀은 변색 및 기타 안정화 첨가제 사용없이 UL-94 V-2기준을 충족시킨다.
본 발명에 따라, 부가적인 안정화 첨가제의 사용없이 정상적으로 가연성인 폴리올레핀에 UL-94 V-2난연성이 부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처리될 수 있는 폴리올레핀에는 폴리스티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부틸렌과 같은 열가소성 수지가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폴리스티렌 및 폴리프로필렌이 바람직하다.
폴리스티렌은 [Modern Plastics Encyclopedia, Vol. 63, No., 10A, 74(1986)]에 설명되어 있는 바와 같이, 특히 충격 변성된 등급의 어떤 열가소성 폴리스티렌도 가능하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첨가제는 0.6 내지 3.0ft-1b/in, 가장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5ft-1b/in의 노치충격값으로 분류된 충격등급이 사용된다.
폴리프로필렌은 [Modern Plastics Encyclopedia, Vol. 63, No. 10A, 72(1986)]에 설명되어 있는 것과 같이, 어떤 열가소성 폴리프로필렌, 특히 단독 중합체 형태, 이라도 가능하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첨가제들은 2 내지 30g/10분, 가장 바람직하게는 4내지 10g/10분의 멜트플루오로 분류된 등급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난연성 첨가제들은 헥사브로모시클로도데칸("HBCD") 및 하나 이상의 비스-(폴리브로모페녹시)에탄의 혼합물로 이루어진다. HBCD는 이성질체 시클로도데카트리엔, 바람직하게는 1, 2, 5, 6, 9, 10-헥사브로모시클로도데칸의 브롬화로부터 결과되는 어떤 이성질체도 포함할 수 있다.
비스-(폴리브로모페녹시)에탄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이ㅡ 비스-(트리브로모페녹시)에탄 ("BTBPE"), 비스-(테트라브로모페녹시)에탄("BTTBPE"), 및 비스-(펜타브로모페녹시)에탄("BPBPE")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BTBPE는 비스-(2, 4, 6-트리브로모페녹시)에탄,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1, 2-비스-(2,4,6-트리브로모페녹시)에탄이다. BTTBPE는 바람직하게 비스-(2, 3, 5, 6-테트라브로모페녹시)에탄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사용되는 BTTBPE는, 바람직하게는 4-위치에서, 메틸치환된 것일 수 있다. 따라서, 1, 2-비스(2, 3, 5, 6-테트라브로모-4-메틸페녹시)에탄도 또한 사용된다.
BTBPE, BTTBPE, 및 BPBPE는 단독으로 또는 이 화합물의 어떤 둘 또는 셋 모두의 혼합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런 혼합물들이 사용될 때에, 본질적으로 개별적인 화합물의 어떠한 양과 비율의 조합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BTBPE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난연성 첨가제 혼합물은 HBCD 및 비스-(폴리브로모페녹시)에탄올을 사용하며, 비스-(폴리브로모페녹시)에탄올에 대하여 HBCD를 0.1 내지 19, 가장 바람직하게는 첨가제 혼합물이 BTBPE를 포함할 경우에는 약 0.2 내지 3.3 그리고 첨가제 혼합물이 다른 비스-(폴리브로모페녹시)에탄을 포함할 경우에는 0.4 내지 3.3의 중량비율로 사용한다. HBCD와 비스-(폴리브로모페녹시)에탄의 혼합물은 폴리올레핀 중합체 조성물내에 바람직하게는 약 2 내지 20중량 퍼센트,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4 내지 10중량 퍼센트의 양으로 결합된다.
다음의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실행을 예시하겠다.
폴리스티렌 조성물의 제조
HBCD(1.2부), 비스-(폴리브로모페녹시)에탄(4.0부) 및 폴리스티렌(94.8부)를 혼합함으로써 난연성 폴리스티렌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사용되는 폴리스티렌은 Huntsman Chemical Corporation에 의해 공급되는 PS-3037이다.
생성 혼합물을 200℃에서 균일한 덩이가 나타날때까지 Brabender Prep-Ceuter 믹서(모델 R6, C. W. Brabender Instruments, Inc., S. Hackensack, NJ)에서 혼합한다. 이 혼합물을 냉각하고, 칩으로 으깨고, 1-온스 Newbury 사출성형기(모델 HI-30 RS, Newbury Industries, Inc., Newbury, OH)에서 시험표본으로 성형한다. 사출성형의 조건을 표 1에 나타냈다.
[표 1]
Figure kpo00001
Figure kpo00002
[난연성]
상기의 방법으로 배합된 폴리스티렌 시험표본의 난연성은 Underwriters Laboratories 과정 UL-94를 사용하여 측정되었다.
[변색시험]
Brabender Plasticorder 믹서(모델 PL-300)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한 바와 같이 폴리스티렌 조성물을 제조했다. 230℃ 및 50rpm에서, 30분간 이포뮬레이션을 혼합했다. 3분 간격으로 균일한 양을 시료 채취하고, 중합체 조성물의 외관에 대해 시각 관찰을 실시했다.
[실시예 1-8]
여러 비율의 HBCD 및/또는 BTBPE 및 장입량의 첨가제 혼합물을 함유하는 일련의 폴리스티렌시료를 제조하기 위하여 상기와 같은 기법을 사용했다. 실시예 1-3은 각각 0.30, 1.00 및 3.00의 HBCD/BTBPE 비율로 HBCD 및 BTBPE를 함유했다. 실시예 4와 5는 HBCD만을 함유했고 실시예 6과 7은 BTBPE만을 함유했다. 실시예 8은 0.43의 비율로 HBCD와 BTBPE를 함유했다. UL-94 시험을 사용하여 각 실시예의 난연성을 평가했고, 각각은 포뮬레이션 동안에 변색의 정도에 대해 관찰했다. 조성물과 시험자료를 표 2에 나타냈다.
[표 2]
Figure kpo00003
1최상의 색깔 보유를 가지는 것을 1로, 최악의 색깔 보유를 가지는 것을 5로 평가.
2HBCD만을 함유
표 2에 나타낸 자료들은 다음 결론을 뒷받침한다 :
실시예 1은 최소 변색으로써 V-2등급을 성취하는 HBCD와 BTBPE의 바람직한 혼합물을 예시한다.
실시예 2, 3 및 8은 V-2 등급과 최소변색을 가지는 조성물을 제조하는데 유용한 본 발명의 개념내의 HBCD와 BTBPE의 다른 비율을 예시한다.
실시예 4는 단지 브롬-함유 첨가제로서 HBCD만을 사용할 때 어떻게 되는가를 나타내는 비교 실시예이다. 실시예 1-3 및 8은 심각한 변색을 나타내는 실시예 4에 대해 현저한 개선을 나타낸다.
실시예 5는 더작은 HBCD가 사용될 때 실시예 2 및 3보다 더 나은 색깔이 성취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한다. 하지만, 실시예 5는 UL-94 시험에 실패하기 때문에, 유용한 포뮬레이션이 아니다.
실시예 6과 7은 BTBPE만으로는 UL-94시험을 합격하기에 충분하지 않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실시예 5와 6은 실시예 1의 HBCD 또는 BTBPE의 난연제 장입에 근거하여 제조될 때, 개별적으로 그리고 단독의 브롬-함유 첨가제로서 결합될 때, HBCD도 BTBPE도 V-2 등급을 달성하지 못한다는 것을 예시한다.
실시예 1 내지 8은 HBCD와 BTBPE 사이에 놀라운 상승 관계가 있음을 예시하고 있다. HBCD와 BTBPE를 조합하면, 어떤 브롬-함유 물질도 단독으로 할 수 없는, V-2등급을 성취하며 변색에 대해 저항하는 조성물을 생성한다.
[실시예 9]
상기 방법으로 0.43중량비율의 HBCD와 BTBPE 혼합물을 5.2 및 6중량퍼센트의 장입량으로 결합하여 폴리스티렌시료를 제조했다. UL-94시험을 사용하여 이 시료들을 난연성에 대해 평가하고 배합 동안에 변색정도에 대해 관찰했다. 각 시료는 V-2 난연성 등급을 성취했으며 각각의 변색정도는 표 2에 사용된 척도에 의했을 때 1이었다. 따라서 실시예 9는 두 장입수준에서 HBCD와 BTBPE 혼합물을 사용함으로써 본 발명을 성공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실시예 10-13]
1.2퍼센트 HBCD와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A와 테트라 브로모비스페놀-A 디프로피오네이트의 비스-(트리브로모페녹시에틸에테르)와 같은 다른 브롬-함유 난연제의 다양한 퍼센티지를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결합시켜 일련의 부가적인 폴리스티렌 시험시료를 제조했다. UL-94난연성 자료와 변색자료를 표 3에 나타냈다.
[표 3]
Figure kpo00004
1Great Lakes Chemical Corporation의 테트라브로모 비스페놀 A의 비스(트리브로모페녹시에틸 에테르)
2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 A
3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 A 디프로피오네이트
표 3에 나타낸 자료들은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리게 해준다.
실시예 10은, BTBPE에 유사한 구조의 방향족 브롬-함유화합물이 같은 중량에 근거하여 BTBPE를 대체한다면, 결과되는 조성물은 UL-94시험에 실패한다는 것을 예시한다. 그러므로, 이들 결과는 열안정성 방향족 브롬-함유 물질과 HBCD를 조합하면 유용한 조성물을 제공하지 않을 것이라는 것을 제시한다. 실시예 11은 등가의 브롬농도 조성물을 비교할때, 실시예 10과 동일한 결과가 성취된다는 사실을 예시한다.
실시예 12와 13은 다른 브롬-함유 첨가제와 중합체 멜트플로우와의 상호작용을 나타낸다. 실시예 12와 13은 실시예 1보다 더 높은 멜트플로우를 가진다. 실시예 12는 V-2등급은 얻지만, 변색을 방지하지는 않으며, 실시예 13은 변색은 방지하지만 UL-94시험에는 실패한다.
실시예 10-13은 HBCD와 BTBPE의 혼합물은 독특한 혼합이며 본 발명은 중합체 멜트플로우에 근거해서 명백하지 않다는 것을 예시한다.
[실시예 14]
본 발명의 난연성 첨가제를 혼합물을 사용하고 Kyowa Chemical Industryu co., Ltd.의 히드로탈시트 화합물, DHT4-A를 결합시켜 다른 시험표본을 배합하였다. UL-94 및 변색결과를 표 4에 나타냈다.
[표 4]
Figure kpo00005
실시예 14는 안정제와 같은 다른 첨가제들이 사용될 때, 얻어지는 조성물은 UL-94시험에 실패하기 때문에 유용하지 않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의 제조
Himont Incorporated의 Himont 6534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폴리스티렌 조성물에 대해 개설한 방법에 따라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을 제조했다.
[실시예 15-17]
HBCD 및/또는 BTBPE를 표 5에 나타낸 양만큼 함유하는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난연화된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을 제조했다. UL-94난연성 자료와 변색자료를 표 5에 나타냈다. 표 5의 자료는, 본 발명의 혼합물 5.0중량퍼센트를 결합시킨 폴리프로필렌, 실시예 15만이 변색없이 UL-94 V-2 난연성을 성취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단독으로 사용된 HBCD 및 BTBPE는 UL-94 또는 변색 시험에 실패했다.
[표 5]
Figure kpo00006
1최상의 색깔보유를 가지는 것을 1로 최악의 색깔보유를 가지는 것을 5로 정의
2HBCD만을 함유

Claims (11)

  1. 난연화된 폴리올레핀 조성물이 열안정화제의 결합없이 열변색에 대해 저항성을 가지며 V-2 UL-94난연능력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하나의 정상적인 가연성 열가소성 폴리올레핀 : 및 비스-(폴리브로모페녹시)에탄에 대한 헥사브로모시클로도데칸의 중량비율이 0.1-19범위에 있는 헥사브로모시클로도데칸 및 하나 이상의 비스-(폴리브로모페녹시)에탄으로 이루어지는 유효량의 난연성 첨가제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열변색에 대해 저항성을 가지는 난연화된 열가소성 폴리올레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난연성 첨가제 혼합물이 조성물의 2-20중량퍼센트 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폴리올레핀이 폴리스티렌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폴리올레핀이 폴리프로필렌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2항에 있어서, 난연성 첨가제 혼합물이 조성물의 4-10중량퍼센트 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비스-(폴리브로모페녹시)에탄에 대해 헥사브로모시클로도데칸의 중량비율이 0.2-3.3범위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헥사브로모시클로도데칸이 1, 2, 5, 6, 9, 10-헥사브로모시클로도데칸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비스-(폴리브로모페녹시)에탄이 비스-(트리브로모페녹시)에탄, 비스-테트라브로모페녹시)에탄, 비스-(테트라브로모메틸페녹시)에탄, 비스-(펜타브로모페녹시)에탄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비스-(폴리브로모페녹시)에탄이 1, 2-비스-(2, 4, 6-트리브로모페녹시)에탄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0. 제8항에 있어서, 비스-(폴리브로모페녹시)에탄이 1, 2-비스-(2, 3, 5, 6-테트라브로모-4-메틸페녹시)에탄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1. 제8항에 있어서, 비스-(폴리브로모페녹시)에탄이 1, 2-비스-(펜타브로모페녹시)에탄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19880011591A 1988-09-08 1988-09-08 난연 열가소성 폴리올레핀 조성물 KR9300109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11591A KR930010926B1 (ko) 1988-09-08 1988-09-08 난연 열가소성 폴리올레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11591A KR930010926B1 (ko) 1988-09-08 1988-09-08 난연 열가소성 폴리올레핀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4819A KR900004819A (ko) 1990-04-13
KR930010926B1 true KR930010926B1 (ko) 1993-11-17

Family

ID=19277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1591A KR930010926B1 (ko) 1988-09-08 1988-09-08 난연 열가소성 폴리올레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1092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5935B1 (ko) * 1996-05-06 2004-09-24 삼성아토피나주식회사 난연성폴리프로필렌수지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4819A (ko) 1990-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17609A (en) Flame retardant polymers
US4268432A (en) Polyamide compositions
US3830766A (en) Self-extinguishing moulding composition
JP2002322322A (ja) 難燃性ポリオレフィン組成物
US4490498A (en) Resinous composition having an increased flame retardance
KR930010926B1 (ko) 난연 열가소성 폴리올레핀 조성물
US4780496A (en) Flame retardant thermoplastic polyolefin compositions
US4006114A (en) Flame retardant polypropylene compositions
US4699734A (en) Flame-retardant polyolefin compositions containing exudation inhibitor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JPS6234253B2 (ko)
WO1998017718A1 (en) Flame resistant polyolefin compositions
EP0122697A2 (en) Flame retardant polyamide compositions
US3660346A (en) Flame-retarded compositions and additive systems therefor
JP3968471B2 (ja) 難燃性ポリオレフィン樹脂組成物
EP0333852A4 (en) Flame retardant abs resin compositions
CA2013290A1 (en) Flame retardant compositions
US4175071A (en) Titanium dioxide as a U.V. screen in fire retardant vinyl polymers
JPS61168643A (ja) 難燃性ポリオレフイン組成物
JPS61221248A (ja) 難燃性樹脂組成物
KR920008528B1 (ko) 비할로겐화 난연제를 함유한 난연성 폴리스티렌 수지조성물
JPS6034983B2 (ja) 難燃性ポリオレフイン組成物
JPH0546856B2 (ko)
JPH0551021B2 (ko)
JPH0572932B2 (ko)
KR950002890B1 (ko) 난연성 폴리스티렌수지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